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993A -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993A
KR20150110993A KR1020140034047A KR20140034047A KR20150110993A KR 20150110993 A KR20150110993 A KR 20150110993A KR 1020140034047 A KR1020140034047 A KR 1020140034047A KR 20140034047 A KR20140034047 A KR 20140034047A KR 20150110993 A KR20150110993 A KR 2015011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hoto
adhesive film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116B1 (ko
Inventor
김지혜
최홍준
라병호
최원구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3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1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2Polymerisation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내지 15,000,000 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LIGHT CURING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FILM AND ADHESIVE LAYER}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점착 필름은 전자 제품의 부품 간의 결합, 실내 인테리어용 부엌 가구 싱크대나 가구 등에 내장용품 또는 자동차 내·외장재의 접착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구성이 향상된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내지 15,000,000 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의 다분산지수(PDI)가 1.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벌크 중합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이 7 wt%로 한 경우, 광중합 후 점도가 25℃에서 5,000 cP 내지 40,000 cP 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는 광흡수 가능한 구조를 갖고, 광에 의해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함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질소 함유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개시제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계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필러, 계면활성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내구성이 개선된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3,000,000 내지 약 15,000,000 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3,000,000 내지 약 15,000,000의 고분자량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점착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는 광중합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준비한 뒤, 광조사하면 상기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가 광을 흡수하면서 중합반응을 개시하여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는 광흡수 가능한 구조를 갖고,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중합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개시제로 공지된 물질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열개시제 중에서도 광흡수 가능한 구조를 갖는 물질이라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는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계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광중합으로 합성하기 때문에,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벌크 중합으로 진행하여 중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벌크 중합으로 광중합하면 으로 합성하기 때문에,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의 다분산지수 (polydispersity index, PDI, PDI = Mw(중량 평균 분자량)/Mn(수 평균 분자량))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의 다분산지수(PDI)가 약 1.5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다분산지수가 낮다는 의미는 좁고 균일한 분자량 분포를 가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좁고 균일한 분포를 갖지면서 고분자량을 갖도록 합성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켜 점착 필름을 제조하게 되면, 상기 점착 필름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광중합으로 합성하기 때문에,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제(chain transfer agent)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열중합에 의하면서, 벌크 중합에 의해 수지를 합성하는 경우,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해 분자량 조절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이에 반해,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광중합되기 때문에 반응열을 제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벌크 중합하더라도 분자량 조절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더 고분자량의 수지 합성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서,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중합하여 전술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3,000,000 내지 약 15,000,000 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고분자량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합성하게 되면 수지의 분자량이 높기 때문에 높은 점도를 구현하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조성물의 점도는 고분자의 중합도 (전환율이라고도 함), 총 고형분 함량 (TSC, total solid content), 분자량 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분자량을 가지더라도 중합도가 달라지면 점도가 달라질 수는 있다. 또한 고분자를 구성하는 성분의 조성 비율이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때문에 점도가 분자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점도를 높이기 위해서 분자량을 높이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 될 수는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광중합 후 점도를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낮게는 25℃에서 약 10 cP로 구현할 수 있고, 높게는, 중량평균분자량 1,400,000 및 TSC=36.9 wt%의 경우로서 25℃에서 650,000 cP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의 TSC를 7 wt% 정도로 하여,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광중합 후 점도가 약 5,000 cP 내지 약 40,000 cP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 중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14 알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C1-C8 알킬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함께 가교성 모노머가 함께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 중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분자 구조 내에 공중합성 관능기 (예를 들어,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가교성 관능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를 의미한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또는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등과 같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 이외에 광중합시 첨가되는 공지된 첨가제가 용도에 맞게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분자량으로 합성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이후 광경화되어 점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에 광개시제, 경화제 등을 더 첨가하고, 그 밖에도 광경화물을 형성하기 위해 공지된 첨가제를 용도에 맞추어 제한 없이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로서, 필러, 계면활성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은 상기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거나 코팅한 뒤, 광경화시켜 성막된 점착 필름이다. 예를 들어, 기재로서 이형 필름 상에 점착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점착 필름을 구체적인 용도에 적용시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점착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량을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2-EHA(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1 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9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Igacure 184, BASF 社 제조) 0.005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 넣고 30분간 질소 가스로 퍼징시켜 용액 내부의 기체를 질소로 치환시켰다. 블랙 형광등을 이용하여 UV를 조사하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광중합하였다. 중합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PDI (GPC, Agilent 社 (USA), 모델명:1260 Infinit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 및 PDI 값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합성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에 광개시제, 경화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PET 이형필름 상에 도포한 뒤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10 분 동안 조사하여 광경화시켜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EHA(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10 중량부의 혼합비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광중합하여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2-EHA(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9 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11 중량부의 혼합비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광중합하여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EHA(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9 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11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로서 n-도데실 머캅탄(n-DDM, n-dodecyl mercaptan) 0.001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 넣고 30분간 질소 가스로 퍼징시켜 용액 내부의 기체를 질소로 치환시키면서 반응온도 80℃로 승온시켰다. 이후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Wako사 V-70) 0.015g을 투입시켜 즉시 반응을 시작하였다. 반응이 진행되다가 개시전의 반응온도로 하강하면 1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열중합하였다. 중합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PDI (GPC, Agilent 社 (USA), 모델명:1260 Infinit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 및 PDI 값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합성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에 광개시제, 경화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PET 이형필름 상에 도포한 뒤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10 분 동안 조사하여 광경화시켜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분자량 조절제로서 n-도데실 머캅탄(n-DDM, n-dodecyl mercaptan) 0.002 중량부를 혼합하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열중합하여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고온 동적 전단강도 (Dynamic shear strength) 측정>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점착테이프에 대하여, SUS 판과 SUS 판 사이에 점착테이프가 접하도록 적층한 다음, 6kg 하중으로 30 초간 가압 후 15분 동안 상온에서 에이징(aging)하여 부착되게 하였다. 그리고 80℃의 고온 유지 챔버가 달린 만능시험기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ASTM D 1002를 기본으로 하여, 80℃에서 기재의 양쪽을 12.7mm/min의 속도 (cross head speed)로 당기어 고온 동적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중량평균분자량 PDI (내구성 평가 물성) [kg/cm2]
실시예 1 3,080,000 1.7 3.74
실시예 2 3,620,000 2.0 4.34
실시예 3 3,630,000 1.8 4.77
비교예 1 1,380,000 2.1 3.62
비교예 2 880,000 1.9 2.99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점착 필름의 고온 동적 전단강도가 비교예 1-2 보다 우수하여, 내구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내지 15,000,000 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의 다분산지수(PDI)가 1.5 내지 3.0인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광경화성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용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벌크 중합용 조성물인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이 7 wt%로 한 경우, 광중합 후 점도가 25℃에서 5,000 cP 내지 40,000 cP 인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가능 중합개시제는 광흡수 가능한 구조를 갖고, 광에 의해 중합을 개시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중합용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함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질소 함유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계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필러, 계면활성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KR1020140034047A 2014-03-24 2014-03-24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79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047A KR101795116B1 (ko) 2014-03-24 2014-03-24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047A KR101795116B1 (ko) 2014-03-24 2014-03-24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93A true KR20150110993A (ko) 2015-10-05
KR101795116B1 KR101795116B1 (ko) 2017-11-08

Family

ID=5434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047A KR101795116B1 (ko) 2014-03-24 2014-03-24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802A (ko) * 2016-03-25 2017-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20170114687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70114859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802A (ko) * 2016-03-25 2017-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20170114687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70114859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116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1030A1 (en) Liquid optical adhesive compositions
KR10173653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US20150152298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mixed photocrosslinking system
JP4730800B2 (ja)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感圧性接着シート
KR20160077221A (ko) 액체 광학 접착제 조성물
JP725390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795116B1 (ko)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7335770B2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US10954418B2 (en) Optically clear high refractive index adhesives
KR101771774B1 (ko)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TW201811947A (zh) 黏著片
KR20110072119A (ko) 광경화형 투명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상기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JP6697395B2 (ja)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ポリマー及びこれを含む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ホットメルト接着剤
EP3733721B1 (en) Photocurable acrylic resi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adhesive film formed by using same
KR102049588B1 (ko)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70103079A (ko) 광학용 점착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804598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750589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TW202120650A (zh) 光硬化性黏著劑組合物、雙面黏著片材及其製造方法、以及光學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07612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KR101419434B1 (ko) 광학필름 코팅용 광경화형 고무-아크릴계 점착제 도료 조성물
WO2023074555A1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
EP3981851A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pressure sensitive adhesive-equippe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6210909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JP2023107668A (ja) 光学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