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49A -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49A
KR20110008649A KR1020090066084A KR20090066084A KR20110008649A KR 20110008649 A KR20110008649 A KR 20110008649A KR 1020090066084 A KR1020090066084 A KR 1020090066084A KR 20090066084 A KR20090066084 A KR 20090066084A KR 20110008649 A KR20110008649 A KR 20110008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pos
transaction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안성민
이원경
Original Assignee
(주)블루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비스 filed Critical (주)블루비스
Priority to KR102009006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649A/ko
Publication of KR2011000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정보와 판매시점관리(POS) 단말기의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절도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기 POS 단말기와 상기 POS 단말기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DVR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POS 관리 모듈이 중앙에서 서로 다른 포맷을 지원하는 POS 단말기 사이에 사용되는 거래정보를 표준화하여 상기 POS 단말기와 별도로 자체 결산정보를 생성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거래정보가 획득된 시점과 영상정보가 획득된 시점을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결산정보 생성시 이상여부가 발견되는 경우 거래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제공하여 거래정보 당시 이상여부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POS, 거래정보, 영상정보, DVR, 후킹

Description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O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정보와 판매시점관리(POS) 단말기의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절도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기 POS 단말기와 상기 POS 단말기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DVR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POS 관리 모듈이 중앙에서 서로 다른 포맷을 지원하는 POS 단말기 사이에 사용되는 거래정보를 표준화하여 상기 POS 단말기와 별도로 자체 결산정보를 생성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거래정보가 획득된 시점과 영상정보가 획득된 시점을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결산정보 생성시 이상여부가 발견되는 경우 거래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제공하여 거래정보 당시 이상여부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매장에서 일어나는 손실 중 종업원 절도와 일반 절도가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절도가 자주 일어나는 장소로는 선물가게, 인형가게, 안경집, 편의점, 세일 점포, 스포츠 용품, 백화점, 약국, 슈 퍼마켓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유추할 수 있는 점은 절도가 자주 일어나는 장소는 대부분 작은 상품이 많은 곳이며, 이는 다시말해 주머니에 쉽게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상품이 많은 곳이 절도로 인한 손실도 많이 발생한다는 뜻이다.
매장에서의 절도는 대부분 환경적인 영향이 크다. 하지만 반대로 조금만 신경 쓸 경우 가장 큰 요소인 ‘훔치기 쉬운 환경’만큼은 막을 수 있다. 이것을 절도 방지 또는 손실 방지(Loss Prevention)라 한다.
한편, 아무리 중소매장이라고 해도 판매시점관리(Point of Sales; 이하, 'POS' 라 한다) 단말기는 필요하다. 이것은 매장에서 판매와 동시에 품목, 가격, 수량 등의 유통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시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관리 단말기이다. POS 단말기은 상품 포장지에 인쇄 또는 부착된 고유 마크 또는 바코드를 판독기(즉, 스캐너)에 접촉함으로써 거래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고, 메인 컴퓨터를 통해 다수의 정보를 종합 관리하게 된다. 유통 업체는 거래정보를 토대로 수시로 매출 동향을 파악하며, 재고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잘 팔리는 상품의 진열을 확대하는 등 상품 관리 및 업무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POS 단말기에 상기 DVR 단말기 등과 같은 원격 장치들을 연결시켜 상품 관리를 통합으로 운영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POS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판매 시점 관리 단말기(즉, POS 단말기)의 운영 정보를 원격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스캐너(11)를 통해 입력된 상품에 대한 정보는 POS 단말기(10)로 전송되며, 상기 POS 단말기(10)에서는 해당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각종 외부 장치들(즉, 모니터(12), 프린터(14) 및 DVR(15) 등)로 출력시킨다. 예컨대, 상기 상품 정보를 프린터(14)로 전송하여 영수증 등을 출력시키며, 모니터(12)(예컨대, LED(Light Emmited Diode) 디스플레이 장치 등)로 전송하여 판매 가격 등의 정보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시키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POS 단말기(10) 내부에서 처리되는 판매 운영 정보의 전송 절차를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OS 단말기(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POS 단말기(10)는 POS 운영 프로그램(20),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21), RS232 드라이버(22), RS232 입출력 포트(2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20)은 POS 단말기(10) 상에서 거래정보의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로서, 판매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가공하여 판매와 관련된 거래 정보(예컨대, 판매 시간, 상품 정보, 가격 정보, 결제 정보 등)를 생성하고, 상기 운영 정보를 모니터(12), 프린터(14), 원격 장치(예컨대, DVR(15)) 등의 외부 장치들로 전송 처리하게 된다.
상기 OS 프로그램(21)은 상기 POS 단말기(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 체제로서 상기 POS 단말기(10)에 전용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고유의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이 사용되거나, 장비의 호환성을 위해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 프로그램(예컨대, 윈도우 XP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S232 드라이버(22)는 RS232 입출력 포트(23)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RS232 세부 정 보(description)를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23)에 제공함으로써 RS232 통신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23)는 상기 RS232 드라이버(22)의 제어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RS232 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먼저 스캐너(11) 등에 의해 제품 정보가 입력되어 판매 처리가 수행되면,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20)은 상기 입력된 판매 처리 정보로부터 판매와 관련된 각종 거래 정보(예컨대, 결제 정보, 가격 정보, 상품 정보, 판매 시간 정보 등)를 생성하여 외부 장비들(즉, 모니터(12), 프린터(14)등)로의 전송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운영자가 작동하는 POS 운영 프로그램(20)에서 상기 영수증 프린터(14) 또는 모니터(12)(즉, LED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할 때, 해당 처리될 데이터를 OS 프로그램(21)에 의뢰하게 된다. 이때, 상기 OS 프로그램(21)은 상기 RS232 드라이버(22)로 하여금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23)를 제어 및 통신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상기 OS 프로그램(21)의 명령에 따라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23)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14) 또는 모니터(12) 내의 RS232 입출력 포트(미도시)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중간의 피복을 벗겨 별도의 RS232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분배기(130)를 사용함으로써 원격 장비(예컨대, DVR(15))의 RS232 입출력 포트(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영수증 프린터(14) 또는 모니터(12)와 상기 원격 장비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POS 단말기를 감시하기 위해서 DVR과 같은 원격 장비들을 상기 POS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감시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20) 및 상기 원격 장비(예컨대, DVR)의 양 제품 간에 사전 통신 규약을 하여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POS 운영 프로그램(20)이 RS232 통신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송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미 사용중인 POS 프로그램들을 고가의 새로운 소프트웨어로 교체해야하는 부담감이 따르게 된다.
더하여, 복수의 POS 관리 모듈이 사용되는 매장이나, 대기업 매장이 중소매장을 흡수하여 기존 대기업 매장과 중소기업 매장이 사용하던 POS 단말기가 지원하는 포맷이 서로 달라 이기종간의 POS 관리 모듈을 동시에 관리하는데 있어서, 상품 품목이나 가격정책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여 혼선이 발생하며, POS 단말기 상호간에 있어서 서로 다른 통신규약을 지원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더불어 중앙 집중식 통합관리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POS 단말기의 기종변경을 통한 통일화 작업으로 이루어지며 비용과 시간면에서 상당한 지연 및 손해를 초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OS 단말기 사이에서도 표준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으로부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은 더욱 큰 어려움이 있어, 결국 절도 방지를 위해 상기 POS 단말기와 별도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서 EAS(Electronic Aricle Surveillance) 시스템과 CCTV(Closed Circuit TV)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도 POS로부터 발생된 상기 거래정보와는 무관하게 따로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밖에 없으므로, CCTV로부터 의심스러운 행동이 발견된 경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POS 생성한 수많은 거래정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별하여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하여야 한다. 결국, 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커서 실제 상황에서 직원이나 일반 절도에 대해 대응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완벽한 감시를 위해 보안관리자를 증가시킬 수도 없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절도 방지 시스템은 설치비용이 고가여서 예산과 보안관리자가 부족한 중소매장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설치되었거나 앞으로 설치할 POS 단말기의 정보를 쉽게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이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와 결합한 효율적인 절도 방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POS 단말기의 프로토콜이나 소스의 변경 없이 USB, RS232, RS485의 등을 이용하는 특정 디바이스의 POS 거래정보를 중간에서 획득하여 네트웍을 통해 전달하고, 전달된 거래정보를 영상과 함께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필요시 POS 장비에서 발생되는 거래정보의 사실 여부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POS 거래정보를 중간에서 획득하는 것을 통해, 서로 다른 회사나 매장의 상호 호환되지 않는 POS 단말기간에도 상기 획득된 거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간 시스템에서 공유하고 영상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한 절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은 상품에 대한 거래정보를 생성하여, RS232 통신으로 연결된 장치들로 전달하는 POS 단말기와, 상기 POS 단말기에 설치되어 후킹방식으로 상기 RS232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거래정보를 획득한 후 패킷으로 변환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POS 단말 설치부와, 상기 POS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영상정보를 생성하는 DVR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POS 단말기 및 DVR과 연결되며, 상기 POS 설치부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텍스트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코드를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로 파싱하여 단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POS 단말기별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 상기 DVR이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시점의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POS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텍스트코드는 ASCII 코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패킷은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고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POS 단말기를 식별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표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OS 단말기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거래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들로 전송 처리하는 POS 운영 프로그램과, 상기 POS 운영프로그램으로부터 RS232 통신 방식으로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나 프린터로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텍스트코드로 출력하는 표준 API와,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이 상기 표준 API로 전송하는 거래정보를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과 표준 API 사이에서 후킹하는 후킹부와, 상기 후킹부가 후킹한 거래정보를 패킷화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상기 POS 관리 모듈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정보는 상품에 대한 명칭정보, 가격정보, 거래시간정보, 결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이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기설정된 표준정보와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와,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텍스트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코드를 상기 단위정보로 파싱하며,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파싱부와, 상기 결산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파싱부로부터 수신된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B부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VR로부터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와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산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위정보는 거래취소, 가격변경 또는 반품에 대한 거래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코드가 상기 거래종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DB부는 상기 POS 단말기의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표준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시트와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OS별 설정부와, 상기 POS 단말기가 사용되는 매장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DB부와, 상기 POS 단말기를 통해 상품결제를 수행하는 시간대별 담당계산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계산원 DB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상여부는 상기 상품 DB부에 포함된 가격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 상기 POS별 설정부에 저장된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과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을 벗어나 거래되었는지 여부, 상기 단위정보가 상기 파싱부를 통해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상품 DB부에 저장된 가격정보를 근거로 상품의 수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결산정보 생성시 계산한 결제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B부의 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계산원 DB부로부터 상기 거래시간정보에 배치된 계산원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시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덱스파일에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시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거래정보를 TCP/IP 방식에 따른 패킷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POS 단말기 및 상기 POS 단말기를 감시하는 카메라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DVR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POS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POS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은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인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와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와, 상기 POS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TCP/IP 방식으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텍스트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텍스트 코드를 파싱하여 상기 단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를 생성하는 파싱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파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상기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VR로부터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의 일치여부를 근거로 상기 결산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위정보는 거래취소, 가격변경 또는 반품에 대한 거래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코드가 상기 거래종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정보는 상품에 대한 명칭정보, 가격정보, 거래시간정보, 결 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DB부는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시트와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OS별 설정부와, 상기 POS 단말기가 사용되는 매장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DB부와, 상기 POS 단말기를 통해 상품결제를 수행하는 시간대별 담당계산원에 대한 계산원정보가 저장된 계산원 DB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상여부는 상기 DB부에 포함된 가격정보와 상기 가격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단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 상기 DB부에 설정된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과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을 벗어나 거래되었는지 여부, 상기 단위정보가 상기 파싱부를 통해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DB부에 저장된 가격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수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계산한 결제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상기 표준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B부의 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계산원 DB부로부터 상기 거래시간정보에 대응되는 계산원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시 생성하는 링크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덱스파일에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 관리 방법은, POS 단말기가 스캐너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POS 단말기내의 후킹 모듈이 표준 API를 통해 외부장치로 상기 거래정보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는 제 1단계와, 상기 POS 단말기가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후킹한 상기 거래정보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POS 단말기와 TCP/IP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POS 관리 모듈이 상기 POS 단말기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패킷을 상품에 대하여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정보로 파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는 제 4단계와, 상기 POS 관리 모듈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DVR이 상기 POS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 5단계와,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 상기 DVR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시점의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위정보는 ASCII 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패킷은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 또는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고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POS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표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정보는 명칭정보, 가격정보, 거래시간정보, 결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POS 관리 모듈의 DB에 저장된 상기 가격정보와 상기 가격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단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 상기 DB에 기설정된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과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을 벗어나 거래되었는지 여부, 상기 단위정보가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DB에 저장된 가격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수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계산한 결제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표준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B부의 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며,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DB부로부터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거래시간정보에 대응하는 계산원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단위정보는 거래취소, 가격변경 또는 반품에 대한 거래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텍스트 코드에 상기 거래종류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만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시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덱스파일에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은 상품 판매 시점에서 결제가 이루어질 때, DVR 등을 통한 효과적인 감시가 수행될 수 있으며, 결제에 대한 정보와 결제 시점에서의 영상 데이터 클립을 서로 매칭시켜 판매과정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거래내역에 대응되는 상기 판매시점의 영상을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과 동시에 추후 책임소재를 가리기 위한 증거자료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정보처리 체계를 지원하는 복수의 POS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POS 단말기가 표준 API를 통해 거래정보를 외부장치로 출력하기 이전에 거래정보를 후킹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모듈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용이하게 TCP/IP를 통해 상기 POS 단말기를 관리하는 POS 관리 모듈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POS 관리 모듈을 통한 중앙 집중 감시 체계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은 상기 POS별 정보처리 체계를 통합하는 표준정보를 기설정하여, 다수의 POS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거래정보를 표준화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거래정보와 상기 POS 관리 모듈의 DB에 저장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여 다수의 POS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상상황을 중앙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책임소재가 있는 계산원의 정보와 해당 계산원의 영상정보를 상기 표준화된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명확한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거래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을 통해 생성된 링크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정보 뿐만 아니라 계산원별, 이상여부가 발생한 정보별로 상기 거래정보와 영상정보를 문제사항을 식별할 수 있는 보안 평가 서비스 등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니터, 프린터와 RS232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되며 TCP/IP 통신을 지원하는 POS 단말기(100)와, 상기 POS 단말기(100)와 TCP/IP 통신 방식으로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POS 단말기(100)가 설치된 판매계산대를 감시하는 카메라(310)를 제어하는 DVR(300) 및 상기 DVR(300)과 POS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영상정보와 거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POS 관리 모듈(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OS 관리모듈(2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R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CP/IP 통신 방식으로 LAN 케이블을 통해 DVR과 POS 단말기을 매개하는 서버로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POS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POS 운영 프로그램(110)은 자신과 PS/2 방식으로 연결된 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상품과 관련된 거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의 종류(반품, 거래취소, 가격변경 등), 거래시간, 상품정보, 가격정보, 결제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100)은 표준 API(130)를 통해 상기 POS 단말기(100)와 연결된 모니터 및 프린터와 같은 외부기기의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텍스트코드로 출력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POS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POS 운영 프로그램(110)이 상품 관련 거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준 API를 통해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여 TCP/IP 방식으로 외부장치에 상기 거래정보를 송신하는 별도의 POS 단말 설치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POS 단말 설치부(120)는 상기 거래정보의 외부출력을 위해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110)이 상기 표준 API(120)를 호출하기 이전에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여 패킷으로 변환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OS 단말 설치부(120)는 패킷화된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POS 관 리 모듈(200)에 전달하고,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거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DVR(300)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와 매칭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은 상기 거래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생성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거래정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인덱스 파일을 호출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한 거래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상기 POS 단말기 및 내부에 설치되는 POS 단말 설치부의 기능을 상세히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S 운영 프로그램(110)이 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상품의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POS 단말 설치부(120)에게 전송된다.
상기 POS 단말 설치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는 후킹부(121)와, 상기 후킹된 거래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패킷 형태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변환부(1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후킹부(121)는 상기 POS 단말기(100)에 의해 거래정보가 모니터 및 프린터 등의 외부기기에 출력될 수 있도록 표준 API 방식으로 전송될 때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여 거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변환부(12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변환부(122)는 상기 후킹부(121)가 제공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패킷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준 API(130)는 RS232 통신을 위해 RS232 관련 포트가 포함된 입출력 포트(140)를 제어하기 위한 RS232 드라이버(131)를 포함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한 후 모니터(150) 및 프린터(160)와 같은 외부기기에 출력할 수 있는데, 상기 네트워크 변환부(122)의 TCP/IP 통신방식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입출력 포트(140)에 포함된 LAN 포트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123)가 상기 표준 API(130)에 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변환부(122)는 상기 패킷화된 거래정보를 표준 API(130)를 호출하여 TCP/IP 방식으로 상기 입출력 포트(1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버(123)는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110)을 통한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표준 API(130)에 부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플랫폼의 특정 변경 없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S232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POS 단말기(100) 뿐만 아니라 USB,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POS 단말기의 경우에도 상술한 방식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후킹부(121)는 상기 네트워크 변환부(122)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에 POS 고유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POS 고유정보는 상기 POS 단말기(100)의 MAC 주소 또는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POS의 고유정보를 통해,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은 자신의 네트워크 포트에 복수의 서로 다른 POS 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의 중앙 집중 관리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POS 고유정보를 근거로 패킷을 전송한 POS 단말기(1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DVR(300)이 지원하는 TCP/IP 입출력 포트와 연동하여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버형태로 상기 POS 단말기(100)와 DVR(300)이 제공하는 거래정보 및 영상정보를 중간에서 획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OS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패킷형태의 거래정보는 상기 POS 관리 모듈(200)에 제공되며,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은 상기 거래정보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POS 단말기(100)와 별도로 자체 결산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산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상기 DVR(300)이 획득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절도 방지를 위한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도 5에 도시된 상기 POS 관리 모듈의 구성도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POS 관리 모듈(200)은 상기 도 3(a)에 구성된 것과 같이 상기 DVR (300) 내부에 설치된 형태로서, 상기 POS 관리모듈(200)은 파싱부(210), DB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DVR은 카메라(310)와 영상처리부(320) 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POS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는 TCP/IP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미도시)가 포함된 상기 파싱부(210)에 전송되며, 상기 파싱부(210)는 상기 패킷으로부터 거래정보가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코드를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인 단위정보로 파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래정보로부터 추출된 코드는 텍스트 코드로서, 상기 텍스트 코드를 파싱하여 생성된 상기 단위정보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거래종류(반품, 할인, 거래취소, 가격변경 등)정보, 거래시간정보, 상품명정보, 수량정보, 가격정보, 결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이며, 역시 문자코드와 숫자코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코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POS 단말기(100)를 관리하는 경우 상기 POS 단말기(100) 내에서 사용하는 상기 단위정보의 포맷이 서로 달라 상기 단위정보를 일괄처리 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상품명정보는 상기 POS 단말기(100)에 규정된 상품의 명칭에 따른 것이어서, 상기 POS 관리 모듈(200)에 의한 통합관리의 어려움을 배가시키는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POS 단말기(100)별로 제공하는 상이한 단위정보를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이 일괄처리 하기 위해, 상기 파싱부는 상기 POS 단말기(200)별로 상기 POS 단말기가 사용하는 단위정보에 매칭되는 표준 단위정보가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단위정보를 표준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DB부(220)는 상기 POS 단말기(100)별로 상기 표준정보가 저장된 POS별 설정부(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싱부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상기 POS 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통해 수신된 단위정보에 해당하는 POS 단말기(100)를 식별하여 상기 POS별 설정부(221)로부터 상기 POS 단말기(100)에 해당하는 표준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정보는 데이터 시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싱부(210)는 상기 POS 단말기(100)에 의해 규정되는 단위정보를 상기 POS별 설정부(221)에 저장된 데이터 시트를 근거로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POS별 설정부(221)는 매장의 개점과 폐 점의 시간대에 대응하여 상기 POS 단말기(100)가 운영되는 시간에 대한 운영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운영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거래시간을 벗어난 거래시간정보가 생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DB부(220)는 상기 POS 단말기(100)에 의해 전송되는 단위정보와 별도로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DB부(222)와, 상기 POS 단말기(100)를 통해 상품결제를 수행하는 시간대별 담당계산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계산원 DB부(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싱부(210)는 상기 단위정보를 표준화하여 생성된 표준 단위정보와 함께 상기 상품 DB부(222)의 가격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더불어, 상기 파싱부(210)는 상기 계산원 DB부(223)를 통해 상기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을 근거로 해당 거래시간에 대응되는 계산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2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POS 단말기(100)와 별도로 자체 결산처리를 수행하며, 결산처리 과정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상기 DB부(22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판단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결산처리하여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상기 DB부(220)에 저장된 표준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산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결산처리 처리 과정에서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의 외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와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 음향 등을 출력하여 상기 POS 관리 모듈을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이상여부를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OS 단말기(100)의 운영 프로그램에 표준 API를 통해 외부 장치로 경고 메시지나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230)가 TCP/IP 방식으로 연결된 POS 단말기에 결산정보에 이상이 발생한 POS 단말기(100)에 상기 경고메시지나 음향의 제어명령에 대한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계산원에 대하여도 상기 이상여부를 인지시킬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은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를 실시간으로 매칭하여 링크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비교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상여부는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DB부(220)에 저장된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제어부(230)가 단위정보에 포함된 상품이 상기 DB부(220)에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상품인지 또는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POS별 설정부(221)의 운용정보를 근거로 상기 POS 단말기(100)의 운용시간을 벗어난 거래시간이 생성되는지 또는 상기 제어부(230)가 단위정보에 포함된 POS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의 가격정보가 상기 상품 DB부(222)에 기설정된 가격정보와 상이한지 또는 상기 제어부(230)가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상기 DB부(220)의 가격정보를 근거로 계산한 최종결제정보가 상이한지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상상황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DB부(220)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상품인지에 대한 여부는 상기 파싱부(210)가 상기 POS별 설정부(221)를 근거로 단위정보에 대한 표준 단위정보로의 표준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상기 파싱부가 제공하는 에러코드를 통해 상기 제어부(230)가 판단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의 이상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최종 생성된 결산정보와 별도로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파싱부(210)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통해 비정상적인 거래정보가 생성되던 시점의 계산원 정보를 포함시키거나, 상기 제어부(230)가 비정상적인 거래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DB부(220)로부터 해당 거래정보에 대한 계산원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정상적인 거래정보가 생성되던 시점의 절도가 의심되거나 비정상적인 반품거래에 책임이 있는 계산원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POS 관리 모듈(200)에 구성된 통신수단과 TCP/IP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거래정보가 생성된 POS 단말기(100)에 대응하여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320)를 포함하는 DVR(300)로부터 상기 거래정보가 생성된 시점의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클립을 수신하여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시점비교를 통해 매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30)는 하나의 결산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표준 단위정보의 시점과 종점을 획득하 고, 상기 데이터클립에 포함된 영상정보의 시간 중 상기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상기 시점과 종점 사이에 위치한 상기 영상정보를 링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에 대한 링크 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로서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 입력되는 정보의 매칭정보를 지속적으로 인덱스파일에 기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이하게 원하는 시점의 거래정보와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POS 관리 모듈이 DVR 내부에 구성되는 경우가 아닌 외부 DVR과 POS 단말기를 연계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DVR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DVR을 TCP/IP 통신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외부 DVR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는 외부 DVR에 연결된 카메라의 PAN/TILT 조절이나, 카메라의 회동, 확대이미지의 캡쳐와 같은 동작에 대한 제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모듈의 프로세스 과정을 도 6 내지 7을 통해 살펴보면, 우선 상기 POS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패킷(A)은 도 6과 같이 제어코드와 텍스트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이 상기 표준 API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의 기능과 연관이 없기 때문에 상기 파싱부의 파싱을 통해 분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코드는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이 표준 API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나 프린터에 실제 출력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상기 거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텍스트 코드는 상기 POS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나 프린터에 출력되는 숫자/영문자의 2바이트 문자로 이루어진 ASCII 코드로서, 문자와 숫자에 대한 코드가 혼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문자코드는 라인제어코드를 더하여 공백이나 엔터키에 대한 코드를 나타내어 하나의 상품 품목에 대한 결산 또는 특정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결산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라인제어코드를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텍스트 코드는 하나의 구매자에 대하여 구매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문자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후 설명하는 특정 구매자와의 거래에 따라 생성된 거래정보를 종합하여 하나의 거래군을 생성하고, 상기 거래군과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패킷 구성을 참고로, 도 7을 통해 상기 POS 관리 모듈이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거래정보 중 상품정보(Item1)와 가격정보(\700)(①)가 포함된 패킷이 상기 POS 단말기로부터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의 파싱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파싱부(210)는 분할부(211)와 변환부(2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부(211)는 상기 제어코드와 텍스트코드를 분리하여 상기 텍스트코드만을 획득한다. 이후, 상기 분할부(211)는 상기 텍스트코드를 의미를 가지는 최소한의 코드로 분할하여 상기 단위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변환부(2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부(211)는 패킷에 포함된 상기 POS 고유정보를 상기 단위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변환부(212)는 상기 POS 고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DB부(220)의 POS별 설정부(221)에 저장된 상기 POS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시트(224)를 호출하여(②, ③), 상기 데이터시트(224)를 근거로 상기 단위정보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③’)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후에 설명할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인덱스화하여 외부요청에 따른 검색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는 대상은 상품명칭이나 거래종류 등과 같은 문자코드에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복수의 POS 단말기가 서로 상이한 포맷을 지원하여 동일한 상품명칭이 서로 다르게 사용되는 것을 상기 POS 관리 모듈에서 통일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검색의 편이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시 숫자코드로 구성된 부분은 문자코드와 달리 별도의 표준화 진행 과정 없이 그대로 전송될 수 있으며, 비록 표준화 과정은 진행되지 않지만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변환부(212)는 상기 단위정보에 대한 표준단위정보로의 변환과정에서 데이터시트에 상기 단위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거나, 상기 단위정보에 매칭되는 표준 단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에러코드로서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환부(212)는 상기 상품 DB부(222)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와, 상기 계산원 DB부(223)로부터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 에 대응되는 상기 계산원 정보와, 상기 POS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표준 단위정보(③’)를 근거로 상기 상품 DB부(220)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각각 포함된 상품의 가격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트래픽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텍스트코드에 포함된 거래취소, 할인, 가격변경에 대한 정보 또는 도시된 'Ret'와 같은 반품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종류정보에 대한 표준 단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상품 DB부(220)로부터 상기 가격정보를 획득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가격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POS별 설정부(221)의 운영정보를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거래시간을 넘어서 거래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와 결산정보 생성 과정에서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상품을 상기 상품 DB부(222)의 상기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근거로 계산하여 생성된 최종결제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④, ⑤).
더하여,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변환부(212)로부터 수신한 상기 에러코드를 근거로 이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구매된 상품이 DB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30)는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③’)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③’)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결산 DB부(241)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결산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영상정보의 데이터클립과 매칭하여 대응되는 영상정보에 대한 링크정보를 상기 결산 DB부(241)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결산 DB부(241)에 저장되는 링크정보는 상품별, 거래시간별, 계산원별로 인덱스화하여 결산정보와 대응되는 영상정보가 매칭된 인덱스파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특정 구매자와 생성한 모든 거래정보에 대하여 거래시간의 시점과 종점을 근거로 거래군을 형성하여 거래군별로 인덱스화하여 대응되는 거래정보와 영상정보가 매칭된 인덱스파일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산정보가 상기 거래종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거래종류정보에 포함된 거래종류별로 인덱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인덱스파일을 통해 상기 POS 관리 모듈(200)과 연계되는 타 시스템을 통해 용이하게 검색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30)는 이상여부가 파악되는 결산정보에 대하여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덱스파일에 저장하여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만을 인덱스파일을 검색하여 대응되는 영상정보와 결산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어 타 시스템과 연계한 통합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어부(230)는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DB부(220)에 포함된 정보 중 이상이 발생한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함께 결산처리하여 생성된 결산정보를 상기 결산 DB 부(241)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DB부(220)의 계산원 DB부(223)로부터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거래시간에 해당되는 계산원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결산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상기 결산정보에 대하여 책임이 있는 계산원을 파악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230)는 상술한 이상여부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이상여부코드를 부가하여 상기 결산정보와 더불어 상기 이상여부코드를 제공함으로써 결산정보의 어떤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책임소재를 명확히 가리고 정확한 증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30)는 계산원정보를 인덱스 파일에 부가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상기 이상여부코드 또한 상기 인덱스파일에 부가하여 상기 이상여부코드별로 인덱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상기 POS 고유정보를 상기 DVR(300)에 전송하며, 상기 DVR(300)은 상기 POS 고유정보를 근거로 해당되는 POS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카메라(310)의 영상정보를 상기 POS 관리 모듈(200)의 저장부(240)에 포함된 감시영상 DB부(24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감시영상 DB부(242)에 결산정보(③’)와 더불어 상기 계산원 정보, 이상여부코드, POS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⑤’)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동시 제공함으로써, POS 단말기으로부터 제공된 거래정보와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최종 생성한 결 산정보의 불일치에 따라 자체적으로 이상상황을 파악하여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된 영상정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인덱스 파일의 거래시점을 근거로 해당되는 결산정보를 비교확인하여 이상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카메라에 모션 디텍팅 기능을 부가하여 구매자가 없는 경우에 거래정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를 이상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결산정보에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에 기설정된 특정 범위에 대한 디텍팅을 수행하여 물품이 놓여지는 위치에 물품에 대한 감지가 되지 않는 경우에 거래정보가 발생되는 것과 같이 카메라에 의한 디텍팅 기능을 통해 대응되는 결산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상여부를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DVR에 포함된 카메라의 디텍팅을 통한 이상상황 확인 방법에 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카메라(310)를 통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거래를 수행하는 구매자(500)와 계산원(400) 및 거래 대상 상품(600)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8(b)와 같이 POS 단말기(100)를 통해 거래정보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정보에는 구매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계산원(400)을 상기 영상정보가 획득된 시점을 상기 인덱스 파일을 근거로 검색하여 대응되는 결산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결산정보와 함께 제공된 부가정보를 통해 해당되는 계산원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정보를 통해 상기 POS 단말기(100)와 POS 관리 모듈이 최종 생성한 결산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수량은 2개인데, 영상정보에서 거래되는 상품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영상정보에 대응되는 결산정보와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계산원 정보를 획득하여 횡령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우선 POS 단말기가 상품에 대한 거래정보를 생성하여 표준 API를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외부장치로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POS 단말기 내에 설치된 후킹모듈이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여, 상기 후킹모듈과 연동하는 네트워크 모듈로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거래정보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TCP/IP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POS 관리 모듈로 상기 패킷을 전송하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패킷을 상품에 대한 상기 단위정보로 파싱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상기 단위정보를 표준 단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를 DB에 포함된 가격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지를 파악하고, 가격정보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결산처리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가격정보의 비교 이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가격정보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DB부의 가격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B로부터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계산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거래시간정보와 상기 DVR로부터 영상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모듈의 동작 순서에 대한 것으로서, POS 관리모듈이 POS 단말기가 생성한 거래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거래정보를 단위정보로 파싱하여 상술한 표준화 과정을 통해 표준 단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상기 거래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POS 관리 모듈에 포함된 DB부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품에 대응하는 표준 단위정보의 가격정보와 DB의 가격정보를 비교하거나, 표준 단위정보의 거래시간정보와 DB의 POS별 운영시간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표준 단위정보의 결제정보와 DB의 가격정보를 근거로 계산된 결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표준 단위정보와 DB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비교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코드를 부여하여 이상여부 종류를 구분할 수 있 다.
이후, 상기 POS 관리 모듈은 결산정보의 거래시간 정보와 DVR에서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데이터클립의 시간정보를 비교매칭하여 생성된 링크정보를 근거로 인덱스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인덱스 파일에 상기 코드를 부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준 단위정보와 DB의 정보 비교를 통해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결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링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래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POS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OS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OS 단말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모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OS 단말기가 전송하는 패킷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의 카메라를 이용한 디텍팅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OS 관리 모듈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POS 단말기 110: POS 운영 프로그램
120: POS 단말 설치부 121: 후킹부
122: 네트워크 변환부 123: 네트워크 드라이버
130: 표준 API 131: RS232 드라이버
140: 입출력 포트 150: 모니터
160: 프린터 200: POS 관리 모듈
210: 파싱부 211: 분할부
212: 변환부 220: DB부
221: POS별 설정부 222: 상품 DB부
223: 계산원 DB부 224: 데이터시트
230: 제어부 240: 저장부
241: 결산 DB부 242: 감시영상 DB부
300: DVR 310: 카메라
320: 영상처리부 400: 계산원
500: 구매자 600: 상품

Claims (30)

  1. 상품에 대한 거래정보를 생성하여, RS232 통신으로 연결된 장치들로 전달하는 POS 단말기;
    상기 POS 단말기에 설치되어 후킹방식으로 상기 RS232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거래정보를 획득한 후 패킷으로 변환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POS 단말 설치부;
    상기 POS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영상정보를 생성하는 DVR;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POS 단말기 및 DVR과 연결되며, 상기 POS 설치부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텍스트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코드를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로 파싱하여 단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POS 단말기별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 상기 DVR이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시점의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POS 관리 모듈
    을 포함한 POS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코드는 ASCII 코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고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POS 단말기를 식별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표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OS 단말기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거래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들로 전송 처리하는 POS 운영 프로그램;
    상기 POS 운영프로그램으로부터 RS232 통신 방식으로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RS232 입출력 포트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나 프린터로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텍스트코드로 출력하는 표준 API;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이 상기 표준 API로 전송하는 거래정보를 상기 POS 운영 프로그램과 표준 API 사이에서 후킹하는 후킹부; 및
    상기 후킹부가 후킹한 거래정보를 패킷화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상기 POS 관리 모듈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POS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상품에 대한 명칭정보, 가격정보, 거래시간정보, 결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기설정된 표준정보와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텍스트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코드를 상기 단위정보로 파싱하며,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파싱부;
    상기 결산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파싱부로부터 수신된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B부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VR로부터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와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산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거래취소, 가격변경 또는 반품에 대한 거래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코드가 상기 거래종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B부는
    상기 POS 단말기의 단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표준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시 트와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OS별 설정부;
    상기 POS 단말기가 사용되는 매장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DB부; 및
    상기 POS 단말기를 통해 상품결제를 수행하는 시간대별 담당계산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계산원 DB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상여부는
    상기 상품 DB부에 포함된 가격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 상기 POS별 설정부에 저장된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과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을 벗어나 거래되었는지 여부, 상기 단위정보가 상기 파싱부를 통해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상품 DB부에 저장된 가격정보를 근거로 상품의 수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결산정보 생성시 계산한 결제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B부의 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계산원 DB부로부터 상기 거래시간정보에 배치된 계산원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시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덱스파일에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3. 상품 구매시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거래정보를 TCP/IP 방식에 따른 패킷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POS 단말기 및 상기 POS 단말기를 감시하는 카 메라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DVR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POS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POS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인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와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
    상기 POS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TCP/IP 방식으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텍스트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텍스트 코드를 파싱하여 상기 단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를 생성하는 파싱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파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표준 단위정보와 상기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VR로부터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의 일치여부를 근거로 상기 결산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POS 관리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코드는 ASCII 코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거래취소, 가격변경 또는 반품에 대한 거래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코드가 상기 거래종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상품에 대한 명칭정보, 가격정보, 거래시간정보, 결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DB부는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시트와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OS별 설정부;
    상기 POS 단말기가 사용되는 매장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DB부; 및
    상기 POS 단말기를 통해 상품결제를 수행하는 시간대별 담당계산원에 대한 계산원정보가 저장된 계산원 DB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상여부는
    상기 DB부에 포함된 가격정보와 상기 가격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단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 상기 DB부에 설정된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과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을 벗어나 거래되었는지 여부, 상기 단위정보가 상기 파싱부를 통해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DB부에 저장된 가격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수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계산한 결제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상기 표준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B부의 정보와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거래시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계산원 DB부로부터 상기 거래시간정보에 대응되는 계산원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시 생성하는 링크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덱스파일에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22. POS 단말기가 스캐너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POS 단 말기내의 후킹 모듈이 표준 API를 통해 외부장치로 상기 거래정보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거래정보를 후킹하는 제 1단계;
    상기 POS 단말기가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후킹한 상기 거래정보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TCP/IP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POS 단말기와 TCP/IP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POS 관리 모듈이 상기 POS 단말기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패킷을 상품에 대하여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정보로 파싱하는 제 3단계;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단위정보를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표준정보에 따라 표준화하여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는 제 4단계;
    상기 POS 관리 모듈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DVR이 상기 POS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표준 단위정보에 포함된 거래시간정보와 상기 DVR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클립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시점의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POS 관리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ASCII 코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 또는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상기 POS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고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POS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단위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표준정보에 따라 상기 표준 단위정보로 표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명칭정보, 가격정보, 거래시간정보, 결제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POS 관리 모듈의 DB에 저장된 상기 가격정보와 상기 가격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단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 상기 DB에 기설정된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과 상기 거래시간정보를 비교 하여 상기 POS 단말기의 운영시간을 벗어나 거래되었는지 여부, 상기 단위정보가 표준 단위정보로 변환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DB에 저장된 가격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수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계산한 결제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 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결산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표준단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B부의 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며,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DB부로부터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거래시간정보에 대응하는 계산원정보를 상기 결산정보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보는 거래취소, 가격변경 또는 반품에 대한 거래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텍스트 코드에 상기 거래종류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만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29.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POS 관리 모듈이 상기 결산정보와 영상정보의 매칭시 상기 표준 단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인덱스화하여 인덱스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POS 관리 모듈은 상기 이상여부의 판단을 통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덱스파일에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관리 시스템.
KR1020090066084A 2009-07-20 2009-07-20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8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84A KR20110008649A (ko) 2009-07-20 2009-07-20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84A KR20110008649A (ko) 2009-07-20 2009-07-20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49A true KR20110008649A (ko) 2011-01-27

Family

ID=4361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84A KR20110008649A (ko) 2009-07-20 2009-07-20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64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019B1 (ko) * 2012-11-07 2014-05-27 이종선 상품 스캔을 위한 바코드를 등록/표시하는 pos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바코드 등록/표시 방법
KR101481527B1 (ko) * 2014-10-07 2015-01-14 주식회사 포인트시스템 Pos단말기에서의 cctv카메라 촬영 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WO2017142191A1 (ko) * 2016-02-16 2017-08-24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포스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상품거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2315A (ko) * 2016-03-31 2017-10-12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금전통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79761A1 (ko) * 2016-04-11 2017-10-19 이셀전자주식회사 비디오 텍스트 삽입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7679959A (zh) * 2017-10-12 2018-02-09 重庆铜山天询科技有限公司 一种节省占地空间的街边式无人超市
KR20180041866A (ko) * 2016-10-17 2018-04-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os 기기와 연동된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WO2018088579A1 (ko) * 2016-11-08 2018-05-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판매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00030044A (ko) * 2018-04-12 2020-03-19 (주)에어포스 유동인구 데이터와 pos데이터를 활용한 상권분석 빅데이터 시스템의 운영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019B1 (ko) * 2012-11-07 2014-05-27 이종선 상품 스캔을 위한 바코드를 등록/표시하는 pos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바코드 등록/표시 방법
KR101481527B1 (ko) * 2014-10-07 2015-01-14 주식회사 포인트시스템 Pos단말기에서의 cctv카메라 촬영 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WO2017142191A1 (ko) * 2016-02-16 2017-08-24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포스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상품거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2315A (ko) * 2016-03-31 2017-10-12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금전통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79761A1 (ko) * 2016-04-11 2017-10-19 이셀전자주식회사 비디오 텍스트 삽입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41866A (ko) * 2016-10-17 2018-04-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os 기기와 연동된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WO2018074627A1 (ko) * 2016-10-17 2018-04-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os 기기와 연동된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US11095803B2 (en) 2016-10-17 2021-08-17 Hanwha Techwin Co., Ltd. Camera linked with POS apparatus and surveillance method using the same
WO2018088579A1 (ko) * 2016-11-08 2018-05-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판매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US11501318B2 (en) 2016-11-08 2022-11-15 Hanwha Techwin Co., Ltd. Sales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CN107679959A (zh) * 2017-10-12 2018-02-09 重庆铜山天询科技有限公司 一种节省占地空间的街边式无人超市
KR20200030044A (ko) * 2018-04-12 2020-03-19 (주)에어포스 유동인구 데이터와 pos데이터를 활용한 상권분석 빅데이터 시스템의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8649A (ko) Po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2806B1 (ko) 재고관리 및 상품판매를 위한 스마트 진열대 및 스마트 진열대를 이용한 재고관리 및 상품 판매방법
CN100595804C (zh) 集成销售点和电子商品防盗数据的系统和方法
CN101685569B (zh) 集成的电子物品监视(eas)和销售点(pos)系统及方法
CN100511299C (zh) 使用便携式组合的电子商品监视系统和条码扫描器管理资产的系统和方法
US20140125800A1 (e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tagged item validation prior to deactivation
KR20190096922A (ko) 무인 상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97435A1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selling non-inventory items at point-of-sale (pos) locations
US119669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npaid items in retail store transactions
KR101599251B1 (ko) 중고 전자기기 보상 판매 방법
KR100817244B1 (ko) 포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EP30975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er deactivation of security elements
KR101481527B1 (ko) Pos단말기에서의 cctv카메라 촬영 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2014048977A (ja) 機器接続ユニットと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81991A (ko)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090227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transaction data of a pos device
JP2002145420A (ja) 棚卸し管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棚卸し管理システム
CN111178980B (zh) 行为识别方法和装置
KR101005049B1 (ko) Rfid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
JP7263850B2 (ja) 電子レシート管理装置、電子レシート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68550A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010051912A1 (en) Commodity ordering method and commodity ordering system
KR20010045437A (ko) 포스 시스템에서 상품의 가격정보 관리방법
KR100548842B1 (ko) 점포 관리 시스템 및 통신 장치
US20230360502A1 (en) Image based pos system for the fast food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