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38U - 중앙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38U
KR20110007638U KR2020100000869U KR20100000869U KR20110007638U KR 20110007638 U KR20110007638 U KR 20110007638U KR 2020100000869 U KR2020100000869 U KR 2020100000869U KR 20100000869 U KR20100000869 U KR 20100000869U KR 20110007638 U KR20110007638 U KR 201100076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cker
drawers
locker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806Y1 (ko
Inventor
이제선
Original Assignee
이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선 filed Critical 이제선
Priority to KR2020100000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0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는,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랍을 동시에 로킹시키는 키 뭉치가 마련될 때, 상기 키 뭉치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키 뭉치와 함께 회동되는 회동 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기 회동 바의 회동각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회동 바에 접촉되는 브리지 바; 상기 각각의 서랍에 로커 체결홈이 형성될 때 상기 서랍의 배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로커 체결홈에 동시에 착탈되는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로커와, 상기 로커들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브리지 바와 함께 승강되는 로커 바;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앙 잠금 장치{UNIFIED LO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다수의 서랍을 구비한 수납 장치에서 여러 개의 서랍을 동시에 로킹시킬 수 있는 중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구, 공구함, 기타 서랍식으로 물건을 보관하는 모든 형태의 수납 장치에는 물건의 수납을 위한 서랍이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된다. 서랍을 열면 서랍 내부의 노출된 공간에 물건을 수납하고 수납이 끝나면 서랍을 닫아 수납 장치의 내부에 물건이 보관되게 한다.
이때, 서랍의 개폐를 로킹할 수 있는 잠금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서랍이 여러 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서랍마다 가로의 크기, 세로의 크기,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서랍마다 개별적인 잠금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때로는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즉, 서랍의 크기가 제각각인 경우에도 한 번에 서랍의 개폐를 로킹시킬 수 있는 중앙 잠금 장치의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 및 필요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서랍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가 마련되는 수납 장치에서 한 번의 조작으로 서랍의 개폐를 로킹 및 로킹 해제시킬 수 있는 중앙 잠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는,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랍을 동시에 로킹시키는 키 뭉치가 마련될 때, 상기 키 뭉치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키 뭉치와 함께 회동되는 회동 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기 회동 바의 회동각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회동 바에 접촉되는 브리지 바; 상기 각각의 서랍에 로커 체결홈이 형성될 때 상기 서랍의 배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로커 체결홈에 동시에 착탈되는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로커와, 상기 로커들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브리지 바와 함께 승강되는 로커 바;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 체결홈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의 서랍이 동시에 로킹되고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 체결홈에서 이탈되면 상기 로킹이 동시에 해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키 뭉치를 돌림으로써 복수의 서랍이 동시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될 수 있고,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므로 진동이나 외부 충력력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서랍이 예기치 않게 로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서랍마다 개별적으로 잠금 장치를 마련하는 것보다 더욱 간단한 구조로 중앙 잠금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중앙 잠금 장치를 이루는 각 부품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시간 사용 및 외력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에 의하여 로킹되는 서랍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에 의하여 로킹되는 서랍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며,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는 공구함이나 서랍(110a,110b)장과 같은 가구를 포함하는 수납 장치(100)에 대하여 복수의 서랍(110a,110b)을 동시에 로킹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납 장치(100)는 외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에 대하여 다중 레일(116)이 마련됨으로써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서랍(110a,110b)과, 수납 장치(100)의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휠(120)과,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랍(110a,110b)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고, 각각의 서랍(110a,110b)은 로커 체결홈(114)을 각각 구비한다. 로커 체결홈(114)은 상기 서랍(110a,110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L' 자 형상의 돌출부(112) 및 상기 서랍(110a,110b)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로서, 로커(41)가 착탈되는 구멍이다.
로커 바(40)에 형성되는 로커(41)는 로커 바(4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평판 형상이 된다.
본 고안의 중앙 잠금 장치는 키 뭉치(20)에 연결되는 회동 바(10)와, 브리지 바(30)와, 로커 바(40) 등 막대 형상으로 된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즉, 이들 부재는 철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장시간 사용, 외력,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 부식 등 잠금 장치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며, 잠금 장치의 내구성 저하에 따라 원하지 않는 상태로 서랍(110a,110b)이 로킹(locking)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키 뭉치(20)에 키를 삽입하고 키를 돌리면 서랍(110a,110b)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를 위하여 키 뭉치(20)는 회동 바(10)에 연결되며 회동 바(10)는 키 뭉치(20)와 함께 회동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동 바(1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축(15)은 키 뭉치(20)와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축 상에 있지 않고 키 뭉치(20)와 회동축(15)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더라도 키 뭉치(20)의 회전에 따라 회동 바(10)가 함께 회동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회동 바(10)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다.
회동 바(10)의 상기 다각형 단면은 회동 바(10)의 회동축(15)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한 제1 모서리(11) 및 제1 모서리(11)보다 회동축(15)에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제2 모서리(12)로 이루어진다.
회동 바(10)의 회동에 따라 브리지 바(30) 및 제1 모서리(11)가 접촉되면 로커 바(40)가 제1 위치로 이동되며, 회동 바(10)의 회동에 따라 브리지 바(30) 및 제2 모서리(12)가 접촉되면 로커 바(40)가 제2 위치로 이동된다.
회동 바(10)의 회동시 로커 바(40)의 이동 위치에 따라 로커(41)가 상기 로커 체결홈(114)에 착탈된다.
브리지 바(30)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회동 바(10)의 회동각에 따라 승강되는 막대로서, 회동 바(10)는 브리지 바(30)의 일부면에 해당하는 모서리 접촉면(33)에서 브리지 바(30)와 접촉된다.
브리지 바(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브리지 바(30)의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 슬롯(37)이 형성되며, 가이드 슬롯(37)은 프레임(101)에 형성된 보스(미도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스프링(35) 및 하부 스프링(55)이 마련되면 이들의 탄성력에 따라 회동 바(10) 및 브리지 바(30)가 항상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하므로, 기구적인 유격에 의한 잠금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로서, 브리지 바(30) 및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스프링(35) 및 로커 바(40) 및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스프링(55)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상부 스프링(35) 및 하부 스프링(55)은 로커 체결홈(114)에 로커(41)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로커 바(40)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키를 돌리면 상부 스프링(35) 및 하부 스프링(55)이 가하는 탄성력을 이기고 로커(41)가 로커 체결홈(114)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로커 바(40)가 이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로커 바(40)는 하부 핀(50)에 의하여 프레임(101)에 고정되고, 로커 바(40) 및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스프링(55)은 하부 핀(50)에 끼워져 로커 바(40)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력에 따라 로커 바(40)는 서랍(110a,110b)을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하부 스프링(55)은 로커 바(40)의 하단부에 마련된 하부 스프링 지지면(44)과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며 로커 바(40)를 로킹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로커 바(40)는 브리지 바(30)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로커(41)를 구비한다. 각각의 서랍(110a,110b)에 로커 체결홈(114)이 형성될 때 서랍(110a,110b)의 배열에 대하여 각각의 로커 체결홈(114)에 동시에 착탈되는 간격으로 로커(41)가 로커 바(40)에 배열된다. 로커 바(40)는 로커(41)들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브리지 바(3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된다.
이와 같이, 로커(41)가 로커 체결홈(114)에 체결되면 복수의 서랍(110a,110b)이 동시에 로킹되고 로커(41)가 로커 체결홈(114)에서 이탈되면 로킹이 동시에 해제된다.
한편, 도시된 바에 의하면 로커(41)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로커(41), 로커 바(40), 브리지 바(30)가 상향으로 이동될 때, 로커(41)가 로커 체결홈(114)에 체결되는 로킹 상태가 된다. 또, 제1 모서리(11)가 장축 부분이며, 제2 모서리(12)가 단축 부분이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모서리(11)가 브리지 바(30)와 대면되면서 브리지 바(30)를 눌러주면 로커(41)가 로커 체결홈(114)에서 이탈되면서 로킹 해제 상태로 된다.
이때, 상부 스프링(35)이 브리지 바(30)의 상면 및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로킹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하여는, 상부 스프링(35)은 인장 스프링이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스프링(55)이 하브 스프링 지지면의 상측과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로킹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하여 하부 스프링(55)도 인장 스프링이 된다.
키를 삽입하고 회동 바(10)를 회동시켜 제2 모서리(12)가 모서리 접촉면(33)에 접촉되면 브리지 바(30), 로커 바(40) 등이 상승하면서 다시 로킹 상태로 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로커(41)가 하향으로 절곡된 경우도 근본적인 동작 원리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로킹 방향이 상술한 것과 반대 방향이 되고 상부 스프링(35) 및 하부 스프링(55)이 압축 스프링이 되어야 하는 등 이와 같은 변형예는 본 고안의 당연 도출 가능한 변형 실시예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회동 바(rotating bar) 11...제1 모서리
12...제2 모서리 15...회동축
20...키 뭉치
30...브리지 바(bridge bar) 33...모서리 접촉면
35...상부 스프링 37...가이드 슬롯(guide slot)
40...로커 바(locker bar) 41...로커(locker)
44...하부 스프링 지지면 50...하부 핀
55...하부 스프링 100...수납 장치
101...프레임(frame) 110a,110b...서랍
112...돌출부 114...로커 체결홈
116...다중 레일(multi rail) 120...휠(wheel)

Claims (5)

  1.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랍을 동시에 로킹시키는 키 뭉치가 마련될 때, 상기 키 뭉치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키 뭉치와 함께 회동되는 회동 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기 회동 바의 회동각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회동 바에 접촉되는 브리지 바;
    상기 각각의 서랍에 로커 체결홈이 형성될 때 상기 서랍의 배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로커 체결홈에 동시에 착탈되는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로커와, 상기 로커들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브리지 바와 함께 승강되는 로커 바; 를 포함하며,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 체결홈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의 서랍이 동시에 로킹되고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 체결홈에서 이탈되면 상기 로킹이 동시에 해제되는 중앙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의 상기 다각형 단면은 상기 회동 바의 회동축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한 제1 모서리 및 상기 제1 모서리보다 상기 회동축에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제2 모서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리지 바 및 상기 제1 모서리가 접촉되면 상기 로커 바가 제1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회동 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리지 바 및 상기 제2 모서리가 접촉되면 상기 로커 바가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회동 바의 회동시 상기 로커 바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 체결홈에 착탈되는 중앙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바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스프링 및 상기 로커 바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 및 상기 하부 스프링은 상기 로커 체결홈에 상기 로커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커 바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키를 돌리면 상기 상부 스프링 및 상기 하부 스프링이 가하는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 체결홈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커 바가 이동되는 중앙 잠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바는 하부 핀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로커 바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스프링은 상기 하부 핀에 끼워져 상기 로커 바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력에 따라 상기 로커 바는 상기 서랍을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중앙 잠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바에 형성되는 상기 로커는 상기 로커 바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평판 형상이고,
    상기 로커 체결홈은 상기 서랍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L' 자 형상의 돌출부 및 상기 서랍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인 중앙 잠금 장치.
KR2020100000869U 2010-01-26 2010-01-26 중앙 잠금 장치 KR200458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69U KR200458806Y1 (ko) 2010-01-26 2010-01-26 중앙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69U KR200458806Y1 (ko) 2010-01-26 2010-01-26 중앙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38U true KR20110007638U (ko) 2011-08-03
KR200458806Y1 KR200458806Y1 (ko) 2012-03-09

Family

ID=4559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869U KR200458806Y1 (ko) 2010-01-26 2010-01-26 중앙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904B1 (ko) 2016-07-25 2017-03-09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서랍 동시인출이 방지된 수납가구
KR102166294B1 (ko) * 2020-04-10 2020-10-15 민광표 안전 감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KR102449373B1 (ko) 2021-03-25 2022-09-30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안전 수납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654Y1 (ko) * 2003-02-26 2003-05-27 범일금고(주) 캐비닛의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806Y1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845B1 (en) Lock unit with a room therein
CN101923884B (zh) 硬盘抽取装置及使用其的电子装置
US6779681B2 (en) Latch for a storage unit
US8302437B2 (en) Locking assembly for a door
KR200458806Y1 (ko) 중앙 잠금 장치
US8985387B2 (en) Business card case
US20060250055A1 (en) Tool storage cabinet with a lock assembly
CN103838319A (zh) 硬盘驱动器托盘和用于硬盘驱动器托盘的手柄组件
JP4956051B2 (ja) 収納容器
KR20210001582U (ko) 빈 캐비닛
US20130333296A1 (en) Adjustable templat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template
KR101676273B1 (ko)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US20040000794A1 (en) Laborsaving latch
JP3176013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3223647U (ja) ボックス積重ね構造
KR100283298B1 (ko)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CA2709057C (en) Locking assembly for a door
JP6329053B2 (ja) 台車
KR200407471Y1 (ko) 서랍형 캐비닛용 잠금장치
CN209244421U (zh) 门锁驱动机构
JP4956050B2 (ja) 収納容器
KR200433857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WO2015041089A1 (ja) 綴じ具
JP4548881B2 (ja) 抽斗の安全係止装置
KR200429580Y1 (ko) 록킹장치가 장착된 컨테이너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