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360U - 웨이 앵카볼트 - Google Patents

웨이 앵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360U
KR20110009360U KR2020100003145U KR20100003145U KR20110009360U KR 20110009360 U KR20110009360 U KR 20110009360U KR 2020100003145 U KR2020100003145 U KR 2020100003145U KR 20100003145 U KR20100003145 U KR 20100003145U KR 20110009360 U KR20110009360 U KR 201100093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fastening hole
bolt
anchor bol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013Y1 (ko
Inventor
이남주
Original Assignee
이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주 filed Critical 이남주
Priority to KR2020100003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1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13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바닥, 천정등에 구조물을 설치 고정하는 앵카볼트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구조물을 설치하는 위치에 드릴링 머신으로 체결공을 뚫어준후, 체결공 내부에 스리브와 볼트부재가 일체로 조립된 앵커볼트를 앵커볼트 말단에 구성된 해드에 해머등으로 힘을 가하여 삽입시킨다.
삽입된 앵가볼트는 스리브에 일체로 구성된 돌기 및 돌기고정편에 의해 체결공 내부의 벽면과 일체가 되어 앵커볼트가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볼트부재에 구조물을 삽착시키고 와셔와 너트를 조임시키면 확장부가 스리브 내측의 절개부로 끼워져 스리브가 확장되면서 체결공 내부에서 확장부가 고정상태가 되어 구조물에 대한 흔들림이 없어지고 구조물에 대한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또 앵카볼트의 조립성이 뛰어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크다.
확장부, 돌기, 돌기고정편, 해드.

Description

웨이 앵카볼트 {weigh ancher bol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바닥, 천정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위치에 드릴머신으로 체결공을 뚫어준후, 체결공 내부에 스리브와 볼트부재가 일체로 조립된 잉커볼트를 삽입시킨다.
앵켜볼트의 스리브 3면에 절개편 를 형성하고, 절개편 3곳에 돌기를 스리브 몸통면보다 돌출되게 3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확장부 단부를 감싸게 구성한다.
체결공과 돌출된 돌기의 단면이 동일하므로 체결공에 안착된 앵카볼트는 빠져 나오지 못하며 볼트부재에 너트에 의해 조임력이 가해질수록 확장부에 의해 스리브의 돌기가 더욱 팽창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바닥, 천정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위치에 드릴대신으로 체결공을 뚫어준후, 앵카볼트를 삽입시키나 앵카볼트가 스리브와 볼트부재로 분리되고 체결공 보다 스리브의 단면적이 적어 볼트부재에 와셔와 너트로 고정하는 경우 흔들림이 발생되고 볼트부재가 제 기능을 못하여 헛돌거나 빠져나오게 된다.
위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공 내부에 삽착되어 있는 볼트부재와 스리브를 펀칭하여 주므로 볼트부재 단부의 확장부에 의해 스리브의 절개부를 확장되게 한후 와셔와 너트를 고정하게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조립성이 떨어져 작업자의 능률이 저하되며, 체결공 내부의 확장부에 의해 스리브 절개부가 고정 설치되며, 고정되는 단면이 적어 진동에 의한 흔들림과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콘크리트 벽체, 바닥, 천정에 구조물을 고정할때 드릴머신으로 체결공을 뚫은후 앵커볼트 볼트부재의 확장부에 스리브가 구성되어 있는 돌기고정편을 밀착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공에 삽입시킨다.
체결공과 돌기고정편이 긴밀함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볼트부재에 형성된 확장부, 연결부, 나선부가 구비되고 스리브에는 절개부, 절개편을 구성하며 스리브 외주면에 3등분된 절개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의 끝부분인 돌기고정편을 볼트부재 단부의 확장부에 절곡하여 체결시켜 볼트부재와 슬리브를 일체로 하여 콘크리트의 체결공에 삽착시켜 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 그목적이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스리브가 볼트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리브에 구성되어 있는 돌기와 돌기고정편에 의해 체결공내부에 해머에의해 가압 삽입하게 되므로 스리브가 외부로 빠저나오지 못하게 되며, 볼트부재를 너트에 의해 조여주므로 체결공에 스리브 돌기및 절개부가 확장부에 의해 팽창하게 되어 구조물이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 볼트부재와 스리브가 일체로 구성되고 체결공에 해머에의해 가압 삽입하게 되므로 흔들림이 없고,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매우 크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등에 구조믈을 설치할수있는 앵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웨이앵카볼트(1)는 스리브(5)에 구성되어 있는 돌기(8)와 돌기고정편(9)이 형성되고 3개의 절개부(6) 와 3개의 절개편(7)으로 구성된다.
또 볼트부재(4)는 확장부(2)와 연결부(3), 나사부로 구성되며 볼트부재(4) 마구리에는 해드 (13)가 형성된다.
웨이앵카볼트(1)는 볼트부재(4)의 확장부(2)에 스리브(5)에 구성되어 있는 돌기고정편(9)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며, 와셔(10)와 너트(11)가 볼트부재(4)에 체결되도록 나선부(12)가 일축으로 형성된다.
콘크리트의 체결공(15)에 상기와 같이 일체된 웨이앵카볼트(1)을 해머에의해 가압 삽입하고 나선부(12)에 너트(11)를 회전시켜 조여주면 스리브(5)의 돌기(8)와 절개부(6)가 화장부(2)에 끼워져 팽창하게 되므로 체결공(15)에 밀착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웨이앵카볼트(1)는 중량구조물(14)이 설치되는 부위에 스리브(5)의 외경과 같은 드릴링머신으로 체결공(15)을 뚫고 웨이앵카볼트(1)의 확장부(2)의 머리부분을 체결공(15)에 일직선으로 맞추어 웨이앵카볼트(1)의 해드(13)를 해머로 가압하여 체결공(15) 내부에 삽입시키면 확장부(2)를 감싸고 있는 돌기고정편(9)에 의해 스리브(5) 와볼트부재(4)가 일체되어 체결공(15)에 유입고정된다.
체경공(15)에 유입된 웨이앵카볼트(1)의 스리브(5)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8)가 체결공(15) 내부벽면에 밀착고정되며 볼트부재(4)의 나선부(12)에 와셔(10)와 너트(11)를 조여주면 스리브(5)의 3개의 절개부(6)와 돌기(8)가 확장부(2)에 의해 체결공(15 내부에서 팽창하게 되며, 볼트부재는 밖으로 하향하면서 체결공(15)의 내벽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고정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시공예를 살펴보면 도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해보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콘크리트구조물에 드릴머신으로 체결공(15)를 뚫은다음 체결공(15)에 웨이앵카볼트(1)의 단부에 일체되어있는 해드(13)를 해머로 가압삽입시키고, 웨이앵카볼트(1)에 설치하고자하는 구조물을 올려놓고 나선부(12)에 와셔(10)와 너트(11)를 조여주므로 견고하게 구조물을 설치, 고정할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앵카볼트 2. 확 장 부
3. 연 결 부 4. 볼트부재
5. 스 리 브 6. 절 개 부
7. 절 개 편 8. 돌기
9. 돌기고정편 10. 와셔
11. 너트 12. 나선부
13. 해드 14. 구조물
15. 체결공 16. 콘크리트

Claims (2)

  1. 볼트부재의 확장부에 스리브와 일체되어 있는 돌기와 돌기고정편 3개를 하향시켜 스리브와 볼트부재를 일체로한 웨이 앵카볼트
  2. 체결공에 웨이앵카볼트를 해머로 가압삽입하기 위하여 볼트부재의 나선부 말단에 일체되어있는 해드는 약1cm정도 돌출되게하고 나선부 단면보도 좁고 길게 형성시킨 웨이앵카볼트
KR2020100003145U 2010-03-26 2010-03-26 웨이 앵카볼트 KR200462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45U KR200462013Y1 (ko) 2010-03-26 2010-03-26 웨이 앵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45U KR200462013Y1 (ko) 2010-03-26 2010-03-26 웨이 앵카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60U true KR20110009360U (ko) 2011-10-05
KR200462013Y1 KR200462013Y1 (ko) 2012-08-20

Family

ID=7288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45U KR200462013Y1 (ko) 2010-03-26 2010-03-26 웨이 앵카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677B1 (ko) * 2019-04-18 2019-12-11 송치곤 건축용 앵커볼트 지지구 및 이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78Y1 (ko) 2002-02-07 2002-05-18 김법연 셋트앵커볼트
KR200324147Y1 (ko) 2003-05-14 2003-08-21 이진태 앵커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013Y1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0052A (en) Ties for building structures
JP2008274591A (ja) 屋根補修用金具とこれを用いた屋根補修構造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20110009360U (ko) 웨이 앵카볼트
KR20110008780A (ko) 너트조임에 의해 고정가능한 앵커볼트
KR100891371B1 (ko) 앵커볼트
US20060048611A1 (en) Panel fastening and waterproofing anchor
KR200426760Y1 (ko) 압착력과 밀착력을 높인 다기능 스트롱 앵커
KR200275978Y1 (ko) 셋트앵커볼트
KR200406105Y1 (ko) 셋트 앙카 볼트
KR200459900Y1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100842414B1 (ko) 앵커볼트를 이용한 고정구조
KR100687448B1 (ko) 스트롱 앵커
KR200275976Y1 (ko) 웨지앵카볼트
KR200290213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JP2011132777A (ja) 胴縁固定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KR20150003069U (ko) 웨이 앵카볼트
KR20130140478A (ko) 전산봉 일체형 앵커볼트
JP5004605B2 (ja) ボルト受け金物及び木製骨組部材の接合部構造
KR200153896Y1 (ko) 배관용 파이프행거(pipe hanger)
KR200239981Y1 (ko) 앵커 볼트의 체결구조
KR200382747Y1 (ko) 앵커볼트
KR200358933Y1 (ko) 지지용 앙카볼트
KR200250797Y1 (ko)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