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875B1 -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875B1
KR102031875B1 KR1020130000083A KR20130000083A KR102031875B1 KR 102031875 B1 KR102031875 B1 KR 102031875B1 KR 1020130000083 A KR1020130000083 A KR 1020130000083A KR 20130000083 A KR20130000083 A KR 20130000083A KR 102031875 B1 KR102031875 B1 KR 10203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witching signal
driving
operation mode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322A (ko
Inventor
오두용
노희석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875B1/ko
Priority to EP13199738.9A priority patent/EP2753146B1/en
Priority to US14/145,357 priority patent/US9544946B2/en
Publication of KR2014008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한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기기는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2가열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인버터로 상기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펄스 트랜스포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OUTPUT LEVEL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3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인버터와 2개의 공진 회로로 이루어진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조리 장치이다. +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의 기본적인 가열 원리를 살펴보면 가열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이가 유도(Induction)가열에 의해 열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열에 의하여 조기용기 자체가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유도가열 전기조리기에 이용되는 인버터는 가열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가열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는 통상 IGBT(insulate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고주파의 전류를 가열코일에 흐르도록 하여 가열코일에 고주파 자계가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 2개의 가열 코일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2개의 가열 코일을 동시 동작 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인버터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에 2개의 가열 코일이 구비되지만 인버터가 한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위치를 두어, 상기 2개의 가열 코일 중 어느 하나의 가열 코일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두 개의 인버터 및 두 개의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도 가열 조리기는 정류부(10), 제1인버터(20), 제2인버터(30), 제1가열 코일(40), 제2가열 코일(50) 제1공진 커패시터(60) 및 제2공진 커패시터(7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인버터(20, 30)는 입력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출력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가열 코일(40, 50)이 직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가열 코일(40, 50)의 다른 일측은 공진 커패시터(60, 70)에 연결된다.
스위칭소자의 구동은 구동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시간에 제어되어 스위칭소자가 서로 교대로 동작하면서 가열 코일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소자의 폐쇄/개방 시간은 점차 보상되는 형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가열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변한다.
이와 같은 유도 가열 조리기는 두 개의 가열 코일을 동작 시키기 위해 두 개의 인버터 회로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부피가 커질 뿐 아니라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스위치를 가진 인버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공진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는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2가열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인버터로 상기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펄스 트랜스포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1동작모드이면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가열 부 중 제1가열부만을 선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2동작모드이면 상기 제1 및 제2가열 부 중 제2가열부만을 선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3동작 모드이면 제1 및 제2가열부를 동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는 상호 직렬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스위치로 구성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로부터 공급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3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한 개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열 코일을 구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유도 가열 조리기의 회로를 간화화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한 개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열 코일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신호 발생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전원(AC)을 인가 받고, 상기 인가 받은 상용 전원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키기 위한 정류부(210), 정 전원단자와 부 전원단자 사이에 상호 직렬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진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220)(S1, S2, S3), 상기 인버터(22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가열 코일(Lr1)(230), 상기 인버터(22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열 코일(Lr1)(230)과 병렬로 연결된 제2가열 코일(Lr2)(240)과, 상기 제1가열 코일(Lr1)(23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공진 커패시터(Cr11, Cr12)(250), 그리고 상기 제2가열 코일(Lr2)(24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2공진 커패시터(Cr21, Cr22)(260),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인버터(220)에 포함된 각각의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 및 외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에서 발생될 스위칭 신호를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로 출력하는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미 설명된 커패시터는 평활 커패시터이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는 정류부(210)에서 정류된 맥동 직류 전압을 평활시켜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만들 수 있다.
이하 상기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정류부(210)는 제1정류기(D1), 제2정류기(D2), 제3정류기(D3) 및 제4정류기(D4)를 포함한다.
제1정류기(D1) 및 제3정류기(D3)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정류기(D2) 및 제4정류기(D4)도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인버터(220)는 복수의 스위치, 예를 들어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및 제3스위치(S3)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S1)는 일단이 정 전원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스위치(S2)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스위치(S2)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치(S1)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3스위치(S3)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3스위치(S3)는 일단이 상기 제2스위치(S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부 전원단자에 연결된다.
제1가열 코일(Lr1)(230)은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치(S1)의 타단과 상기 제2스위치(S2)의 일단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공진 커패시터(Cr11, Cr12)에 포함된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다.
제2가열 코일(Lr2)(240)은 일단이 상기 제2스위치(S2)의 타단과 상기 제3스위치(S3)의 일단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공진 커패시터(Cr21, Cr22)에 포함된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설명한 제1가열 코일(Lr1) (230)과 제1공진 커패시터(250)는 제1공진 회로를 구성하여 제1버너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제2가열 코일(240)과 제2공진 커패시터(260)는 제2공진회로를 구성하여 제2버너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220)에 포함된 각각의 스위치(S1, S2, S3)에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각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역병렬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보조 공진 커패시터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신호 발생부(270)는 상기 인버터(220)에 포함된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및 제3스위치(S3)의 게이트 단에 연결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및 제3스위치(S3)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및 제3스위치(S3)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외부로부터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200)의 동작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에서 발생될 스위칭 신호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외부로부터 제1가열코일(Lr1)(230) 및 제2가열코일(Lr2)(240)을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 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상기 입력 받은 신호를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에서 생성할 스위칭 동작 신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스위칭 소자(S1, S2, S3)에 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하프 브릿지(Dual half bridge)회로로 구성된 인버터(220)에 포함되는 3개의 스위치(S1, S2, S3)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펄스 트랜스포머(pulse transformer)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펄스 트랜스포머를 구성하여 3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듀얼 하프 브릿지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S1)과 제3스위치(S3)을 제어할 수 있는 제1펄스 트랜스포머(310)와 제2스위치(S2)를 제어할 수 있는 제2펄스 트랜스포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펄스 트랜스포머(320)는 제1가열 코일(Lr1)(230) 및 제2가열 코일(Lr2) (240)의 구동 요청 신호에 따라 제2스위치(S2)의 지속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제어전압(Vc2)과 릴레이(321)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펄스 트랜스포머(310)와 제2펄스 트랜스포머(320)는 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머(미도시)로부터 발진 출력 파형을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S1, S2, S3)의 폐쇄/개방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제1가열 코일(Lr1)(230)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내지 제3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공진회로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발진 출력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제2가열 코일(Lr2)(240)의 독립적인 구동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2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를 제어하여 제2공진회로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발진 출력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제1 및 제2가열 코일(230, 240)의 동시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공진회로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1, 및 제3스위치(S1, S3)가 모두 폐쇄되고 제2스위치(S2)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발진 출력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펄스 트랜스 포머(310)는 제1스위치와 제3스위치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제1 가열 코일(230)의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고 제2펄스 트랜스 포머(320)의 제2스위치는 지속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 코일(Lr1)(230)의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제1스위치를 오프하고 제3스위치를 폐쇄하고 지속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하여 제2스위치와 함께 제2공진회로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듀얼 하프 브릿지 인버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각각의 스위치에 대응되도록 펄스 트랜스포머(310, 320)로 구성된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를 설명하였다. 상기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외부로부터 동작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동작 모드 선택 신호가 제1가열코일(Lr1)(230)을 구동하는 제1동작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1가열코일(Lr1)(230)을 구동하는 제1동작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해당 신호를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인버터(2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스위치(S1 내지 S3)의 상태를 제어한다. 즉,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폐쇄하고 제3스위치를 개방하여 제1가열 코일(Lr1)(230) 및 제1공진 회로만 을 구동하도록 한다.(S103)
한편 상기 판단결과(S102) 제1가열코일(Lr1)(230)의 독립적인 구동 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2가열 코일(Lr2)(240)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동작 모드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4)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2가열 코일(Lr2)(240)만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해당 신호를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인버터(2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한다. 즉, 제2 스위치와 제3스위치를 폐쇄하고 제1 스위치를 개방하여 제2가열 코일(Lr2)(240) 및 제2공진회로 만(260)만을 구동하도록 한다.(S105)
한편 상기 판단결과(S104) 제2가열 코일(Lr2)(240) 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복수의 가열 코일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제3동작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6)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1 및 제2가열 코일(Lr1, Lr2)(230, 240)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해당 신호를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3동작모드가 선택되었다면 스위칭 신호 구동부(270)에서 제1가열 코일(Lr1)(230) 및 제1공진 커패시터(250)를 포함하는 제1공진 회로와, 제2가열 코일(Lr2)(240) 및 제2공진 커패시터(260)를 포함하는 제2공진 회로가 동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107)
한편 상기 판단결과(S106) 제1 및 제2가열 코일(230, 240)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제3동작 모드 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1가열 코일(Lr1)(230)과 제2가열 코일(Lr2)(240)이 교번 동작되도록하는 제4동작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8)
스위칭 신호 선택부(280)는 제1 및 제2가열 코일(Lr1, Lr2)(230, 240)이 교번 구동되도록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해당 신호를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70)는 인버터(2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한다. 즉, 우선적으로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폐쇄하고 제3스위치를 개방하여 제1 가열 코일(230) 및 제1공진 회로(250)를 우선 동작하도록 하고, 이후 제1스위치를 개방하고, 제3스위치를 폐쇄하여 제2가열 코일(240) 및 제2공진회로(26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스위치는 지속적으로 폐쇄되도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번되는 가열 코일의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연속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제1 및 제2 가열 코일이 소정 주기로 교번 동작 하도록 할 수 있다.(S109)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2가열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인버터로 상기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정 전원단자와 부 전원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 펄스 트랜스 포머;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펄스 트랜스 포머;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스위치는
    각각 역병렬 다이오드와 상기 역병렬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보조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스 트랜스 포머는
    상기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의 구동시 상기 제2스위치를 지속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제어전원 및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7.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1동작모드이면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가열 부 중 제1가열부만을 선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2동작모드이면 상기 제1 및 제2가열 부 중 제2가열부만을 선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3동작 모드이면 제1 및 제2가열부를 동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는
    정 전원단자와 부 전원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제3스위치로 구성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 펄스 트랜스 포머;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펄스 트랜스 포머;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동작모드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스위치가 폐쇄되고 상기 제2스위치가 폐쇄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모드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를 폐쇄하도록 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동작 모드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는 폐쇄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개방되도록 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방법.
KR1020130000083A 2013-01-02 2013-01-02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3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83A KR102031875B1 (ko) 2013-01-02 2013-01-02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EP13199738.9A EP2753146B1 (en) 2013-01-02 2013-12-30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level thereof
US14/145,357 US9544946B2 (en) 2013-01-02 2013-12-31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leve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83A KR102031875B1 (ko) 2013-01-02 2013-01-02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322A KR20140088322A (ko) 2014-07-10
KR102031875B1 true KR102031875B1 (ko) 2019-10-14

Family

ID=4991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083A KR102031875B1 (ko) 2013-01-02 2013-01-02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44946B2 (ko)
EP (1) EP2753146B1 (ko)
KR (1) KR102031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250A (ko) 2020-12-07 2022-06-14 허인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본체의 제조방법 및 클램프 본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023B2 (en) 2016-07-13 2018-08-28 Amvac Chemical Corporation Electronically pulsing agricultural product with seed utilizing seed transport mechanism
US9820431B2 (en) 2013-08-27 2017-11-21 American Vanguard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dispensing multiple and low rate agricultural products
US10517206B2 (en) 2013-08-27 2019-12-31 Amvac Chemical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prescriptive application of multiple products
US10064327B2 (en) 2015-07-03 2018-09-04 Amvac Chem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the volume of a liquid carrier used for delivering agricultural products into a furrow during planting
US11058046B2 (en) 2013-08-27 2021-07-13 Amvac Chem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ultiple low rate agricultural products
US10470356B2 (en) 2013-08-27 2019-11-12 Amvac Chem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ultiple low rate agricultural products
US11026362B2 (en) 2013-08-27 2021-06-08 Amvac Chem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individual seeds with liquid chemicals during the planting process
KR102326999B1 (ko) * 2015-06-22 202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993292B2 (en) * 2017-10-23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n induction circuit
USD908277S1 (en) 2018-08-25 2021-01-19 Amvac Chemical Corporation Container for dry products
US10645866B2 (en) 2018-08-28 2020-05-12 Amvac Chemical Corporation Container system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gricultural products
US11382261B2 (en) 2018-08-28 2022-07-12 Amvac Chem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acking contain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84B1 (ko) * 1997-12-17 2000-04-15 이동건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792A (en) * 1976-07-27 1980-07-01 Tokyo Shibaura Electric Co., Lt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load detecting and control circuit
GB2062985B (en) * 1979-11-12 1983-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mall load detection by comparison between input and output parameters of a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JP2870945B2 (ja) * 1990-03-12 1999-03-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940005050B1 (ko) 1992-02-11 1994-06-10 주식회사 금성사 고주파 유도가열조리기의 출력보상회로
KR970000539B1 (ko) 1993-09-17 199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 조리기의 고압/저압분리 장치
DE19654269C2 (de) * 1995-12-27 2000-02-17 Lg Electronics Inc Induktionskochgerät
KR0176904B1 (ko) * 1996-03-11 1999-02-18 구자홍 듀얼 하프-브릿지형 전자 유도 가열장치 및 제어방법
US6528770B1 (en) 1999-04-09 2003-03-04 Jaeger Regulation Induction cooking hob with induction heaters having power supplied by generators
KR20070110997A (ko) 2006-05-16 2007-11-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치 구동장치, 이를 사용하는 하프 브릿지 컨버터 및 그구동방법
JP2010140657A (ja) 2008-12-09 2010-06-24 Toshiba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5658692B2 (ja) * 2010-01-20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ES2388028B1 (es) * 2010-03-03 2013-08-23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Encimera de cocción con al menos una zona de cocción y procedimiento para accionar una encimera de cocció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84B1 (ko) * 1997-12-17 2000-04-15 이동건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250A (ko) 2020-12-07 2022-06-14 허인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본체의 제조방법 및 클램프 본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3182A1 (en) 2014-07-03
US9544946B2 (en) 2017-01-10
EP2753146A3 (en) 2016-11-16
EP2753146B1 (en) 2017-08-09
KR20140088322A (ko) 2014-07-10
EP2753146A2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75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37311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09344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출력 레벨 제어 방법
KR102009354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US9060389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1659001B1 (ko)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KR102172413B1 (ko) 유도 가열 장치
KR102031907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26999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EP3002992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KR101604748B1 (ko)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KR20170000164A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659000B1 (ko)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US20240039387A1 (en) Power converting devic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329539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757976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90005142U (ko) 유도가열 조리기
KR102182624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9114605A (zh) 一种感应电子加热炊具
KR20210081071A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0021687A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