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309U -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 Google Patents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309U
KR20110009309U KR2020100003082U KR20100003082U KR20110009309U KR 20110009309 U KR20110009309 U KR 20110009309U KR 2020100003082 U KR2020100003082 U KR 2020100003082U KR 20100003082 U KR20100003082 U KR 20100003082U KR 20110009309 U KR20110009309 U KR 20110009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instrument
playing
drive shaft
percussion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종
Original Assignee
박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종 filed Critical 박세종
Priority to KR2020100003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309U/ko
Publication of KR20110009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5/00Combinations of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악기의 연주를 기계적으로 수행하여 연주 감상은 물론 전문가 없이 간단하게 타악기의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사,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연주바디와, 상기 연주바디의 내부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타악기를 연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타악기를 연주하는 수직연주기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타악기을 연주하는 수평연주기를 포함하는 연주기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FERFORMING DEVICE FOR PERCUSSION INSTRUMENT}
본 고안은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북, 징 또는 장구 등과 같은 타악기를 하나 이상 기계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연주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타악기는 음은 없고 주로 장단이나 리듬을 맞추기 위하여 채 또는 손 등으로 두드리거나 서로 부딪치게 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악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전통악기로는 북, 징, 장구, 꽹과리 등이 있고 기타 악기로는 탬버린, 트라이앵글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타악기는 소리를 내게 하기 위한 특성상 개인이 하나의 악기만을 휴대(어깨에 메거나 들고)하고 한 손으로는 채를 이용하여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키기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현재까지는 타악기 특히 전통악기인 북, 장구, 징 등을 기계적으로 연주하는 장치는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여러 명이 모여 합주하는 형태로 연주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전통악기를 연주하고자 할 경우에는 혼자서 연주하지 못하여 여러 명, 최소 2명 이상이 모여 2개 이상의 악기를 호흡을 맞춰가면서 연주를 하여 장단을 맞추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혼자서 여러 타악기를 연주하고자 하여도 연수할 수 없는 실정이다.
즉, 개인이 혼자서 악기를 연주하거나 행사 등에서 장단을 맞추기 위하ㄴ 연주를 수행할 때에도 항상 여러 명의 연주자를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여러 명이 연주를 할 경우에는 많은 연습을 통하여 호흡을 맞춰야 하는 특성 때문에 전문적으로 전통악기를 연주하는 경우가 아니면 쉽게 타악기를 호흡을 맞춰 연주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혼자서 타악기를 연주할 경우에는 북, 징, 장구와 같은 여러 종류의 악기 중에서 하나의 악기만을 두드려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여러 악기와 혼합하였을 때 발생하는 장단이 맞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연습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타악기의 연주 상태를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도 옆에서 연주하는 것을 직접 듣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연주가가 연주하는 것을 녹음한 상태의 것을 반복하여 듣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현장감이 없고 실제 체감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연주바디와, 상기 연주바디의 내부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타악기를 연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타악기를 연주하는 수직연주기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타악기을 연주하는 수평연주기를 포함하는 연주기로 구성하여 타악기의 연주를 기계적으로 수행하여 연주 감상은 물론 전문가 없이 간단하게 타악기의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타악기를 기계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악기의 혼주를 직접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소규모의 행사 등에 전문적인 연주가를 초빙하지 않고서도 연주하여 장단을 맞출 수 있는 것은 물론, 속도를 가감하여 장단을 자유롭게 맞출 수 있어 타악 연주와 감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를 이용하여 연주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수직연주기를 발췌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수평연주기를 발췌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를 이용하여 연주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수직연주기를 발췌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수평연주기를 발췌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100)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 재질로 박스타입이면서 개,폐 되는 커버(101)와 이동을 위한 손잡이(102)를 가지는 연주바디(103)를 구비한다.
상기 연주바디(103)의 내부에는 징, 북과 같은 타악기(104)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05)을 프레임(106)에 고정하고, 상기 구동수단(105)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축(107)을 설치한다.
상기 구동수단(105)은 프레임(106)에 설치되는 배터리(108)의 전원을 인가받고 소형화할 수 있는 DC모터 계통의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충전기(109)를 통하여 일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구동수단(105)은 스위치(110)를 통하여 작동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속도조절스위치(111)를 통하여 타악기(104)를 연주할 때 구동수단(10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장단의 빠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107)에는 구동수단(105)의 회전을 전달받아 타악기(104)를 타격하여 연주를 수행하기 위한 연주기(115)를 구비한다.
상기 연주기(115)는 구동축(107)의 시작 위치에 구비하여 연주채(116)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눕혀진 징과 같은 타악기(104)를 연주하기 위한 수직연주기(117)와, 구동축(107)의 끝 위치에 구비하여 연주채(116)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직립 된 북과 같은 타악기(104)을 연주하기 위한 수평연주기(118)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연주기(117)과 수평연주기(118)는 구동축(107) 또는 구동축(107)으로부터 연결되는 방향전환축(119)에 상사점(120)과 하사점(121)을 가지는 작동캠(122)을 고정한다.
상기 작동캠(122)에는 프레임(106)에 유지되는 수직 또는 수평플레이트(123,124)에 힌지축(125)으로 유지되는 작동로드(126)에 고정되는 롤러(127)와 연접시켜 작동캠(122)의 회전에 의하여 롤러(127)가 상,하사점(120,121)을 왕복하면서 작동로드(126)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작동로드(126)에는 연주채(116)를 결합하여 연주장치(100)의 전방 또는 측방에 구비되는 타악기(104)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고, 연주채(116)가 작동하는 위치의 연주바디(103)에는 연주채(116)가 움직이는데 지장이 없도록 채홀(127)을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작동로드(126)의 끝단과 수직 또는 수평플레이트(123,124)의 선측 사이에는 스프링(128)을 연결하여 연주채(116)를 항상 타격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캠(122)에 형성하는 상,하사점(120,121)의 수는 연주하고자 하는 타악기(104)의 종류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여 타악기(104)를 연주할 때 장단이 어긋나지 않고 맞춰질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므로 본 고안의 도면에 예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상기 작동로드(126)가 타격위치로 움직이는 방향에는 작동로드(126)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제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된 댐퍼(13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주장치(100)의 연주바디(103) 전방으로 노출된 연주채(116) 위치에 연주하고자 하는 타악기(104)를 준비한 후 스위치(110)를 작동시키면 구동수단(105)이 배터리(108)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므로 구동축(107)이 회전하게 된다.
물론, 속도조절스위치(111)를 이용하여 구동축(107)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하여 타악기(104)를 연주할 때의 장단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충전기(109)를 통하여 배터리(108)의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구동축(107)의 회전으로 구동축(107)에 고정된 작동캠(122)이 회전하고, 프레임(106)에 유지되는 수직 또는 수평프레임(123,124)에 힌지축(125)으로 유지되는 작동로드(126)에 고정된 롤러(127)가 작동캠(122)에 형성되는 상,하사점(120,121)과의 연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캠(122)의 상사점(120)에 롤러(127)가 위치하는 작동로드(126)는 타악기(104)로부터 멀어지고, 작동캠(122)의 하사점(121)에 롤러(127)가 위치하면 작동로드(126)는 타악기(104)와 근접하게 되는 데, 그러면 상기 작동로드(126)에 결합 된 연주채(116)가 타악기(104)의 타격면을 타격하는 형태로 연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작동캠(122)에 형성되는 상,하사점(121,121)의 수를 달리하므로 북, 징, 장구 등과 같은 타악기(104)의 일반적인 연주에 맞게 타격할 수 있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합주하는 형태의 연주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작동로드(126)와 수직 및 수평플레이트(123,124) 사이에는 스프링(128)을 연결하여 작동로드(126)가 항상 타악기(104) 방향으로 당겨지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사점(120)에서 하사점(121)으로 이동할 때 스프링(128)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연주채(116)는 사람이 치는 것과 같은 형태의 절도감 있는 타격을 통하여 연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로드(126)가 작동캠(122)과 스프링(128)에 의하여 타악기(104)를 타격할 때에는 작동방향에 더 구비되는 댐퍼(130)에 의하여 필요 이상 작동하는 것과 타격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0; 연주장치
103; 연주바디
105; 구동수단
115; 연주기
117; 수직연주기
118; 수평연주기
122; 작동캠
126; 작동로드
127; 롤러
128; 스프링
130; 댐퍼

Claims (1)

  1.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연주바디(103)와;
    상기 연주바디(103)의 내부에 고정되는 프레임(106)과;
    상기 프레임(106)에 설치되어 타악기(104)를 연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05)과 구동축(107);
    상기 구동축(107)의 회전을 전달받아 타악기(104)를 타격하여 연주를 수행하는 연주기(115)와;
    상기 연주기(115)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타악기(104)를 연주하는 수직연주기(117)와;
    상기 연주채(116)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타악기(104)을 연주하는 수평연주기(118)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연주기(117)과 수평연주기(118)는 구동축(107) 또는 구동축(107)으로부터 연결되는 방향전환축(119)에 상사점(120)과 하사점(121)을 가지고 고정하는 작동캠(122)과;
    상기 프레임(106)에 유지되는 수직 또는 수평플레이트(123,124)에 힌지축(125)으로 유지되는 작동로드(126)와;
    상기 작동로드(126)에 고정되어 작동캠(122)과 연접되는 롤러(127)와;
    상기 작동로드(126)에 결합하여 타악기(104)를 타격하는 연주채(116)와;
    상기 작동로드(126)의 끝단과 수직 또는 수평플레이트(123,124)의 선측 사이에 연결하여 연주채(116)를 항상 타격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KR2020100003082U 2010-03-25 2010-03-25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KR201100093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82U KR20110009309U (ko) 2010-03-25 2010-03-25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82U KR20110009309U (ko) 2010-03-25 2010-03-25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09U true KR20110009309U (ko) 2011-10-04

Family

ID=7288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082U KR20110009309U (ko) 2010-03-25 2010-03-25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3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08B1 (ko) * 2012-03-29 2013-10-07 전병삼 타악기 연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08B1 (ko) * 2012-03-29 2013-10-07 전병삼 타악기 연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er et al. LEMUR's musical robots
US20130084979A1 (en) Handheld electronic gesture game device and method
KR100697590B1 (ko) 건반악기 및 건반악기용 타현세기조절장치
WO2001097199A1 (en) Drum educational entertainment apparatus
CN201060639Y (zh) 一种电子鼓槌
KR20110009309U (ko) 전통 타악기 연주장치
CN203085178U (zh) 一种可随运动节奏调整韵律的音乐器械
US8907201B2 (en) Device for producing percussive sounds
CN205521446U (zh) 木鼓演奏机器人
CN205334940U (zh) 一种带响线练习板
CN201880313U (zh) 乒乓球强化训练器
JPS5921826Y2 (ja) ピアノと鉄琴を兼ねた玩具
CN218420998U (zh) 一种击打发声的玩具机芯
JP3173661U (ja) ショーケース楽器
JP7339699B1 (ja) ゴルフクラブ及びゴルフクラブ用インサート
KR100663302B1 (ko) 자동 연주 드럼
WO2014019416A1 (zh) 架子鼓底鼓的四联踩锤装置
CN115116301B (zh) 一种用于训练音乐节奏的训练装置
KR101506882B1 (ko) 실로폰 플레이 보드
CN203205025U (zh) 一种板鼓
CN2770036Y (zh) 电子琴
CN219307925U (zh) 一种多功能组合式音乐玩具
CN113345390B (zh) 脚踏式箱鼓
CN201270143Y (zh) 脚踏琴
JP4276822B2 (ja) 弾球遊技機における打球発射操作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