KR20110009919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919A
KR20110009919A KR1020090067369A KR20090067369A KR20110009919A KR 20110009919 A KR20110009919 A KR 20110009919A KR 1020090067369 A KR1020090067369 A KR 1020090067369A KR 20090067369 A KR20090067369 A KR 20090067369A KR 20110009919 A KR20110009919 A KR 2011000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drain hole
drain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종
정경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919A/ko
Priority to CA2710699A priority patent/CA2710699C/en
Priority to CA 2788503 priority patent/CA2788503C/en
Priority to US12/840,869 priority patent/US20110016927A1/en
Priority to CN2010102354799A priority patent/CN101962896B/zh
Priority to AU2010203288A priority patent/AU2010203288B2/en
Publication of KR2011000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홀에 배수홀캡을 배치한다. 배수홀캡은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캡이 배치되는 경우 배수펌프가 작동하면, 배수홀캡에 형성된 세탁수유동홀을 통하여 세탁수가 배수홀로 유동한다. 또한, 배수홀캡의 상측에 형성되는 캡은 배수홀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된다. 배수펌프가 작동하게 되면, 세탁수는 배수홀캡으로 유동하게 되고, 세탁수의 수압이 낮아져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배수홀에 체결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배수홀캡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세탁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탁을 수행한다. 이물질에 제거된 후 세탁수를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 때, 배수펌프를 통하여 저수조의 세탁수를 외부로 방출한다. 배수펌프가 작동하면, 세탁수는 배수홀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 때, 배수홀에는 세탁수의 수압이 일시적으로 낮아져 와류가 발생한다. 배수펌프가 작동하면, 와류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소음을 저감시켜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의 배수시 소음을 저감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조와, 상기 배수홀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배수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수홀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도록 형성되는 배수홀캡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수홀로 세탁수가 배수할 때, 와류가 발생하는 세탁수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된 배수홀캡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타수의 배수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15)와, 저수조(115)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삽입되는 세탁조(122)와, 저수조(115)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탁조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50)와, 저수조(115)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표기)를 포함한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베이스(미표기)와, 캐비닛 본체(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커버(123)를 포함한다. 커버(123)의 일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미표기)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126)이 체결된다. 한편,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배수장치는 캐비닛(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저수조(115)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작동되면,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저수조(115) 및 세탁조(122)로 공급한다. 저수조(115)에 공급된 세탁수가 소정수위에 도달하면, 구동장치(150)는 세탁조(122)를 회전시켜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배수장치가 작동하여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홀캡(18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저수조(115)의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115)는 히터(160)를 배치되도록 히터안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115)에 히터안착부(116)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히터안착부(116)는 저수조(115)의 일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히터(16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히터(16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저수조(115)에는 히터안착부(116)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히터(160)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안착부(116)가 저수조(115)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 히터(160)가 저수조(115)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저수조(115)의 일측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저수조(115)에는 저수조(115)의 세탁수가 외부로 유동하도록 배수홀(미표기)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은 히터안착부(116)가 형성된 경우 히터안착부(116)의 일측에 형 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히터안착부(116)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저수조(11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히터안착부(116)가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저수조(115)는 히터(160)가 체결되어 안착되는 히터안착부(116)를 포함한다. 이 때, 히터안착부(116)는 저수조(115)의 일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히터안착부(116)는 저수조(115)의 타측면에 비하여 낮게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세탁수가 저수조(115)로 유입되면, 히터안착부(116)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세탁수는 히터안착부(116)에 저장되어 히터(160)가 작동하는 경우 가열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면, 상기 배수장치가 작동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세탁수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 때, 상기 배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장치는 저수조(115)에 체결되어 세탁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호스(171)와, 배수안내호스(171)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70)와, 배수펌프(170)로부터 펌핑되는 세탁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172)를 포함한다.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펌프(170)를 작동시킨다. 배수펌프(170)가 작동하면, 세탁수가 배수안내호스(171)를 통하여 배수펌프(170)로 유동한다. 배수펌프(170)로 유동한 세탁수는 배수펌프(170)가 작동함에 따라 저수조(115)로부터 펌핑된다. 이 때, 세탁수는 저수조(115)의 일측에서 히터안착부(116)로 유동한다. 히터안착부(116)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 조(115)의 일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펌프(170)가 작동하면, 세탁수는 저수조(115)의 일측으로부터 히터안착부(116)로 유동한다. 한편, 히터안착부(116)로 유동한 세탁수는 배수펌프(170)의 펌핑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배수펌프(170)가 작동하면, 상기 배수홀 부분에 압력이 낮아진다. 상기 배수홀 부분의 압력이 낮아지면, 세탁수는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와류에 의하여 배수펌프(170)의 작동시 소음이 발생한다.
한편, 배수홀캡(180)은 상기 배수홀에 체결된다. 이 때, 배수홀캡(180)은 상기 배수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배수홀캡(180)은,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는 삽입부(183)와, 삽입부(183)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는 캡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는 삽입부(183)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82)와, 지지부(18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캡(181)을 포함한다. 즉, 삽입부(183)와 캡부(미표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2)는 삽입부(183)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조립자는 삽입부(183)를 상기 배수홀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삽입부(183)가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면, 배수홀캡(180)은 상기 배수홀의 상측으로 체결된다. 배수홀캡(180)이 상기 배수홀의 상측으로 체결되면, 상기 배수홀의 상측에는 캡(181)이 배치된다. 이 때, 캡(181)은 상기 배수홀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한편, 배수홀캡(180)은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캡(180)이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수홀에 체결되어 상기와 같이 배치된다. 이 때, 캡(181)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캡(181)의 중심은 상기 배수홀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82)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82)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 지지부(182) 사이에는 세탁수가 유동하도록 세탁수유동홀(184)이 형성된다. 즉, 세탁수유동홀(184)은 배수홀캡(18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펌프(170)가 작동하는 경우 히터안착부(116)에 저장된 세탁수는 세탁수유동홀(184)을 통하여 배수안내호스(171)로 유동한다. 한편, 지지부(182)는 캡(18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각도를 형성된다. 즉, 지지부(182)는 캡(181)과 삽입부(183) 사이에 형성되어 캡(18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형성된다. 지지부(182)가 캡(18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각도가 형성되는 경우는 세탁수의 유동이 지지부(182)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세탁수는 세탁수유동홀(184)을 통하여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수홀캡(180)이 상기 배수홀에 체결되는 경우 배수펌프(170)가 작동하면, 히터안착부(116)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안내호스(171)로 안내된다. 이 때, 배수펌프(170)의 펌핑에 의하여 상기 배수홀의 압력이 낮아져서 발생하는 와류가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와류의 저감에 의하여 배수펌프(170)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또한, 소음이 저감되므로 외부의 사용자의 소음에 대한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수홀캡(18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수홀캡(280)은 상기 도 4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홀에 체결된다. 배수홀캡(280)은 상기 배수홀에 체결되는 삽입부(283)와, 삽입부(283)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82)와, 지지부(282)의 상측에 형성되는 캡(281)을 포함한다. 한편, 삽입부(283), 지지부(282), 캡(28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캡(28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283)를 상기 배수홀에 장착하여 배수홀캡(280)을 고정한다. 배수홀캡(280)의 측면에는 히터안착부(116)에 저장된 세탁수가 유동하도록 세탁수유동홀(284)이 형성된다. 세탁수유동홀(284)은 복수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세탁수유동홀들(284)은 지지부(282)에 형성된다.
한편, 배수펌프(170)가 펌핑을 시작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안착부(116)에 저장된 세탁수가 배수홀캡(280)으로 유동한다. 세탁수는 배수홀캡(280)의 측면에 형성된 세탁수유동홀(284)을 통하여 배수안내호스(171)로 유동한다. 이 때, 배수홀캡(280)에 의하여 상기 배수홀 부분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수홀캡(280)으로 유동한 세탁수는 와류를 형성하지 않는다. 한편, 배수펌프(170)가 펌핑을 계속하면, 세탁수는 세탁수유동홀(284)을 통하여 배수안내호스(171)로 계속해서 유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배수 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홀을 통하여 유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음이 저감되므로 외부의 사용자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홀캡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수홀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60 : 히터
110 : 캐비닛 170 : 배수펌프
111 : 캐비닛 본체 171 : 배수안내호스
115 : 저수조 172 : 배수호스
122 : 세탁조 180 : 배수홀캡
123 : 커버 181 : 캡
126 : 컨트롤패널 182 : 지지부

Claims (10)

  1.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조와,
    상기 배수홀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배수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수홀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도록 형성되는 배수홀캡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캡은,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부와 상기 배수홀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부와 상기 배수홀은 면적이 동일한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부와 상기 배수홀의 중심은 동일한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캡은 원기둥형상인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캡은 세탁수가 유동하도록 세탁수유동홀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유동홀은 상기 배수홀캡의 측면에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들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캡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캡과 체결되는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67369A 2009-07-22 2009-07-23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09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369A KR20110009919A (ko) 2009-07-23 2009-07-23 세탁물 처리기기
CA2710699A CA2710699C (en) 2009-07-22 2010-07-21 Laundry treating machine
CA 2788503 CA2788503C (en) 2009-07-22 2010-07-21 Drain hole for a laundry treating machine
US12/840,869 US20110016927A1 (en) 2009-07-22 2010-07-21 Laundry treating machine
CN2010102354799A CN101962896B (zh) 2009-07-22 2010-07-22 衣物处理机
AU2010203288A AU2010203288B2 (en) 2009-07-22 2010-07-22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369A KR20110009919A (ko) 2009-07-23 2009-07-23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19A true KR20110009919A (ko) 2011-01-31

Family

ID=4361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369A KR20110009919A (ko) 2009-07-22 2009-07-23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1258B2 (en) 2018-09-12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1258B2 (en) 2018-09-12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209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EP2886696B1 (en) Washing machine
KR101339969B1 (ko) 드럼식 세탁기
JP5242153B2 (ja) 洗濯機
US9644302B2 (en) Washing machine
JP57991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5316889B (zh) 衣物处理装置
KR20090006659A (ko) 세탁기
KR20130034311A (ko) 배수펌프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2009297139A (ja) 洗濯機
JP6075065B2 (ja) 洗濯機
KR2010005600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4944A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JP2007181608A (ja) 洗濯機
KR20110009919A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09663515B (zh) 微气泡产生循环系统及衣物处理装置
JP2011092330A (ja) 洗濯機用の濾過装置
KR20070063996A (ko) 드럼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KR10169670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90009403A (ko) 부분 세탁용 세탁기
KR20170095694A (ko) 세탁기
KR100730941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제거 장치 및 거품 제거 방법.
RU2671718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6135978B2 (ja) 洗濯機
JP6004336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1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06

Effective date: 201901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