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53A -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253A
KR20110009253A KR1020107028572A KR20107028572A KR20110009253A KR 20110009253 A KR20110009253 A KR 20110009253A KR 1020107028572 A KR1020107028572 A KR 1020107028572A KR 20107028572 A KR20107028572 A KR 20107028572A KR 20110009253 A KR20110009253 A KR 2011000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erminal
predetermined
unit
portabl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753B1 (ko
Inventor
유카리 오우에
하루요시 오시노메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0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오동작을 회피 가능한 정도로 작위적이면서,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무선 단말(110)은,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하는 진동 검출부(226)와,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진동량 판단부(230)와,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발신부(2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화면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이나 여성이 위험에 노출되는 사건이 다발하여, 이러한 사건을 회피하기 위해 방범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만한 체적을 점유해 버리는 전용 방범 장치는, 범용성이 부족하여, 만일의 경우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일도 있다. 그래서, 지금은 대부분의 개인이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휴대전화나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등으로 대표되는 휴대 무선 단말로의 이러한 방범 장치의 탑재가 주목받는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입력 기능 등을 제한하여, 착신 기능과 특정자만으로의 발신 기능을 첨부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서는, 이에 의해, 통화요금을 걱정하지 않고 아이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미성년을 대상으로 한 휴대 무선 단말에서는, 전용 버튼을 누르거나, 전용 열쇠를 뽑거나 하는 것뿐이라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방범할 수 있는 반면, 잘못하여 그 방범 기능을 작동시켜 버리는 일도 있었다.
그 외의 휴대 무선 단말에 있어서는, 소정의 가동 조작키를 길게 눌러 경고음을 발하도록 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오동작 방지를 위해 예를 들면 접이식 휴대 무선 단말의 닫혀지는 조작부에 배치되는 것이 많다. 또, 신체에 이상을 느낀 경우에, 단말을 일정 패턴의 동작(진동 종류)으로 흔듦으로써, 연결된 휴대전화를 자동 발호하여, 단말의 이상 상태를 그 휴대전화에 전달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1)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도 일정한 패턴의 동작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으며, 모두 긴급시에 즉시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3-07859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95370호 공보
이러한 방범 장치는, 오동작시키지 않기 위해 단순한 조작만으로는 긴급 모드로 이행하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러나, 조작 곤란성을 높이거나, 소정의 조작 패턴의 입력을 강요하거나 하면, 비상사태에 빠졌을 때에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해서, 오동작을 회피 가능한 정도로 작위적이면서,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의 대표적인 구성은,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하는 진동 검출부와,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진동량 판단부와,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발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발신은, 음성 통화의 발호나 전자 메일의 발신을 포함하는 정보 전달의 계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에 의해, 즉, 유저가 당해 휴대 무선 단말을 흔듦으로써 연락처 단말에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진동을 검출하는 것만으로는 전철이나 버스 등의 진동에 의한 오동작을 일으키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치에 임계치를 설정했다고 해도 휴대 무선 단말의 낙하 등에 의한 돌발적인 진동치에 반응해 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 즉, 세차게 몇 초 흔드는, 오동작을 회피 가능한 정도로 작위적이면서,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휴대 무선 단말은, 진동량 판단부에 있어서의 진동량의 소정의 임계치에 대한 달성도를 발광색 또는 음성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 개시부터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성할 때까지, 즉, 당해 휴대 무선 단말을 진동 중에, 그 달성도를 발광색이나 음성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량이 임계치에 달한 것뿐만 아니라, 진동 중에 다음에 어느 정도 진동시키면 임계치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고, 그 긴급도에 의거하여 진동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문자나 빛의 점멸 회수 등이 아니라, 발광색이나 음성이라는, 진동하면서 인식 가능한 알림부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달성도를 파악할 수 있다.
휴대 무선 단말은, 복수의 가동 조작키를 설치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진동량 판단부는, 조작부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의 누름 후 소정 시간 내 또는 소정의 가동 조작키의 누름 유지 중에, 진동량을 판단해도 된다.
가동 조작키의 누름 또는 누름 유지라는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 진동량을 휴대 무선 단말이 받아들이는 시간을 제한할 수 있고, 우발적인 진동량의 임계치 달성, 즉 의지와 다른 오동작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구성은,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하는 진동 검출부와,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발광색 또는 음성을 변화시키는 알림부와, 복수의 가동 조작키를 설치한 조작부와, 알림부가 소정의 발광색 또는 음성을 발하고 있을 때, 조작부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를 누름 또는 누름 유지를 해방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발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색 또는 음성을 변화시켜, 미리 설정된 소정의 발광색 또는 음성이 되었을 때에 작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오동작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휴대 무선 단말은,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를 통해서 그것을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경고부의 경고로는, 경고음 출력, 휴대 무선 단말의 위치 송신, 발광, 점멸 등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휴대 무선 단말 자체에 있어서도 경고를 발하여, 가해자에 대한 위협 및 주위에 대한 알림이 가능해진다.
알림부는, 또한 발신이 완료된 것도 알려도 된다. 미리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확실히 발신된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알림부의 구성에 의해, 유저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알림부는, 또한 연락처 단말이 당해 발신을 인식한 것도 알려도 된다. 미리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되고, 또한 당해 발신을 확실히 인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알림부의 구성에 의해, 유저에게 한층 더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구성은,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의 상태를 연락처 단말에 전달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또한 다른 구성은, 복수의 가동 조작키를 설치한 조작부를 가지고,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의 상태를 연락처 단말에 전달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발광색 또는 음성을 변화시켜, 알림부가 소정의 발광색 또는 음성을 발하고 있을 때, 조작부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를 누름 또는 누름 유지를 해방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휴대 무선 단말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는 구성 요소나 그 설명은, 당해 무선 통신 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동작을 회피 가능한 정도로 작위적이면서,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휴대 무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접이식의 휴대 무선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유저의 진동 입력의 동작 처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진동량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알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무선 단말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7은 무선 통신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알림부 및 발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무선 단말의 상태 천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외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미리 알리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또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휴대 무선 단말(110)과, 휴대 무선 단말(110)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120)과, 기지국(120)에 접속되어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회선, 인터넷, 전용회선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망(130)과, 통신망(130)을 통해서 각 기지국(120)을 중계하는 중계 서버(140)와, 연락처 단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락처 단말(150)은, 연락처 유저가 소유하는 휴대 무선 단말, 고정 전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말한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휴대 무선 단말(110)은, 기지국(12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서 다른 휴대 무선 단말과의 통화나 통신을 실행한다. 또 휴대 무선 단말(110)은, 통신망(130)을 통해 접속되는 각 서비스 사업자의 Web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여러 가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경유하여,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150)과의 통신을 확립해,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연락처 단말(15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락처 단말(150)을 가지는 연락처 유저는, 이러한 전달 사항을 받아, 휴대 무선 단말(110)을 가진 유저를 보호하는 조기의 안전 대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유저의 상황을 간이한 조작으로 전달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서술하고, 그 후, 휴대 무선 단말(110)의 무선 통신 방법을 상술한다.
(휴대 무선 단말(110))
도 2는, 휴대 무선 단말(1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며, 도 3은, 접이식의 휴대 무선 단말(11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특히 도 3(a)는 접은 상태를, 도 3(b)은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휴대 무선 단말(110)은, 단말 제어부(210)와, 단말 메모리(212)와, 표시부(214)와, 조작부(216)와, 발광부(218)와, 음성 입력부(220)와, 음성 출력부(222)와, 단말 무선 통신부(224)와, 진동 검출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 무선 단말(110)로서는, 휴대 전화, PHS 단말,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카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 게임기기, DVD 플레이어 등 무선 통신 가능한 여러 가지 전자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210)는, 중앙 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에 의해 휴대 무선 단말(110)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하며, 단말 메모리(212)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메일 송수신 기능, 촬상 기능, 음악 재생 기능, TV 시청 기능도 수행한다. 단말 메모리(212)는, ROM, RAM, EEPROM, 불휘발성 RAM, 플래쉬 메모리, HDD 등으로 구성되고, 단말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통신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표시부(214)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EL(Electro Luminescence) 등으로 구성되고, 단말 메모리(212)에 기억된, 또는 통신망(130)을 통해 Web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Web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조작부(216)는, 키보드, 십자 키, 조이스틱 등의 복수의 가동 조작키(하드웨어키)로 구성되고,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조작부(216) 중 케이스 측면에 설치된 소정의 가동 조작키(사이드 키)(228)가 후술하는 진동량 판단부(230)의 판단 조건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량 판단부(230)의 판단 조건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러한 소정의 가동 조작키(228)는 전용키로 할 수도 있지만, 통상, 다른 기능과 병용하여 이용된다. 여기에서는, 유저가 누르기 쉬운 사이드 키를 소정의 가동 조작키(228)로 하고 있지만, 유저의 사용상황에 따라 소정의 가동 조작키의 할당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부(218)는, LED(Light Emitting Diode), EL(Electro Luminescence) 발광체, 서브 LCD, 그 외의 조광 가능한 전자 부품으로부터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발색이 가능한 2개의 발광부(218)가 각각 발광 영역을 점유하며, 예를 들면, 유저의 진동 입력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218)가 독립하여 발색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발색의 변화에 따라 음성이나 바이브레이션을 일으키고, 발색이 변화한 것을 음성이나 바이브레이션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유저의 진동 입력의 동작 처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유저가 휴대 무선 단말(110)을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흔듦으로써, 발광부(218)가 반응하고, 진동 주기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색이 변경된다.
이러한 발색의 변화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일례로서, 유저 입력에 의해 적당한 색이 선택된 상태로 Web 서버에 액세스하며, 유저는, 액세스 시각 및 그 색에 따라, 다른 서비스(예를 들면, 색에 따라 심리 상태를 진단하는 컬러 테라피 등을 받을 수도 있다.
또, 발광부(218)는, 후술하는 음성 출력부(222)와 동일하게, 알림부나 경고부로서도 기능한다. 이러한 알림부나 경고부의 구체적 기능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성 입력부(220)는, 마이크 등의 음성 인식 수단으로 구성되고, 통화 시에 입력된 유저의 음성을 휴대 무선 단말(110) 내에서 처리 가능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음성 출력부(222)는, 스피커로 구성되고, 휴대 무선 단말(110)로 수신한 통화 상대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또, 착신음이나, 조작부(216)의 조작음, 알람음 등도 출력할 수 있으며, 알림부나 경고부로서도 기능한다.
단말 무선 통신부(224)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서 기지국(120)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며, 통신 상대와의 음성 통신이나 Web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진동 검출부(226)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한다. 이러한 진동의 검출축은, 휴대 무선 단말(110)의 길이 방향 등, 특정한 축으로 해도 되고, 직교하는 3축으로 하여, 그 스칼라량을 구해도 된다.
또, 상술한 단말 제어부(210)는, 진동량 판단부(230), 발신부(232)로서 기능한다.
진동량 판단부(230)는, 진동 검출부(226)에 있어서 검출된 진동치와, 그 검출된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 무선 단말(110)은,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통해서, 즉, 유저가 당해 휴대 무선 단말(110)을 흔듦으로써 연락처 단말(150)에,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진동을 검출하는 것 만으로는 전철이나 버스 등의 진동에 의한 오동작을 일으켜 버린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동치에 임계치를 설정했다고 해도 휴대 무선 단말의 낙하 등에 의한 돌발적인 진동치에 반응해 버린다.
도 5는, 진동량의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서는, 진동 검출부(226)에 검출된 진동치의 시간적 추이가 나타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동치만을 검출하는 상기의 문제에 대해, 진동 검출부(226)에 있어서 검출된 진동치(250)와, 그 진동치(250)가 소정 진동치(252)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양, 즉 도 4에 사선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의 면적을 누적한 값을 진동량(254)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진동량(254)의 개념은, 이러한 면적에 그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정 진동치(252)를 초과한 진동의 회수에 의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진동치(252)를 초과한 입력을 검출 대상으로 함으로써 전철이나 버스 등의 진동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러한 입력을 소정 시간 필요로 함으로써, 당해 휴대 무선 단말(110)의 낙하 등에 의한 돌발적인 진동치(250)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된 진동량(254)을 소정의 임계치(소정 진동치(252))에 도달시키기 위해, 유저는 단순히 세차게 몇 초 흔들면 되게 된다.
발신부(232)는, 진동량 판단부(230)에 의해 진동량(254)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미리 휴대 무선 단말(110)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150)에 발신한다. 이러한 발신은, 통상의 음성 통화 발신(발호) 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정형문의 전자 메일 송신이나 TV 전화 발신(발호) 등, 연락처 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유저는, 휴대 무선 단말(110)을 세차게 몇 초 흔드는 것만으로 진동량(254)을 소정의 임계치까지 올릴 수 있다.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이러한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무선 단말(110)에, 자체의 발광색을 연락처 단말(150)에 송신하며 연락처 단말(150)에 있어서도 동일한 발광색을 발광시키는 링크 기능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 링크 기능을 이용하여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취지의 색, 예를 들면 적색을 연락처 단말(150)에 발광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연락처 단말(150)을 가진 연락처 유저는, 당해 위험의 레벨을 알 수 있다.
이 때, 발광부(218)나 음성 출력부(222)에 의해 구성되는 알림부는, 진동량 판단부(230)에 있어서의 진동량(254)의 소정의 임계치에 대한 달성도를 발광색 또는 음성으로 알린다.
도 6은, 알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무선 단말(110)의 상태 천이도이다. 여기에서는, 알림부로서 발광부(218)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저의 진동의 누적, 즉, 진동량에 따라, 도 6(a), (b)와 같이 발광부(218)의 발색(예를 들면, 적색)의 휘도가 강해지고,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했을 때, 도 6(c)와 같이 최대의 휘도로 래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동 개시부터 진동량(254)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성할 때까지, 즉, 당해 휴대 무선 단말(110)을 진동 중에, 그 달성도를 발광부(218)에 의한 발광색이나 음성 출력부(222)에 의한 음성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량(254)의 임계치에 달한 것 뿐만 아니라, 진동 중에, 다음에 어느 정도 진동시키면 임계치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고, 그 긴급도에 의거하여 진동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문자나 빛의 점멸 회수 등이 아니라, 발광색이나 음성이라는, 진동하면서 인식 가능한 알림부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달성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알림부는, 또, 발신이 완료된 것도 알린다. 미리 등록된 연락처 단말(150)에 확실히 발신된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알림부의 구성에 의해, 유저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알림부는, 또한, 연락처 단말(150)을 가지는 연락처 유저가, 당해 발신이 있었던 것을 인식한 것도 알린다. 미리 등록된 연락처 단말(150)에 발신되고, 또한 당해 발신을 확실히 인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알림부의 구성에 의해, 유저에게 한층 더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진동량 판단부(230)는, 조작부(216)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228)를 누른 후, 소정 시간 내에 휴대 무선 단말(110)을 흔든 진동량을 판단해도 된다. 또, 소정의 가동 조작키(228)를 누름 유지한 채로 휴대 무선 단말(110)을 흔든 진동량을 판단해도 된다.
가동 조작키의 누름 또는 누름 유지라는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 진동량(254)을 휴대 무선 단말(110)이 받아들이는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발적인 진동량(254)의 임계치 달성, 즉 의지와 다른 오동작을 또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218)나 음성 출력부(222)에 의해 구성되는 경고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를 통해서 그 취지를 경고한다. 경고부의 경고로서는, 음성 출력부(222)에 의한 경고음 출력, GPS를 이용하여 계산된 휴대 무선 단말(110)의 위치 송신, 발광부(218)에 의한 발광 및 점멸 등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락처 단말(150)에 발신할 뿐만 아니라, 휴대 무선 단말 자체에 있어서도 경고를 발하며, 가해자에 대한 위협 및 주위에 대한 알림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휴대 무선 단말(110)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회피 가능한 정도로 작위적이면서,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선 통신 방법)
다음에, 휴대 무선 단말(110)을 조작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무선 통신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유저에게 위험이 닥친 경우에, 유저는, 자기가 소유하는 휴대 무선 단말(110)을 몇 초간, 예를 들면 3초간, 세차게 흔든다. 이러한 시간(진동량)은 변경할 수 있다. 휴대 무선 단말(110)은, 이러한 유저의 진동 입력을 검출하면(S300),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을 계산한다(S302).
다음에, 계산된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04),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S304의“YES”),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기 위해 미리 등록된 연락처 단말(150)에 발신한다(S306).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하지 않으면(S304의“NO”), 계속해서 진동량의 계산(S302)을 행한다. 여기서, 진동 입력이 장시간 끊어지는 것 같으면, 긴급 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타임 아웃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서도, 곤란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무선 단말 진동→발광부 발광색 변화」 또는 「가동 조작키 누름 유지→휴대 무선 단말 진동→발광부 발광색 변화」라는 순서로 연락처 단말로의 발신을 실행하고 있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키 누름 유지→휴대 무선 단말 진동→발광부 발광색 변화」에 더하여, 발광부(218)에 의한 발광색을 인식하여, 발신의 타이밍을 계산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실행 가능하므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서술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며, 그 동작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도 8은, 알림부 및 발신부(23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무선 단말(110)의 상태 천이도이다. 여기에서는, 알림부로서 발광부(218)를 이용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무선 단말(110)에서는, 진동 검출부(226)가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하면, 발광부(218)는, 진동 검출부(226)에 의해 검출된 진동치와, 그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도 6(a), (b)와 같이 발광부(218)의 발색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유저가 2개의 발광부(218) 양쪽이 소정의 발광색(예를 들면「노랑」)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 소정의 가동 조작키(228)를 누름 또는 누름 유지를 해방하면, 발신부(232)는, 조작부(216)를 통해 연락처 단말(150)에 발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된 진동치와,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색 또는 음성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발광색 또는 음성이 된 때에 작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오동작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자기의 위기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은, 반드시 플로우 차트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혹은 서브루틴에 의한 처리를 포함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복수의 화면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무선 통신 시스템
110 : 휴대 무선 단말
150 : 연락처 단말
216 : 조작부
218 : 발광부
222 : 음성 출력부
226 : 진동 검출부
228 : 가동 조작키
230 : 진동량 판단부
232 : 발신부

Claims (9)

  1.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하는 진동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진동치와, 이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진동량 판단부와,
    상기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상기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발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량 판단부에 있어서의 진동량의 소정의 임계치에 대한 달성도를 발광색 또는 음성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가동 조작키를 설치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량 판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의 누름 후 소정 시간 내 또는 이 소정의 가동 조작키의 누름 유지 중에, 진동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4.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여, 진동치를 취득하는 진동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진동치와, 이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발광색 또는 음성을 변화시키는 알림부와,
    복수의 가동 조작키를 설치한 조작부와,
    상기 알림부가 소정의 발광색 또는 음성을 발하고 있을 때, 상기 조작부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를 누름 또는 누름 유지를 해방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발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를 통해서 그것을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또한 발신이 완료된 것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또한 상기 연락처 단말이 당해 발신을 인식한 것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
  8.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의 상태를 그 연락처 단말에 전달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진동치와, 이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동량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복수의 가동 조작키를 설치한 조작부를 가지고, 기지국을 통해 연락처 단말과의 통신을 확립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의 상태를 그 연락처 단말에 전달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당해 휴대 무선 단말 자체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진동치와, 이 진동치가 소정 진동치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진동량에 따라 발광색 또는 음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알림부가 소정의 발광색 또는 음성을 발하고 있을 때, 상기 조작부의 소정의 가동 조작키를 누름 또는 누름 유지 해방한 경우, 당해 휴대 무선 단말에 등록된 상기 연락처 단말에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07028572A 2008-06-26 2009-03-26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25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7323A JP4926133B2 (ja) 2008-06-26 2008-06-26 携帯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8-167323 2008-06-26
PCT/JP2009/056170 WO2009157239A1 (ja) 2008-06-26 2009-03-26 携帯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53A true KR20110009253A (ko) 2011-01-27
KR101251753B1 KR101251753B1 (ko) 2013-04-05

Family

ID=4144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572A KR101251753B1 (ko) 2008-06-26 2009-03-26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40050B2 (ko)
JP (1) JP4926133B2 (ko)
KR (1) KR101251753B1 (ko)
WO (1) WO2009157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7822B2 (en) * 2012-09-05 2018-05-08 Yoshinori Matsumoto Portab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JP2014053676A (ja) * 2012-09-05 2014-03-20 Yoshiji Matsumoto データ送受信を実行する携帯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4115B2 (ja) * 2014-03-18 2018-01-24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端末
WO2017183537A1 (ja) * 2016-04-19 2017-10-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擬似力覚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6716A (en) * 1945-10-09 1947-09-02 Telford John Degidon Controlling device for horses
JP3186643B2 (ja) * 1997-05-08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充電器および充電器と携帯無線機とからなる無線装置
JP2000295370A (ja) * 1999-04-01 2000-10-20 Takayuki Miyaji 携帯電話及びphsを利用した振動検知型異常発令装置
JP2001237927A (ja) * 2000-02-22 2001-08-31 Nec Corp 携帯電話機
JP2003078590A (ja) * 2001-08-30 2003-03-14 Smart Communication Factory:Kk 小型携帯端末装置、緊急連絡サービス方法及び緊急連絡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023475A (ja) * 2002-06-17 2004-0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型通報装置及び通報管理システム
JP4372601B2 (ja) * 2004-04-01 2009-11-25 日立建機株式会社 操作履歴保存装置
JP2005117900A (ja) * 2004-12-27 2005-04-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通信機
JP2008039561A (ja) * 2006-08-04 2008-02-21 Nec Saitama Ltd 加速度センサ付き情報通信端末。
JP2008085437A (ja) * 2006-09-26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携帯型緊急通報無線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7239A1 (ja) 2009-12-30
US20110143706A1 (en) 2011-06-16
JP4926133B2 (ja) 2012-05-09
JP2010011019A (ja) 2010-01-14
US8140050B2 (en) 2012-03-20
KR101251753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3630B (zh) 在移动电子装置中进行紧急呼救的方法及装置
US860035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30146A1 (en) Sensor-Based Communications Device Activator
KR101251753B1 (ko)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4002729A (zh) 用于车内警报激活和响应处理的方法和设备
WO2014110937A1 (zh) 移动终端的操作方法及装置
EP1834472A2 (en) Triggering an emergency mod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CN104574868A (zh) 移动终端用的防盗报警系统及方法
JP2006268713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方法
CN201130416Y (zh) 紧急救援实时报警装置
JP6266224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5036487A2 (en) Personal security system
KR20080012612A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의 구조 메시지 전송 장치 및방법
KR2006000451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재 경보 장치와 방법
KR20050102541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재 알림 장치와 방법
KR1005198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KR20070065759A (ko)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하는 경보방법
KR1010782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JP3950872B2 (ja) 防犯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KR20160116492A (ko) 긴급상황 알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택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CN111131613A (zh) 一种数据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ES2845525T3 (es) Disposición para disparar al menos una alarma
KR101650898B1 (ko) 스마트폰과 그 기능을 이용한 휴대 개인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374158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진동 센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JP3115361U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