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87A -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87A
KR20110007687A KR1020090065252A KR20090065252A KR20110007687A KR 20110007687 A KR20110007687 A KR 20110007687A KR 1020090065252 A KR1020090065252 A KR 1020090065252A KR 20090065252 A KR20090065252 A KR 20090065252A KR 20110007687 A KR20110007687 A KR 2011000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solvent
acrylic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집
임용관
박주천
윤성하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명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687A/ko
Publication of KR2011000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가 가지는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극복하고 환경 친화적인 점착제를 생산하고자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공 시 가열도 하지 않으면서 용제형 점착제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고, 공정 중에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올리고머(Oligomer)를 합성하고 이렇게 합성된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 자외선(UV) 경화성을 갖는 자외선(UV) 경화형 올리고머를 합성한 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 부여 수지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를 합성함으로써, 기존 용제형 점착제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대기 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산 방법으로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고, 기존 용제 타입의 점착테이프의 물성에 비해 동등 이상의 점착력 및 내열특성을 보이며, 건조 공정 및 숙성 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점착 부여 수지, 친환경적 점착제,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점착력 우수, 내열특성 우수.

Description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of non-solvent UV hardening typ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가 가지는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극복하고 환경 친화적인 점착제를 생산하고자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공 시 가열도 하지 않으면서 용제형 점착제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고, 공정 중에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올리고머(Oligomer)를 합성하고 이렇게 합성된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 자외선(UV) 경화성을 갖는 자외선(UV) 경화형 올리고머를 합성한 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 부여 수지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를 합성함으로써, 기존 용 제형 점착제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대기 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산 방법으로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고, 기존 용제 타입의 점착테이프의 물성에 비해 동등 이상의 점착력 및 내열특성을 보이며, 건조 공정 및 숙성 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감압접착제, 즉 점착제는 접착제의 한 종류이며 작은 압력으로 피착제에 짧은 시간에 접착하는 점탄성적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포장용 테이프, 의료용 테이프, 마스킹 테이프, 라벨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점착제는 제조방법에 따라 용제형, 에멀젼형, 핫멜트형으로 나눌 수 있다. 유기용제 상에서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해 얻어지는 유기 용제형 점착제와, 고무와 각종 첨가제를 열에 의해 녹이고 이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핫 멜트형 점착제 그리고 물에서 아크릴 모노머를 에멀젼 중합법을 통해 중합하고 각종 첨가제와 배합하여 제조하는 에멀젼형 점착제로 분류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중 일반적으로 가장 흔하게 또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는 용제형 점착제이다. 용제형 점착제는 산업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투명성, 내열성, 내황변성, 내환경성 등 산업의 발전에 따라 요구되는 고기능 성의 점착제의 구현이 에멀젼형이나 핫 멜트형에 비해 비교적 쉽게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제형 점착제는 점착제 제조 과정 및 Coating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함량이 점착제 전체에 60 ~ 80%나 함유되어 있고, 이렇게 함유된 유기 용제는 점착제의 제조 공정 중에 휘발되고, 점착 가공 (Coating) 공정 중에 용제의 건조 공정 등을 거치면서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한다.
핫 멜트형 점착제는 유기용제나 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물성 조절이 용이하고 난 접착 소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점착 가공 시 초기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가열하여 용융 Coating 해야 함으로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또한 핫 멜트형의 경우 점착제를 필름(Film) 형태로 가공한 직후의 초기 점착력은 우수한 반면 내환경성이 매우 취약해 점착제 사용 중 시간이 경과 또는 자외선 등으로 인해 핫 멜트형 점착제를 구성하는 고무 성분의 열화로 점착제가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에 단점이 있고, 내열성 및 응집력이 다른 점착제에 비해 취약해 고온의 환경이나 응집력이 요구되는 용도로는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에멀젼형 점착제는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유기용제 대신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생산방식이기는 하지만, 공정 중에 세척 수 등으로 인한 폐수를 발생시킨다. 또한 점착 가공 시 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가해 주어야 하는 등 생산 공정이 까다롭다.
또한 에멀젼형 점착제의 경우, 점착제 제조 공정 중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종 점착 가공물(점착테이프)에도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며, 이렇게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는 점착제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점착제의 투명성이 저하되며, 정밀 가공품에 흔적을 남기는 등 고기능성 제품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아크릴 점착제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UV)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가 가지는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극복하고 환경 친화적인 점착제를 생산하고자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공 시 가열도 하지 않으면서 용제형 점착제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중에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올리고머(Oligomer)를 합성하고 이렇게 합성된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 자외선(UV) 경화성을 갖는 자외선(UV) 경화형 올리고머를 합성한 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 부여 수지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 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용제형 점착제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대기 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산 방법으로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용제 타입의 점착테이프의 물성에 비해 동등 이상의 점착력 및 내열특성을 보이며, 건조 공정 및 숙성 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은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 100 중량부와;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10~500 중량부와; 광개시제 1~1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 5~100중량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는 Bulk 중합법을 통해 합성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와, 상기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에 화학반응을 통해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자외선에 의한 반응이 가능하게 합성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의 조성은 주 모노머 중 비닐계 모노머 0.5~15 중량부와, 아크릴 모노머 중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 85~99.5중량부로 구성되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및 기능성 그룹을 함유하는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1~20 중량부와, 중합 개시제 0.2~5 중량부와, 분자량 조절제 0.1~5중량부로 구성되어지며, 그 분자량 범위는 5000~20만을 갖는 아크릴 조성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주 모노머로는 아크릴 모노머의 Side Chain에 결합된 탄소수가 1~14의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고, 상기 알킬의 탄소수가 1~14의 알킬은 지방족 및 방향족 알킬을 포함하는데, 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모노머로는 스티렌 및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그룹을 함유하는 모노머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 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AIBN을 대표되는 아조계, BPO로 대표되는 퍼옥사이드계, 아세탈계, 헤미아세탈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개시제를 생성하는 Redox계 개시제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도데실 머캡탄을 대포로 하는 티올계 화합물과 AMST를 대표로 하는 스티렌계 분자량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의 조성은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 100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1~0.5 중량부와, 촉매 0.001~0.5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0.5~2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하나의 분자내에 Isocyanate Group과 이중결합을 동시에 갖는 것이면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AOI-VM(2-isocyanatoethyl acrylate)와 MOI(2-isocyanatoethyl methacrylat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 또는 유기산과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주석계 화합물 및 유기 은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와, 기능성 모노머로 구분되며, 각각의 사용량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기능성 모노머 0.5~50 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 아크릴 모노머는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적어도 한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로는 벤조페논 및 아세토페논류의 케톤류와, 벤조인 에테르, 벤질, 벤질 케탈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터펜-페놀계 수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첨계 수지, 페놀계 수지, 자이렌계 수지, 알데하이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는 주 사슬에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와,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첨가제의 혼합물 형태로 구성되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로 기재 필름에 코팅한 후 자외선에 의해 아크릴 올리고머와,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 반응시켜 안정된 물성의 점착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력은 자외선 조사 후 1000 ~ 2500g/inc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조성물을 코팅하는 기재 필름은 부직포,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루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 비닐 아세톤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클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하여 Bulk 중합법을 통해 무용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단계(a)와;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이중 결합을 도입하여 이중결합의 도입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단계(b)와; 상기 이중결합의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c)와;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코팅하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고 점착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d);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가 가지는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극복하고 환경 친화적인 점착제를 생산하고자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공 시 가열도 하지 않으면서 용제형 점착제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공정 중에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올리고머(Oligomer)를 합성하고 이렇게 합성된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 자외선(UV) 경화성을 갖는 자외선(UV) 경화형 올리고머를 합성한 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 부여 수지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셋째, 본 발명은 기존 용제형 점착제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대기 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산 방법으로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은 기존 용제 타입의 점착테이프의 물성에 비해 동등 이상의 점착력 및 내열특성을 보이며, 건조 공정 및 숙성 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용제 형으로 제조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 아크릴 Monomer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 부여수지를 포함하는 첨가제등으로 구성되어진다.
먼저,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 조성물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는 Bulk 중합법을 통해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단계와; 이렇게 합성된 무용제 아 크릴 올리고머에 간단한 화학반응을 통해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자외선에 의한 반응이 가능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단계; 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조한 Bulk 중합법을 통해 제조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조성은 비닐계 모노머 및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로 구성되는 주 모노머 10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 모노머 중 비닐계 모노머 0.5~15 중량부, 아크릴 모노머 중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 85~99.5중량부로 구성되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및 Functional Group을 함유하는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1~20 중량부, 중합 개시제 0.2~5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1~5중량부로 구성되어지며, 그 분자량 범위는 5000~20만을 갖는 아크릴 조성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비닐계 모노머는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를 Bulk 중합을 통해 합성하는 과정에서 비닐계 모노머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저비점의 용제로 작용해 Bulk 반응의 점도를 조절하고 반응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0.5중량부 이하에서는 Bulk 중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며, 그 사용량이 15중량부 이상에서는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에 포함되는 비닐계 모노머의 함량이 과대해져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때 경화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Functional Group를 함유하는 모노머는 모노머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산 또는 히드록시 Group을 이용하여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를 합성한 후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이중결합을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이 1중량부 이하이면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이중결합을 도입하기가 매 우 어렵고 또 이중결합이 도입되었다고 하더라도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과정에서 경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사용량이 20중량부 이상에서는 이중결합의 도입량이 과도해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 경화도가 매우 높아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를 합성하기 위해 열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는 물질로 중합을 개시할 목적으로 사용되면 그 사용량이 0.2중량부 이하에서는 무용제 올리고머를 합성하기에 중합개시제 양이 과소해 중합을 완료 할 수 없으며, 그 사용량이 5중량부 이상에서는 중합을 완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서 5중량부 이상의 사용을 필요하지 않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무용제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분자량 조절제 분자의 연쇄이동 효과에 의해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0.1중량부 이하에서는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매우 커 목적하는 분자량 범위를 달성 할 수 없으며, 그 사용량이 5중량부 이상에서는 분자량이 매우 작아진다.
상기와 같은 Bulk 중합을 통해 합성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5000~20만으로 그 분자량이 5000 이하에서는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매우 작아 최종 무용제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여 점착 Film을 제조함에 있어 미경화가 일어나며, 그 분자량이 20만 이상에서는 최종 무용제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높아 취급이 곤란하다.
또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되어질 수 있는 아크릴 주 모노머로는 아크릴 모노머의 Side Chain에 결합된 탄소수가 1~14의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한다. 상기 알킬의 탄소수가 1~14의 알킬은 지방족 및 방향족 알킬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이외에 스티렌 및 비닐아세테이트과 같은 비닐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Functional Group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는 하이드록시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Functional Group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 등 분자내부에 이중결합을 함유해 라디칼 반응으로 고분자화 될 수 있으면서 카르복시 산 및 수산기를 함유하는 것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아크릴 올리고머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분자량 조절제로서 도데실 머캡탄을 대포로 하는 티올계 화합물과 AMST를 대표로 하는 스티렌계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중합개시제로는 AIBN을 대표되는 아조계, BPO로 대표되는 퍼옥사이드계, 아세탈계, 헤미아세탈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개시제를 생성하는 Redox계 개시제 등으로 열 또는 화학반응을 통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 올리고머의 합성 방법은 위에서 나타낸 한 가지 이상의 주 모노머 및 한 가지 이상의 Functional Group을 함유한 모노머를 Bulk 중합을 통한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합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올리고머 합성 완료 후 아크릴 올리고머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로 사용되는 것은 주 아크릴 모노머 혼합액으로 그 사용량은 주 모노머의 5~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의 구성은 앞서 합성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 100중량부, 중합금지제 0.001~0.5 중량부, 촉매 0.001~0.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0.5~20중량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중합금지제는 이중결합의 도입 반응 중 아크릴 올리고머에 결합된 이중결합이나 반응물로서의 이중결합이 중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중합 금지제의 사용량이 0.001중량부 이하에서는 그 성능을 발휘 할 수 없어 반응 중 중합의 위험이 크며 그 함량이 0.5중량부 이상에서는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킬 때 경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와 유기산 또는 히드록시 Group과의 반응을 촉진하고 반응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을 그 함량이 0.001중량부 이하에서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그 함량이 0.5중량부 이상에서는 반응액의 색상을 과도하게 진하게 하거나 부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는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그 함량이 0.5중량부 이하에서는 아크릴 올리고머에 도입되는 이중결합의 함량이 낮아져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킬 때 경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그 함량이 20중량부 이상에서는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에 존재하는 Functional의 양보다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많아져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에 자극성 취기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후에 첨가되는 아크릴 모노머 조성물과 반응하여 부반응 생성물을 생성함으로서 물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 아크릴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제조된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에 중합금지제, 촉매 및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 모노머를 부가하고 약 50~100℃의 온도로 5~10시간 교반함으로서 이중결합이 도입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중 결합의 도입 반응에 있어 서 그 온도가 50℃ 이하에서는 반응의 진행이 매우 느리고, 그 온도가 100℃ 이상에서는 도입되는 이중결합이 불안정해져 중합 반응이 진행할 우려가 매우 높다.
상기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 모노머로는 하나의 분자내에 Isocyanate Group과 아크릴계 이중결합을 동시에 갖는 것이면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Showa denko사의 AOI-VM(2-isocyanatoethyl acrylate)와 MOI(2-isocyanatoethyl methacrylate)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용제 자외선(UV) 경화 아크릴 올리고머를 합성함에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촉매로는 유기 주석계 호합물 및 유기 은계 화합물로 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 또는 유기산과의 반응을 촉진 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점착제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구체적은 조성은 앞서 제조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 100 중량부,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10~500 중량부, 광개시제 1~10 중량부, 점착 부여 수지 5~100중량부로 구성되어진다. 앞서 사용한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와 Functional 모노머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량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Functional 모노머 0.5~50 중량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은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와 함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됨으로서 점착제를 구성하는 중요 성분이면서 또한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10중량부 이하에서는 최종 무용제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높아져 Coating을 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고, 그 사용량이 500중량부 이상에서는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너무 높아 자외선에 의해 최종 무용제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 경화가 잘 되지 않는다.
상기 광개시제는 최종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자외선을 받아 라디칼을 형성하고 반응을 시작하는 물질로서, 그 함량이 1중량부 이하에서는 광중합이 잘 일어나지 않아 점착제가 경화되지 않으며, 그 사용량이 10중량부 이상에서는 최종 점착제 Film에 광개시제로 인한 취기 및 색상이 발생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아크릴 고분자만으로 발현하기 어려운 점착물성을 나타내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그 사용량이 5중량부 이하에서는 점착 부여제의 사용에 따른 물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그 사용량이 100 중량부 이상에서는 점착 부여제의 과다 사용을 인한 점착제의 Tack 및 점착력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크릴계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점착제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되는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의 구성 성분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와, Functional 아크릴 모노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 모노머로는 아크릴 모노머의 Side Chain에 결합된 탄소수가 1 ~ 14의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한다. 상기 알킬의 탄소 수가 1~ 14의 알킬은 지방족 및 방향족 알킬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Functional 모노머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 등 분자내부에 이중결합을 함유해 라디칼 반응으로 고분자화 될 수 있으면서 카르복시 산 및 수산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점착제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되는 광개시제의 종류는 벤조페논 및 아세토페논 류의 케톤 류와 벤조인, 벤조인 에테르, 벤질 및 벤질 케탈 등의 다양한 경화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Irgacure #184),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노폴리-프로판-1-온(2-methyl-1[4- (methy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 Irgacure #907),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α,α-methoxy-α-hydroxyacetophenone;Irgacure#651),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Irgacure#1173)를 들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점착제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종류는 터펜-페놀계 수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첨계 수지, 페놀계 수지, 자이렌계 수지, 알데하이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클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비닐아세테이트 을 사용하여 Bulk 중합법을 통해 무용제 아크릴계올리고머를 합성한다. 이후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이중결합의 도입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합성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조성은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 100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1~0.5 중량부와, 촉매 0.001~0.5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0.5~20중량부인 것이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하나의 분자내에 Isocyanate Group과 이중결합을 동시에 갖는 것이면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AOI-VM(2-isocyanatoethyl acrylate)와 MOI(2-isocyanatoethyl methacrylate)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 또는 유기산과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주석계 화합물 및 유기 은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이중결합의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후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코팅하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고 점착성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재 필름으로는 부직포,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루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 비닐 아세톤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또는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필름이 사용되며, 이를 사용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력은 자외선 조사 후 1000 ~ 2500g/inch 이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점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며, 터펜 페놀계, 로진 에스테르계, 알데하이드계, 페놀계, 석유계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제조예]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 제조예(O-1)>
부틸아크릴에이트 80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아크릴 산 2중량부를 원료로하여 100℃이상의 고온에서 Bulk 중합하여 공중합체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공중합체 아크릴 올리고머 100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 모노머로 AOI-VM 2 중량부, 중합금지제로 2,6-di-terbutyl-4-methyl-phenol 0.02 중량부, 촉매로 DBTDL 0.02중량부를 사용하여 이중결합이 부가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 제조예(O-2)>
부틸아크릴에이트 65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5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아크릴 산 2 중량부를 원료로하여 100℃이상의 고온에서 중합하여 공중합체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공중합체 아크릴 올리고머 100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 모노머로 AOI-VM 2 중량부, 중합금지제로 2,6-di-terbutyl-4-methyl-phenol 0.02 중량부, 촉매로 DBTDL 0.02중량부를 사용하여 이중결합이 부가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조성 예(M-1)>
부틸아크릴레이트 90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0.3중량부, 아크릴 산 12중량부이다.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조성 예(M-2)>
부틸아크릴레이트 90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0.3중량부, 아크릴 산 17중량부이다.
[실시예 1]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O-1) 70 중량% 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1) 30중량부, 터펜페놀 수지 20중량부 및 광개시제로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 hexylphenylketone; Igarcure 184)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탈포 후 25㎛ PET film에 60㎛도포, 자외선(UV) 조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테이프를 SUS와 PE 에 붙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1)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1)의 비율을 50:50 이외에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1) 70 중량부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2) 30중량부, 터펜페놀 수지 20중량부 및 광개시제로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 hexylphenyl ketone; Igarcure 184)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탈포 후 25㎛ PET film에 60㎛도포, 자외선(UV) 조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테이프를 SUS와 PE 에 붙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1)와, 모노머 배합 조성(M-2)물의 비율을 50:50 이외에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 다.
[실시예 5]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2) 70 중량부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1) 30중량부, 터펜페놀 수지 20중량부 및 광개시제로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Igarcure 184)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탈포 후 25㎛ PET film에 60㎛도포, 자외선(UV) 조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테이프를 SUS와 PE에 붙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2)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1)의 비율을 50:50 이외에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7]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2) 70 중량부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2) 30중량부, 터펜페놀 수지 20P 및 광개시제로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Igarcure 184)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탈포 후 25㎛ PET film에 60㎛도포, 자외선(UV) 조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테이프를 SUS와 PE에 붙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 자외선 반응형 올리고머(O-2)와, 모노머 배합 조성물(M-2)의 비율을 50:50 이외에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테이프를 제작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 다.
[테스트 방법]
제작한 점착테이프를 SUS와 PE에 1Kg의 roller를 이용하여 lamination한 후 20min 시간 경과 후 90° peel test를 진행하였고, 내열도의 경우 1Kg추를 사용하여 80℃, 1Hr동안 측정하였으며, 내열전사 역시 SUS 판에 부착 후 80℃ 온도에서 1Hr 동안 보관 후 전사 여부를 측정하였다. 또한 Peel 측정은 인장기를 이용하여 300㎜/min 속도로 측정하였다.
표 1.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점착력, 내열 및 인장특성의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점착력
(g/inch)
20min
SUS 1220
(PC)
1530
(PC)
1910 2650 1370 1740 1420 1990
PE 510
548 550 515 930 720(z) 905 380(Z)
내열전사
(80℃X1Hr)
PC No No No No No No No
COHESIVE
(80℃X1Hr)
N.C N.C N.C N.C N.C N.C 46min 51m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 흐름도.

Claims (20)

  1.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 100 중량부와;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10~500 중량부와; 광개시제 1~1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 5~100중량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는 Bulk 중합법을 통해 합성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와, 상기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에 화학반응을 통해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자외선에 의한 반응이 가능하게 합성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의 조성은 주 모노머 중 비닐계 모노머 0.5~15 중량부와, 아크릴 모노머 중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 85~99.5중량부로 구성되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및 기능성 그룹을 함유하는 한 가지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1~20 중량부와, 중합 개시제 0.2~5 중량부와, 분자량 조절제 0.1~5중량부로 구성되어지며, 그 분자량 범위는 5000~20만을 갖는 아크릴 조성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주 모노머로는 아크릴 모노머의 Side Chain에 결합된 탄소수가 1~14의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고, 상기 알킬의 탄소수가 1~14의 알킬은 지방족 및 방향족 알킬을 포함하는데, 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모노머로는 스티렌 및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그룹을 함유하는 모노머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AIBN을 대표되는 아조계, BPO로 대표되는 퍼옥사이드계, 아세탈계, 헤미아세탈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개시제를 생성하는 Redox계 개시제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도데실 머캡탄을 대포로 하는 티올계 화합물과 AMST를 대표로 하는 스티렌계 분자량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의 조성은 무용제 아크릴 올리고머 100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1~0.5 중량부와, 촉매 0.001~0.5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0.5~2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하나의 분자내에 Isocyanate Group과 이중결합을 동시에 갖는 것이면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AOI-VM(2-isocyanatoethyl acrylate)와 MOI(2-isocyanatoethyl methacrylat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 또는 유기산과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주석계 화합물 및 유기 은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와, 기능성 모노머로 구분되며, 각각의 사용량은 일반 아크릴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기능성 모노머 0.5~50 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아크릴 모노머는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 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적어도 한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로는 벤조페논 및 아세토페논류의 케톤류와, 벤조인 에테르, 벤질, 벤질 케탈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터펜-페놀계 수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첨계 수지, 페놀계 수지, 자이렌계 수지, 알데하이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조성물.
  17.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에 있어서,
    주 사슬에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와,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첨가제의 혼합물 형태로 구성되는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로 기재 필름에 코팅한 후 자외선에 의해 아크릴 올리고머와,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 반응시켜 안정된 물성의 점착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력은 자외선 조사 후 1000 ~ 2500g/inc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조성물을 코팅하는 기재 필름은 부직포,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루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 비닐 아세톤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20.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클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하여 Bulk 중합법을 통해 무용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단계(a)와;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이중결합의 도입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단계(b)와; 상기 이중결합의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광개시제 및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c)와; 상기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코팅하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고 점착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d);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 자외선(UV)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65252A 2009-07-17 2009-07-17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7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52A KR20110007687A (ko) 2009-07-17 2009-07-17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52A KR20110007687A (ko) 2009-07-17 2009-07-17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87A true KR20110007687A (ko) 2011-01-25

Family

ID=4361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52A KR20110007687A (ko) 2009-07-17 2009-07-17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68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58B1 (ko) * 2012-05-03 2014-06-1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광투명성과 내열성을 지닌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1474920B1 (ko) * 2013-05-29 2014-12-22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광투과성과 재박리성을 지닌 아크릴 점착제 및 그에 의한 점착시트
CN107207914A (zh) * 2015-01-21 2017-09-26 株式会社寺冈制作所 粘着片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粘着片的光学构件的制造方法
KR20170108190A (ko) *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CN108329867A (zh) * 2018-03-13 2018-07-27 惠州市飞世尔实业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贴合用热熔光固化型光学胶粘剂及制备方法
WO2019054778A1 (ko) * 2017-09-15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부재
KR20190054396A (ko) * 2017-11-13 2019-05-22 씨엔에이텍 주식회사 무용제 열중합 고기능성 점접착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3029A (ko) * 2018-12-13 2020-06-23 황진상 접착증진제를 포함한 자외선경화형 접착제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외선경화형 접착제 수지조성물
KR20210130613A (ko) * 2020-04-22 2021-11-01 도우성 접착력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점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84265B2 (en) 2017-09-15 2022-07-12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WO2022231753A1 (en) * 2021-04-29 2022-11-03 Canon Kabushiki Kaisha Photocurable composition
KR20230055677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켐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CN117229448A (zh) * 2023-10-16 2023-12-15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烫金用水性丙烯酸乳液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58B1 (ko) * 2012-05-03 2014-06-1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광투명성과 내열성을 지닌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1474920B1 (ko) * 2013-05-29 2014-12-22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광투과성과 재박리성을 지닌 아크릴 점착제 및 그에 의한 점착시트
CN107207914A (zh) * 2015-01-21 2017-09-26 株式会社寺冈制作所 粘着片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粘着片的光学构件的制造方法
KR20170108190A (ko) *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US11384265B2 (en) 2017-09-15 2022-07-12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WO2019054778A1 (ko) * 2017-09-15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부재
KR20190054396A (ko) * 2017-11-13 2019-05-22 씨엔에이텍 주식회사 무용제 열중합 고기능성 점접착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29867A (zh) * 2018-03-13 2018-07-27 惠州市飞世尔实业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贴合用热熔光固化型光学胶粘剂及制备方法
KR20200073029A (ko) * 2018-12-13 2020-06-23 황진상 접착증진제를 포함한 자외선경화형 접착제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외선경화형 접착제 수지조성물
KR20210130613A (ko) * 2020-04-22 2021-11-01 도우성 접착력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점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31753A1 (en) * 2021-04-29 2022-11-03 Canon Kabushiki Kaisha Photocurable composition
US20220363807A1 (en) * 2021-04-29 2022-11-17 Canon Kabushiki Kaisha Photocurable composition
US11753497B2 (en) 2021-04-29 2023-09-1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curable composition
TWI833173B (zh) * 2021-04-29 2024-02-2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光可固化組成物
KR20230055677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켐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CN117229448A (zh) * 2023-10-16 2023-12-15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烫金用水性丙烯酸乳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7687A (ko) 무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553082B (zh) 光學透明之雙固化黏合劑
JP5801514B1 (ja) 光硬化型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EP2545132B1 (en) Cationic uv-crosslinkable acrylic polymer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6188716B2 (ja) 接着テープ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から製造される接着テープ
KR101927012B1 (ko)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CN102449094B (zh) 紫外辐射可固化压敏丙烯酸类粘合剂
TWI596181B (zh) 黏著劑組成物
JP2021138959A (ja) 感圧接着剤
KR10203152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611033A (zh) 一种uv减粘胶
KR20170086514A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17104314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KR10140055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CN109294511B (zh) 一种适用于柔性基材粘接的uv固化胶黏剂
JP6461927B2 (ja) 粘着フィルム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TW201739883A (zh) 紫外線硬化型丙烯酸系聚合物及其製造方法以及紫外線硬化型熱熔接著劑
KR101243658B1 (ko) 점착부여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449649B (zh) 粘着剂及粘着片
KR20140099187A (ko)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20210098507A (ko) 폴리머를 접합하기 위한 경화 가능한 열-시일 접착제
CN106010319A (zh) 粘性薄板
KR20150110993A (ko)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6568864B2 (ja) 光重合による溶剤型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907910B1 (ko)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