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88U -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 Google Patents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88U
KR20110009688U KR2020100003577U KR20100003577U KR20110009688U KR 20110009688 U KR20110009688 U KR 20110009688U KR 2020100003577 U KR2020100003577 U KR 2020100003577U KR 20100003577 U KR20100003577 U KR 20100003577U KR 20110009688 U KR20110009688 U KR 20110009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ottle
bottle
folding
folded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일
Original Assignee
김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일 filed Critical 김여일
Priority to KR2020100003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688U/ko
Publication of KR20110009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페트병은 페트병 본체의 중간층 부위에 기존의 외경보다 작으며 두께 또한 얇은 다수개의 접힘굴곡부를 형성하여, 페트병 사용 후 페트병을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폐기 운송시 페트병의 부피를 줄여 주어 재활용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접히는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EASY COMPRESSIBLE PET BOTTLE}
본 고안의 페트병은 페트병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접힘굴곡부를 형성하여, 페트병 사용 후 페트병을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폐기 운송시 페트병의 부피를 줄여 주어 재활용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접히는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식품 포장용기로 합성수지(PET)재질로 금형틀에 넣어 뜨거운 공기로 팽창시켜 페트병을 제조하고 있는 바, 특히 페트병은 생수 등의 음료수 용기로서 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용기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페트병은 사용 후 페트병의 부피로 인해 필요이상으로 쓰레기봉투나 쓰레기통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트병의 수거 및 운송과정에서 불필요한 부피로 인하여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페트병을 사용 후 누구나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페트병의 부피를 줄임으로서, 폐기물의 보관 및 회수처리가 매우 용이하여, 페트병을 재활용 하기 위한 물류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도록 고안된 접히는 페트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페트병은 페트병 본체의 중간층 부위에 다수개의 접힘절곡부를 형성하여, 페트병 사용 후 접힘절곡부에 의하여 페트병이 손쉽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페트병은 사용 후 누구나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페트병의 부피를 줄여 줌으로서, 폐기물의 보관 및 회수처리가 매우 용이하여, 재활용 수거율이 높아지며 재활용을 위한 운송처리 물류비용이 줄어드는 등의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큰 접히는 페트병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이 1차로 접힌 상태의 형상도
도 5는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이 최종적으로 접힌 상태의 설명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접히는 페트병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의 수직 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접히는 페트병은 페트병 본체의 중간층부위에 기존의 외경보다 작으며 두께 또한 얇은 1차 접힘절곡부(4)와 2차 접힘절곡부(6)를 병 어깨둘레부(3) 바로 아래쪽부위와 병 하부둘레부(7) 바로위쪽부위에 형성시켜 구성시켜 놓음으로서, 페트병 상층부(B)를 페트병 하부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윗쪽 구경이 아랫쪽 구경보다 좁은 파이프 형태를 지닌 중간둘레부(5)의 바깥쪽으로 굽혀지도록 고안된 1차 접힘절곡부(4)와 역시 위쪽 구경이 작은 형태의 병 하부둘레부(7) 바깥쪽으로 굽혀지도록 고안된 2차 접힘절곡부(6)가 우선적으로 접혀지는 동시에 병 중간둘레부(5)를 포함한 페트병 중간층부(C)의 전체가 손쉽게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차 및 2차 접힘절곡부(4)(6)와 중간둘레부(5)를 포함한 페트병 중간층부(C)의 재료두께를 페트병 상층부(B)나 페트병 하층부(D)의 재료두께보다 30퍼센트 정도 얇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페트병 중간층부(C)가 보다 손쉽게 접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이 1차로 접힌 상태의 형상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병 상층부(B)를 눌러주면, 1차 접힘절곡부(4)와 2차 접힘절곡부(6)가 병 중간둘레부(5)와 함께 접혀져 페트병 상층부(B)의 안쪽과 페트병 하층부(D)의 바깥쪽으로 접혀 포개짐으로써, 페트병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페트병 전체의 부피가 줄어들게 됨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접히는 페트병이 최종적으로 접힌 상태의 설명도로서,
이미 페트병 중간층부(C)가 접혀져 부피가 작아진 페트병의 상층부를 발바닥의 강한 힘으로 밀어주게 되면 페트병 입출구부(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병 목부위(2)가 찌그러지면서 페트병 입출구부(A)를 포함하여 페트병 상층부(B)가 페트병 하층부(D)의 빈공간 속으로 거의 잠기게 되어 페트병의 부피가 최소화 됨을 나타낸다.
1. 병 주둥이 2. 병 목부위 3. 병 어깨둘레부
4. 1차 접힘절곡부 5. 병 중간둘레부 6. 2차 접힘절곡부
7. 병 하부둘레부 8. 병 밑바닥부
A. 페트병 입출구부 B. 페트병 상층부 C. 페트병 중간층부
D. 페트병 하층부

Claims (4)

  1. 페트병 중간층부(C)에 기존의 외경보다 작은 다수개의 접힘절곡부(4)(6)와 윗쪽 구경이 아랫쪽 구경보다 좁은 파이프 형태의 병 중간둘레부(5)를 형성하여, 페트병 사용 후 접힘절곡부(4)(6)에 의하여 페트병이 손쉽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페트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절곡부(4)(6)와 병 중간둘레부(5)의 재료두께를 페트병 상층부(B)나 페트병 하층부(D)의 재료두께보다 30퍼센트 정도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페트병.
  3. 제1항에 있어서, 페트병 중간층부(C)의 가로 수평 단면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페트병.
  4. 제1항에 있어서, 페트병 중간층부(C)의 재료가 폴리에틸렌 수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합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페트병.
KR2020100003577U 2010-04-06 2010-04-06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KR20110009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77U KR20110009688U (ko) 2010-04-06 2010-04-06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77U KR20110009688U (ko) 2010-04-06 2010-04-06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88U true KR20110009688U (ko) 2011-10-12

Family

ID=4559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77U KR20110009688U (ko) 2010-04-06 2010-04-06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6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33B1 (ko) 2021-02-15 2021-12-31 김동주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33B1 (ko) 2021-02-15 2021-12-31 김동주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1912B (zh) 加固的塑料容器
US9238520B2 (en) Container and vending machine
US20090166314A1 (en) Plastic bottle
EP2957522B1 (en) Container provided with a curved invertible diaphragm
JP5221502B2 (ja) 飲料用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製品
US20110017753A1 (en) Hot-fillable and Retortable Plastic Container
JP2007216993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CN104271454B (zh) 具有改善的耐真空性的容器
US20110049086A1 (en) Bottle
WO2013188560A2 (en) Lightweight preform having a decreased weight support ring
JP5102177B2 (ja) 耐座屈性を有する樹脂製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製品
JP5969752B2 (ja) 合成樹脂製ブローボトル
JP6578654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110009688U (ko)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JP6826796B2 (ja) 容器
JP7015474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662352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9143582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20055564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CN105793161A (zh) 具有偏置型水平肋和面板的耐真空容器
JP2011020687A (ja) 耐圧用ボトル
JP6347167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16030601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補強構造
JP6060595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KR20040050367A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