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141U -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141U
KR20110009141U KR2020100002856U KR20100002856U KR20110009141U KR 20110009141 U KR20110009141 U KR 20110009141U KR 2020100002856 U KR2020100002856 U KR 2020100002856U KR 20100002856 U KR20100002856 U KR 20100002856U KR 20110009141 U KR20110009141 U KR 201100091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power
outlet
conta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512Y1 (ko
Inventor
채희수
Original Assignee
채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수 filed Critical 채희수
Priority to KR2020100002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1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는 전기/전자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이격 배치되며, 외부 전원이 유입되는 전원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에 이격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플러그 단자의 단부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전원 단자의 단부에 중첩된 접촉핀 및 상기 접촉핀과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된 스위치의 온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접촉핀이 상기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 사이를 통전시키며, 오프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접촉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전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항시 콘센트에 꽂아 둔 상태에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통전 및 통전 차단을 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 일일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필요가 없고, 사용 완료 시에도 일일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를 통해 미세 전류가 흘러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OUTLET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본 고안은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 상태에서도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플러그를 매개로 하여 전기 배선과 코드를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 전기 전자적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콘센트는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류에 따라서 100V, 220V, 10~50A용으로,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서 노출형과 매입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1~3 구멍형 등 사용 기구, 방의 넓이, 설치 장소 등 그 용도에 따라서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는 전기 전자적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매입형 콘센트가 장롱 등 가구 및 책상 등 사무용품으로 인하여 가려지는 경우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빼기가 곤란하여 벽면 등에 설치된 콘센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전자적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게 되면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를 통하여 미세 전류가 흘러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분리하는데 드는 수고를 덜고, 플러그를 통해 미세 전류가 흘러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는 전기/전자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이격 배치되며, 외부 전원이 유입되는 전원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에 이격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플러그 단자의 단부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전원 단자의 단부에 중첩된 접촉핀 및 상기 접촉핀과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된 스위치의 온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접촉핀이 상기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 사이를 통전시키며, 오프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접촉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 단자 및 상기 플러스 단자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접촉핀이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블럭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 블럭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와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를 눌러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면, 상기 가이드 블럭이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촉핀이 상기 전원 단자 및 상기 플러그 단자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위치를 다시 눌러 온 상태로 스위칭하면, 상기 가이드 블럭이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촉핀이 상기 전원 단자 및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에 의하면, 전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항시 콘센트에 꽂아 둔 상태에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통전 및 통전 차단을 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 일일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필요가 없고, 사용 완료 시에도 일일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를 통해 미세 전류가 흘러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콘센트에 항시 플러그를 꽂아두어도 전기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전원 단자와 플러그 단자가 접촉핀에 접촉되지 않으므로써 외부 전원의 미세 전류가 플러그로 흘러가지 않기 때문에 전원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접촉핀이 플러그 단자 및 전원 단자와 접촉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주요 부분에 대하여만 해칭이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100)는 벽면에 내장되며, 전원 단자(112) 및 플러그 단자(111)를 포함한 본체(110)와, 본체(110)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단자(112) 및 플러그 단자(111)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는 접촉핀(120) 및 상기 스위치(21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접촉핀(120)이 상기 전원 단자(112) 및 플러그 단자(111)에 접촉되거나 비접촉되게 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100)는 매입형 콘센트이다.
상기 전원 단자(112)는 외부의 전원을 인입하여 플러그 단자로 보내기 위한 단자로서, 일측단부는 도선(220)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다.
상기 전원 단자(112)는 복수개로 상기 플러그 단자(111)의 수와 동일한 수가 마련된다.
상기 플러그 단자(111)에는 전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200)가 삽입 접촉되어 전원 단자(112)로부터 유입된 전원을 플러그(200)를 통하여 상기 전기 전자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접 접촉되는 플러그(200) 부분의 수에 따라 복수개가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전원 단자(112)와 상기 복수개의 플러그 단자(111)는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접촉핀(120)은 상기 본체(110)에 대응되게 이격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전원 단자(112)에 대응되고, 타측은 상기 플러그 단자(111)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핀(120)도 역시 상기 플러그 단자(111)의 수와 동일한 수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130)는 일측은 상기 접촉핀(120)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위치(2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30)는 가이드 레일(131)과, 가이드 블럭(132) 및 연결바(133)를 포함하되, 가이드 레일(131) 및 가이드 블럭(132)은 상기 접촉핀(120)의 수에 대응되는 수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바(133)는 상기 가이드 블럭(132)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31)은 상기 본체(110) 일측, 즉 벽면을 기준으로 본체(110) 안쪽의 벽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럭(132)은 상기 가이드 레일(131)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접촉핀(12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바(133)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 블럭(13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210)에 결합되며,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접촉핀이 플러그 단자 및 전원 단자와 접촉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210)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게 되면(누르게 되면), 상기 스위치(210)와 결합된 연결바(133)가 벽면 내측으로 밀림으로써, 즉 벽면 내측으로 후진하면서 가이드 레일(131) 상의 가이드 블럭(132)이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가이드 블럭(132)에 결합되어 있는 접촉핀(120)은 상기 전원 단자(112) 및 상기 플러그 단자(111)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전원 단자(112)와 플러그 단자(111) 사이의 통전 상태를 차단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2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하게 되면, 즉 다시 스위치(21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후진되어 있던 연결바(133)가 벽면 측으로 다시 전진하게 됨으로써 연결바(133)에 결합된 가이드 블럭(132)도 가이드 레일(131) 상에서 전진하게 되어 상기 본체(110)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본체(110) 측으로 가이드 블럭(132)이 이동됨으로써, 가이드 블럭(132)에 결합되어 있던 접촉핀(120)은 상기 전원 단자(112)와 상기 플러그 단자(111)와 접촉되어 전원 단자(112)와 플러그 단자(111) 사이를 통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100)에 의하면, 전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200)를 항시 콘센트(100)에 꽂아 둔 상태에서 스위치(210)의 조작에 의하여 통전 및 통전 차단을 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 일일이 플러그(200)를 콘센트(100)에 꽂을 필요가 없고, 사용 완료 시에도 일일이 플러그(200)를 콘센트(100)에서 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200)를 통해 미세 전류가 흘러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콘센트(100)에 항시 플러그(200)를 꽂아두어도 전기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210)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전원 단자(112)와 플러그 단자(111)가 접촉핀(120)에 접촉되지 않으므로써 외부 전원의 미세 전류가 플러그(200)로 흘러가지 않기 때문에 전원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게 된다.
100...콘센트 110... 본체
111... 플러그 단자 112... 전원 단자
120... 접촉핀 130... 구동부
131... 가이드 레일 132... 가이드 블럭
133... 연결바 200... 플러그
210... 스위치
220... 도선

Claims (2)

  1. 전기/전자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와 이격 배치되며, 외부 전원이 유입되는 전원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에 이격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플러그 단자의 단부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전원 단자의 단부에 중첩된 접촉핀; 및
    상기 접촉핀과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된 스위치의 온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접촉핀이 상기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 사이를 통전시키며, 오프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접촉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 단자 및 상기 플러스 단자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접촉핀이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블럭;
    일측이 상기 가이드 블럭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와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를 눌러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면, 상기 가이드 블럭이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촉핀이 상기 전원 단자 및 상기 플러그 단자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위치를 다시 눌러 온 상태로 스위칭하면, 상기 가이드 블럭이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촉핀이 상기 전원 단자 및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 사이를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KR2020100002856U 2010-03-19 2010-03-19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KR20045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56U KR200459512Y1 (ko) 2010-03-19 2010-03-19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56U KR200459512Y1 (ko) 2010-03-19 2010-03-19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141U true KR20110009141U (ko) 2011-09-27
KR200459512Y1 KR200459512Y1 (ko) 2012-03-28

Family

ID=4509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856U KR200459512Y1 (ko) 2010-03-19 2010-03-19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789B1 (ko) * 2013-10-14 2014-09-15 최무성 플러그 아답터
KR20230052585A (ko) * 2021-10-13 2023-04-20 정윤태 선택적 전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82Y1 (ko) * 2003-06-30 2003-09-13 신광근 푸쉬버튼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100976783B1 (ko) * 2008-05-02 2010-08-18 서한컨설탄트(주)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KR100994854B1 (ko) * 2008-05-22 2010-11-16 김동룡 대기전력 차단용 벽면 매설형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789B1 (ko) * 2013-10-14 2014-09-15 최무성 플러그 아답터
KR20230052585A (ko) * 2021-10-13 2023-04-20 정윤태 선택적 전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512Y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0399B (zh) 一种智能化仪器仪表数据总线连接器
CA2828327C (en) Hot-plugging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energy meter
US9859665B2 (en)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power outlet
EP2104129A3 (en) Adapter device for a low voltage switching device
CN103529251A (zh) 一种组合式二次端子短路接线排
KR200459512Y1 (ko)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CN104300323A (zh) 连接器组合
KR20100059715A (ko) 반도체 유닛 및 전력 변환 장치
CN113206414A (zh) 一种直流连接器、交直流输入设备和交直流输入系统
KR200465010Y1 (ko)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KR101741329B1 (ko) 확장형 콘센트 모듈
EP0952638A1 (en) Bipolar electric plug equipped with switch
CN203859082U (zh) 一种带插座的漏电断路器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200463884Y1 (ko)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KR200457362Y1 (ko) 배선용 키트
CN215184712U (zh) 一种拾电插头以及接电装置
CN213815991U (zh) 一种嵌入式继电器
CN211453893U (zh) 一种驱动电源
TWI387870B (zh) Identification switch for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CN201656196U (zh) 用于接触器的连接器及用于控制电机正反转的连接装置
CN205282318U (zh) 电容器复合投切装置
KR200185341Y1 (ko)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CN2896596Y (zh) 电源插头
KR200458242Y1 (ko) 슬라이드형 벽붙이 전원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