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360B1 -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 Google Patents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360B1
KR101764360B1 KR1020150118869A KR20150118869A KR101764360B1 KR 101764360 B1 KR101764360 B1 KR 101764360B1 KR 1020150118869 A KR1020150118869 A KR 1020150118869A KR 20150118869 A KR20150118869 A KR 20150118869A KR 101764360 B1 KR101764360 B1 KR 101764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upled
link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563A (ko
Inventor
윤다연
Original Assignee
윤다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다연 filed Critical 윤다연
Priority to KR102015011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3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제1 부분이 테이블에 결합되는 서포트와, 제1 단부가 상기 서포트의 제2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서포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링크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의 제3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Rotatable shelf for school desk}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책상과 같은 테이블 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테이블용 선반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테이블용 선반은 파티션과 같은 사무용 지지대에 걸쳐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나, 이러한 테이블용 선반은 교실과 같은 강의실에서 복수의 학생들이 자신의 책상 이외에 다른 구조물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강의실은 한 번에 복수의 학생들을 수용하기 때문에 각 학생이 사용하는 책상 자체의 면적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별도의 수납 공간으로 서랍을 이용해야 하는 데, 이는 사용자의 가시 영역 밖에 있기 때문에 수납 물품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에 결합되어 테이블 활용 공간 상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업을 듣거나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불편함을 야기시키지 않는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부분이 테이블에 결합되는 서포트와, 제1 단부가 상기 서포트의 제2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서포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링크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의 제3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된 상기 플레이트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3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는 제1 고정대와, 일단이 상기 제1고정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포트의 제1 부분을 관통하는 제2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고정대와 상기 서포트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2 부분과 제3 부분의 사이에 위치한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테이블 면과 이격된 플레이트 상에 원하는 물품을 놓을 수 있어, 사용자의 가시 영역 내에서 다양한 공간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고, 테이블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서포트에 윈도우가 위치됨으로 인해 선반을 사용하는 중에도 서포트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의 사용 시에도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반을 교실에서 사용할 경우 수업 중에도 학생들이 교사를 보는 데에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제2 링크를 제3 링크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플레이트를 독서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선반을 테이블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는 선반 없이 테이블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시에만 선반을 테이블 상부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독서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일 사용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은 테이블(1)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은 서포트(21), 플레이트(22), 제1 링크(231), 및 제2 링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21)는 테이블(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데, 제1 부분(211)이 테이블(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부분(211)과 이격된 제2 부분(212)에 플레이트(22)의 제1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21)의 제3 부분(213)에는 제2 링크(232)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212)은 상기 제1 부분(211)과 제3 부분(21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21)는 테이블(1)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바아(214)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플레이트(22)는 상기 수직 바아(214)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바아(214)의 대략 상단부가 상기 제3 부분(213)이 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2 부분(212)이 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 바아(2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수평 바아(215)가 결합될 수 있는 데, 상기 한 쌍의 수평 바아(215)는 서로 이격되게 상기 수직 바아(214)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바아(214)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바아(215)는 반드시 한 쌍이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상단부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바아(215)는 수직 바아(214)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부의 수평 바아(215) 아래로는 개구된 윈도우(216)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216)를 통해 서포트(21) 너머를 볼 수 있게 되고, 이는 서포트(21)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2)의 사용 시에도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반(2)을 교실에서 사용할 경우 수업 중에도 학생들이 교사를 보는 데에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 바아(214)의 하부에는 서포트 플레이트(217)가 위치할 수 있고, 서포트 플레이트(217)의 부분이 제1 부분(211)이 될 수 있다. 이 서포트 플레이트(217)에는 제1 고정대(241)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제1 고정대(241)가 테이블(1)에 고정됨으로써 서포트(21)를 테이블(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는 제1 단부가 상기 서포트(21)의 제2 부분(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데, 예컨대 플레이트(22)의 제1 단부의 양 측면이 수직 바아(214)의 서로 대향된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의 제1 단부는 제1 링크(231)에 의해 서포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231)는 플레이트(22)를 서포트(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제1 링크(231)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서포트(2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포트(2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232)는 일단이 서포트(21)의 제3 부분(213)에 결합되고 타단이 플레이트(22)에 체결되어 플레이트(22)가 서포트(21)에 선반 형태를 유지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링크(232)는 견고한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 또는 섬유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232)는 양단이 각각 서포트(21) 및 플레이트(22)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링크(232)의 적어도 일단이 서포트(21) 또는 플레이트(22)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롭게 형성되어 플레이트(22) 또는 서포트(2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링크(232)는 일단이 상기 서포트(21)의 제3 부분(213), 즉 수직 바아(214)의 외측에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22)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3 링크(2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232)는 플레이트(22)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3 링크(233)는 플레이트(2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링크(232)와 결합되어 플레이트(22)가 테이블(1)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1)에 수직하게 고정된 서포트(21)에 플레이트(22)가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테이블(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학용품 및/또는 책 등의 용품을 플레이트(22)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테이블(1)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상기 용품을 서랍과 같은 가시 영역 밖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 위의 플레이트라는 자신의 가시 영역 내에 배치함으로써, 용품의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2)는 테이블(1)의 상면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레이트(22)를 선반으로 사용할 때에 플레이트(22)와 테이블(1)의 사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1) 상면과 제1 링크(23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1 링크(231)로부터 서포트(21) 상단까지의 제3 거리(D3)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22)의 제1 단부에 대향된 제2 단부에는 제1 스토퍼(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26)는 플레이트(22)와 같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트(21)를 향한 방향으로의 폭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26)에 의해 플레이트(22)에 놓인 물건이 미끄러져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232)를 제3 링크(233)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플레이트(22)의 제2 단부는 테이블(1)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22)는 테이블(1) 상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플레이트(22)의 면을 독서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토퍼(26)가 플레이트(22)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22) 상면에 놓인 책이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링크(231)로부터 제1 스토퍼(26)까지의 제2 거리(D2)는 상기 제3 거리(D3)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232)를 플레이트(22)의 제3 링크(233)로부터 분리시키고, 플레이트(22)를 서포트(21)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서포트(21)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서포트(21)가 한 쌍의 수직 바아(214)를 포함하므로, 플레이트(22)가 수직 바아(214)들 사이에 위치하므로 결합 이후 수직 바아(214)보다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거리(D3)는 제1 링크(231)로부터 상부 수평 바아(215)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수평 바아(215)가 수직 바아(214)의 상단으로부터 제1 스토퍼(26) 폭만큼 내려와 형성된다면 플레이트(22)를 서포트(21)에 포개어 놓은 상태에서 플레이트(22)가 서포트(21)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반(2)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테이블(1)에 결합되는 제1 고정대(241)와, 상기 제1 고정대(241)와 결합되고 서포트(21)의 제1 부분(211)을 관통하는 제2 고정대(242)와, 상기 제2 고정대(242)에 결합되는 패스너(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대(241)는 수평 부분과 수직 부분이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대(241)의 수평 부분이 테이블(1)에 결합되고, 수직 부분은 제2 고정대(24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대(241)의 수평 부분은 볼트, 못 등에 의해 테이블(1) 상면에 결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고정대(241)의 수평 부분과 테이블(1) 상면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되어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 부분이 테이블(1)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착탈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접착제가 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 압축식 결합구 등의 접착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및/또는 상기 제1 고정대(241)의 수평 부분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집게가 부착되어 테이블(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대(242)는 상기 제1 고정대(241)의 수직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서포트(21)의 제1 부분(211), 예컨대 서포트 플레이트(217)의 관통공(218)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대(24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나사가공이 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243)는 상기 제2 고정대(242)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대(242)의 나사 가공된 부분과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스너(243)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고정대(241)가 서포트(21)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고, 패스너(243)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고정대(241)와 서포트(21)의 결합이 느슨해질 수 있다.
패스너(243)를 풀어서 제1 고정대(241)와 서포트(21)의 결합이 느슨해질 경우,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반(2)을 제1 고정대(24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반(2)이 테이블(1)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22)는 서포트(21)에 겹쳐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선반(2)을 테이블(1)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경우 사용자는 선반(2) 없이 테이블(1)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시에만 선반(2)을 테이블(1) 상부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21)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부분(211)에 위치한 제2 스토퍼(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25)는 막대형으로 구비되어 서포트(21)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는 데, 일단이 서포트(2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토퍼(25)는 선택적으로 플레이트(22)와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서포트(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25)가 플레이트(2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토퍼(25)는 테이블(1)의 상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포트(21)가 좌우 양측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토퍼(25)는 플레이트(22)와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 하면이 테이블(1) 상면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서포트(21)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와 같이 선반(2)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스토퍼(25)는 서포트(21)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서포트(21)가 제1 고정대(241)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통공(218)은 서포트(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제2 스토퍼(25)를 서포트(21)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접을 때에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테이블 2: 선반
21: 서포트 22: 플레이트
211: 제1 부분 212: 제2 부분
213: 제3 부분 216: 윈도우
231: 제1 링크 232: 제2 링크
233: 제3 링크 241: 제1 고정대
242: 제2 고정대 243: 패스너
26: 제1 스토퍼 25: 제2 스토퍼

Claims (5)

  1. 제1 부분이 테이블에 결합되는 서포트;
    제1 단부가 상기 서포트의 제2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서포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서포트의 제3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서포트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는 한쌍의 제2 스토퍼;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며, 한쌍의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정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포트의 제1 부분을 관통하는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2 고정대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고정대와 상기 서포트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테이블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정되고, 상기 서포트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 바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바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경로에 배치되는 수평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서포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된 상기 플레이트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1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3 링크를 더 포함하는 선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2 부분과 제3 부분의 사이에 위치한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선반.
KR1020150118869A 2015-08-24 2015-08-24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KR10176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869A KR101764360B1 (ko) 2015-08-24 2015-08-24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869A KR101764360B1 (ko) 2015-08-24 2015-08-24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63A KR20170023563A (ko) 2017-03-06
KR101764360B1 true KR101764360B1 (ko) 2017-08-02

Family

ID=5839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869A KR101764360B1 (ko) 2015-08-24 2015-08-24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3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836A (ja) * 2006-11-02 2008-05-22 Okamura Corp テーブルにおけるパネ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836A (ja) * 2006-11-02 2008-05-22 Okamura Corp テーブルにおけるパネ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63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7601S1 (en) Perpendicular to floor sign holder with simple shelf clip
US8517329B2 (en) Easel stand mountable display board
US7810654B1 (en) Hanging rack assembly
US8733562B2 (en) Sleeve bracket assembly
US8136775B2 (en) Rack assembly
US6792876B2 (en) Tabletop suspension system
US10514213B2 (en) Adjustable tool holder
US3190603A (en) Classroom easel
KR101764360B1 (ko) 학교 책상용 회전식 선반
KR101477984B1 (ko) 클립보드 독서대
US9129537B1 (en) Display board for multimedia devices
US20160143448A1 (en) Bedside Organizer
KR20130077850A (ko) 북앤드부를 구비하는 북트럭
JP2005034553A (ja) 棚装置を備えた机
US20090113631A1 (en) Bed Mountable Storage Device
JP3209762U (ja) 絵画用パネル・画板支持具
KR101599964B1 (ko) 물품 거치대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JP5618303B2 (ja) ブッククリップ装置
KR101532400B1 (ko) 책 받침구
US2167994A (en) Necktie rack
CN209152594U (zh) 一种多功能学生用桌
GB2248585A (en) Assembly and suspension back-plate for flip chart pads
KR20160122701A (ko) 패널형 커튼에 있어서의 2개의 커튼 행잉 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
JP2004081227A (ja) ラック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