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733B1 -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 Google Patents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733B1
KR102345733B1 KR1020210019820A KR20210019820A KR102345733B1 KR 102345733 B1 KR102345733 B1 KR 102345733B1 KR 1020210019820 A KR1020210019820 A KR 1020210019820A KR 20210019820 A KR20210019820 A KR 20210019820A KR 102345733 B1 KR102345733 B1 KR 102345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co
accommodating
combination set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김우현
Original Assignee
김동주
김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김우현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21001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733B1/ko
Priority to PCT/KR2022/002237 priority patent/WO2022173275A1/ko
Priority to US17/910,547 priority patent/US202301592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5External rigid or semi-rigi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에 비해 잘 접히고 휘어지는 연질성을 가지며 내부에 음료수(飮料水, drinking water)를 저장하는 연질부(10), 상기 연질부(10) 상단의 음료수 배출구 주변에 결합되는 입구지지부(20), 상기 연질부(10) 하단에 결합하는 바닥지지부(30)를 포함하는 용기부(100)와, 낱개의 상기 용기부(100)를 결착하는 구조로 상기 용기부(100)를 수용하여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담긴 음료수의 양이 줄어드는 정도에 맞추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다단식 신축의 중첩 구조인 재활용보관부(200)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combination set of eco-friendly recycling drinking water container}
본 발명은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대한 것으로, 음료수 용기의 페트(PET)를 자연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비닐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대체하여 환경오염 물질인 페트(PET)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키고,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마셔 그 양이 줄어들수록 용기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여 보관 또는 폐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용기의 내용물이 맥주나 탄산음료인 경우 보관 과정에서 김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음료수의 보관 용기는 알루미늄 캔, 종이팩, 유리병, 페트병 등이 있으며, 그중 대용량인 경우 페트병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보관 용기들은 음료수를 일부 마셔 그 내용물이 줄어든 경우에도 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없어 가정에서 냉장고 등에 보관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음료수를 모두 마시고 용기를 버릴 때에도 큰 부피로 인해 불편이 따른다.
또한,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수가 맥주나 탄산음료인 경우 마시고 남은 부분을 보관할 때 용기 내부의 빈 공간의 증가로 인해 김빠짐(탄산배출) 현상이 발생하여 보관 과정에서 고유의 맛이 변질된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제조단가가 싸고 가벼운 이유 등으로 대용량 저장 용기로 각광받고 있는 페트병의 경우 환경오염 요소로 지목되고 있어 그 사용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페트병 등의 음료수 용기들은 내용물이 줄어들어도 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없어 보관 또는 폐기 과정에서 불편이 따르고, 김빠짐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용기의 성분상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001 :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9688호(공개일자 2011, 10, 12일)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이 줄어드는 것에 맞추어 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폐기 과정에서의 불편을 감소시키는 한편, 용기 내부의 빈 공간 증가를 방지하여 김빠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페트 대신 자연 분해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오염 물질의 사용을 줄이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이나 유리와 같은 재질에 비해 잘 접히고 휘어지는 연질성을 가지며 내부에 음료수(飮料水, drinking water)를 저장하는 연질부(10), 상기 연질부(10) 상단의 음료수 배출구 주변에 결합되는 입구지지부(20), 상기 연질부(10)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닥지지부(30)를 포함하는 용기부(100)와, 낱개의 상기 용기부(100)를 결착하는 구조로 상기 용기부(100)를 수용하여,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담긴 음료수(飮料水, drinking water)의 양이 줄어드는 정도에 맞추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다단식 신축의 중첩 구조인 재활용보관부(200)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입구지지부(20)의 아래쪽 끝 부분에는 확경(擴境)된 구조이면서 그 끝단에 끼움돌기(11a)와 같은 구조를 갖는 끼움경(11)이 더 구성되어 있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음료수를 따르기 위해 상기 용기부(100)를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연질부(10)의 휘어짐에 따른 불편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연질부(10)의 하부 겉면 중 어느 한 부위에 결합된 연질의 손가락고리(21)가 더 구성되어 있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음료수가 들어있는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가 단독으로 비치될 때 상기 연질부(10)의 유연성으로 인해 상기 용기부(100)가 쓰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질부(10)의 겉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개 이상의 변형방지살대(22)가 더 구성되어 있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연질부(10)는 비닐이나 필름과 같이 잘 접히는 유연한 재질이고, 상기 입구지지부(20)와 상기 바닥지지부(30)는 페트(PET)와 같은 고정형의 재질이며, 상기 변형방지살대(22)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유형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 사용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재활용보관부(200)는 아래와 위가 뚫린 1단 또는 다단의 구조 형태들로 구성되고, 페트(PET)와 같은 고정형의 재질이며,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의 상단 윗부분은 상기 입구지지부(20)의 끼움경(11)에 구성된 끼움돌기(11a)에 끼움 결합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재활용보관부(200)가 다단의 구조로서 상기 입구지지부(20)에 결합되는 제1 수용부(210), 상기 제1 수용부(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는 제2 수용부(220), 및 상기 제2 수용부(2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부(2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는 제3 수용부(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100)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수용부들이 가감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의 상기 수용부들은 상기 연질부(10) 내부의 상기 음료수의 양이 줄어드는 것에 맞추어 상기 수용부들을 서로 중첩시키는 방식으로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결착턱경(311)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결착공(3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어 각 결착공(310)에 상기 용기부(100)를 하나씩 결착하여 수용하는 운반용박스부(300)가 더 포함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수의 양이 줄어드는 것에 맞추어 용기 전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폐기 과정에서의 불편을 감소시키는 한편, 음료수를 마셔도 용기 내부의 빈 공간의 증가를 방지하여 보관 과정에서의 김빠짐 현상을 억제하고, 페트 대신 자연 분해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오염 물질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에 대한 구성들을 사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부(100)에 대한 상세한 구조 파악을 위한 용기부(10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연질부(10)에 결합되는 변형방지살대(22)의 결합 구조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부(100)가 재활용보관부(200)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상태를 개념화된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음료수의 줄어든 상태로 인해 용기부(100) 및 재활용보관부(200)의 높이가 축소된 상태를 개념화된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부(100)가 운반용박스부(300)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상세한 설명의 보충적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참고할만한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중첩식 재활용 음용 용기의 조합세트는 하기에서 일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되, 이러한 일 실시예가 본 발명의 특징적 사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이러한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를 담기 위한 용기부(100), 낱개의 상기 용기부(100)를 받쳐주는 구조로 거치하는 재활용보관부(200) 및 복수 개의 상기 용기부(100)들을 받쳐주는 구조로 수용하여 복수 개의 상기 용기부(100)들을 한꺼번에 운반하기 용이하게 해주는 운반용박스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부(100)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에 비하여 유연하고 잘 접히며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 분해 가능한 친환경의 비닐 내지 필름 등의 소재로 제조되어 음료를 저장하는 연질부(10), 음료 배출 시의 편의 및 기본 형태 유지를 위해 상기 연질부(10)의 상단에 결합된 입구지지부(20), 상기 연질부(10) 바닥면의 평형을 유지하고 음료수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위 연질부(10)의 하단에 결합된 바닥지지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연질부(10), 입구지지부(20), 및 바닥지지부(30)는 일례로서 상호간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도 결합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입구지지부(20)와 바닥지지부(30)는 페트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물론, 페트 재질은 고정형이고 소정의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관계로, 용기부(100)의 입구지지부(20)와 바닥지지부(30)의 재질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한편, 비닐 혹은 필름은 페트 재질보다 연성이며 잘 접히는 등 유연한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용기부(100)에서 가장 큰 부분으로서 음료수를 담는 부위에 해당하는 연질부(10)의 재질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비닐 혹은 필름은 자연 분해가 가능한 옥수수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원료의 바이오매스(biomass)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biomass)의 소재는 PLA(poly Lact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 등의 물질 성분들로 혼합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물질 성분들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자연 분해 가능한 다른 물질 성분들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의 사용을 통해 용기부(100)에 대한 페트 소재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부(10)의 어느 한 겉면 하단에는 음료수를 따르기 위해 용기부(100)를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연질부(10)의 유연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접힘이나 휘어짐과 같은 변형으로 인해 음료수를 따르기 어려워지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고리(21)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음료수를 따를 때 한쪽 손으로 상기 입구지지부(20)를 잡고 다른 손의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고리(21)에 넣으면 상기 연질부(10)의 휘어짐에도 불구하고 음료수를 쉽고 편하게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손가락고리(21)는 상기 용기부(100)를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와 결합시킬 때 장애가 되지 않도록 비닐이나 필름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질부(10)의 겉면에는 수직 배열 구조의 변형방지살대(22)들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변형방지살대(22)들은 상기 용기부(100)를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와 결합시킬 때 장애가 되지 않도록 상기 연질부(10)에서 쉽게 떼어낼 수 형태로, 예컨대 도 2와 같은 테이프 접착 방식의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결합까지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와 결합시키지 아니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를 단독으로 비치할 때는 휘어짐이나 쓰러짐 방지를 위해 상기 변형방지살대(22)가 부착된 상태로 비치하되, 상기 용기부(100)를 개봉하여 그 안의 음료수를 일부 마신 다음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와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변형방지살대(22)를 떼어냄으로써 그 결합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살대(22)를 상기 연질부(10) 겉면에 덧댄 다음 그 위에 떼어내기 쉬운 강도의 점착 테이프를 덧붙이는 방법으로 상기 변형방지살대(22)를 상기 연질부(10)의 겉면에 부착할 경우 이를 쉽게 떼어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법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변형방지살대(22)들은 상기 바닥지지부(30)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량으로 높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그 단면이 원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살대(22)와 상기 바닥지지부(30)의 존재로 인해 상기 용기부(100)를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에 결합하지 아니한 채 단독으로 비치하여도 상기 연질부(10)가 휘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구지지부(20)의 아래쪽 끝 부분에는 그 바로 윗부분보다 더 확경된 지름을 가지며 끝단에 끼움돌기(11a)와 같은 구조를 갖는 끼움경(11)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의 끼움경(11)은 재활용보관부(200)의 상단에 끼움 구조로 결착하는 용도로 마련된 것이다.
상기 재활용보관부(200)는 상기 용기부(100)의 최초 높이에 따라 1단 또는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중 다단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페트 사용 감소, 부피 감소, 김빠짐 방지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1단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페트 사용 감소의 이점을 거둘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재활용보관부(200)는 1.5 리터 용량의 용기부(100)에 대해 3단의 중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재활용보관부(200)는 도 1을 참고로 도면 3과 같이 상부에 구성된 제1 수용부(210),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첩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직경(지름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2 수용부(220),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첩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제2 수용부의 직경(지름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3 수용부(23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1 수용부(210), 제2 수용부(220), 제3 수용부(230)가 아래위로 길게 펼쳐질 때는 상호 간에 걸림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부(210)의 하단과 제2 수용부(220)의 상하단, 제3 수용부(230)의 상단이 각각 걸림테[(212), (221,222), (231)]들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론 상기의 제1 수용부(210) 상단에는 상기 입구지지부(20)의 하단에 구성된 상기 끼움경(11)의 끼움돌기(11a)에 끼움 가능한 끼움홈(211a) 구조를 갖는 끼움테(21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용부(210)의 상단은 끼움홈(211a) 구조를 갖는 확경 구조의 끼움테(211)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212a)의 하단은 걸림턱(212a) 구조를 갖는 축경 구조의 걸림테(212)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수용부(220)의 상단은 상기 걸림테(212)에 걸림 가능한 걸림턱(221a) 구조의 확경 구조를 갖는 걸림테(221)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220)의 하단은 걸림턱(222a) 구조를 갖는 축경 구조의 걸림테(222)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3 수용부(230)의 상단은 상기 걸림테(222)에 걸림 가능한 걸림턱(231a)의 확경 구조를 갖는 걸림테(231)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가장 하단의 수용부인 상기 제3 수용부(230)의 바닥면은 막힘 구조가 아니라 뚫려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재활용보관부(200)의 제1 수용부(210), 제2 수용부(220), 제3 수용부(230)는, 예컨대 1.5리터(L) 용기부(100)의 연질부(10)에 담긴 음료수를 마셔 연질부(10)의 부피가 줄어드는 것에 맞추어 전체 높이를 줄이기 위해 서로 중첩되는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재활용보관부(200)의 제3 수용부(230)는 제2 수용부(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첩되고, 제2 수용부(220)는 제1 수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첩됨에 따라 용기부(100) 전체의 높이가 도 4와 같이 줄어들게 되고, 이를 통해 마시고 남은 음료수 보관상의 편의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음료수를 마셔도 상기 연질부(10) 내부에 빈 공간이 증가하지 아니하여 김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재활용보관부(200)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용기부(100)와 결합된 상태로 구매하거나 별도로 구매하여 재활용보관부(200)를 한번 확보한 이후로는 상기 용기부(100) 형태의 제품을 구매한 다음 이를 개봉하면서 상기 변형방지살대(22)를 제거하고 기존 재활용보관부(200)와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음료를 모두 마시고 나면 상기 용기부(100)와 재활용보관부(200)를 다시 분리하여 크기가 크게 줄어든 상태의 상기 용기부(100)만 버림으로써 폐기 과정에서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처럼 재활용보관부(200)를 재활용함으로써 페트 사용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용기부(100)들을 한꺼번에 운반하거나 비치할 경우, 도 1을 참고로 도면 5와 같이 상기의 운반용박스부(300)에 복수 개의 용기부(100)들이 결착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운반용박스부(300)에 수용된 형태 외에도, 단독의 용기부(100)에 변형방지살대(22)가 부착된 형태로도 보관 또는 판매될 수 있고, 재활용보관부(200)에 단독의 용기부(100)가 개별적으로 결착된 형태로도 보관 또는 판매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운반용박스부(300)는 소정의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이상의 용기부(100)들이 각 수용되어 결착될 수 있는 복수 이상의 결착공(310)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 외에도 두꺼운 종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의 각 결착공(310)에는 상기 용기부(100)의 입구지지부(20)에 구성된 끼움경(11) 결착에 필요한 결착턱경(311)이 소정의 돌출되는 높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복수 이상의 용기부(100)들은 상기 운반용박스부(300)의 결착공(310)들에 하나씩 수용되는 방식으로 결착됨으로써 운송 내지 보관 과정에서 개별 제품의 유동성을 억제하여 파손 위험을 낮추고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된 연질부(10), 입구지지부(20), 및 바닥지지부(30)를 포함하는 용기부(100)와, 제1,2,3 수용부(210)(220)(230)를 포함하는 재활용보관부(200)와, 운반용박스부(300)의 결착공(310)은, 유첨된 도면들에서 원형의 구조적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원형의 구조적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구조적 형태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용기부(100)
연질부(10) 끼움돌기(11a) 끼움경(11)
입구지지부(20) 손가락고리(21) 변형방지살대(22)
바닥지지부(30)
재활용보관부(200)
제1 수용부(210) 끼움홈(211a) 끼움테(211)
걸림턱(212a) 걸림테(212)
제2 수용부(220) 걸림턱(221a) 걸림테(221)
걸림턱(222a) 걸림테(222)
제3 수용부(230) 걸림턱(231a) 걸림테(231)
운반용박스부(300) 결착공(310) 결착턱경(311)

Claims (10)

  1. 플라스틱이나 유리와 같은 재질에 비해 잘 접히고 휘어지는 연질성을 가지며 내부에 음료수(飮料水, drinking water)를 저장하는 연질부(10), 상기 연질부(10) 상단의 음료수 배출구 주변에 결합되는 입구지지부(20), 상기 연질부(10)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닥지지부(30)를 포함하는 용기부(100); 낱개의 상기 용기부(100)를 결착하는 구조로 상기 용기부(100)를 수용하여,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담긴 음료수(飮料水, drinking water)의 양이 줄어드는 정도에 맞추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다단식 신축의 중첩 구조인 재활용보관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부(10)는 자연 분해 가능한 생분해성 원료의 바이오매스(biomass) 소재가 이용되며, 상기 입구지지부(20)의 아래쪽 끝 부분에는 확경(擴境)된 구조이면서 그 끝단에 끼움돌기(11a)와 같은 구조를 갖는 끼움경(11)이 더 구성되고, 음료수를 따르기 위해 상기 용기부(100)를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연질부(10)의 휘어짐에 따른 불편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연질부(10)의 하부 겉면 중 어느 한 부위에 결합된 연질의 손가락고리(21)가 더 구성되며,
    음료수가 들어있는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가 단독으로 비치될 때 상기 연질부(10)의 유연성으로 인해 상기 용기부(100)가 쓰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질부(10)의 겉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개 이상의 변형방지살대(22)가 더 구성되되,
    상기 변형방지살대(22)는 상기 연질부(10)의 겉면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10)는 바이오매스 소재로서 PLA(poly Lact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의 물질 성분들로 혼합된 재질이고, 상기 입구지지부(20)와 상기 바닥지지부(30)는 페트(PET)의 재질이며, 상기 변형방지살대(22)는 플라스틱의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보관부(200)는,
    아래와 위가 뚫린 1단 또는 다단의 구조 형태들로 구성되고, 페트(PET)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의 상단 윗부분은 상기 입구지지부(20)의 끼움경(11)에 구성된 끼움돌기(11a)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보관부(200)가 다단의 구조로서 상기 입구지지부(20)에 결합되는 제1 수용부(210);
    상기 제1 수용부(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는 제2 수용부(220); 및
    상기 제2 수용부(2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부(2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는 제3 수용부(23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100)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수용부들이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보관부(200)의 상기 수용부들은 상기 연질부(10) 내부의 상기 음료수의 양이 줄어드는 것에 맞추어 상기 수용부들을 서로 중첩시키는 방식으로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결착턱경(311)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결착공(3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각 결착공(310)에 개별 용기부(100)들이 결착될 수 있게 수용하는 운반용박스부(300)가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KR1020210019820A 2021-02-15 2021-02-15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KR102345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20A KR102345733B1 (ko) 2021-02-15 2021-02-15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PCT/KR2022/002237 WO2022173275A1 (ko) 2021-02-15 2022-02-15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US17/910,547 US20230159224A1 (en) 2021-02-15 2022-02-15 Combination set of eco-friendly ecycling beve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20A KR102345733B1 (ko) 2021-02-15 2021-02-15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733B1 true KR102345733B1 (ko) 2021-12-31

Family

ID=7917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820A KR102345733B1 (ko) 2021-02-15 2021-02-15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9224A1 (ko)
KR (1) KR102345733B1 (ko)
WO (1) WO20221732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275A1 (ko) * 2021-02-15 2022-08-18 김동주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950A (ja) * 1998-05-28 1999-12-14 Inaba Denk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200213171Y1 (ko) * 2000-09-21 2001-02-15 해태음료주식회사 음료용기 포장용 상자
KR200265447Y1 (ko) * 2001-11-07 2002-02-21 이영현 착탈식 보관용기
KR20040033021A (ko) * 2001-09-06 2004-04-17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체용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성형체
KR20090011808U (ko) * 2008-05-16 2009-11-19 에포팩 컴퍼니, 리미티드 압력저항이 상이한 벽부를 갖는 용기
KR20110005152U (ko) * 2009-11-18 2011-05-25 임홍순 페트병
KR20110009688U (ko) 2010-04-06 2011-10-12 김여일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33B1 (ko) * 2021-02-15 2021-12-31 김동주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950A (ja) * 1998-05-28 1999-12-14 Inaba Denk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200213171Y1 (ko) * 2000-09-21 2001-02-15 해태음료주식회사 음료용기 포장용 상자
KR20040033021A (ko) * 2001-09-06 2004-04-17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체용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성형체
KR200265447Y1 (ko) * 2001-11-07 2002-02-21 이영현 착탈식 보관용기
KR20090011808U (ko) * 2008-05-16 2009-11-19 에포팩 컴퍼니, 리미티드 압력저항이 상이한 벽부를 갖는 용기
KR20110005152U (ko) * 2009-11-18 2011-05-25 임홍순 페트병
KR20110009688U (ko) 2010-04-06 2011-10-12 김여일 손쉬운 압축폐기가 가능한 접히는 페트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275A1 (ko) * 2021-02-15 2022-08-18 김동주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9224A1 (en) 2023-05-25
WO2022173275A1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661A (en) Composite shipping container
EP0284290B1 (en) Composite shipping container
US5335820A (en) Container and dispenser system for flowable solids
US6416271B1 (en) Drop box container
US20070206886A1 (en) Large capacity waste disposal bag
KR102345733B1 (ko) 친환경 재활용 음료수 용기의 조합세트
EP1645523A3 (en) Container cartridge for beverage dispenser and support structure thereof
JPH08244747A (ja) 樹脂ボトル
US4764029A (en) Disposable and collapsible trash receptacle
US11434049B2 (en) Collapsible container
US7032868B2 (en) Bag stand
US20080190923A1 (en) Folda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or Storing Goods
US20180170622A1 (en) Bottle pouch with rigid handle
JP2002068156A (ja) 合成樹脂製液体容器
CN210000946U (zh) 一种环保垃圾桶
US20020053369A1 (en) Yard waste storage and disposal system
KR20100010474U (ko) 페트병
JPH06247445A (ja) 折り畳み運搬用容器
US20200062498A1 (en) Organic Waste Recycling Container Module and Method
WO2004052732A1 (en) Foldable bottle for beverages
KR102008071B1 (ko) 빈병 수거용 바구니
US5931313A (en) Stackable and collapsible storage holder for flexible bags
WO2024033779A1 (en) Reversibly collapsible bottle, in particular for detergents
AU2001100348A4 (en) Box with separate compartments
KR200292611Y1 (ko)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된 음료수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