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922B1 -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 Google Patents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922B1
KR101193922B1 KR1020090122809A KR20090122809A KR101193922B1 KR 101193922 B1 KR101193922 B1 KR 101193922B1 KR 1020090122809 A KR1020090122809 A KR 1020090122809A KR 20090122809 A KR20090122809 A KR 20090122809A KR 101193922 B1 KR101193922 B1 KR 10119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tact portion
speedlight
reflec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248A (ko
Inventor
유재균
Original Assignee
유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균 filed Critical 유재균
Priority to KR102009012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9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25Reflector
    • G03B2215/0528Reflector movable reflector, e.g. change of illumination angle or illumination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2Reflectors
    • G03B2215/0585Movable reflectors, e.g. change of illumination angle or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9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 G03B2215/0592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installed in front of light e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조명장비인 스피드라이트를 사용한 사진 촬영 시 부드러운 빛을 얻기 위해 사용되어 광량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소프트 박스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조명장비인 스피드라이트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켜 피사체에 조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으로 유입되는 빛의 일부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 일측에 구비되는 확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조명과 확산조명 및 바운스조명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직광 또는 반사광으로 사용할 때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SOFTBOX HAVING REFLECTION PANEL}
본 발명은 조명장비인 스피드라이트에 사용하는 소프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드라이트를 사용한 사진 촬영 시 부드러운 빛을 얻기 위한 광량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소프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스피드라이트(speed light)는 실내에서 인물의 전신, 반신, 증명사진 등을 촬영하거나 각종 상품광고를 위한 견본품의 사진을 촬영할 때 풍부한 광량으로 피사체의 질감표현과 정확한 색 재현을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장비이다.
자연스러움이 묻어 있는 자연광(태양)의 광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사용이 꼭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며, 실제 대다수의 디지털 반사식 카메라 사용자들은 스피드라이트를 최소한 한 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피드라이트 사용 시의 최대 장점은 광량이 적은 곳에서도 적정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과 저 광량의 상황에서 손 떨림이 없는 사진을 위한 셔터속도 를 확보할 수 있는 점이다.
또한, 광량이 충분하게 강한 스피드라이트 사용 시 야외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어두운 부분만 필플래시(fill-flash)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진을 관심이 많은 사진사라면 스피드라이트는 필수품인 것이다.
사진 촬영 시 양호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스피드라이트에 의한 조명방법으로는 직접조명, 반사조명, 확산조명, 바운스조명의 4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즉, 스피드라이트에서 발광되는 빛을 피사체에 직접 조사하는 직접조명 방법과,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 주변과 그 전면을 얇은 천 혹은 이와 유사한 막(통상 "소프트 박스"라고 한다)으로 가려 이를 통과하는 빛의 확산으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빛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확산조명 방법과, 좁은 공간에서 넓은 조사각을 필요로 할 때 반사물질을 코팅하여 특수 제작된 우산형상의 리플렉터(Reflecter)를 스피드라이트 전면에 설치하여 발광되는 빛을 넓을 각도로 반사시켜 피사체에 넓게 조사하는 반사조명 방법과, 직접조명 방법에 의해 배경에 그림자가 지거나 빛이 너무 강해서 사람 얼굴에 핏기가 없게 보이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드라이트의 전면이 천장이나 벽으로 보도록 꺽어줘 천정에 의해 반사된 빛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바운스조명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중 바운스조명 방법은 천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천장이 높은 곳에서는 스피드라이트의 빛이 도달하는 거리가 길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반사판을 사용하여 천장과 상관없이 스피드라이트로부터 발 광되는 빛을 반사시켜 피사체에 조사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13446호(2008년02월13일 공고)에는 카메라용 스트로브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고 필터기능을 겸한 반사판을 부착하여 스트로브의 빛을 임의 각도로 굴절시키거나 필터링하여 스트로브의 빛을 자신이 주고 싶은 쪽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빛을 창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용 스트로브의 반사판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반사판은 빛의 굴절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지만 빛의 조사거리는 실질적으로 크게 변동되지 않으므로 광량의 조절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드라이트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임의 각도로 굴절시키거나 필터링하여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물론, 상기 빛의 일부를 확산시켜 사진 촬영 시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량한 소프트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조명장비인 스피드라이트의 상단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피드라이트 방향으로 휘어짐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천장 대신 반사시켜 피사체에 조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일부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확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박스를 사용하면, 빛의 굴절 각도를 조정하여 미세한 빛의 방향을 조절하므로 다른 창의적인 사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고, 스피드라이트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직광으로 사용할 때보다 월등하게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박스는 빛을 피사체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의 일측에 확산막이 구비되어 있어 스피드라이트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일부를 천장으로 확산시킴으로써, 반사조명과 확산조명 및 바운스조명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빛을 단순히 반사시켜 사용할 때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이하, "소프트 박스"라 한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프트 박스(100)는 반사판(110, 120, 130) 및 확산막(Diffusion Screen, 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사판(150)과 접착수단(122, 132, 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프트 박스(100)는 반사판(110, 120, 13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10, 120, 130)은 스피드라이트(200)의 발광 램프에 상단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천장 대신 반사시켜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도록 조사 방향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평판형으로 형성되지만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피드라이트(200) 방향으로 휘어짐을 갖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스피드라이트(200)에 부착되는 방향의 반사판(110, 120, 130) 내측면에는 빛을 원활하게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은박지, 알루미늄박지 등의 반사재가 별도로 부착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110, 120, 130)은 스피드라이트(200)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본체(110)와, 반사판(110, 120, 130)이 스피드라이트(200)의 발광 램프의 상단을 커버할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제 1 접촉부(120), 및 상기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제 2 접촉부(130, 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로부터 제 1 접촉부(120)와 제 2 접촉부(130, 130')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본체(110)와 제 1 접촉부(120)의 사이 및 본체(110)와 제 2 접촉부(130, 130')의 사이에는 절곡홈(126, 13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제 1 접촉부(120)의 접촉 라인을 따라 구비된 제 1 절곡홈(126)과 본체(110)와 제 2 접촉부(130, 130')의 접촉 라인을 따라 구비된 제 2 절곡홈(136)은 내측면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10)는 스피드라이트(200)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모양의 평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는 그 중심부에 상기 확산막(14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제 2 반사판을 부착될 수 있도록 제 1 부착수단(112)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착수단(112)으로는 벨크로 고정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촉부(120)는 스피드라이트(200)의 발광 램프의 상단을 커버할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사각형 모양의 평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접촉부(120)는 피사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 방향으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보조 절곡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접촉부(130, 130')는 스피드라이트(200)의 측면에 접촉되어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곡선을 가지는 평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프트 박스(100)는 확산막(140)을 포함한다.
상기 확산막(140)은 발광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의 일부를 부드럽게 확산시켜 피사체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110, 120, 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홈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확산막(140)은 반사판(110, 120, 130), 즉 본체(1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주파 처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막(140)은 빛의 확산 성능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제조 과정에서 노란색 또는 파란색 안료가 혼합된 노란색 합성수지 또는 파란색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합성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2,6-naphthalate : PEN),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 PB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고밀도 폴리에틸 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 LDPE),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LLD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박스(100)는 접착수단(122, 132, 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수단(122, 132, 133)은 상기 스피드라이트(200)에 반사판(110, 120, 130)을 부착시키기 위해 스피드라이트(200)와 접촉되는 상기 반사판(110, 120, 1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접착수단(122, 132, 133)은 제 1 접촉부(120)의 내측면 말단에 구비된 제 1 접착수단(122)과, 제 2 접촉부(130, 130')의 각 말단에 구비된 제 2 접착수단(132) 및 제 3 접착수단(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수단(122, 132, 133)은 반사판(110, 120, 130)을 스피드라이트(200)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정적으로는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접착수단(122, 132, 133)으로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피드라이트(200)의 외부면에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도록 벨크로 고정띠(30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고리 모양의 보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 크로 고정띠(300)는 파일 모양의 보풀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부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소프트 박스(100)와 스피드라이트(200)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촉부(120)의 내측면에는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형성된 제 1 보조 접착수단(127)과 제 2 보조 접착수단(128)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제 2 접촉부(130, 130')가 제 1 접촉부(1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접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제 2 접착수단(132)은 제 2 보조 접착수단(128)에 부착되고, 제 3 접착수단(133)은 제 1 보조 접착수단(127)에 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반사판이 부착된 소프트 박스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박스(100)는 제 2 반사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반사판(150)은 반사판(110, 120, 130)에 형성된 확산막(140)을 커버하여 상기 확산막(140)을 통해 발광 램프의 빛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반사판(110, 120, 130)의 내측면, 바람직하게는 본체(110)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반사판(150)은 다양한 조명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양면에 서로 다른 반사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제 2 반사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은박지를 부착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면에 금박지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반사판(150)은 반사판(110, 120, 130)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제 2 부착수단(152)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 부착수단(152)으로는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착수단(152)은 제 1 부착수단(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박스(100)는 스피드라이트(200)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피를 감소시킨 형태로 접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박스(100)는 바운스 조명 방법을 이용하는 스피드라이트(200)에 반사판(110, 120, 130)을 이용하여 반사조명 방법을 활용하고, 확산막을 이용하여 확산조명 방법을 활용하므로, 실내의 어떠한 환경에서도 최적화된 사진을 촬영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스피드라이트에 부착하기 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스피드라이트에 부착한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스피드라이트에 부착한 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박스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프트 박스 110 : 본체
112 : 제 1 부착수단 120 : 제 1 접촉부
122 : 제 1 접착수단 124 : 제 1 절곡홈
126 : 제 2 절곡홈 127 : 제 1 보조 접착수단
128 : 제 2 보조 접착수단 130, 130' : 제 2 접촉부
132 : 제 2 접착수단 133 : 제 3 접착수단
136 : 제 3 절곡홈 140 : 확산막
150 : 제 2 반사판 152 : 제 2 부착수단
200 : 스피드라이트 300 : 고정띠

Claims (7)

  1. 스피드라이트의 외부면에 구비된 벨크로 고정띠에 부착되는 소프트 박스에 있어서,
    조명장비인 스피드라이트의 상단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피드라이트 방향으로 휘어짐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천장 대신 반사시켜 피사체에 조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일부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확산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키며 그 내부에 확산막이 부착될 수 있도록 관통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발광 램프의 상단을 커버할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제 1 접촉부와, 상기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제 2 접촉부와, 상기 본체와 제 1 접촉부의 접촉 라인을 따라 구비된 제 1 절곡홈, 및 상기 본체와 제 2 접촉부의 접촉 라인을 따라 구비된 제 2 절곡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접촉부에는 피사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보조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의 각 말단부에는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의 각 말단부가 상기 벨크로 고정띠에 부착될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확산막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홈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막은 상기 반사판에 고주파처리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막을 커버하도록 반사판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제 2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판은 일면에 은박지가 부착되며, 타면에 금박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KR1020090122809A 2009-12-11 2009-12-11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KR10119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09A KR101193922B1 (ko) 2009-12-11 2009-12-11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09A KR101193922B1 (ko) 2009-12-11 2009-12-11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48A KR20110066248A (ko) 2011-06-17
KR101193922B1 true KR101193922B1 (ko) 2012-10-29

Family

ID=4439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809A KR101193922B1 (ko) 2009-12-11 2009-12-11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9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9Y1 (ko) * 2006-01-26 2006-04-07 왕민호 스트로보에 장착하는 개량 구조를 가진 확산조명용 소프트박스
JP2009150943A (ja) * 2007-12-19 2009-07-09 Tadayoshi Terada カメラの内蔵ストロボ用ディフューザ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9Y1 (ko) * 2006-01-26 2006-04-07 왕민호 스트로보에 장착하는 개량 구조를 가진 확산조명용 소프트박스
JP2009150943A (ja) * 2007-12-19 2009-07-09 Tadayoshi Terada カメラの内蔵ストロボ用ディフュー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48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4216B2 (en) Camera flash diffuser for macro photography
US10012888B1 (en)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handheld mobile devices in selfie mode
JPWO2015098940A1 (ja) 採光部材、窓ガラス、ロールスクリーン、採光ルーバー
US6491405B1 (en) Photographic umbrella with reflective and diffusive linings
US8430516B2 (en) Lighting device for photographing
JP2008541338A (ja) 写真用光拡散筐体
KR101193922B1 (ko) 반사판을 가지는 소프트 박스
JP4268979B2 (ja) 光源用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
US10921685B2 (en) Apparatus that enables the photographing of highly reflective, objects without reflections
US4085316A (en) Photographic flash device
KR101080340B1 (ko) 휴대가 간편한 소프트 박스
US10578951B1 (en) Apparatus that enables the photographing of highly reflective, objects without reflections
KR200445498Y1 (ko) 바운스광원을 이용한 사진촬영용 소프트박스
TW587193B (en) Imaging apparatus
US20050265707A1 (en) Shadow free camera
Frich Panoramic photography: from composition and exposure to final exhibition
TWI327018B (ko)
JP6037262B2 (ja) ストロボ光量調整用カメラアダプタ
US9280035B2 (en)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JP4947615B2 (ja) 撮像装置
TWM326647U (en) Soft light mask for flash light
JPS62145233A (ja) 反射型スクリ−ン用レンズシ−ト
JP2007212885A (ja) 防水ケース用光拡散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影方法
JP3315174B2 (ja) カメラ
JP3007042U (ja) 撮影保持ケースおよび補助発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