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170U -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 Google Patents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170U
KR20110006170U KR2020090016233U KR20090016233U KR20110006170U KR 20110006170 U KR20110006170 U KR 20110006170U KR 2020090016233 U KR2020090016233 U KR 2020090016233U KR 20090016233 U KR20090016233 U KR 20090016233U KR 20110006170 U KR20110006170 U KR 20110006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late
desk
support p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아라
Original Assignee
조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라 filed Critical 조아라
Priority to KR2020090016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170U/ko
Publication of KR20110006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책상의 상판에 무거운 책들을 정리하여도 책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책이 수용되는 책수용공간(11a)과, 상기 책수용공간(11a)과 이격되는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판(10);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20); 및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되는 책받이(30);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책수용공간(11a)에는 책이 수용되어 책받이(30) 기능을 하고, 상기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는 책이 수용되어 책받이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A DESK HAVING A BOOKSTAND FUCTION}
본 고안은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에 책받이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는 책장을 따로 배치하거나 스텐드형 책받이를 이용하여 책을 정리하게 된다.
이 경우, 책장은 책들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정해진 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책들이 책장에 가득 차지 않게 되는 경우에 책들이 쓰러지거나 하여 책들이 정리가 어렵게 된다.
이를 위하여 책들을 모아서 세워 놓은 상태로 책들의 양 측부에 밀착되는 스텐드형 책받이를 이용하여 책을 정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텐드형 책받이는 주로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어 무거운 책이 받혀지게 되는 경우에 스텐드형 책받이가 들리거나 하여 책이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초중생의 나이대에 있는 학생들은 스텐드형 책받이를 이용하다가 책이 쓰러지는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쓰러진 책들을 그대로 방치하는 습관이 들게 됨으로써, 책을 정리하는 습관이 자연적으로 없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책상의 상판에 무거운 책들을 정리하여도 책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은 책이 수용되는 책수용공간(11a)과, 상기 책수용공간(11a)과 이격되는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판(10);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20); 및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되는 책받이(30);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책수용공간(11a)에는 책이 수용되어 책받이(30) 기능을 하고, 상기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는 책이 수용되어 책받이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책받이(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 수용된 책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10)은 상기 책수용공간(11a)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부 평판(11); 상기 상부 평판(11)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20)와 결합되는 하부 평판(12); 및,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가운데,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의 양 측부에 연결되는 지지 판(13); 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은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가운데,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의 중앙 부근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11)과 상기 하부 평판(12)에 연결되는 격판(14);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3)과 상기 격판(14)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용되는 수납장(40);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장(40)은 길이가 상기 지지판(13)과 상기 격판(1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3)과 상기 격판(14) 사이에 상기 수납장(40)이 수용되고 남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책수용공간(11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책받이(30)는 넓적한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받침판(31);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넓적한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받침판(32); 및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상기 하부 받침판(3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상기 하부 받침판(32)을 결합시키는 연결부(33);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판(32) 및 상기 연결부(33)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판(32)과 상기 연결부(33)의 두께는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상기 하부 받침판(32)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판(10)의 두께의 100% 내지 105%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두께와 폭이 일자형상의 책받이걸이홈(11b)의 폭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받침대(20)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1 상부받침대(21);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와 이격되는 제 2 상부받침대(22);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측부받침대(23); 및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타 단부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측부받침대(24);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부받침대(23)와 상기 제 2 측부받침대(24)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책상의 상판에 무거운 책들을 정리하는 경우, 책을 이용하여 책들의 한쪽을 지지한 상태에서 책상의 상판과 결합된 책받이로 책들의 다른 한쪽을 지지하도록 되어 무거운 책들도 정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책들을 정리하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과, 상기 구성 요소들의 결합관계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책받이가 책받이걸이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은 상판(10), 받침대(20) 및, 책받이(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은 수납장(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판(10)은 상부 평판(11), 하부 평판(12) 및, 지지판(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판(10)은 격판(14)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평판(1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책수용공간(11a)과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된다.
상기 책수용공간(11a)은 상부 평판(11)을 관통하는 홀을 형태로 형성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 경우, 책수용공간(11a)은 상부 평판(11)의 일 모서리부 근처에 형성된다. 이러한 책수용공간(11a)은 한권의 책(1)의 일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은 상부 평판(11)을 관통하는 일자형상의 홀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일자형상의 책받이걸이홈(11b)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책수용공간(11a)의 길이방향의 대략 수직한 방향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평판(12)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평판(11)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하부 평판(12)과 상부 평판(11)의 이격거리(d1)는 한권 책의 길이보다 적은 거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책의 높이가 20 cm 내지 30 cm라 하였을 때, 하부 평판(12)과 상부 평판(11)의 이격거리는 5cm 내지 15cm 사이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부 평판(11)의 책수용공간(11a)에 책이 삽입되어 하부 평판(12)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경우, 책은 상부 평판(11)의 상부로 돌출되어 나오게 형성됨으로써, 책받이(30)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부 평판(12)과 상부 평판(11)의 이격 거리는 5cm 내지 1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 평판(12)과 상부 평판(11)의 이격 거리가 5cm보다 적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책수용공간(11a)에 삽입된 책이 책수용공간(11a) 밖으로 넘어질 수 있으며, 하부 평판(12)과 상부 평판(11)의 이격 거리가 15cm를 넘게 되는 경우에는 책수용공간(11a)에 삽입된 책의 돌출높이가 줄어들어 책받이(30) 기능을 할수 없게 된다.
상기 지지판(13)은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지지판(13)은 두 개로 형성되어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의 양 측 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판(13)은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결합되어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을 사각형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판(14)은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 격판(14)은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의 중앙 부근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격판(14)은 지지판(13)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격판(14)은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수납장(40)이 수용되는 제 1 수납공간(s1)과, 물품을 실장할 수 있는 제 2 수납공간(s1)으로 나뉘어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평판(11), 하부 평판(12), 지지판(13) 및, 격판(14)은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평판(11), 하부 평판(12), 지지판(13) 및, 격판(14)의 결합은 목재용 본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 상판(10)의 재질과 결합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대(20)는 제 1 상부받침대(21), 제 2 상부받침대(22), 제 1 측부받침대(23) 및, 제 2 측부받침대(2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는 일자형으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는 일자형으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 1 상부받침대(21)와 이격된다.
상기 제 1 측부받침대(23)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제 1 상부받침대(21)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측부받침대(24)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제 1 상부받침대(21)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타 단부가 제 2 상부받침대(22)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 1 측부받침대(23)와 제 2 측부받침대(24)는 제 1 상부받침대(21)와 제 2 상부받침대(2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측부받침대(23)와 제 2 측부받침대(24)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상부받침대(21)와 제 2 상부받침대(2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있으므로, 뽀족한 모서리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을 이용하는 사용자인 아이들은 받침대(20) 부근의 뽀족한 부분에 부딪혀 외상을 입을 염려가 없게 된다.
여기서, 받침대(20)는 제 1 측부받침대(23)와 제 2 측부받침대(24) 사이를 연결하여 받침대(20)의 구조를 강화시키는 보강대(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10)과의 결합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인 나사 또는 리벳 또는 클램프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싱기 책받이(30)는 상부 받침판(31), 하부 받침판(32) 및, 연결부(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받침판(31)은 넓적한 평판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 받침 판(31)은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판(32)은 상부 받침판(3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넓적한 평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상부 받침판(31)과 하부 받침판(32)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 받침판(31)과 하부 받침판(32)을 결합시킨다.
여기서, 하부 받침판(32)은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부 받침판(31)이 상부 평판(11)에 걸치도록 형성됨으로써, 받침대(20)가 상부 평판(1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책받이 역할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부(33)는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두께(t1)와 폭(w1)이 일자 형상의 책받이걸이홈(11b)의 폭(w2)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받침판(32) 및 연결부(33)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하부 받침판(32)과 연결부(33)의 두께(t1)는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책받이걸이홈(11b)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책받이(30)는 상부 받침판(31)과 하부받침판 사이에 상부 평판(11)이 끼워맞춤이 이루어져 책받이(30)가 상부 평판(11)에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받침판(31)과 하부 받침판(32) 사이의 이격거리(d2)가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부 평판(11)의 두께의 100% 내지 105%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받침판(31)과 하부 받침판(32)의 이격 거리(d2)가 상부 평판(11)의 두께인 100%보다 적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 받침판(31)이 회전 한 상태에서 상부 평판(11)에 걸칠 수 없게 되며, 상부 받침판(31)과 하부 받침판(32)의 이격 거리(d2)가 상부 평판(11)의 두께보다 105%정도를 넘는 경우에는 상부 받침판(31)과 하부 받침판(32)의 이격 거리가 너무 넓어 받침대(20)가 기울짐으로써, 책받이 기능을 상실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책받이(30)는 재질이 목재, 수지 및, 금속 가운데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책받이(3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납장(40)은 지지판(13)과 격판(14)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이격 공간에 수용된다. 이러한 수납장(40)은 상부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측부에 롤링 가이드 레일(41)이 형성되고, 롤딩 가이드 레일(41)이 지지판(13)과 격판(14)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42)과 결합하여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장(40)은 길이(d3)가 지지판(13)과 격판(14)의 길이(d4)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수납장(40)의 길이(d3)를 지지판(13)과 격판(14)의 길이(d4)의 대략 50% 내지 70%만으로 형성하여 수납장(40)이 제 1 수납공간(s1)에서 슬라이딩되어 열릴때, 수납장(40)이 길이(d3)가 너무 길지 않게 형성함으로써, 수납장(40)에 걸리는 모멘트를 줄여 수납장(40)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지지판(13)과 격판(14) 사이의 제 1 수납공간(s1)에는 수납장(40)이 수용되고 남은 공간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장(40)이 수용되고 남은 공간에 책수용공간(11a)을 형성함으로써, 책수용공간(11a)의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구동 및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에 책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책수용공간(11a)에는 한권이 책(1)이 수용되어 있고, 책받이(30)는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되어 지지를 하고 있다. 이 경우, 책수용공간(11a)에 형성된 한권의 책(1)과 책받이(30) 사이에는 다수의 또 다른 책들(2)이 삽입된다. 즉, 책수용공간(11a)에는 책(1)이 수용되어 책받이(30) 기능을 하고,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1)과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는 책들(2)이 수용되어 책받이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 책받이걸이홈(11b)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받이(30)의 위치가 책받이걸이홈(11b)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1)과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 수용된 책들(2)의 양에 따라 책(1)과 책받이(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다른 책들(2)을 받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되는 책(1)이 무거운 책들(2)의 한쪽을 지지하고, 책상의 상판과 결합된 책받이(30)가 무거운 책들(2)의 다른 한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책들이 정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은 책상의 상판(10)에 무거운 책들을 정리하는 경우, 책을 이용하여 책들의 한쪽을 지지한 상 태에서 책상의 상판(10)과 결합된 책받이(30)로 책들의 다른 한쪽을 지지하도록 되어 무거운 책들도 정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책들을 정리하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의 책받이가 책받이걸이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에 책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1 ; 상부 평판
12 ; 하부 평판 13 ; 지지판
14 ; 격판 20 ; 받침대
21 ; 제 1 상부받침대 22 ; 제 2 상부받침대
23 ; 제 1 측부받침대 24 ; 제 2 측부받침대
30 ; 책받이 31 ; 상부 받침판
32 ; 하부 받침판 33 ; 연결부
40 ; 수납장

Claims (9)

  1. 책이 수용되는 책수용공간(11a)과, 상기 책수용공간(11a)과 이격되는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판(10);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20); 및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되는 책받이(30);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책수용공간(11a)에는 책이 수용되어 책받이(30) 기능을 하고, 상기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는 책이 수용되어 책받이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책받이(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책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책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책받이(30) 사이에 수용된 책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상기 책수용공간(11a)과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부 평판(11);
    상기 상부 평판(11)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20)와 결합되는 하부 평판(12); 및,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가운데,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의 양 측부에 연결되는 지지판(13);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에 가운데, 상기 상부 평판(11)과 하부 평판(12) 사이의 중앙 부근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11)과 상기 하부 평판(12)에 연결되는 격판(14);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3)과 상기 격판(14)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용되는 수납장(40);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40)은 길이가 상기 지지판(13)과 상기 격판(1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3)과 상기 격판(14) 사이에 상기 수납장(40)이 수용되고 남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책수용공간(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책받이(30)는
    넓적한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받침판(31);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넓적한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받침판(32); 및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상기 하부 받침판(3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상기 하부 받침판(32)을 결합시키는 연결부(33);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판(32) 및 상기 연결부(33)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판(32)과 상기 연결부(33)의 두께(t1)는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판(31)과 상기 하부 받침판(32)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이 형성되는 상부 평판(11)의 두께의 100% 내지 105%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책받이걸이홈(11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 록 두께(t1)와 폭(w1)이 일자형상의 책받이걸이홈(11b)의 폭(w2)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1 상부받침대(21);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와 이격되는 제 2 상부받침대(22);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측부받침대(23); 및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일 단부가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u'자형상의 양 단부 가운데 가운데 타 단부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측부받침대(24);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부받침대(23)와 상기 제 2 측부받침대(24)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대(21)와 상기 제 2 상부받침대(2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KR2020090016233U 2009-12-14 2009-12-14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KR20110006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233U KR20110006170U (ko) 2009-12-14 2009-12-14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233U KR20110006170U (ko) 2009-12-14 2009-12-14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70U true KR20110006170U (ko) 2011-06-22

Family

ID=4929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233U KR20110006170U (ko) 2009-12-14 2009-12-14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1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900B1 (en) Movable book and table holder
US6378707B1 (en) Knock-down bookshelf
JPH08267981A (ja) 複数のファイルフォルダと組み合わせて使用されるファイルラック
US6955130B2 (en) Reading and writing center
KR20110006170U (ko) 책받이 기능이 구비된 책상
US11072198B1 (en) Modular paper organizer
KR100583831B1 (ko) 책장 고정용 클립
KR200463696Y1 (ko) 북엔드
US20130334153A1 (en)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supporting an object in a vertical manner
KR200378394Y1 (ko) 책꽂이
KR100619428B1 (ko) 책장
CN213550570U (zh) 一种可调节置书架
CN201894379U (zh) 柜子
CN203137564U (zh) 一种倾斜书柜
CN211748624U (zh) 一种多功能组合层架
KR200407357Y1 (ko) 책꽂이
KR20110007854A (ko) 책꽂이용 책 쓰러짐 방지구
KR200419238Y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JP3212826U (ja) デスク
JP2018061809A (ja) 学校机に取り付け収納できるラック
KR101764360B1 (ko)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CN109008281A (zh) 书架
KR200484270Y1 (ko) 북엔드
AU2003100119B4 (en) Improved Shelving
JPH0729866Y2 (ja) 学習ボード付机上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