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985A -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985A
KR20110005985A KR1020090063394A KR20090063394A KR20110005985A KR 20110005985 A KR20110005985 A KR 20110005985A KR 1020090063394 A KR1020090063394 A KR 1020090063394A KR 20090063394 A KR20090063394 A KR 20090063394A KR 20110005985 A KR20110005985 A KR 20110005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ocket
tool
cylindrical portio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371B1 (ko
Inventor
우재현
Original Assignee
우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현 filed Critical 우재현
Priority to KR102009006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3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 공구 세트를 구성하는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 사이의 모든 드릴공구를 하나의 드릴 소켓을 이용하여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드릴 공구를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소켓으로서, 상기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고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용 평단면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된 소원통부와, 상기 소원통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드릴공구의 최대 직경을 수용하는 내경을 갖고 드릴링 깊이를 제한하는 대원통부로 이루어진 소켓 몸체와; 상기 소원통부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공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멈춤용 강구와; 상기 소원통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멈춤용 강구를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공측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임플란트, 드릴공구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Dental implant technician drill socket}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를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드릴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릴 공구 세트를 구성하는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 사이의 모든 드릴공구를 하나의 드릴 소켓을 이용하여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세트 중에서 길이가 고정되는 스토퍼드릴 시스템을 살펴보면, 가공 직경에 따라 대응되는 드릴 공구가 여러가지가 된다. 이는 해당 드릴 공구의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준비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드릴 세트에 직경 2mm인 드릴 가공이 준비된다면 그 직경에 해당하는 길이가 다른 10mm,11mm,12mm,13mm인 모두 4개의 드릴 공구가 구비된다. 따라서 직경이 서로 다른 4개의 드릴 가공이 준비된다면, 모두 16개의 드릴 공구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드릴 공구의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의 사이를 다 포함하고 길이가 다를때마다 소켓을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면, 드릴 공구의 길이에 따른 갯수만큼 소켓만 있으면 많은 드릴공구가 필요하지 않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위 경우 길이가 다 른 4개의 드릴 소켓만 있으면, 해당 직경에 해당하는 모든 드릴공구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깊이 제한의 숫자만큼 소켓의 갯수를 결정하고, 직경의 갯수만큼 드릴 공구가 구비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소켓으로 직경의 차이에 따른 갯수만큼 드릴 공구를 연결시켜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릴 공구의 갯수를 줄여 드릴 공구 세트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드릴 길이의 확인이 용이하며, 드릴길이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을 사용함으로써 드릴 공구의 교체시간을 절감하고, 드릴 공구의 주기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드릴 공구를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소켓으로서,
상기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고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용 평단면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된 소원통부와, 상기 소원통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드릴공구의 최대 직경을 수용하는 내경을 갖고 드릴링 깊이를 제한하는 대원통부로 이루어진 소켓 몸체와;
상기 소원통부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공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멈춤용 강구와;
상기 소원통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멈춤용 강구를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공측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의 양단에 상기 드릴 공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깊이로 원형의 소직경 결착공과 대직경 결착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수단은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선형 스프링을 상기 소원통부의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해 소켓몸체에 라운드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있어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는 그 상단부에 소켓몸체의 결합공에 삽입 되는 다각단면의 결착부를 갖고, 상기 소켓의 결착부 외주면에 강구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환형의 멈춤홈이 형성되고, 결착부의 양단에는 상기 소직경 결착공에 삽입되는 소직경 축부와, 상기 대직경 결착공에 삽입되는 대직경 축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에 따르면, 하나의 드릴 소켓으로 직경의 차이에 따른 갯수만큼 드릴 공구를 연결시켜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릴 공구의 갯수를 줄여 드릴 공구 세트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에 결합된 드릴 공구를 잡아당기는 힘 만으로 간단히 이탈이 되므로 드릴 공구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드릴 소켓에 기공 깊이를 제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치과기공 시술의 잘못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경별로 드릴 공구가 수량이 얼마 안되도록 구비되므로 드릴 공구의 주기적인 전체 교체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10)은 드릴 공구(100)를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전동공구 핸드피스(5)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드릴 소켓(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전동공구 핸드피스(5)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축부(12)와, 축부(12)에서 연장된 소켓 몸체(20)가 구비된다.
소켓 몸체(20)는 축부(12)에서 연장되고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용 평단면(21a)을 갖는 결합공(21)이 형성된 소원통부(22)와, 소원통부(22)에서 연장되고 상기 드릴공구(100)의 최대 직경(d)을 수용하는 내경(D)을 갖고 드릴링 깊이를 제한하는 대원통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대원통부(24)의 끝단면(24a)은 드릴 가공시 기공의 깊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공(21)은 예로, 육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회전방지용 평단면(21a)은 모두 6개가 된다.
대원통부(24)의 내경(D)은 드릴공구(100)의 종류에 따른 최대 직경(d)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예로, 드릴공구(100)들의 직경 크기가 φ3.3mm, φ3.75mm, φ4.0mm, φ5.0mm와 같이 4종류가 준비될 경우 대원통부(24)의 내경(D)의 치수는 φ5.0mm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대원통부(24)의 길이(L)는 드릴공구(100)의 깊이를 제한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드릴 소켓(10)은 대원통부(24)의 길이(L) 변화에 따른 갯수만큼 공구세트에 구비된다.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는 결합공(21)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멈춤용 강구(30)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때 강구(30)는 소원통부(22)에 관통 형성된 구 멍(22a)에 삽입 위치된다. 이때 구멍(22a)은 강구(30)가 결합공(21)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테이퍼가 형성되거가 오목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구(30)가 180도의 위치마다 설치되어 모두 2개가 구비된다.
강구(30)는 탄성수단에 의해 결합공(21)측으로 밀어붙여져 있다. 탄성수단은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 삽입된 멈춤용 강구(30)를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공(21)측으로 밀어붙인다. 탄성수단은 예로 나선형 스프링(40)이나 C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40)은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적어도 2회 나선방향으로 밀착 선회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구조이다. 따라서 나선형 스프링(40)이 정위치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강구(30)는 항시 연속된 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강구(30)를 누름하는 탄성력의 변화는 없게 된다.
나선형 스프링(40)을 상기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해 소켓몸체(20)에 라운드 턱(26)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선형 스프링(40)은 축부(12)를 통해 삽입되어 라운드 턱(26)을 타고넘어가면서 직경방향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탄성력에 의해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소켓몸체(20)에는 결합공(21)의 양단으로 드릴 공구(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깊이로 원형의 소직경 결착공(23)과 대직경 결착공(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드릴공구(100)가 결합공(21)에 헐겁게 결합되더라도 소직경 결착공(23)과 대직경 결착공(25)에는 밀착되게 끼움되어 드릴공구(100)의 가공 중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10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그 상단부에 소켓몸체(20)의 결합공(21)에 삽입되는 다각단면의 결착부(102)를 갖고, 상기 결착부(102)의 외주면에 강구(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환형의 멈춤홈(10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100)는 결착부(102)의 양단에 상기 소직경 결착공(23)에 삽입되는 소직경 축부(103)와, 상기 대직경 결착공(25)에 삽입되는 대직경 축부(10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직경(D1,D2,D3,D4)이 서로 다른 드릴공구(100)가 동일한 가공깊이(L1)를 갖는 드릴 소켓(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동일한 직경(D1)을 갖는 드릴 공구(100)가 서로 다른 가공깊이(L1,L2,L3,L4)를 갖는 드릴소켓(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공코자 하는 치과 기공 깊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10)이 선택된다.
다음, 가공 직경에 해당하는 드릴 공구(100)가 선택되어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10)에 연결된다. 이때 드릴 공구(100)는 결착부(102)가 도 3과 같이 소켓몸체(20)의 소원통부(22)의 결합공(21)측에 끼워넣어지고, 강구(30)가 나선형 스프링(40)의 탄성누름력에 의해 결착부(120)의 멈춤홈(102a)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드릴공구(100)의 소직경 축부(103)와 대직경 축부(104)가 각기 소켓몸체(200)의 소직경 결착공(23)과 대직경 결착공(25)에 삽입된다.
그 다음, 드릴 소켓(10)의 축부(12)를 전동공구 핸드피스(5)에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따라서 전동공구 핸드피스(5)가 구동되면, 드릴 소켓(10)이 드릴 공구(100)와 일체로 회전 구동하여 원하는 곳에 기공 가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치과 기공의 가공이 완료된 후 드릴 공구(100)를 잡아당기면 결착부(102)가 소켓몸체(20)의 결합공(21)에서 쉽게 이탈한다. 이때 강구(30)가 나선형 스프링(40)의 누름력을 이기고 드릴공구(100)의 멈춤홈(102a)에서 이탈하여 드릴 공구(100)가 드릴 소켓(1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드릴 공구를 교체시 전동공구 핸드피스(5)측에서 레버를 밀어내는 불편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드릴 소켓(10)은 그 하나가 대원통부(24)를 통해서 가장 작은 직경(D4)의 드릴 공구로부터 큰 직경(D1)의 드릴 공구를 모두 수용하므로 공구세트에 준비되는 드릴 공구의 갯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즉, 드릴 공구를 직경의 크기 별로 구비되면 된다.
따라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세트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드릴 공구의 숫자가 줄어듦으로 종래와 같이 많은 드릴 공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마모에 따른 교체 주기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과 드릴공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의 단면도.
도 4는 드릴 공구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직경이 서로 다른 드릴공구가 동일한 가공깊이를 갖는 드릴 소켓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도,
6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드릴 공구가 서로 다른 가공깊이를 갖는 드릴소켓에 장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드릴 소켓
12: 축부
20: 소켓 몸체
21: 결합공
21a: 평탄면
22: 소원통부
23: 소직경 결착공
25: 결착공
26: 라운드 턱
30: 멈춤용 강구
40: 나선형 스프링
100: 드릴공구
102: 결착부
102a: 멈춤홈
103: 소직경 축부
104: 대직경 축부

Claims (5)

  1. 드릴 공구(100)를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소켓으로서,
    상기 전동공구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축부(12)와;
    상기 축부(12)에서 연장되고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용 평단면(21a)을 갖는 결합공(21)이 형성된 소원통부(22)와, 상기 소원통부(22)에서 연장되고 상기 드릴공구(100)의 최대 직경을 수용하는 내경을 갖고 드릴링 깊이를 제한하는 대원통부(24)로 이루어진 소켓 몸체(20)와;
    상기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공(21)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멈춤용 강구(30)와;
    상기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멈춤용 강구(30)를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공(21)측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1)의 양단에 상기 드릴 공구(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깊이로 원형의 소직경 결착공(23)과 대직경 결착공(25)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나선형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40)을 상기 소원통부(22)의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해 소켓몸체(20)에 라운드 턱(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5.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있어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100)는 그 상단부에 소켓몸체(20)의 결합공(21)에 삽입되는 다각단면의 결착부(102)를 갖고, 상기 청구항 제1항의 결착부(102)의 외주면에 강구(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환형의 멈춤홈(102a)이 형성되고, 결착부(102)의 양단에는 상기 소직경 결착공(23)에 삽입되는 소직경 축부(103)와, 상기 대직경 결착공(25)에 삽입되는 대직경 축부(104)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공구.
KR1020090063394A 2009-07-13 2009-07-13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KR10114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394A KR101143371B1 (ko) 2009-07-13 2009-07-13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394A KR101143371B1 (ko) 2009-07-13 2009-07-13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85A true KR20110005985A (ko) 2011-01-20
KR101143371B1 KR101143371B1 (ko) 2012-05-18

Family

ID=4361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394A KR101143371B1 (ko) 2009-07-13 2009-07-13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13B1 (ko) * 2011-09-02 2012-04-16 황적희 임플란트용 드릴 연장 용구
CN113100974A (zh) * 2021-04-12 2021-07-13 泰州市奥美齿科制品有限公司 一种牙齿切削染色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312B1 (ko) * 2021-12-30 2024-03-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주수 드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21Y1 (ko) 2001-12-26 2002-03-18 오스템 임프란트 주식회사 덴탈 픽스츄어 식립용 드릴연결구
KR200420256Y1 (ko) 2006-04-11 2006-07-03 주식회사 덴티스 치과용 드릴 길이 확장기
KR200424976Y1 (ko) 2006-06-06 2006-08-28 주식회사 조인원 치과 임프란트 시술용 드릴 확장기구
KR100985533B1 (ko) * 2008-11-10 2010-10-05 주식회사 디오 덴탈용 드릴연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13B1 (ko) * 2011-09-02 2012-04-16 황적희 임플란트용 드릴 연장 용구
CN113100974A (zh) * 2021-04-12 2021-07-13 泰州市奥美齿科制品有限公司 一种牙齿切削染色处理装置
CN113100974B (zh) * 2021-04-12 2022-05-17 泰州市奥美齿科制品有限公司 一种牙齿切削染色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371B1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893B1 (en) Abutment for implant
JP6214661B2 (ja) 関連ツールを含む外科用トルク伝達器具
KR101332697B1 (ko)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가공용 고정지그
JP2011101945A (ja) 切り屑除去機械加工用回転工具及びそのためのルーズトップと基体
JP2016502937A (ja) 交換可能な切断部を備えたドリル工具
US9566696B2 (en) Handheld machine tool
US10035197B2 (en) Quick change system for rotary tools
JP2015527148A (ja) 関連ツールを含む外科用トルク伝達器具
KR101143371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EP2845673A1 (en) Arbor assembly, arbor and assembly
TWM551535U (zh) 鑽頭夾具總成
JP2015527150A (ja) 関連ツールを含む外科用トルク伝達器具
CN109890542B (zh) 多连接驱动轴
JP2010261590A (ja) 流体パイプ結合装置
KR100794900B1 (ko) 클램핑 장치
JP2010051708A (ja) インプラント植込み用治具
US20190366447A1 (en) Tool holder with coiled springs
US20190217400A1 (en) Quick Release Adapter
JP201808920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手術器具
KR102068684B1 (ko) 치과용 픽스쳐 드라이버
JP6261592B2 (ja) 関連ツールを含む外科用トルク伝達器具
JP2010137052A (ja) 歯インプラントの結合ねじの、ねじ基部を除去する器具
CN104057414A (zh) 具有包括多边形内容纳装置和多边形外容纳装置的工具机容纳装置的手持式工具机
JP2016522093A (ja) コレットアセンブリのロック機構
CN209236294U (zh) 用于膝关节置换手术的切除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