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770A -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770A
KR20110009770A KR1020090067137A KR20090067137A KR20110009770A KR 20110009770 A KR20110009770 A KR 20110009770A KR 1020090067137 A KR1020090067137 A KR 1020090067137A KR 20090067137 A KR20090067137 A KR 20090067137A KR 20110009770 A KR20110009770 A KR 20110009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pipes
intake pipes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206B1 (ko
Inventor
변원구
Original Assignee
변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원구 filed Critical 변원구
Priority to KR102009006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2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02B7/18Siphon wei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펀(Siphon)방식으로 용수의 취수를 진행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계별 취수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밀결합부로 각각 결합되어 수면 밑에서 수위차에 의한 사이펀방식으로 물을 흡입·방류하는 취수곡관; 취수곡관들의 만곡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단계별 취수관 내의 잔류공기를 배기시키는 에어벤트; 복통의 토구와 연이어 형성되며 단계별 취수관을 통한 물을 집수하여 방수로 및 다수의 용수간선으로 방류하는 집수정; 단계별 취수관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저수지의 수위변동에 따른 단계별 수위에 맞추어 집수정으로 취수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급수밸브; 및 복통 내의 단계별 취수관에 설치되어 그 취수관들의 동파방지와 비상제수를 행하는 비상용 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취수곡관, 취수관만을 이용, 사이펀방식으로 취수를 함으로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신규 설치 및 개보수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67137
스루스게이트, 취수문, 스핀들, 취수곡관, 급수밸브, 체크밸브, 에어벤트

Description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Intake apparatus of agricultural reservoir}
본 발명은 예컨대, 농업용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취수 및 취수량을 조절하는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저수지 취수시설인 취수탑, 스루스게이트(sluice gate), 스핀들, 취수문, 조작실 등의 설치 없이도 취수량의 조절을 용이하도록 하고, 또 취수량 조절 시 부유물에 의한 취수관 유입구의 막힘이나 오작동 등의 고장원인을 배제하면서도 유지 보수의 편리성과 설치비용의 최소화 및 시공의 용이성을 양립하도록 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 등에 따른 시설물의 피해 및 인명피해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농촌의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의해 이러한 집중강우 등에 대한 대처도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배수장의 현대화 및 확충과 더불어 수리시설물의 기능 및 내구성 강화와 같은 방법도 있으나, 수원공인 저수지의 저수 용량을 확대하여 상류 수원지에서 우수를 저장하여 하류에 부하를 줄여 피해를 방 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용수 확보 및 방제를 위해 저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이러한 저수지와 관련한 개발사업은, 크게 저수지를 신설하는 신축사업과 노후화된 저수지를 보강하여 자연재해에 따른 홍수 방제는 물론 용수의 추가적인 확보를 도모하기 위한 저수지 개보수사업으로 대별된다.
한편, 전술한 저수지는 관개용수, 생활용수, 농업 및 공업용수의 확보 또는 수해예방 목적의 하나로써 하천 또는 계곡의 물이 모이기 용이한 장소에 인위적인 물막이 제방을 쌓고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막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하며, 이러한 저수지를 설치 시기별로 구분하여 보면, 30년 이상 된 저수지는 16,250 개소로 92%에 이르고 있으며, 이 중 1945년 이전에 설치된 저수지도 9,359개소에 달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농업용 저수지 취수시설의 현행 설계기준은 댐(Dam) 높이 25m 이상은 취수탑으로, 미만은 사통으로 계획토록 규정하고 있는데 취수탑의 공사비는 규모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개략 사통에 비하여 10~20배 정도 과다하게 소요되고, 또 유지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사통은 위에서 지적한 초기 공사비의 과다소요는 없으나, 구조적인 특성상 잦은 고장, 예컨대, 스루스게이트, 로라, 스핀들 등의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익년도 영농 급수량 확보 때 저수량 방류가 곤란한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방류한 후 개보수공사를 시행하여야 함으로, 익년도 용수확보가 부족하고, 또 호우예보 시 단시간에 긴급방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이트의 개폐 시 하천에 떠내려 오는 각종 부유물 및 침전물이 물흐름방향과 대향하고 제방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각 취수관의 흡입구에 끼여 스루스게이트의 오작동 및 작동중단을 일으키거나 수압, 빙압 또는 핸들의 강제조작 등 외부요인에 의해 스핀들 휨, 문비 변형, 문비이탈 또는 심하게는 스루스게이트가 파손되어 게이트의 기능을 상실시키게 된다. 그리고 영농 급수량을 확보 할 시기에 상기 지적한 게이트의 고장으로 인한 누수발생 시 부족한 농업용수가 낭비되고,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중작업으로 보수해야함으로 인하여 인명피해 및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으며, 특히 누수방지를 위해 반드시 암반 위에 설치해야함으로 위치선정에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기능상의 문제가 없다면 취수탑의 장점과 사통의 장점을 고려한 새로운 공법의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시설 도입이 절실하다.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대부분은 축조 된지 오래되어 시설이 노후화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관리 비용의 소요가 큰 취수탑형식의 비중이 높아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관리비 소요가 적은 취수시설물의 설치가 절실하다 하겠다.
이에, 본 발명자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시설인 취수탑 및 사통의 단점을 보완하고, 농업용수 확보 및 취수량 조절 시 부유물질 및 침전물에 의한 취수관의 막힘이나 오작동 등의 고장원인을 배제하기 위한 취수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수위차에 의한 사이펀(Siphon)방식을 이용한 취수장치를 창안하고, 상기 취수장치가 작동 시 설정된 수위에 따라 부유물질에 의한 취수관의 막힘없이 많은 량의 취수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목적은 농업용수의 확보와 방제기능 및 취수량의 조절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취수장치는 기존의 저수지 취수시설인 취수탑, 스루스게이트, 취수문, 스핀들, 조작실 등의 부대시설이 없는 구조로서 취수관을 복통내부 바닥을 따라 복통토구까지 부설하여 그 취수관의 토출부에 취수량을 결정하는 제수변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의 부유물 및 외부요인에 의한 취수관의 막힘이나 오작동 등으로 인한 게이트의 고장원인을 배제하면서도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신규 설치 또는 개보수비용의 최소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취수장치는 취수관의 흡입구에 사이펀방식으로 물을 빨아들여 방류하는 취수곡관(曲管)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기밀하게 결합하여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 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에 의하면, 제방의 높이방향에 대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사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및 제방의 상, 하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통을 따라 다수의 단계별 취수관들이 연이어 배치되어 취수량을 조절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흡입구에 토출구가 각각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흡입구가 수표면을 향해 수직하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수면 밑에서 수압차에 의한 사이펀방식으로 물을 흡입·방류하는 다수의 취수곡관;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흡입구와 상기 취수곡관들의 토출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기밀하게 결합해 주는 밀결합부;
상기 복통의 토구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을 통한 물을 집수하여 방수로 및 다수의 용수간선으로 방류하는 집수정;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토출부에 각각 설치되며 저수지의 수위변동에 따른 단계별 수위에 맞추어 상기 집수정으로 취수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급수밸브; 및
상기 복통 내의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단계별 취수관의 동파방지와 비상제수를 행하는 비상용 밸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취수곡관들의 만곡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 내의 잔류공기를 자동으로 배기시키는 에어벤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밀결합부는,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흡입구 및 이에 대향하는 상기 취수곡관들의 토출구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빙압(氷壓)에 의한 상기 취수곡관들의 휘어짐과 이탈을 방지하고 수밀을 유지시켜 주는 고무패킹과,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에 대하여 상기 취수곡관들이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플랜지를 체결해 주는 체결볼트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단계별 취수관 내의 수위와 상기 저수지의 수면 수위의 연동을 위한 평수위선을 유지시켜 주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취수곡관들의 흡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부유물의 유입을 차단해 주는 스크린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계별 취수관의 흡입구에 사이펀방식으로 물을 흡입하는 취수곡관을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복통 내에 위치한 단계별 취수관에는 수동 또는 전동식의 급수밸브들과 비상용 밸브들을 설치하여 농업용수의 확보와 함께 취수량의 조절 및 방제기능을 충족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에 의하면, 저수지 내에 취수곡관만을 설치하므로 누수 및 고장요인이 배제되어 인명피해는 물론 유지 관리비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또 취수시 각종의 부유물에 의한 취수관의 막힘이나 오작동 이 방지될 뿐 아니라 사이펀방식으로 인한 동일 구경으로 더 많은 용량의 취수가 가능하여 호우예보에 따른 저수량 방류시 기존의 취수시설물 보다 빠른시간 내에 방류가 이루어짐으로써 홍수에 대한 시설물의 피해가 예방되고, 또한 수문시설이 없어 고도의 수밀성과 정밀성을 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위치를 선정할 때 제약을 받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신규 또는 개보수가 가능하며, 취수곡관들이 플랜지와 고무패킹 및 체결볼트에 의해 단계별 취수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취수곡관의 노후 시 신속하게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에서 제방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지의 제방(80) 상, 하류방향으로 관통하여 매설된 스테인레스 또는 강판재질의 복통(70)과, 일단부가 제방(80)의 높이방향에 대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방(80)의 사면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매설되고 타단부가 복통(70) 내부를 따 라 그 복통(70)의 토구까지 부설되어 취수로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과, 토출구가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의 흡입구에 각각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흡입구가 수표면을 향해 수직하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수위차에 의한 수면 밑에서 사이펀방식으로 물을 흡입하여 방류하는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과,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흡입구(14)에 각각 설치되어 부유물 및 침전물의 유입을 차단해 주는 스크린(15)과,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의 흡입구와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토출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기밀하게 각각 결합해 주는 밀결합부(28)와,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만곡부위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 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기시키는 에어벤트(Air vent)(16)와, 복통(70)의 토구 쪽에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을 통한 물을 집수한 다음 방수로(62) 및 용수간선(64)(66)으로 분기하여 방류하는 집수정(60)과,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저수지의 수위변동에 따른 단계별 수위에 맞추어 집수정(60)으로 취수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급수밸브(30, 32, 34, 36)와, 복통(70) 내의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에 설치되어 동파방지와 비상제수를 행하는 제1 내지 제4 비상용 밸브(40, 42, 44, 46)와, 제1 단계별 취수관(20)에 설치되어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내의 수위와 상기 저수지의 수면 수위의 연동을 위한 평수위선을 유지시켜 주는 체크밸브(50)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 중 미 설명부호 72는 상기 밸브들을 조작하기 위 해 집수정(60)으로 출입할 수 있는 유지관리구이고, 74는 집수정(60)에 설치된 사다리이다.
한편, 상기 밀결합부(2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의 흡입구 및 이에 대향하는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토출구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28a)(28b)와, 한 쌍의 플랜지(28a)(28b) 사이에 개재되어 빙압(氷壓)에 의한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휘어짐과 이탈을 방지하고 수밀을 유지시켜 주는 고무패킹(28c)과,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에 대하여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이 탈착 가능하도록 한 쌍의 플랜지(28a)(28b)를 체결해 주는 다수의 체결볼트(28d)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저수지의 수위가 만수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용수를 방류하고자 복통(70)의 토구에 위치하고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급수밸브(30, 32, 34, 36) 중에서 원하는 급수밸브, 예컨대 제1 급수밸브(30)를 열어주게 되면 저수지의 용수가 제1 단계별 취수관(20)의 흡입구에 한 쌍의 플랜지(28a)(28b)와 고무패킹(28c) 및 체결볼트(28d)들로 구성된 밀결합부(28)에 의해 기밀하게 결합되어 저주지의 수표면을 향하고 있는 제1 취수곡관(10)의 흡입구(14)를 통해 사이펀방식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저수지의 수표면에 떠 있는 부유물과 수면에 있는 침전물은 제1 취수곡관(10)의 흡입구(14) 에 설치된 스크린(15)에 걸려 유입이 방지된다. 여기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한 제1 내지 제4 급수밸브(30, 32, 34, 36)는 관리자가 직접 핸들을 조작하여 개폐할 수 있는 수동식 밸브를 사용하거나 스위치의 조작으로 개폐되는 전동식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사이펀방식으로 유입된 용수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체크밸브(50) 및 제1 단계별 취수관(20)의 토출구를 경유하여 집수정(60)으로 집수된 후 방수로(62) 및 용수간선(64)(66)으로 분기됨으로써 용수의 취수가 진행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과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은 도 4와 같이, 밀결합부(28)의 플랜지(28a)(28b)가 체결볼트(28d)에 의해 체결되고 그들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28c)이 개재되어 빙압에 의한 유동성을 흡수하여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이 휘거나 이탈 등의 고장요인 없고, 특히 상기 취수곡관들의 노후 시에 교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제1 취수곡관(10) 및 제1 단계별 취수관(20)을 통해 취수가 진행되면 만수위를 유지하던 저수지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게 되고, 이와 같이 하강되는 수위가 제1 취수곡관(10)의 흡입구(14)로부터 벗어나는 순간, 즉 제1 취수곡관(10)의 흡입구(14)가 수면으로부터 벗어나는 수간 제1 취수곡관(10) 및 제1 단계별 취수관(20)을 통한 취수는 중단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2, 24, 26)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 또는 전동식의 제2 내지 제4 급수밸브(32, 34, 36)를 모두 열어 주게 되면 제2 취수곡관(11) 및 제2 단계별 취수관(22)을 통한 용수의 취수와 병행하여 제3, 제4 취수곡관(12)(13) 및 제3, 제4 단계별 취수관(24)(26)을 통한 용수의 취수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저수지의 수위 변동에 따른 단계별 수위에 맞추어 집수정(60)으로 집수됨으로 수표면의 온수취수는 물론 보다 많은 량의 용수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용수의 취수가 병행하여 동시에 진행되면 저수지의 수위 또한 빠르게 낮아지게 되고, 이것에 의해 제방(80)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사면에 설치된 제2 취수곡관(11), 제3 취수곡관(12) 및 제4 취수곡관(13)의 흡입구(14)들이 수면으로부터 차례대로 벗어나면서 용수의 단계별 취수가 중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만곡부위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에어벤트(16)들은 저수량 흡입시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 내에 잔류되어 있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기시켜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위차에 의해 물이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 및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을 통해 방류되어 취수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취수관들 및 취수곡관들 내에 공기가 잔류할 경우 수위차에 관계없이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취수시설물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취수곡관 및 상기 취수관들 중에 잔류되어 있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기시켜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10~13)의 만곡부위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에어벤트(16)들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평수위선 높이의 제1 단계별 취수관(20)에 설치된 체크밸브(50)는 상기 저수지의 수면 수위와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 내의 수위가 동일한 수위로 연동하여 취수가 진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한편,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의 동파방지와 수동 또는 전동식의 제1 내지 제4 급수밸브(30, 32, 34, 36)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제1 내지 제4 비상용 밸브(40, 42, 44, 46)를 잠그고 복통(70)의 토구부에 위치한, 즉 제1 내지 제4 단계별 취수관(20, 22, 24, 26)의 토출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급수밸브(30, 32, 34, 36)를 열어줌으로써, 그 취수관들 내의 물이 배수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급수밸브(30, 32, 34, 36)의 유지 보수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저수량의 방류 때 오리피스(orifice)방식으로 취수를 진행함으로 저수지의 수표면에 떠있는 각종의 부유물과 수면 내의 침전물이 취수관에 끼여 스루스게이트의 오작동 및 작동중단을 일으키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곡관을 취수관의 입구에 설치하여 사이펀 방식으로 취수를 진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지의 취수시설인 취수탑, 스루스게이트, 취수문, 스핀들, 조작실 등이 없는 구조로서 고장요인이 거의 없어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또 신규 설치 및 개보수비용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 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에서 제방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3 : 제1 내지 제4 취수곡관 14 : 흡입구
15 : 스크린 16 : 에어벤트
20 : 제1 단계별 취수관 28 : 밀결합부
30 : 제1 급수밸브 40 : 제1 비상용 밸브
50 : 체크밸브 60 : 집수정
70 : 복통

Claims (5)

  1. 제방의 높이방향에 대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제방의 사면 및 제방의 상, 하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통을 따라 단계별 취수관들이 연이어 배치되어 취수량을 조절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1) 토출구가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흡입구에 각각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흡입구가 수표면을 향해 수직하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수면 밑에서 수압차에 의한 사이펀방식으로 물을 흡입·방류하는 다수의 취수곡관;
    (2)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흡입구와 상기 취수곡관들의 토출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밀실하게 결합해 주는 밀결합부;
    (3) 상기 복통의 토구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을 통한 물을 집수하여 방수로 및 다수의 용수간선으로 방류하는 집수정;
    (4)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토출부에 각각 설치되며 저수지의 수위변동에 따른 단계별 수위에 맞추어 상기 집수정으로 취수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급수밸브; 및
    (5) 상기 복통 내의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단계별 취수관의 동파방지와 비상제수를 행하는 비상용 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곡관들의 만곡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 내의 잔류공기를 자동으로 배기시키는 에어벤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결합부는,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의 흡입구 및 이에 대향하는 상기 취수곡관들의 토출구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빙압(氷壓)에 의한 상기 취수곡관들의 휘어짐과 이탈을 방지하고 수밀을 유지시켜 주는 고무패킹; 및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에 대하여 상기 취수곡관들을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플랜지를 체결해 주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취수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별 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단계별 취수관 내의 수위와 상기 저수지의 수면 수위의 연동을 위해 평수위선을 유 지시켜 주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곡관들의 흡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부유물 및 침전물의 유입을 차단해 주는 스크린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KR1020090067137A 2009-07-23 2009-07-23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KR10109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37A KR101090206B1 (ko) 2009-07-23 2009-07-23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37A KR101090206B1 (ko) 2009-07-23 2009-07-23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70A true KR20110009770A (ko) 2011-01-31
KR101090206B1 KR101090206B1 (ko) 2011-12-06

Family

ID=4361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137A KR101090206B1 (ko) 2009-07-23 2009-07-23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96B1 (ko) 2018-11-16 2020-05-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질센서 연동형 부유식 사이펀을 이용한 녹조 제거와 선택적 취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7561A (ko) * 2021-03-11 2022-09-20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가뭄 대응 지하수 최대 취수량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30A (ja) * 1998-09-07 2000-03-21 Marushima Aqua System:Kk 取水装置
JP4387433B2 (ja) 2007-11-07 2009-12-16 財団法人ダム技術センター 低コストで高い機能の取水設備及びこれに適用可能な連続サイホ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96B1 (ko) 2018-11-16 2020-05-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질센서 연동형 부유식 사이펀을 이용한 녹조 제거와 선택적 취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7561A (ko) * 2021-03-11 2022-09-20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가뭄 대응 지하수 최대 취수량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206B1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4222A (zh) 景观水体下调蓄池
CN109707443A (zh) 一种可恢复式隧道排水系统及方法
GB2576826A (en) Siphonic device for changing water in estuary underground reservoi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JP2004524467A (ja) サンドトラップから沈殿物を除去する方法
KR101090206B1 (ko)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CN211172272U (zh) 一种用于冲洗分流制市政污水管的系统
CN114876046B (zh) 一种多功能智慧管理井及控制方法
KR20130012534A (ko) 확장 저류조를 갖는 초기우수 보관 처리시스템
CN214423534U (zh) 翻转堰智能截污井
CN111321714B (zh) 一种用于v字型尾水隧洞群的检修排水系统
CN211973763U (zh) 一种溢流检查井及海绵城市系统
CN105369779B (zh) 防洪闸与排涝泵站一体结构
CN209975479U (zh) 一种新型输水建筑物
CN113605976A (zh) 斜井集水井及斜井反坡排水系统
CN112982319A (zh) 一种采用坝基涵洞进行导流、放空兼取水的结构及方法
KR101151090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205475661U (zh) 景观水体下调蓄池
CN211948321U (zh) 一种用于v字型尾水隧洞群的检修排水系统
KR100847600B1 (ko) 관로용 고무게이트
CN108560694A (zh) 具有试车功能的雨水泵站
KR102370426B1 (ko)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장치 및 시공방법
CN210066411U (zh) 一种雨污水排放沟
CN109707445A (zh) 一种可疏通式隧道排水系统及方法
CN219081650U (zh) 一种用于引排岩溶水的隧道聚水型导水结构
CN217079034U (zh) 一种一体化防倒灌截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