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052A -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052A
KR20110008052A KR1020107023705A KR20107023705A KR20110008052A KR 20110008052 A KR20110008052 A KR 20110008052A KR 1020107023705 A KR1020107023705 A KR 1020107023705A KR 20107023705 A KR20107023705 A KR 20107023705A KR 20110008052 A KR20110008052 A KR 2011000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nvex
cylinder portion
convex portions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와타나베
히데키 콘도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19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248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196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24864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 A61F13/266Insertion devices, e.g. rods or plungers, separate from the tamp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는 흡수체(4)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흡수체(4)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8)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7)가 마련된 외부통(2)과, 상기 파지통부(7) 내에 삽입되며 외부통(2) 내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수체(4)를 압출 개구(8)로부터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부통(3)을 구비한다. 상기 파지통부(7)의 둘레 방향의 전역에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가 형성되고, 이들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상기 내부통(3)의 파지통부(7)에의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7)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탐폰용 애플리케이터{APPLICATOR FOR TAMPON}
본 발명은, 흡수체를 수용하여 사용 시에 흡수체를 압출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는, 흡수체를 수용하는 외부통과, 외부통 내의 흡수체를 압출하는 내부통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외부통 및 내부통은,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내부통은 외부통 내로 이동하도록 조작된다. 이 조작에 의해 흡수체를 외부통으로부터 압출하도록 작용한다. 내부통의 이동 조작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 외부통에는 파지통부(把持筒部)(그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4에는, 파지통부의 개량에 관한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파지통부에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평평한 표면에 슬릿홈 등을 형성한 고마찰 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파지통부를 10 ㎜ 이내의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오목 부분에 10 ㎜ 미만의 높이의 볼록부를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파지통부에 대략 타원기둥 형상의 편평 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편평 형상 부분의 외주에 리브 형상 돌기를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4에서는, 파지통부를 대략 다각형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외주에 리브 형상 돌기를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04-532712 공보
특허 문헌 2: WO2005-0009312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화 제61-5482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화 제61-54823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는, 모두 파지통부(把持筒部)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출 성형 시의 이형(離型) 또는 분할형 사출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 파지통부의 부분은 언터컷 부위가 되기 때문에 주로 강제적으로 빼내고 있다. 강제적으로 빼내는 경우에는 성형품에 버어(burr)나 말려 올라감 등이 발생한다. 탐폰 사용 시에 이들 버어나 말려 올라감 등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간섭하기 때문에 불쾌감을 주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출 성형 시에 파지통부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시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는, 흡수체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가 마련된 외부통과, 상기 파지통부 내에 삽입되며 외부통 내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수체를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부통을 구비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통부의 둘레 방향의 전역에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들 환형 볼록부는, 상기 내부통의 파지통부에의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의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환형 볼록부가,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과 평행한 정상면과, 이 정상면의 상기 내부통 삽입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과, 정상면의 상기 흡수체의 수용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가 내려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환형 볼록부가, 정상면이 호(弧) 형상인 산 모양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통부의 환형 볼록부를 내부통의 파지통부에의 삽입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 시의 이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탐폰 사용 시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환형 볼록부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탐폰 사용 시의 힘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그 외에도, 종래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에 있어서는, 파지통부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의 감촉이 나빠, 손가락에 불쾌감을 주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에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 시에 불안감을 주고 있는 문제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서는, 파지통부의 감촉이 양호하고, 또한 미끄럼 방지용 부분이 확실하게 손가락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는, 흡수체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가 마련된 외부통과, 상기 파지통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통 내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수체를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부통을 구비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4부위로부터 기립하며, 상기 파지통부의 직경 방향 단면 형상이 정상부를 호 형상으로 하는 산 모양 형상의 4개의 볼록부와, 상기 각 볼록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기면부(基面部)로 이루어지는 볼록부열을 가지며, 상기 파지통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볼록부열이 복수 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복수 열의 볼록부열은, 상기 내부통의 파지통부에의 삽입측을 향하여 상기 볼록부의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복수 열의 볼록부열의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피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과 평행한 정상면과, 이 정상면의 상기 내부통 삽입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과, 정상면의 상기 흡수체의 수용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가 내려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통부에 형성한 볼록부열에 산 모양 형상의 볼록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감촉이 양호하다. 그 결과, 조작 시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볼록부를 둘레 방향의 4부위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볼록부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시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환형 볼록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환형 볼록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환형 볼록부의 경사부의 경사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1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1-B1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볼록부열에서의 볼록부 및 기면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볼록부열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볼록부열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볼록부열의 경사부의 경사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환형 볼록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환형 볼록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환형 볼록부의 경사면의 경사도(α)의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이 실시형태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1)는, 외부통(2)과 내부통(3)을 갖고 있다. 이들 외부통(2) 및 내부통(3)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에 의해 각각의 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통(2)의 내부에는 흡수체(4)가 수용되어 있다. 흡수체(4)에는 제거 끈(5)이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거 끈(5)은 흡수체(4)의 기단부로부터 내부통(3)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 삽입 관통 단부가 내부통(3)으로부터 나와 있다. 사용 중에 제거 끈(5)을 잡아당김으로써, 흡수체(4)를 체내로부터 빼낼 수 있다.
외부통(2)의 선단 부분은 직경이 큰 흡수체 수용통부(6)로 되어 있다. 외부통(2)의 기단 부분은 직경이 작은 파지통부(7)로 되어 있다. 파지통부(7)에는 내부통(3)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삽입된 내부통(3)의 선단면은 흡수체(4)에 면하고 있다. 흡수체 수용통부(6)의 선단 부분은 압출 개구로 되어 있다. 이 압출 개구에는 꽃잎체(8)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꽃잎체(8)는 평소에는 압출 개구의 가장자리부로 폐쇄되어 있으나, 내부통(3)에 의해 흡수체(4)가 압출될 때에 흡수체(4)에 의해 밀려 벌어져 개구된다. 이에 따라, 흡수체(4)가 흡수체 수용통부(6)로부터 압출되기 때문에 흡수체(4)를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파지통부(7)는, 이러한 내부통(3)의 이동 조작 시에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 부분이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통부(7)의 외주에는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통부(7)의 둘레 방향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서는 도중에 끊기는 일이 없는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함으로써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부호 15는 파지통부(7)에서의 내부통(3)의 삽입측에 형성된 걸림부이다. 걸림부(15)는, 환형 볼록부(11, 12, 13, 14)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5)는 인접하고 있는 환형 볼록부(14)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을 받아내는 것이다.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내부통(3)이 파지통부(7)에 삽입되는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7)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 수용통부(6)측의 환형 볼록부(11)의 직경이 가장 크고, 흡수체 수용통부(6)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즉 환형 볼록부(12, 13, 14)가 됨에 따라 직경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볼록부(11, 12, 13, 14)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정상부선(R)은 내부통(3)의 삽입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내부통(3)이 파지통부(7)에 삽입되는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7)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바꿔 말하면, 후술하는 압출 개구측을 향하여 파지통부(7)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볼록부(11, 12, 13, 14)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정상부선(R)은, 압출 개구측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로 되어 있다.
도 4는 환형 볼록부(11, 12, 13, 14)의 높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환형 볼록부(11)의 높이를 H11, 환형 볼록부(12)의 높이를 H12, 환형 볼록부(13)의 높이를 H13, 환형 볼록부(14)의 높이를 H14로 한 경우, H11>H12>H13>H14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H11=0.4 ㎜, H12=0.35 ㎜, H13=0.3 ㎜, H14=0.25 ㎜와 같이,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의 높이를 0.05 ㎜씩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환형 볼록부(11)의 높이(H11)는 0.1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1 ㎜의 범위에서 증감시킬 수 있고, 다른 환형 볼록부의 높이(H12, H13, H14)는, 이것보다도 순차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4에서, 화살표 K는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의 제거 방향이다. 이 제거 방향(K)을 따라 환형 볼록부(11, 12, 13, 14)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탈형 시에 강제적으로 빼낼 필요가 없어져, 강제적으로 빼내는 것에 기인한 버어나 말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간격)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4에서, P1은 흡수체 수용통부(6)의 기단부와 환형 볼록부(11) 사이의 피치, P2는 환형 볼록부(11)와 환형 볼록부(12) 사이의 피치, P3은 환형 볼록부(12)와 환형 볼록부(13) 사이의 피치, P4는 환형 볼록부(13)와 환형 볼록부(14) 사이의 피치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 P2와 P3, P3과 P4는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P2=2.5 ㎜, P3=2.0 ㎜, P4=2.5 ㎜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인접하고 있는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가 다르면, 인접하고 있지 않은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P2와 P4)는 동일해도 된다.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 사이에서의 피치의 값의 차이의 범위는, 0.2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3 ㎜가 양호하다. 피치의 값의 차이의 범위가 0.2 ㎜ 미만이면,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에 피치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피치의 값의 차이의 범위가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지통부(7)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흡수체 수용통부(6)와 환형 볼록부(11) 사이의 피치(P1)는, 파지통부(7)의 길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P1=3.0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통부(7)를 파지했을 때에, 양호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는, 축 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볼록부(11)[다른 환형 볼록부(12, 13, 14)도 마찬가지임]는, 정상면(11a)이 파지통부(7)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정상면(11a)으로부터는 수직면(11b) 및 경사면(11c)이 연달아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수직면(11b)은 정상면(11a)에서의 내부통(3)의 삽입측(도 5에서 우측)의 단부로부터 파지통부(7)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11c)은 정상면(11a)에서의 흡수체(4)의 수용측[흡수체 수용통부(6), 도 5에서 좌측]으로부터 파지통부(7)의 외주면을 향하여 내림 경사가 되어 형성된다.
환형 볼록부(11)에서의 정상면(11a)[다른 환형 볼록부(12, 13, 14)의 정상면도 마찬가지임]의 폭은 0.1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2 ㎜로 설정된다. 정상면(11a)의 폭이 이 범위를 일탈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의 이형 시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경사면(11c)의 내림 경사의 각도는, 흡수체 수용통부(6)의 높이와의 관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볼록부(11)의 높이를 흡수체 수용통부(6)의 높이의 절반으로 한 경우에는, 파지통부(7)의 외주면에 대한 경사면(11c)의 각도(α)는 5°∼80°,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11c)의 각도가 90°인 경우에는, 사출 성형의 이형 시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경사면(11c)의 각도는 다른 환형 볼록부(12, 13, 14)에 있어서도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환형 볼록부(11, 12, 13, 14)의 높이를 내부통(3)의 파지통부(7)의 삽입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탈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버어나 말려 올라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의 피치를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주는 걸림 감각을 높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립감이 향상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1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1-B1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볼록부열을 도시하는 도 9와 동일한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볼록부열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볼록부열의 볼록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볼록부의 경사면의 경사도(α1)의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통부(107)의 외주에는 복수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함으로써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부호 115는, 파지통부(107)에서의 내부통(103)의 삽입측에 형성된 걸림부이다. 걸림부(115)는 볼록부열(114)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을 받아내는 것이다.
각각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은, 4개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와, 4개의 기면부(基面部; 111b, 112b, 113b, 114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볼록부열(111) 부분에서의 직경 방향 단면을 도시하며, 다른 볼록부열(112, 113, 114)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볼록부열(111)의 4개의 볼록부(111a)는, 파지통부(107)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4부위로부터 기립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111a)는 둘레 방향을 4등분한 4부위로부터 기립하는 것이다. 볼록부(111a)는 정상부가 호 형상인 산 모양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상부가 호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손가락에의 매끄러운 감촉으로 할 수 있다. 기면부(111b)는 볼록부(111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기면부(111b)는 파지통부(107)의 외주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파지통부(107)는 원형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통부(107)의 외주면과 동일한 기면부(111b)도 볼록부(111a)와 마찬가지로 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열(111)의 전체가 매끄러운 감촉이 된다.
도 10은 볼록부열(111)에서의 볼록부(111a) 및 기면부(111b)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며, 다른 볼록부열(112, 113, 114)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볼록부(111a)에서의 정상부는, 파지통부(107)의 외면으로부터 0.1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1 ㎜의 범위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파지통부(107)의 직경은, 4 ㎜∼25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16 ㎜로 되어 있다.
도 10에서, 직선(M1)은, 파지통부(107)의 중심점(O)을 지나는 중심선이고, 직선(N11, N12)은 기면부(111b)의 폭, 즉 볼록부(111a)가 도중에 끊기고 있는 영역이다. 직선(N11, N12)은 중심선(M1)을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쪽의 직선(N11)과 중심선(M1)이 이루는 각도, 즉 하나의 기면부(111b)의 한쪽의 영역(Q1)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볼록부(111a) 및 기면부(111b)에 의해 볼록부열(111)을 형성함으로써, 매끄러운 감촉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에서의 이형 시에, 볼록부(111a)의 수지 재료의 일부가 기면부(111b)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볼록부(111a)에서의 버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이동 수지는, 탈형 후에 있어서는 원래[볼록부(111a)]대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또, 도 8에서는, 복수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에서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 및 기면부(111b, 112b, 113b, 114b)가 파지통부(107)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부위에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직경 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복수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는, 내부통(103)이 파지통부(107)에 삽입되는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107)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 수용통부(106)측의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의 직경이 가장 크고, 흡수체 수용통부(106)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즉 볼록부열(112, 113, 114)이 됨에 따라 볼록부(111a, 112a, 113a, 114a)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11a, 112a, 113a, 114a)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정상부선(R1)은 내부통(103)의 삽입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는, 내부통(103)이 파지통부(107)에 삽입되는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107)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바꿔 말하면, 압출 개구측을 향하여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11a, 112a, 113a, 114a)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정상부선(R1)은, 압출 개구측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로 되어 있다.
도 11은 볼록부열(111, 112, 113, 114)에서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의 높이를 비교하는 것이며,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의 높이를 H111, 볼록부열(112)의 볼록부(112a)의 높이를 H112, 볼록부열(113)의 볼록부(113a)의 높이를 H113, 볼록부열(114)의 볼록부(114a)의 높이를 H114로 한 경우, H111>H112>H113>H114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H111=0.4 ㎜, H112=0.35 ㎜, H113=0.3 ㎜, H114=0.25 ㎜와 같이, 인접하는 볼록부열의 높이를 0.05 ㎜씩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111a)의 높이(H111)는 0.1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1 ㎜의 범위에서 증감시킬 수 있고, 다른 볼록부(112a, 113a, 114a)의 높이(H112, H113, H114)는, 이것보다도 순차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11에서, 화살표 K1은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의 제거 방향이고, 이 제거 방향(K1)을 따라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탈형 시에 강제적으로 빼낼 필요가 없어져, 강제적으로 빼내는 것에 기인한 버어나 말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는, 인접하는 볼록부열 사이의 피치(간격)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11에서, P11은 흡수체 수용통부(106)의 기단부와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 사이의 피치, P12는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와 볼록부열(112)의 볼록부(112a) 사이의 피치, P13은 볼록부열(112)의 볼록부(112a)와 볼록부열(113)의 볼록부(113a) 사이의 피치, P14는 볼록부열(113)의 볼록부(113a)와 볼록부열(114)의 볼록부(114a) 사이의 피치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피치 P12와 P13, P13과 P14는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P12=2.5 ㎜, P13=2.0 ㎜, P14=2.5 ㎜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인접하고 있는 볼록부 사이의 피치가 다르면, 인접하고 있지 않은 볼록부열 사이의 피치(P12와 P14)는 동일해도 된다.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서의 피치의 값의 차이의 범위는, 0.2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3 ㎜가 양호하다. 피치의 값의 차이의 범위가 0.2 ㎜ 미만이면,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에 피치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고,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지통부(107)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흡수체 수용통부(106)와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 사이의 피치(P11)는, 파지통부(107)의 길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P11=3.0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볼록부열에서의 볼록부 사이의 피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통부(107)를 파지했을 때에, 양호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볼록부열(111, 112, 113, 114)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는, 축 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다른 볼록부열(112, 113, 114)의 볼록부도 마찬가지임]는, 정상면(111c)의 축 방향 단면이 파지통부(107)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정상면(111c)으로부터는 수직면(111d) 및 경사면(111e)이 연달아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수직면(111d)은 정상면(111c)에서의 내부통(103)의 삽입측(도 12에서 우측)의 단부로부터 파지통부(107)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111e)은 정상면(111c)에서의 흡수체(104)의 수용측[흡수체 수용통부(106), 도 12에서 좌측]으로부터 파지통부(107)의 외주면을 향하여 내림 경사가 되어 형성된다.
볼록부열(111)에서의 정상면(111c)[다른 볼록부열(112, 113, 114)의 볼록부의 정상면도 마찬가지임]의 폭은 0.1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2 ㎜로 설정된다. 정상면(111c)의 폭이 이 범위를 일탈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의 이형 시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경사면(111e)의 내림 경사의 각도는, 흡수체 수용통부(106)의 높이와의 관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열(111)의 볼록부(111a)의 높이를 흡수체 수용통부(106)의 높이의 절반으로 한 경우에는, 파지통부(107)의 외주면에 대한 경사면(111e)의 각도(α1)는 5°∼80°,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111e)의 각도가 90°인 경우에는, 사출 성형의 이형 시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경사면(111e)의 각도는 다른 볼록부열(112, 113, 114)의 볼록부(112a, 113a, 114a)에 있어서도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파지통부(107)에 형성한 볼록부열(111, 112, 113, 114)에 산 모양 형상의 볼록부(111a, 112a, 113a, 114a)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감촉이 양호하다. 그 결과, 조작 시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볼록부(111a, 112a, 113a, 114a)를 둘레 방향의 4부위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볼록부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시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8-081950호(2008년 3월 26일 출원) 및,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8-081964호(2008년 3월 26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 성형 시에 파지통부에 버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시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통부에 형성한 볼록부열에 산 모양 형상의 볼록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감촉이 양호하고, 조작 시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볼록부를 둘레 방향의 4부위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볼록부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어, 조작 시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8)

  1. 흡수체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把持筒部)가 마련된 외부통과, 상기 파지통부 내에 삽입되며 외부통 내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수체를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부통을 구비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축 방향을 따라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들 환형 볼록부는, 상기 내부통의 파지통부에의 삽입측을 향하여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열의 환형 볼록부의 인접하는 환형 볼록부 사이의 피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볼록부가,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과 평행한 정상면과, 이 정상면의 상기 내부통 삽입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과, 정상면의 상기 흡수체의 수용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가 내려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볼록부가, 정상면이 호(弧) 형상인 산 모양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5. 흡수체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가 마련된 외부통과, 상기 파지통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통 내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수체를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부통을 구비한 탐폰용 애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4부위로부터 기립하고, 상기 파지통부의 직경 방향 단면 형상이 정상부를 호 형상으로 하는 산 모양 형상의 4개의 볼록부와, 상기 각 볼록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기면부(基面部)로 이루어지는 볼록부열을 가지며, 상기 파지통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볼록부열이 복수 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열의 볼록부열은, 상기 내부통의 파지통부에의 삽입측을 향하여 상기 볼록부의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열의 볼록부열의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피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과 평행한 정상면과, 이 정상면의 상기 내부통 삽입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과, 정상면의 상기 흡수체의 수용측으로부터 파지통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가 내려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KR1020107023705A 2008-03-26 2009-03-26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KR20110008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1950A JP5224863B2 (ja) 2008-03-26 2008-03-26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JP-P-2008-081964 2008-03-26
JP2008081964A JP5224864B2 (ja) 2008-03-26 2008-03-26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JP-P-2008-081950 2008-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52A true KR20110008052A (ko) 2011-01-25

Family

ID=4111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705A KR20110008052A (ko) 2008-03-26 2009-03-26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144561A1 (ko)
EP (1) EP2266515A4 (ko)
KR (1) KR20110008052A (ko)
CN (1) CN102014830A (ko)
AU (1) AU2009229947A1 (ko)
CA (1) CA2719293A1 (ko)
TW (1) TWI475980B (ko)
WO (1) WO2009119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17064C2 (ru) * 2006-06-12 2011-04-27 Плейтекс Продактс, Инк. Аппликатор (варианты) и вкладыш тампона
JP5791310B2 (ja) * 2011-03-01 2015-10-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715993B2 (ja) * 2012-09-12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US10111786B2 (en) 2015-04-10 2018-10-30 First Quality Hygienic, Inc. Tampon applicator including beveled portion
USD787673S1 (en) 2015-11-09 2017-05-23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Telescoping plunger
USD772409S1 (en) 2015-11-09 2016-11-22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178A (en) * 1983-11-10 1985-08-20 International Playtex, Inc. Tampon applicator
JPS6154823A (ja) 1984-08-24 1986-03-19 株式会社東芝 電力系統安定化装置の制御装置
JPS6154822A (ja) 1984-08-27 1986-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電所内母線切換制御方法
GB2166656B (en) * 1984-11-10 1988-06-29 Kao Corp Tampon applicator
US4726805A (en) * 1986-06-26 1988-02-23 Tambrands Inc. Tampon applicator
US4960417A (en) * 1986-06-26 1990-10-02 Tambrands, Inc. Compact tampon applicator with improved interlock
US4846802A (en) * 1986-06-26 1989-07-11 Tambrands Inc. Tampon applicator
US5346534A (en) * 1990-09-12 1994-09-13 Baxter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treating an article with a volatile fluid
US5153971A (en) * 1991-11-26 1992-10-13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curved tampon
AU673812B2 (en) * 1992-01-13 1996-11-28 Tambrands, Inc. Tampon applicator
US5348534A (en) * 1992-11-06 1994-09-20 Tambrands Inc. Tampon applicator
US5279541A (en) * 1992-11-06 1994-01-18 Tambrands Inc. Tampon applicator
DE69306124T2 (de) * 1992-11-06 1997-03-13 Tambrands Inc Tamponapplikator
US5437628A (en) * 1993-11-10 1995-08-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urved tampon applicator having an improved fingergrip
US5433912A (en) * 1994-03-03 1995-07-18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arcuately-shaped hollow articles
US6416488B1 (en) * 1998-08-12 2002-07-09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with taped finger grip
US6423025B1 (en) * 2000-06-30 2002-07-23 Herve Buzot Catamenial applicator having a fingergrip
US6890324B1 (en) 2001-06-28 2005-05-10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US7798986B2 (en) * 2003-06-20 2010-09-21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barrels having gripp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US7081110B2 (en) 2003-07-17 2006-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having an indented fingergrip with raised portions
JP4249047B2 (ja) * 2004-01-30 2009-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JP2008081964A (ja) 2006-09-26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便器
JP2008081950A (ja) 2006-09-26 2008-04-10 Toyohisa Tanabe Rc造における外側型枠及びこの外側型枠を用いる建物の躯体構築方法
US20080228128A1 (en) * 2007-03-14 2008-09-18 Nancy Karapasha Applicator having an intermittent gripping structure
US8449491B2 (en) * 2009-06-22 2013-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having extended gripping form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4830A (zh) 2011-04-13
AU2009229947A1 (en) 2009-10-01
EP2266515A4 (en) 2013-01-09
TW201002282A (en) 2010-01-16
WO2009119717A1 (ja) 2009-10-01
EP2266515A1 (en) 2010-12-29
TWI475980B (zh) 2015-03-11
CA2719293A1 (en) 2009-10-01
US20110144561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8052A (ko)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EP1849446B1 (en) A tampon applicator
AU2001266901B2 (en) Tampon applicator having outwardly flared rim
US8002538B2 (en) Collapsible core assembly for a molding apparatus
CA2325669C (en) Applicator for tampons
US8221375B2 (en) Barrel for a tampon applic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US10111786B2 (en) Tampon applicator including beveled portion
US20220192893A1 (en) Tampon applicator with improved insertion tip
HU223373B1 (hu) Tampont felhelyező eszköz nők számára, higiéniai célokra
US20110238028A1 (en) Tampon with modified constricted withdrawal end
JP3725383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US20120204410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Tampon Applicator
US8372027B2 (en) Tampon applicator assembly
CN103717185A (zh) 止血塞用施放器
WO2009119597A1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224863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CN111093578A (zh) 卫生棉条施加器
WO2009119718A1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KR20160027115A (ko) 탐폰 어플리케이터 및 그 조립 방법
AU2004228005B2 (en) A barrel for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JPH0834194A (ja) 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CA2217282A1 (en) A thin walled tube having an internal rib
WO2004089242A9 (en) A barrel for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