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29A -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29A
KR20110006529A KR1020090064207A KR20090064207A KR20110006529A KR 20110006529 A KR20110006529 A KR 20110006529A KR 1020090064207 A KR1020090064207 A KR 1020090064207A KR 20090064207 A KR20090064207 A KR 20090064207A KR 20110006529 A KR20110006529 A KR 2011000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heating
unit
inverter
electric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000B1 (ko
Inventor
유승희
박병욱
오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렬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에 공급되는 공진전류를 단일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입니다.
단일 인버터, 복수의 가열부, 직렬 연결 구조

Description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Indution Heating Cooktop with a single i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두개 이상의 가열부에 공급되는 공진전류를 조절하는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워킹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조리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가열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용기가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열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열에 의하여 조리용기 자체가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에 이용되는 인버터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도록 가열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는 통상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고주파의 전류를 가열코일에 흐르도록 하여 가열코일에 고주파 자계가 형성하도록 한다.
인버터는 입력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연결되고, 이 스위칭소자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가열코일이 직렬 연결된 스위칭소자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코일의 다른 일측은 공진 콘덴서에 연결된다.
스위칭소자의 구동은 구동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시간에 제어되어 스위칭소자가 서로 교호로 동작되면서 가열코일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구동부로터 인가되는 스위칭소자의 온/오프 시간은 점차적으로 보상되는 형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가열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변한다.
이와 같은 유도가열 전기조리기가 두 개의 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고주파수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두 개의 인버터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코일의 개수에 따라 고가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 고전력 수동소자와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인버터를 구비해야 하므로, 인버터의 사용에 따른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
또한, 두개 이상의 인버터를 구비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두 인버터를 상이한 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에 출력주파수의 차이가 가청주파수 이내인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주파수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단일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새로운 가열코일의 구조를 창안하고, 이로 인하여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제조단가를 저감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단일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가열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제공하므로, 상이 고주파수의 차이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 기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하나의 인버터부와; 상기 교류전압에 의한 고주파의 전류를 공급받아 와류전류를 유도시켜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각각의 가열부가 직렬 연결구조를 갖는 복수의 가열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DC링크전류와 상기 가열부에 공급되는 공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설정된 입력과 상기 검출된 전류에 따라 상기 가열부와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인버터 구동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류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일단과 직렬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는 가열코일과; 상기 가열코일과 직렬연결되어 상기 가열코일에 공진전류를 흐르게 하는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는, 제1릴레이와 제1가열코일과 제1커패시터로 구성된 제1가열부와, 제2릴레이와 제2가열코일과 제2커패시터로 구성된 제2가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는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형성된 제1변류기를 통하여 DC링크 전류를 검출하는 직류전류 검출부와; 상기 인버터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된 제2변류기를 통하여 공진 전류를 검출하는 공진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DC링크 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DC 링크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버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공진전류와 상기 설정입력을 비교하여 상기 공진전류가 상기 설정입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DC 링크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가열부의 각각에 대한 설정입력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2릴레이의 온-오프 빈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가열부의 각각에 대한 설정입력이 상이한 경우에 상기 제1,2릴레이의 온-오프 빈도가 상기 각각의 설정입력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인버터의 출력 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가열코일과 상기 공진커패시터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 보다 높게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열코일과 상기 커패시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는 가청주파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두개 이상의 가열코일을 구비하더라도 단일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가열코일을 가열할 수 있는 코일 구조를 가지므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제조단가 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단일의 인버터를 이용하므로, 두개 이상의 가열코일에 상이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더라도, 주파수의 차이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인버터와 직렬 연결된 두개의 가열부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부(20)와; 상기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단일 인버터부(30)와; 상기 교류전압에 의한 고주파의 전류를 공급받아 와류전류를 유도시켜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각각의 가열부가 직렬 연결구조를 갖는 복수의 가열부(100,200)와;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DC링크전류와 상기 가열부에 공급되는 공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500)와; 설정된 입력과 상기 검출된 전류에 따라 상기 가열부와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인버터 구동부(600)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가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류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110,210)와; 상기 릴레이의 일단과 직렬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는 가열코일(120,220)과; 상기 가열코일과 직렬연결되어 상기 가열코일에 공진전류를 흐르게 하는 공진 커패시터(130,2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릴레이(110)와 제1가열코일(120)과 제1커패시터(130)로 구성된 제1가열부(100)와, 제2릴레이(210)와 제2가열코일(220)과 제2커패시터(230)로 구성된 제2가열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는 직렬연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 검출부(500)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형성된 제1변류기(CT1)를 통하여 DC링크 전류를 검출하는 직류전류 검출부(510)와; 상기 인버터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된 제2변류기(CT2)를 통하여 공진 전류를 검출하는 공진전류 검출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검출된 DC링크 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DC 링크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버터 구동부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검출된 공진전류와 상기 설정입력을 비교하여 상기 공진전류가 상기 설정입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DC 링크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부(70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2가열부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경우에 각각에 대한 설정입력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2릴레이의 온-오프 빈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지만, 상기 제1,2가열부의 각각에 대한 설정입력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1,2릴레이의 온-오프 빈도가 상기 각각의 설정입력에 따라 상이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가열부는 상기 제1,2릴레이가 오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전류가 제1,2 가열코일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2가열부의 각각과 병렬로 연결된 제1,2우회로를 통하여 흐르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인버터의 출력 전원의 주파수가 상기 높고, 상기 가열코일과 상기 커패시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는 가청주파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전기조리기의 인버터의 상측 스위칭 소자는 닫히고, 아래쪽 스위칭 소자가 개방된 상태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기조리기의 인버터의 상측 스위칭 소자는 개방되고, 아래쪽 스위칭 소자는 닫힌 상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직렬연결된 두 가열부 중 좌측의 제1가열부에만 고주파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의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직렬연결된 두 가열부 중 우측의 제2가열부에만 고주파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의 회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직렬연결된 두개의 제1,2가열부의 각각에 고주파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인버터(30)는 상기 전원부(20)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직렬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31,32)와 상기 두개의 스위칭 소자의 각각과 병렬연결된 두개의 콘덴서(33, 34)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가 상기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의 전기조리기는 교류전원(AC)을 입력받고, 전원부(30)는 입력받은 교류전원(AC)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30)는 인버터 구동부(520)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측 및 하측 스위칭 소자(31,32)를 통하여 교대로 상기 제1,2가열부(100,200)로 고주파 전류를 공급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열부(100,200)가 모두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고 상측 스위칭 소자(31)가 온될 경우에 상기 전원부(3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류는 상측 스위칭 소자(31), 좌측의 제1가열부(100)와 우측의 제2가열부(200)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측 스위칭 소자(32)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스위칭 소자(31)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하측 스위칭 소자(32)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하측 스위칭 소자(31), 제1릴레이(110), 제1가열코일(120) 및 제1공진커패시터(430)로 구성된 제1가열부(100)와, 제2릴레이(110), 제2가열코일(220) 및 제2공진커패시터(230)로 구성된 제2가열부(200)가 직렬연결되어 이루는 회로는 LC 공진 탱크회로를 형성하게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2가열부(100,200)는 전원부(20)로부터 직류전류를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상기 LC 공진 회로의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한다.
즉, 상기 상측 스위칭 소자(31)가 온되고, 상기 하측 스위칭 소자(32)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100)와, 제2가열부(200)가 직렬연결되어 이루는 회로는 LC 공진 탱크회로는 상기 전원부(20)에서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인버터의 상측 및 하측 스위칭 소자(31,32)가 교대로 동작하는 속도를 빠르게 함에 따라 상기 제1,2가열코일(120,220)로 고주파 전류가 흘러 고주파 자속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고주파 자속은 조리용기에 와류 전류를 형성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 및 하측 스위칭 소자(31,32)의 각각에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33, 34)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 동작을 할 경우에 발생되는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류검출부(500)는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검출소자(CT1)를 이용하여 입력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와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전류는 입력전압과의 곱이 정격전력을 넘지 않는 값으로 정해진다.
상기 제어부(800)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검출된 전류 값과 조리명령에 따라 상측 및 하측 스위칭소자(31,32) 중 하나만 동작시키기 위하여 인버터 구동부(600)를 제어하고, 이와 아울러 상기 제1,2가열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릴레이를 제어하는 스위 칭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100)만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제2릴레이는(2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전류검출소자(CT2)에 의하여 검출된 공진전류와 상기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제1릴레이(110)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열부(200)만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릴레이는(1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전류검출소자(CT2)에 의하여 검출된 공진전류와 상기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제2릴레이(210)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가열부(100,200)를 모두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2전류검출소자(CT2)에 의하여 검출된 공진전류와 상기 조리명령에 따라 제1,2릴레이(110,210)를 모두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제1가열부(100)와 제2가열부(200)의 가열정도가 다른 경우에는 즉, 예를 들어 제1가열부의 발열량이 1[KW]가 되고, 제2가열부의 발열량이 500[W]가 되도록 조리명령이 입력된다면, 상기 제1릴레이와 제2릴레이의 제어신호의 듀티비가 2:1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가열부(200)는 500[W]의 에너지를 제2가열코일(220)에서 소비하지만, 나머지 500[W]의 에너지는 상기 제2우회로를 통하여 전원쪽으로 되돌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1개의 인버터로 2개의 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가열 코일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IH(Indution Heating) 조리 기(cooktop)에서 인버터 모듈의 가격을 저감하기 위해 한 개의 인버터로 2개 코일을 동작시키는 토폴로지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전기조리기는 한 개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두개 버너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릴레이 절환을 통해 조건에 따른 코일 결선을 제어하는 것이다. 가열 코일을 하나만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 두개의 제1,2릴레이를 이용하여 동작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가열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가열코일을 동시에 동작시킬 경우에는,제1가열코일과 제2가열코일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제1,2릴레이를 모두 온시켜 제어한다.
상기 제1,2 가열부의 각각의 공진회로는 가열코일 한 개만 동작할 때와 두개의 가열코일이 모두 동작할 때 각각의 공진회로의 임피던스를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공진회로의 임피던스가 비슷하면 용기 동작시 공진 주파수가 비슷하기 때문에 제어해야 할 주파수 범위가 줄어든다. 그리고 급격한 변화로 인한 소음 발생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코일이 같은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코일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조리기의 인버터의 상측 스위칭 소자는 닫히고, 아래쪽 스위칭 소자가 개방된 상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조리기의 인버터의 상측 스위칭 소자는 개방되고, 아래쪽 스위칭 소자는 닫힌 상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직렬연결된 두 가열부 중 좌측 가열부에만 고주파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직렬연결된 두 가열부 중 우측 가열부에만 고주파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의 직렬연결된 두 가열부의 각각에 고주파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의 회로도이다.

Claims (11)

  1.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하나의 인버터부와;
    상기 교류전압에 의한 고주파의 전류를 공급받아 와류전류를 유도시켜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각각의 가열부가 직렬 연결구조를 갖는 복수의 가열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DC링크전류와 상기 가열부에 공급되는 공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설정된 입력과 상기 검출된 전류에 따라 상기 가열부와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인버터 구동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류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일단과 직렬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는 가열코일과;
    상기 가열코일과 직렬연결되어 상기 가열코일에 공진전류를 흐르게 하는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제1릴레이와 제1가열코일과 제1커패시터로 구성된 제1가열부와, 제2릴레이와 제2가열코일과 제2커패시터로 구성된 제2가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는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형성된 제1변류기를 통하여 DC링크 전류를 검출하는 직류전류 검출부와;
    상기 인버터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된 제2변류기를 통하여 공진 전류를 검출하는 공진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DC링크 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DC 링크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버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공진전류와 상기 설정입력을 비교하여 상기 공진전류가 상기 설정입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DC 링크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가열부의 각각에 대한 설정입력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2릴레이의 온-오프 빈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가열부의 각각에 대한 설정입력이 상이한 경우에 상기 제1,2릴레이의 온-오프 빈도가 상기 각각의 설정입력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 도록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인버터의 출력 전원의 주파수가 상기 가열코일과 상기 공진커패시터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 보다 높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코일과 상기 커패시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는 가청주파수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KR1020090064207A 2009-07-14 2009-07-14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KR10165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07A KR101659000B1 (ko) 2009-07-14 2009-07-14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07A KR101659000B1 (ko) 2009-07-14 2009-07-14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29A true KR20110006529A (ko) 2011-01-20
KR101659000B1 KR101659000B1 (ko) 2016-09-23

Family

ID=4361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207A KR101659000B1 (ko) 2009-07-14 2009-07-14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810A1 (en) * 2017-12-25 2019-07-04 Arcelik Anonim Sirketi An induction heater and a coffee machin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472A (ja) * 1991-07-29 1993-02-12 Sharp Corp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H05251172A (ja) * 1992-03-03 1993-09-28 Sharp Corp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H10201614A (ja) *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及び電磁調理器
KR100186425B1 (ko) * 1996-06-07 1999-05-15 구자홍 자성/비자성용기 겸용 유도가열용 인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472A (ja) * 1991-07-29 1993-02-12 Sharp Corp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H05251172A (ja) * 1992-03-03 1993-09-28 Sharp Corp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100186425B1 (ko) * 1996-06-07 1999-05-15 구자홍 자성/비자성용기 겸용 유도가열용 인버터
JPH10201614A (ja) *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及び電磁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810A1 (en) * 2017-12-25 2019-07-04 Arcelik Anonim Sirketi An induction heater and a coffee machin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000B1 (ko)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001B1 (ko)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JP5658692B2 (ja) 誘導加熱装置
KR102031875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US9271337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0621094A (en) Induction-heating cooking heater
US9668305B2 (en) Hob having at least one inductor, at least one inverter and a switching apparatus
EP2753147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KR102009344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출력 레벨 제어 방법
US9433037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009354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6881958B2 (ja) 加熱回路及び誘導調理ホブ
JP2011044422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031907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604748B1 (ko)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KR20110133710A (ko) 다단 워킹 코일을 구비한 전류 공진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
US11153940B2 (en) Domestic appliance device
KR101659000B1 (ko)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JP5807161B2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炊飯器
Saoudi et al. Domestic induction cooking with a new loads multiplexing topology using mechanical switches
JP5223315B2 (ja) 誘導加熱装置
JP200123705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0176903B1 (ko) 하프-브릿지형 다출력 전자 유도 가열장치
KR102329539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04288602A (ja) 誘導加熱装置
JP2013251275A (ja) 誘導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