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84U -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84U
KR20110007984U KR2020100001333U KR20100001333U KR20110007984U KR 20110007984 U KR20110007984 U KR 20110007984U KR 2020100001333 U KR2020100001333 U KR 2020100001333U KR 20100001333 U KR20100001333 U KR 20100001333U KR 20110007984 U KR20110007984 U KR 20110007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board
suspension
elastic body
presen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판
Original Assignee
신용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판 filed Critical 신용판
Priority to KR2020100001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984U/ko
Publication of KR20110007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2Elastic connections, e.g. inflat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통에 수용결합한 후 상기 개구부에 동체를 슬라이드 결합하여 상기 동체가 탄성체를 통해 상승하면서 벽체에 부착된 석고보드를 탄력적으로 받쳐 고정함으로써, 상기 석고보드의 정밀시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시공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석고보드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THE SUSPENSION FOR GYPSUM BOARD FIXING}
본 고안은 석고보드를 탄력적으로 받쳐 고정하기 위한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고보드는 불연성이면서 친환경소재로써 주로 내화나 단열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는 주로 일정한 규격의 육면체로 형성하여 벽체에 부착하여 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석고보드는 일면을 본드(Bond) 처리한 후 벽체에 부착시공하고 있으며,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면을 천정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벽돌 또는 버팀목 등으로 하단을 받치도록 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건축현장에는 석고보드를 받쳐 고정하기 위한 부자재인 벽돌 또는 버팀목 등이 널려 있으므로, 다수의 인부가 상기 석고보드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슬라브(Slab)와 석고보드 사이에 상기 벽돌 또는 버팀목 등을 집어넣어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받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정상태에서 3∼4시간이 경과 하면 석고보드의 일면에 도포한 본드가 경화됨으로써, 벽체와의 부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벽돌 또는 버팀목 등은 석고보드를 고정하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부자재에 불과할 뿐이어서 이로 인해 현장에서 석고보드의 시공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벽돌 또는 버팀목 등을 통해서는 석고보드의 정밀시공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슬라브와 석고보드 사이에 발생한 간격 대비 상기 벽돌 또는 버팀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벽돌이나 버팀목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두꺼운 종이를 넣어 보충하거나, 현장의 다른 부자재를 넣어 보충하는 것뿐으로, 이로 인해 시공작업의 불편함이 추가로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석고보드의 정밀시공을 가능토록 하고, 아울러 시공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한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승하여 벽체에 부착된 석고보드를 받쳐 고정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통해 몸통에 슬라이드 결합한 동체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체의 탄성 작용으로 인해 동체가 상승함에 따라 석고보드의 상면을 천정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석고보드의 시공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슬라브와 석고보드 사이에 일체화된 탄성체, 몸통 및 동체가 배치되어 상기 석고보드를 고정함으로써, 현장에서 석고보드를 받쳐 고정하기 위한 부자재를 찾기 위한 수고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인부들의 작업편의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통한 석고보드의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석고보드(1)의 시공작업시 정밀시공이 가능하고, 아울러 작업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탄성체(10), 이 탄성체(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몸통(20) 및 상기 탄성체(10)를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석고보드(1)를 받쳐 고정하는 동체(3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10)는 자체 탄성을 이용한 탄성 작용을 통해 석고보드(1)를 받치고 있는 동체(3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적용된 것을 그 실시 예로 보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 이와 균등한 판 스프링을 채택하거나 석고보드(1)의 무게에 따라 웨이브 스프링 등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몸통(20)은 상기 탄성체(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21)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제공되며, 석고보드(1)의 시공작업시 슬라브(2)에 하면이 밀착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통(20)은 전체적으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1)에 탄성체(10)를 수용하고,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2)에 동체(30)의 하부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몸통(20)은 통상 합성수지로 형성되나, 석고보드(1)의 무게를 감안하여 스테인리스(SUS)를 포함하는 금속소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재질에 관하여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동체(30)는 도 2 내지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개구부(22)를 통해 몸통(20)의 상부에 결합하게 되는데, 석고보드(1)를 받쳐 고정하는 과정에서 하강하여 탄성체(10)를 눌러 압축시키는 작용과, 이에 대한 상기 탄성체(10)의 반작용시 상기 석고보드(1)를 밀러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몸통(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본 고안은 몸통(20)의 양 측면에 가이드구멍(23)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체(30)에 핀홀(31)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몸통(20)의 외부에서 고정핀(32)을 가이드구멍(23)에 삽입하여 핀홀(31)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몸통(20)과 동체(30) 간의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동체(30)는 고정핀(32)에 의해 그 상승이 억제되어 몸통(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석고보드(1)의 고정시에는 상기 고정핀(32)이 가이드구멍(23)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불필요한 회전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인 서스펜션(100)을 통한 석고보드(1)의 시공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석고보드(1)의 일면에는 본드를 도포하여 벽체(3)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수의 인부가 석고보드(1)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벽체(3)에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석고보드(1)의 상면을 천정(4)에 밀착함에 따라 석고보드(1)와 슬라브(2)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이 틈에 본 고안인 서스펜션(100)을 밀어넣어 본드가 경화되기 위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석고보드(1)와 슬라브(2) 사이에 형성된 틈에 본 고안이 배치됨에 따라 동체(30)는 석고보드(1)의 하단을 받치는 형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동체(30)는 석고보드(1)의 하중에 의해 슬라이드 하강하면서 탄성체(10)를 압축하게 되며, 상기 탄성체(10)의 탄성 작용으로 인한 반작용으로 동체(30)가 상승하여 석고보드(1)를 천정(4)을 향해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석고보드(1)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면이 천정(4)에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놓이게 되어 본드가 경화되는 3∼4시간 동안 그 고정상태가 유지되는 정밀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석고보드(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슬라브(2) 위에 배관을 설치하는 난방공사를 시공하게 되고, 이 난방공사 후에는 시멘트 모르타르(Mortar)를 타설하게 되는데, 본 고안인 서스펜션(100)은 최종적으로 이 시멘트 모르타르(5)에 매립된다.
한편, 본 고안은 석고보드(1)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부받침대(34)와 상부받침대(33)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하부받침대(34)는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몸통(20)의 하부에 나사 조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부받침대(33)는 동체(30)의 상부에 나사 조립되어 설치된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하부받침대(34)와 상부받침대(33)는 각각 몸통(20)과 동체(30)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석고보드(1)를 받쳐 고정하는 과정에서 서스펜션(100)이 일 방향으로 쓰러지거나 상기 석고보드(1)의 받침상태가 불량해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석고보드(1)의 시공에 따른 작업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 - 석고보드 10 - 탄성체
20 - 몸통 21 - 수용공간
22 - 개구부 23 - 가이드구멍
30 - 동체 31 - 핀홀
32 - 고정핀 33 - 상부받침대
34 - 하부받침대

Claims (2)

  1.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승하여 벽체에 부착된 석고보드를 받쳐 고정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통해 몸통에 슬라이드 결합한 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하부에는 하부받침대가 설치되고, 동체의 상부에는 상부받침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KR2020100001333U 2010-02-05 2010-02-05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KR201100079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33U KR20110007984U (ko) 2010-02-05 2010-02-05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33U KR20110007984U (ko) 2010-02-05 2010-02-05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84U true KR20110007984U (ko) 2011-08-11

Family

ID=4559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33U KR20110007984U (ko) 2010-02-05 2010-02-05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9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223A (zh) * 2021-09-22 2021-11-16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Alc轻质隔墙板的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223A (zh) * 2021-09-22 2021-11-16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Alc轻质隔墙板的安装方法
CN113653223B (zh) * 2021-09-22 2022-09-06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Alc轻质隔墙板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339B2 (en) Method for making façades of buildings
JP5797815B1 (ja) 後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64354B1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JPWO2014112629A1 (ja) フロアパネル
KR100769582B1 (ko) 벽돌 패널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EP2327847A2 (en) Fixing system of a skirting
KR20110007984U (ko) 석고보드시공용 서스펜션
JP2018526547A (ja) 吊り天井構造の一部分を形成するための縁形材及び吊り天井構造
KR200485666Y1 (ko)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20080056935A (ko) 건식벽체의 런너 고정방법 및 런너 고정장치
KR100886078B1 (ko)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 및 하부런너 고정방법
KR100988270B1 (ko)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KR101512959B1 (ko) 건물 외벽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242243B1 (ko) 이형테이프를 포함하는 건축용 측면 차음/완충재 및 그시공방법
JP2018532917A5 (ko)
JP2017066771A (ja) 建築用パネル仮置き具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20100066959A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KR200437801Y1 (ko) 천장재용 받침틀
KR100653138B1 (ko)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CN111021592A (zh) 轻质砌体墙面承重家具构件的安装方法
KR100753617B1 (ko)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754933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조립체 상부 마감 유니트
KR10253215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레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