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832A -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 Google Patents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832A
KR20110009832A KR1020090067243A KR20090067243A KR20110009832A KR 20110009832 A KR20110009832 A KR 20110009832A KR 1020090067243 A KR1020090067243 A KR 1020090067243A KR 20090067243 A KR20090067243 A KR 20090067243A KR 20110009832 A KR20110009832 A KR 2011000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diffuser
camera
opening
camera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임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형 filed Critical 임태형
Priority to KR102009006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832A/ko
Publication of KR2011000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1Separatable flash apparatus; Means for mounting the flash apparatus on the photographic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ash apparatus; Arrangement of lamps, reflector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일측이 카메라의 플래시에 장착되고, 타측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회전커버를 포함한다.
카메라 플래시, 디퓨저, 회전커버

Description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Diffuser for Camera Flash}
본 발명은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플래시에 장착되어 촬영작업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자연광의 광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인공 조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플래시가 사용된다. 플래시를 사용하면 광량이 적은 곳에서도 적정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떨림이 없는 사진을 위한 셔터 속도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량이 충분히 강한 플래시를 사용하면, 야외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어두운 부분만 필플래시(fill-flash)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진 전문가나 애호가들은 플래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내장되기도 하지만, 내장 플래시는 출력이 약해 충분한 광량을 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연속 발광하지 못한 다. 따라서, 충분한 광량 및 빠른 연속 발광 속도를 얻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스트로보(strobo)라고 불리는 외장형의 고속 플래시를 카메라에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직광에 의한 촬영을 하면 피사체에 직선방향으로 강한 조명이 가해지기 때문에 피사체의 표면에 직광이 반사되어 촬영물에 번들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굴곡 부분이 많은 피사체에 그림자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빛의 느낌이 자연광과는 달라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연출이 어렵다.
따라서 실내촬영 등의 경우 플래시를 피사체를 향하게 하지 않고, 천장을 향하게 하여 천장의 바운스를 이용하여 촬영을 한다. 따라서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천장에서 반사된 다음 피사체 주변으로 확산되어 피사체에 부드러운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천장 바운스를 이용한 촬영의 경우, 플래시의 빛이 피사체의 후방으로 방출되어 피사체에 전달되는 광량이 부족하여 용량이 큰 플래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천장이 지나치게 높거나, 천장이 유색인 경우 반사 특성이 좋지 않아서 피사체에 충분한 광량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래시의 장착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회전커버를 구비하여, 촬영작업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일측이 카메라의 플래시에 장착되고, 타측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회전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는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개구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바디 또는 결합부재에 디퓨저를 통하여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회전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광량을 조절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바디에 결합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커버가 회전하면서 디퓨저의 일부를 개방하는 경우 개방된 디퓨저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의 방향을 작업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바디의 내부에 바디의 단면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구비하여 작업환경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가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이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50)는 본체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메라와 연결되는 연결부(54) 및 연결부(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가 결합되는 장착부(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착부(52)의 상면을 통하여 빛을 방출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바디(20), 회전커버(10)를 포함한다.
바디(20)는 일측이 카메라 플래시(50)에 장착되고, 타측에 제1개구부(20a)가 형성된다. 바디(20)의 하부는 카메라 플래시(50)의 형상에 대응하여 개구 형성되고, 카메라 플래시(50)의 장착부(52)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카메라 플래시(50)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바디(20)의 하부는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시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20)의 하부에는 카메라 플래시와 면 접촉을 하면서 바디(20)의 하부와 장착부(52)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복수개의 플랩(26)이 형성된다. 플랩(26)은 밴딩(bending)이 가능하게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장착부(52)의 바디(20)의 하부로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진입을 한 다음 밴드(28)에 의해서 장착부(52)와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크 기의 카메라 플래시가 바디(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20)는 내부에서 빛이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20)의 하부는 장착부(52)와의 결합을 위해서 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디의 상부는 상기 공간에서 산란된 빛이 바디의 외부공간에 골고루 방출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20)의 내부면에는 플래시의 조사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25)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25)는 플래시(50)에서 조사된 빛 바디(20) 내부로 반사시키거나, 바디(20) 외부로 방출되는 빛을 산란시킨다.
바디(20)의 타측에는 제1개구부(20a)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20a)는 다양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결합부재(30) 및 회전커버(10)는 제1개구부(20a)를 덮도록 상기 제1개구부(20a)에 결합된다.
그리고 바디(20)의 내부에는 플랜지(29)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랜지(29)는 바디(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플랜지(29)는 카메라 플래시(50)의 장착부(52)의 장착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도 한다. 그리고 플랜지(29)의 카메라 플래시(50)가 장착되는 반대편에는 다양한 색깔의 색 필터가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바디(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이나 PVC(polyvinyl chlor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에서 발광된 빛은 바디(2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회전커버(10)은 바디(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된 위치에 따라 제1개구부(20a)의 개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한다.
회전커버(10)는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디(20)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개구부(20a)에 설치되고, 제2개구부(30a)가 형성된 결합부재(3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커버(10)는 결합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된 위치에 따라 제2개구부(30a)의 개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2개구부(30a)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한다.
한편, 결합부재(10)는 바디(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디(20)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10)에는 상기 돌출부(21)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걸림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30)는 플래시의 조사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디퓨저는 회전커버(10)가 회전을 하면서 제2개구부(30a)에 일정 개도를 형성한 후, 결합부재(30)를 다시 회전하여 제2개구부(30a)를 통과한 다음 회전커버(10)에 산란되어 피사체를 향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커버(10)는 결합부재(30)에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30) 및 회전커버(10)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회전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30)에 한 쌍의 회전홈(32)가 마주보고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커버(10)의 상기 회전홈(32)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한 쌍의 회전돌기(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커버(10)는 제2개구부(30a)의 어느 하나의 지름에 해당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재(30) 및 회전커버(10)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커버(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도조절돌기가 끼워지는 각도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30)에 각도조절돌기(34)가 한 쌍이 형성되고, 회전커버(10)에 각도조절돌기(34)가 끼워지는 3쌍의 각도조절홈(14)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커버(10)의 회전에 따라 각도조절돌기(34)가 각도조절홈(14)에 끼워지면서 회전커버(10)의 회전량을 결정하는 동시에 회전커버(1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쌍의 각도조절홈(14)이 형성되어 있으나, 3쌍 이상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되어 회전커버(10)의 회전위치를 좀 더 세분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커버(10)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에 따라 볼록한 면이 플래시 측으로 향하게 위치할 수도 있고, 볼록한 면이 플래시의 반대편을 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커버(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회전커버(10)의 중심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복수개의 산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산란돌기가 형성된 면에 조사되는 빛은 산란돌기에 의해서 산란되어 진행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커버(10)의 볼록한 면의 외측면에 산란돌기(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산란돌기(16)는 회전커버(10)의 중심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복수개의 동심원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개구부(10a) 및 제2개구부(30a)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그 형상에 따라 산란돌기(16)가 복수개의 동심원으로 형성되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바디(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10)의 단면을 차폐하는 차폐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바디(10)를 통과하는 빛이 회전커버(10)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한 번 차단시키면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업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조명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은 차폐부재(40)에서 1차적으로 차단되고, 일부는 차폐부재(40)를 통과하고, 일부는 바디(20)를 통하여 디퓨저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차폐부재(40)를 통과한 빛은 2차적으로 회전커버(10)에 의해서 산란 또는 차폐되게 되고, 이 중의 일부는 바디(20)를 통하여 디퓨저 외부로 방출되고, 나머지는 회전커버(10)를 통하여 디퓨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차폐부재(40)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한 면이 플래시 측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볼록한 면이 플래시의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폐부재(40)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차폐부 재(40)의 중심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복수개의 산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산란돌기가 형성된 면에 조사되는 빛은 산란돌기에 의해서 산란되어 진행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커버(10)의 볼록한 면의 외측면에 산란돌기(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산란돌기(42)는 차폐부재(40)의 중심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복수개의 동심원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동심원으로 산란돌기(42)가 형성되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커버(10), 결합부재(30) 및 차폐부재(4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poly prop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회전커버(10), 결합부재(30) 및 차폐부재(40)의 투명도에 따라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회전커버(10), 결합부재(30) 및 차폐부재(40)을 통과하는 양을 조절하여 다양한 조명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촬영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결합부재(30) 및 회전커버(10)가 회전을 하면서 피사체와의 관계에서 다양한 조명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직광촬영시의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피사체에 플래시의 직광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커 버(10)의 볼록한 면이 플래시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회전커버(10)을 회전한다. 이 때, 회전커버(10)는 결합부재(30)의 각도조절돌기(34)가 회전커버(10)의 각도조절홈(14)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된다.
결국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은 회전커버(10)이 볼록한 면을 통하여 일부는 차단이 되고, 일부는 디퓨저 외부로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방출된다.. 그리고 회전커버(10)를 통과하는 빛은 회전커버(10)의 산란돌기(16)을 통과하면서 산란되면서 플래시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은은한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바디(20) 내부에 차폐부재(40)을 회전커버(10)와 같은 형태로 위치하게 하거나, 회전커버(10)와 반대로 볼록한 면이 플래시를 향하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조명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직광촬영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요구나 작업환경에 따라 회전커버(10)의 볼록한 면이 플래시 측을 향하도록 하거나, 회전커버(10)가 제2개구부(30a)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촬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천장 바운스를 이용한 촬영을 설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회전커버(10)의 볼록한 면이 플래시 측을 향하도록 회전을 시키고, 이 때 회전커버(10)는 결합부재(30)의 각도조절돌기(34)가 회전커버(10)의 각도조절홈(14)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는 회전커버(10)의 볼록한 면을 반사되면서 방사상으로 퍼지게 된다. 그리고 원통형의 바디(20)를 통하여 바디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회전커버(10)에 반사되는 빛은 회전커버(10)의 산란돌기(16)에 산란되면서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조사되어 플래시만을 사용하여 천장 바운스를 이용한 촬영을 하는 경우보다 피사체에 보다 많은 광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커버(10)를 통과하여 디퓨저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천장 등에 반사되어 피사체 주변에 부드러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바디(20) 내부에 차폐부재(40)을 회전커버(10)와 같은 형태로 위치하게 하거나, 회전커버(10)와 반대로 볼록한 면이 플래시의 반대편을 향하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조명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나 작업환경에 따라 회전커버(10)의 볼록한 면이 플래시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하여 촬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실시예의 회전커버가 제2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회전커버가 제2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고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회전커버(10)가 제2개구부(30a)의 일부만을 개방하도록 회전커버(10)를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커버(10)는 결합부재(30)의 각도조절돌기(34)가 회전커버(10)의 각도조절홈(14)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커버(10)의 일부분은 바디(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커버(10)의 나머지 부분은 제2개구부(30a)를 통하여 바디(2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는 바디(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커버(10)에 반사되고, 바디(2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플래시에서 조사 된 빛의 나머지는 바디(20)의 외부에 위치하는 회전커버(10)에 반사되고, 바디(20)를 통하지 않고 디퓨저의 외부로 방출된다.
결국 상기 설명한 회전커버(10)가 제2개구부(30a)의 전체를 덮는 경우 피사체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은 회전커버(10) 중 바디(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반사되어 피사체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 중 일부는 회전커버(10) 중 바디(2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반사되어 바디(20)를 통과하지 않고, 디퓨저의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커버(10)가 제2개구부(30a)를 덮는 경우보다 피사체에 보다 많은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바디(20) 내부에 차폐부재(40)을 회전커버(10)와 같은 형태로 위치하게 하거나, 회전커버(10)와 반대로 볼록한 면이 플래시의 반대편을 향하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조명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결합부재(30), 회전커버(10) 및 차폐부재(40)은 투명도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 및 차폐부재(40)는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투명도에 결합부재(30) 및 차폐부재(4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커버(10)도 결합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투명도의 회전커버(1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는 제1실시예와 달리 결합부재(30)가 없이 회전커버(10)가 바디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결합부재(30)에 형성되었던, 회전홈(32) 및 각도조절돌기(34)는 바디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바디(120)에는 회전홈(122) 및 각도조절돌기(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회전커버(10)가 회전을 하면서 작업환경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가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이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직광 촬영시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전커버가 제2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회전커버 12: 회전돌기
14: 각도조절홈 16: 산란돌기
20: 바디 20a: 제1개구부
26: 플랩 28: 밴드
29: 플랜지 30: 결합부재
32: 회전홈 34: 각도조절돌기
40: 차폐부재 42: 산란돌기
50: 카메라 플래시

Claims (10)

  1. 일측이 카메라의 플래시에 장착되고, 타측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회전커버;
    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에는 상기 회전커버의 중심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복수개의 산란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는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개구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플래시의 조사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회전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회전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7.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회전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커버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도조절돌기가 끼워지는 각도조절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단면을 차폐하는 차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10.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에는 상기 차폐유닛의 중심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복수개의 산란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KR1020090067243A 2009-07-23 2009-07-23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KR20110009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43A KR20110009832A (ko) 2009-07-23 2009-07-23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43A KR20110009832A (ko) 2009-07-23 2009-07-23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32A true KR20110009832A (ko) 2011-01-31

Family

ID=4361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43A KR20110009832A (ko) 2009-07-23 2009-07-23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37A (ko) 2015-03-25 2016-10-06 강준호 카메라 플래시 범용 젠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37A (ko) 2015-03-25 2016-10-06 강준호 카메라 플래시 범용 젠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7997A (en) Photographic light diffuser
EP0225105B1 (en) Photographic light diffuser
CA3000990C (en) Collapsible led fixture
US20080181598A1 (en) Device for redirecting and reflecting light from camera flash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7810941B2 (en) Multi-level flash diffuser
US4755838A (en) Close-up camera apparatus
KR20110009832A (ko) 카메라 플래시용 디퓨저
US4104707A (en) Electronic flashlight for direct and indirect flashing
JP2001174901A (ja) 接写用アダプタ
KR20140116838A (ko) 외장 플래시용 소프트 박스
CZ2005448A3 (cs) Kruhový nástavec fotoblesku
US5946506A (en) Single lens reflex camera with rotatable built-in flash
JP2541267B2 (ja) 電子閃光装置
JP6037262B2 (ja) ストロボ光量調整用カメラアダプタ
GB2451886A (en) Flash lamp diffusion unit for compact cameras
CA1062678A (en) Light-diverting attachment for photographic flash units
JP6537648B1 (ja) 撮影方法及び撮影システム
JPH1138480A (ja) 近接撮影用アダプター
KR101193922B1 (ko)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JP2007212885A (ja) 防水ケース用光拡散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影方法
JP4038084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11242663A (ja) ストロボ用分光アダプタ
JP3007042U (ja) 撮影保持ケースおよび補助発光器
JPH0854668A (ja) 補助照明装置
JP2007108306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