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491A -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491A
KR20110006491A KR1020090064146A KR20090064146A KR20110006491A KR 20110006491 A KR20110006491 A KR 20110006491A KR 1020090064146 A KR1020090064146 A KR 1020090064146A KR 20090064146 A KR20090064146 A KR 20090064146A KR 20110006491 A KR20110006491 A KR 2011000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bserver
mirror
phase
lin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조성범
김은수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491A/ko
Priority to EP10004663A priority patent/EP2285131A1/en
Publication of KR2011000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Abstract

관찰자가 보다 현실감 있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 및 방법들에 의하면, 서로 다른 두 영상을 획득하여 일 영상의 위상 반전 영상의 기수 라인 집합과 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 영상(제1 영상)과 타 영상의 다른 라인 집합 영상(제2 영상)을 합성하고,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혼합된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가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로 투과함으로써 관찰자가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패럴렉스 배리어, 렌티큘러, 시야각, 관찰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AND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뷰 패널이 적용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산업 및 영상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시각효과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관찰자에게 보다 현실감있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으로는, 인간의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렌즈나 오목 미러 또는 특수 스크린을 이용하여 공간상에 영상을 투영하는 방법, 반투과 미러(Half-mirro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인간의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안경을 쓰고 입체 영상을 관람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안경이 없더라도 시역이 좁아 관찰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렌즈나 오목미러를 이용한 방법은, 공간상에 영상이 투영되어 안경없이 관찰할 수 있지만, 영상의 왜곡이 생기고 시역이 좁다는 문제가 있다.
연기나 수증기 등을 이용하는 특수 스크린 방법은 안경없이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지만, 연기나 스크린 등에 영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이므로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투과 미러(Half-mirror)를 이용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실상)을 반투과 미러가 반사시켜 관찰자가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영상의 왜곡이 없고 시야각이 넓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반투과 미러 아래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가 관찰자에게 보이게 되면, 관찰자가 동일한 두 개의 영상(실상, 허상)을 동시에 보게 됨으로써 현실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투과 미러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멀리 떨어뜨려 놓으면 관찰자의 관찰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어 관찰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실상)을 허상과 동시에 볼 수 없도록 할 수도 있지만, 영상 전화기와 같은 컴팩트한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찰자가 보다 현실감 있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관찰자가 보다 현실감 있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 및 방법들에 의하면, 서로 다른 두 영상을 획득하여 일 영상의 위상 반전 영상의 기수 라인 집합과 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 영상(제1 영상)과 타 영상의 다른 라인 집합 영상(제2 영상)을 합성하고,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혼합된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가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로 투과함으로써 관찰자가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찰 시야각을 조절하여 듀얼뷰 패널에 서로 다른 영상을 투과함으로써, 관찰자가 더욱 현실감이 있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A와 사용자B가 원격으로 회의, 통화 등의 대화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고, 사용자A는 영상 처리 장치를 통해 영상을 관찰하는 '관찰자본인'을 의미하고, 사용자B는 사용자A와 대화하는 '대화상대방'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를 가정함)는, 서로 다른 두 영상(영상A, 영상B)을 획득하여 일 영상(예컨대 영상A)의 위상 반전 영상의 기수 라인 집합과 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 영상(제1 영상)과 타 영상(예컨대 영상B)의 다른 라인 집합 영상(제2 영상)을 합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처리부(10)와,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A는 대화상대방인 사용자B의 영상과 메뉴 영상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영상B는 나머지 영상이 될 수 있다. 즉 영상A가 사용자B의 영상인 경우 영상B는 메뉴 영상이 되고, 영상A가 메뉴 영상인 경우 영상B는 사용자B의 영상이 된다. 메뉴 영상은, 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의 메뉴 정보, 사용자B의 상세 정보(예컨대, 이름, 주소, 아바타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외, 메뉴 정보는 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 정보일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A는 관찰자본인인 사용자A의 영상과 대화상대방인 사용자B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될 수 있고, 영상B는 나머지 영상이 될 수 있다. 즉 영상A가 사용자B의 영상인 경우 영상B는 사용자A의 영상이 되고, 영상B가 사용자A의 영상인 경우 영상A는 사용자B의 영상이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B의 영상 및 사용자A의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깊이(Depth)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이다. 이때 사용자B의 영상은 대화(회의 또는 통화)시 사용자B의 영상 처리 장치가 실시간으로 사용자B를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이고, 사용자A의 영상은 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가 실시간으로 사용자A를 촬영한 영상이다. 사용자A의 영상 및 사용자B의 영상은 반드시 실시간 정보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에 기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메뉴 정보, 사용자B의 상세 정보는 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에 기 저장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화(회의, 통화 등)시 사용자B의 영상 처리 장치가 사용자A의 영상 처리 장치로 사용자B의 상세 정보, 그외 동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A, 영상B는 2차원 영상 뿐만 아니라, 깊이감(Depth)이 있는 3차원 입체 영상을 포함한다. 3차원 영상은 기하정보(x,y,z), 광원정보(광원의 위치, 유형세기 등), 속성정보(색상, 표면의 반사계수, 투명도, 광택도 등)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0)는 대화시 실시간으로 전송된 정 보 또는 장치에 기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A, 영상B를 획득하여 영상A와 영상B를 합성한다. 이때 영상A는 영상A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받고, 영상B는 영상B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받는다.
입력되는 영상A가 사용자A의 영상 또는 사용자B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이고 영상B가 나머지 하나인 경우, 배경 제거 및 인물 추출부(12)가 입력받은 영상A 또는/및 영상B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사용자A 또는 사용자B의 인물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원하는 깊이 영역의 3차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밝기 영상과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3차원 영상을 추출한다. 이 배경 제거 및 인물 추출 과정은, 영상A와 영상B 중 어느 하나만이 인물 영상(즉 사용자A의 영상 또는 사용자B의 영상)인 경우는, 해당 영상에 대해서만 수행하지만, 두 영상 모두 인물 영상(사용자A의 영상 및 사용자B의 영상)인 경우에는 두 영상 모두에 대해서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합성부(13)는 영상A를 위상 반전시킨 후 위상 반전된 영상A의 기수(또는 우수) 라인 집합 영상(이하 '제1 영상'이라 함)과, 영상B의 우수(또는 기수) 라인 집합 영상(이하 '제2 영상'라 함)을 합성한다. 예컨대, 영상A를 대화상대방인 사용자B의 영상으로 가정하고 영상B를 메뉴 영상(장치 메뉴, 사용자B의 상세 정보(주소, 명함 등), 그외 동영상 정보 등)으로 가정하면, 배경 영상이 제거되고 인물 영상만을 포함하는 사용자B의 영상(401)을 위상 반전(상하 반전)시킨 영상(402)에서 기수 라인(홀수 라인)의 영상만을 뽑아낸 영상 집합(즉 제1 영상)(403)과 메뉴 영상(404)에서 우수 라인(짝수 라인)의 영상만을 뽑 아낸 영상 집합(즉 제2 영상)(405)을 합성한다. 합성된 영상(406)은 기수 라인 집합의 사용자B 영상(제1 영상)과 우수 라인 집합의 메뉴 영상(제2 영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합성 영상(406)은 우수 라인 집합의 사용자B 영상(제1 영상)과 기수 라인 집합의 메뉴 영상(제2 영상)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여기서, 위상 반전을 수행하는 이유는 제1 영상을 하기에서 설명될 반투과 미러 방향으로 투과하여 허상을 맺기 때문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에 투과하여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찰자(사용자A)(601)가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다(604).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영상방향 조절부(22)를 통해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23)로 투과함으로써 반투과 미러(23)에 의해 반사되어, 관찰자(601)가 제1 영상의 허상을 관찰할 수 있다(603).
디스플레이부(21)는 제2 영상(실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2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화기 등에 적용시 관찰자(601)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45도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디스플레이부(21)와 90~135도를 형성하여 반투과 미러(23)가 구현된다.
영상방향 조절부(22)는 제1 영상의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23)로 투과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패럴렉스 배리어, 렌티큘러 렌즈, 프리즘 마스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관찰자(601)의 관찰 시야각을 조절한다.
반투과 미러(23)는 제1 영상을 위상 반전시켜 미러 자체면에 허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미러의 후면 반사경에 반사시켜 허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은 위상 반전된 기수 또는 우수 라인 집합의 영상이므로, 반투과 미러(23)가 이를 다시 위상 반전하게 되면 정립 허상이 생성되고, 관찰자(601)는 이 정립 허상을 관찰하게 된다.
결국 영상방향 조절부(22)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에 투과하고 제1 영상을 반투과 미러(23)에 투과함으로써 듀얼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방향 조절부(22)에서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에 투과하고 제1 영상을 반투과 미러(23)에 투과함으로써, 관찰자(601)는 반투과 미러(23)를 통해서 제1 영상의 정립 허상(602)을 볼 수 있고(603), 디스플레이부(21)를 직접 보았을 때(604) 제2 영상의 실상만을 보게 된다.
관찰자(601)가 디스플레이부(21)를 보았을 때 제2 영상밖에 볼 수 없는 이유는, 영상방향 조절부(22)가 제1 영상을 제어하여 관찰자의 관찰 시야각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는 일예로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변형(예컨대 배리어의 간격 조절 등)을 통해서 가능하다. 패럴렉스 배리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열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전통적인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은, 영상 패널을 전방으로부터 거리를 두어 배리어 필터를 배치한 후, 양안이 배리어 필터를 지나 서로 다른 이미지나 영상을 관찰함으로써, 이미지나 영상이 입체로 나타나게 하는 시차(Parallax)에 의한 방법이다. 이러한 패럴렉스 배리어의 원리는 좌우 양안이 각기 보아야 할 영상을 교대로 세로무늬 모양으로 인쇄 또는 사진적으로 구어 내어, 이것을 극히 가느다란 세로 격자열(배리어)을 통해 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좌안에 들어올 세로무늬 영상과 우안에 들어올 세로무늬 영상이 배리어에 의해 배분되어 좌우안으로 조금 엇갈린 다른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원리를 도 6과 같이 응용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를 중심으로 좌측 영역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영상(예컨대 제1 영상)만 보이고 우측 영역에서는 역시 그에 해당하는 영상(예컨대 제2 영상)만 보이게 된다. 즉, 좌측용의 제1 영상은 좌측에서만 보이고 우측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측용의 제2 영상도 우측에서만 보이고 좌측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원리를 도 5에 적용함으로써, 반투과 미러(23)와 디스플레이부(21)에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방향을 다르게 투과한다. 따라서 관찰자(601)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제2 영상만을 볼 수 있을 뿐 제1 영상을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제1 영상이 반투과 미러(23)를 향해 투과되고 반투과 미러(23)에 의해 다시 위상 반전되어 반사됨으로써, 관찰자(601)는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보게 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영상A를 위상 반전시킨 후 위상 반전된 영상A의 기수(또는 우수) 라인 집합(제1 영상)과 영상B의 우수(또는 기수) 라인 집합(제2 영상)이 합성된 영상(406)에 대해, 도 8과 같이 영상방향 조절부(22)가 배리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 영상(U)은 반투과 미러(23)를 향해 투과되고 반투과 미러(23)에 의해 위상 반전되어 반사되며, 제2 영상(D)은 디스플레이부(21)에 투과된다. 결국 관찰자(사용자A)는 반투과 미러(23)를 통해서 제1 영상의 정립 허상만을 보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서 제2 영상만을 보게 된다.
또한 도 9와 같이 영상방향 조절부(22)에서 렌티큘러 렌즈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전통적인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의 원리는 좌우 영상의 배분을 반원통 모양의 렌즈열에 의한 굴절 작용으로 실현한다. 즉, 반원통형의 형상을 한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불리는 렌즈의 초점면에 좌우 영상을 스트라이프 상태로 배치하고, 이 렌즈판을 통해서 관찰하면 렌즈판의 지향성에 따라 좌우의 영상이 분리되어 안경 없이 입체화되는 것이다. 이를 응용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를 중심으로 좌측 영역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영상(예컨대 제1 영상)만 보이고 우측 영역에서는 역시 그에 해당하는 영상(예컨대 제2 영상)만 보이게 된다. 즉 도 9와 같이 영상방향 조절부(22)가 렌즈의 굴절률을 조절함으로써, 제1 영상(U)은 반투과 미러(23)를 향해 투과되고 반투과 미러(23)에 의해 위상 반전되어 반사되며, 제2 영상(D)은 디스플레이부(21)에 투과된다. 결국 관찰자(사용자A)는 반투과 미러(23)를 통해서 제1 영상의 정립 허상만을 보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서 제2 영상만을 보게 된다.
아울러 프리즘을 통해서도 영상 투과 방향의 제어가 동일하게 가능하다.
이처럼 제1 영상은 반투과 미러(23)를 향해 투과되고 반투과 미러(23)에 의해 반사되어 관찰자(사용자A)를 향하게 되고, 제2 영상은 디스플레이부(21)에 투과되고 관찰자를 직접 향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영상을 사용자B의 영상 으로 하고 제2 영상을 메뉴 영상으로 하게 되면, 관찰자(사용자A)에게는 사용자B의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어 더욱 현실감 있게 되고 그에 대한 부가 설명 등을 추가로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는 도 10의 발착신이 가능한 영상 전화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시야각 조절을 위한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시역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방식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 전화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영상 처리부 11: 영상A 입력부
12: 배경 제거 및 인물 추출부 13: 영상 합성부
14: 영상B 입력부 20: 디스플레이 장치
21: 디스플레이부 22: 영상방향 조절부
23: 반투과 미러

Claims (21)

  1. 영상 처리 장치로서,
    서로 다른 두 영상을 획득하여 일 영상의 위상 반전 영상의 기수 라인 집합과 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 영상(이하 '제1 영상'이라 함)과 타 영상의 다른 라인 집합 영상(이하 '제2 영상'이라 함)을 합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가 상기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로 투과함으로써 상기 관찰자가 상기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미러는, 상기 제1 영상을 위상 반전시켜 미러 자체 또는 미러의 후면 반사경에 반사시켜 상기 정립 허상을 형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패럴렉스 배리어, 렌티큘러 렌즈, 프리즘 마스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상기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관찰자의 관찰 시야각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상은 대화상대방 영상과 메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타 영상은 나머지 영상인, 영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영상은, 영상 처리 장치 메뉴 정보, 상기 대화상대방의 상세 정보, 그외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상은 관찰자본인 영상과 대화상대방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타 영상은 나머지 영상인, 영상 처리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수단은, 관찰자본인 영상 또는 대화상대방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인물 영상을 추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본인 영상 또는 대화상대방 영상은,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기 저장된 영상인, 영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깊이 카메라인, 영상 처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발/착신이 가능한 영상 전화기.
  12.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서로 다른 두 영상 - 우수 라인 집합과 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으로 구성되고 위상 반전된 제1 영상과, 다른 하나의 라인 집합으로 구성되고 위상 반전되지 않은 제2 영상 - 이 혼합된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가 상기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로 투과함으로써 상기 관찰자가 상기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미러는, 상기 제1 영상을 위상 반전시켜 미러 자체 또는 미러 후면 반사경에 반사시켜 상기 정립 허상을 형성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과 방향은, 패럴렉스 배리어, 렌티큘러 렌즈, 프리즘 마스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영상의 실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관찰자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6. 영상 처리 방법으로서,
    a) 서로 다른 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두 영상 중 일 영상을 위상 반전시키는 단계;
    c) 상기 위상 반전된 영상의 기수 라인 집합과 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 영상(이하 '제1 영상'이라 함)과 상기 두 영상 중 타 영상의 다른 라인 집합 영상(이하 '제2 영상'이라 함)을 합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가 상기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로 투과함으로써 상기 관찰자가 상기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반투과 미러는, 상기 제1 영상을 위상 반전시켜 미러 자체 또는 미러의 후면 반사경에 반사시켜 상기 정립 허상을 형성하는, 영상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과 방향은, 패럴렉스 배리어, 렌티큘러 렌즈, 프리즘 마스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영상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상은 대화상대방 영상과 메뉴 영상 - 이때, 메뉴 영상은 영상 처리 장치 메뉴 정보, 상기 대화상대방의 상세 정보, 그외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타 영상은 나머지 영상이거나,
    상기 일 영상은 관찰자본인 영상과 대화상대방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며, 상기 타 영상은 나머지 영상인, 영상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합성하기 이전에, 관찰자본인 영상 또는 대화상대방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인물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1.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두 영상 - 우수 라인 집합과 기수 라인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라인 집합으로 구성되고 위상 반전된 제1 영상과 다른 하나의 라인 집합으로 구성되고 위상 반전되지 않은 제2 영상으로 이루어짐 - 이 혼합된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가 상기 제2 영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투과 방향을 조절하여 반투과 미러로 투과함으로써 상기 관찰자가 상기 제1 영상의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90064146A 2009-07-14 2009-07-14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6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46A KR20110006491A (ko) 2009-07-14 2009-07-14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EP10004663A EP2285131A1 (en) 2009-07-14 2010-05-03 Dual-view display device and video phon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46A KR20110006491A (ko) 2009-07-14 2009-07-14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91A true KR20110006491A (ko) 2011-01-20

Family

ID=4231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146A KR20110006491A (ko) 2009-07-14 2009-07-14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285131A1 (ko)
KR (1) KR201100064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5031A1 (de) * 2012-08-23 2014-02-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 mit einem Display,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1851B1 (en) * 1995-09-20 2002-11-19 Videotronic Systems Adjustable contrast reflected display system
US5828495A (en) * 1997-07-31 1998-10-27 Eastman Kodak Company Lenticular image displays with extended depth
US20050259148A1 (en) * 2004-05-14 2005-11-24 Takashi Kubara Three-dimensional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6078B1 (ko) * 2006-06-19 2008-03-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영상 투영장치 및 그 방법
US8248462B2 (en) * 2006-12-15 2012-08-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Dynamic parallax barrier autosteroscopic display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5131A1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2558B1 (ja) 三次元表示方法及び装置
US20040066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s
JP4546505B2 (ja) 空間映像投映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3197933A (ja) 立体テレビ電話装置
JPH09238369A (ja) 3次元像表示装置
CN109870820A (zh) 针孔反射镜阵列集成成像增强现实装置及方法
Miyazaki et al. Floating three-dimensional display viewable from 360 degrees
WO2007085194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 stéréo faisant appel à un obturateur à cristaux liquides et procédé d'affichage de ce dernier
JP5060231B2 (ja) 画像生成方法、立体視用印刷物、立体視用印刷物の製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74642A (ja) 3次元映像情報の伝送方法
JP2013090180A (ja) 立体映像撮影表示装置
Kakeya Real-image-based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LCD, mirrors, and lenses
KR20110006491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JP2010267192A (ja) 立体結像のタッチ制御装置
JP2004207780A (ja) 写真撮影装置
TWI572899B (zh) 擴充實境成像方法及其裝置
JP447520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システム
CN209674113U (zh) 针孔反射镜阵列集成成像增强现实装置
KR102042914B1 (ko)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JP200701755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KR100939080B1 (ko) 합성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합성 영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05323010A (ja) 画像共有システム
JPH10271532A (ja) 実体顕微鏡立体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