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033U -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033U
KR20110009033U KR2020100002707U KR20100002707U KR20110009033U KR 20110009033 U KR20110009033 U KR 20110009033U KR 2020100002707 U KR2020100002707 U KR 2020100002707U KR 20100002707 U KR20100002707 U KR 20100002707U KR 20110009033 U KR20110009033 U KR 201100090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icycle
electric shock
contro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사이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사이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사이클
Priority to KR2020100002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033U/ko
Publication of KR20110009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를 절도하려 할 경우 자건거에 설치되는 전기충격기를 통해 도난을 방지하고 현장 주변사람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무선 리모콘으로 도난신호를 전송하여 자전거 소유자에게도 도난 상황을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전거 프레임에 전기충격기를 형성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격기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그 전극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을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전 전극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압 발생부; 상기 충격 및 접촉 감지 센서부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고압 발생부로부터 승압된 고전압을 상기 방전 전극부에 제공하여 순간 방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기충격기를 원격 제어하는 무선 리모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ANTI-THEFT DEVICE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절도하려 할 경우 자건거에 설치되는 전기충격기를 통해 도난을 방지하고 현장 주변사람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무선 리모콘으로 도난신호를 전송하여 자전거 소유자에게도 도난 상황을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운전자가 두발로 폐달을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려 나아가게 만든 가볍고 편리하게 제작된 장치로, 하이킹 등의 취미생활을 비롯하여 운동량이 적은 현대인들에게 적당한 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가정에 보급되어, 한 가정에 한 두대 이상의 자전거를 가지고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자전거를 사용하는 운전자가 자전거를 보관하는 경우에, 이를 실내에 보관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체로 실외에 보관하게 된다. 만약 운전자가 넓은 마당이 구비되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는 개인 주택에 거주한다면, 자전거를 보관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연립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건물에서는, 전용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여러사람이 공유하여 언제든지 외부인이 접근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채로 자전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난당할 위험이 높게된다. 따라서, 자전거를 실외에 보관할 때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도난방지장치는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며, 일례로 체인과 자물쇠로 이루어지는 도난방지장치가 있다. 즉, 운전자가 아파트에 거주한다면, 운전자는 아파트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에 보관하고자 하는 자전거를 밀착시켜 배치한 후, 바퀴살과 같은 자전거의 일부분과 난간을 체인으로 감고, 체인의 양 끝단을 포갠 상태에서 자물쇠를 채워서 자전거를 보관하게 된다. 반대로 자전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쇠로 자물쇠를 풀고, 체인만을 난간에 감아둔 상태에서 체인의 양 끝단을 포개어 자물쇠로 채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보관 중인 자전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자전거의 앞바퀴나 뒷바퀴로 이동한 다음,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야 하는 등 매우 힘든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체인을 감고 자물쇠를 채우거나 풀러야 하는 등 여러가지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운전자에게 매우 불편하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자물쇠로 잠그는 것을 기피하여 자전거의 도난 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세심하게 체인과 자물쇠로 이루어진 도난방지장치를 꾸준히 사용하더라도, 대부분의 체인은 절단기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어, 여전히 도난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고가의 레져용 자전거는 부품의 개별단위를 맨손으로 탈착이 가능하여 기존의 자물쇠로는 여러가지 도난 가능성에 대해 대처하기 어려우며, 또한 자전거의 미세한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를 절도하려 할 경우 자건거에 설치되는 전기충격기를 통해 도난을 방지하고 현장 주변사람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무선 리모콘으로 도난신호를 전송하여 자전거 소유자에게도 도난 상황을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는, 자전거 프레임에 전기충격기를 형성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격기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그 전극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을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전 전극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압 발생부; 상기 충격 및 접촉 감지 센서부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고압 발생부로부터 승압된 고전압을 상기 방전 전극부에 제공하여 순간 방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기충격기를 원격 제어하는 무선 리모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리모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기충격기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 조작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충격기에 온/오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기충격기로부터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전기충격기의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에 따라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 상기 전기충격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자전거 프레임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카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충격기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부착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충격기는;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는 바퀴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 회전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바퀴가 기준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고압 발생부 및 상기 방전 전극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의하면, 자전거를 절도하려 할 경우 자건거에 설치되는 전기충격기를 통해 도난을 방지하고 현장 주변사람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무선 리모콘으로 도난신호를 전송하여 자전거 소유자에게도 도난 상황을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를 나타낸 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의 전기 충격기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의 무선 리모콘을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를 나타낸 자전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의 전기 충격기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의 무선 리모콘을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전거(1)에는 전기충격기(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기충격기(10)는 전도체의 자전거 프레임(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전거 프레임(1)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카본 재질 혹은 전도도가 높은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충격기(10)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1)에 부착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된다.
전기충격기(10)는 고압 발생부(11), 방전 전극부(12), 경보음 출력부(13), 제어부(14),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15), 전원공급부(16),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 및 바퀴 회전 감지부(18)로 구성된다.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15)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1)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을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15)는 통상의 적외선 센서, 열감지 센서, 충격 센서 등이 복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Motion sensor)와 같이, 방향을 감지하는 지자기센서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을 감지하는 지자기센서는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나침반과 같이 동서남북을 정보를 알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압전재료에 가속을 발생시키면 힘이 걸려서 전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며, 회전각가속도 센서인 자이로 센서는 회전하는 각의 수직방향으로 코리올리스 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수직힘을 가속도 센서와 마찬가지 원리로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방전 전극부(12)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1)에 그 전극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을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한다.
전원공급부(16)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통상의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고압 발생부(11)는 상기 전원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시킨다.
제어부(14)는 상기 충격 및 접촉 감지 센서부(15)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고압 발생부(11)로부터 승압된 고전압을 상기 방전 전극부(12)에 제공하여 순간 방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4)는 연산 및 판단 기능을 갖는 통상의 마이크로컴퓨터(MICOM),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processing unit)가 적용될 수 있다.
경보음 출력부(13)는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출력된 경보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통상의 사이렌, 경보벨,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는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또한, 무선 리모콘(20)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기충격기를 원격 제어한다.
상기 무선 리모콘(20)은, 키입력부(21), 화면 표시부(22), 진동 출력부(23), 제어부(24), 전원 공급부(25)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26)로 구성된다.
키입력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기충격기(10)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한다.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26)는 상기 키입력부(21)로 조작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충격기(10)에 온/오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기충격기(10)로부터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4)는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26)로 수신된 상기 전기충격기(10)의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에 따라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진동 출력부(23)는 상기 제어부(24)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출력한다.
화면 표시부(22)는 상기 전기충격기(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전원 공급부(25)는 상기 각부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소형 배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충격기(10)는; 바퀴(4)의 회전을 감지하는 바퀴 회전 감지부(1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바퀴 회전 감지부(18)에 의하여 상기 바퀴(4)가 기준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고압 발생부(11) 및 상기 방전 전극부(12)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전거 주행중에 오동작에 의한 사고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일정 속도 이하에서는 고압을 발생시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의하면, 자전거를 절도하려 할 경우 자건거에 설치되는 전기충격기를 통해 도난을 방지하고 현장 주변사람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무선 리모콘으로 도난신호를 전송하여 자전거 소유자에게도 도난 상황을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자전거 1a : 프레임
10 : 전기충격기 11 : 고압 발생부
12 : 방전 전극부 13 : 경보음 출력부
14 : 제어부 15 :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
16 : 전원공급부 17 :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18 : 바퀴 회전 감지부 20 : 상기 무선 리모콘
21 : 키입력부 22 : 화면 표시부
23 : 진동 출력부 24 : 제어부
25 : 전원 공급부 26 :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Claims (4)

  1. 자전거 프레임에 전기충격기를 형성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격기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충격 및 접촉 감지센서부;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그 전극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을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전 전극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압 발생부;
    상기 충격 및 접촉 감지 센서부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충격 및 인체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고압 발생부로부터 승압된 고전압을 상기 방전 전극부에 제공하여 순간 방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기충격기를 원격 제어하는 무선 리모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모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기충격기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 조작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충격기에 온/오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기충격기로부터 그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전기충격기의 동작상태 및 경보신호에 따라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
    상기 전기충격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프레임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카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충격기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부착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격기는;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는 바퀴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 회전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바퀴가 기준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고압 발생부 및 상기 방전 전극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KR2020100002707U 2010-03-16 2010-03-16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KR201100090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707U KR20110009033U (ko) 2010-03-16 2010-03-16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707U KR20110009033U (ko) 2010-03-16 2010-03-16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33U true KR20110009033U (ko) 2011-09-22

Family

ID=4509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707U KR20110009033U (ko) 2010-03-16 2010-03-16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03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05B1 (ko) * 2012-07-24 2014-11-05 주식회사 에릭앤클레어랩 나침반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경보 장치
KR20160028892A (ko) 2014-09-04 2016-03-14 이석재 자가발전에 의한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 자전거 잠금 장치
CN106741331A (zh) * 2016-12-14 2017-05-31 重庆典果成实业有限公司 摩托车防盗装置以及系统
CN108569355A (zh) * 2017-03-08 2018-09-25 天津市天瑞地毯有限公司 一种自行车防盗坐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05B1 (ko) * 2012-07-24 2014-11-05 주식회사 에릭앤클레어랩 나침반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경보 장치
KR20160028892A (ko) 2014-09-04 2016-03-14 이석재 자가발전에 의한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 자전거 잠금 장치
CN106741331A (zh) * 2016-12-14 2017-05-31 重庆典果成实业有限公司 摩托车防盗装置以及系统
CN108569355A (zh) * 2017-03-08 2018-09-25 天津市天瑞地毯有限公司 一种自行车防盗坐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2075U (ja) 自転車の盗難防止装置
US9523218B1 (en) Lock assembly
JP2018524493A (ja) ヘルメット着用奨励および/または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車両に乗る際にヘルメットの使用を奨励および/または制御する方法
KR20110009033U (ko)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US20090009326A1 (en) Portable Motion-Detecting Alarm with Remote Notification
KR101469835B1 (ko) 자전거 잠금장치
KR101438204B1 (ko) 이륜차 및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PT1384214E (pt) Sistema de alarme para proriedade pessoal
ES2734105T3 (es) Un sistema de seguridad para bicicletas
KR101989359B1 (ko)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JP2010086215A (ja) 電子機器並びにそれに用いるポータブルデバイス及びクレードル
CN102654011A (zh) 保险箱
KR20160100085A (ko) 무선통신 제어모듈을 갖춘 자전거와 그 제어방법
JP2009248662A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21363A (ko) 자전거도난경보장치
KR20170069019A (ko) 도난방지장치가 장착된 자전거
JP2010143457A (ja) 車両ユニット及び携帯無線通信ユニット
KR101456105B1 (ko) 나침반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경보 장치
KR20130128970A (ko) 자전거 잠금장치
JP6295344B2 (ja) 携帯式盗難防止装置及び関連する盗難防止システムと盗難防止方法
JP3800229B2 (ja) 検知装置、異常監視システム、検知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検知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10067002A (ko) 자전거 도난 방지 경보기
JP2011197565A5 (ko)
KR200454568Y1 (ko) 다기능 가방
KR20140011456A (ko) 방위각 검출에 의한 자전거 도난경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