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312B1 - 치과용 주수 드릴 - Google Patents

치과용 주수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312B1
KR102648312B1 KR1020210193410A KR20210193410A KR102648312B1 KR 102648312 B1 KR102648312 B1 KR 102648312B1 KR 1020210193410 A KR1020210193410 A KR 1020210193410A KR 20210193410 A KR20210193410 A KR 20210193410A KR 102648312 B1 KR102648312 B1 KR 102648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drill
fit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4386A (ko
Inventor
이찬중
장호명
조상경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31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내부 주수통로가 형성된 생크 본체부와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생크 결합부를 갖는 생크부 및 분사구가 형성된 드릴날부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는 드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부에는 제2 내부 주수통로가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와 상기 분사구 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드릴날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생크부와 상기 드릴부는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출부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출부는 압입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주수 드릴 {DENDAL WATER IRRIGATION DRILL}
본 발명은 치과용 주수 드릴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치아, 턱뼈, 보철물 등을 절삭하거나 연삭하는 등 다양한 시술을 행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회전기구를 사용한다.
치과용 회전기구는 통상, 핸드용 드라이버나 덴탈용 시술 엔진 등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의 몸체 일단에 형성되는 생크부와, 이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형태에 따라 고유의 시술을 행할 수 있는 작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중 치과용 드릴은 주로 임플란트와 같은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식립하기 위한 식립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치과용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 시 마찰에 따른 열이 발생할 경우 턱뼈가 괴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드릴링 작업 동안에 턱뼈에 열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작업 주변에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주입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드릴을 사용함에 있어서, 마찰열에 의한 뼈 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임플란트 시술 상황에 맞게 적절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드릴부를 사용해야 하며, 그 천공 작업에 있어서도 신중하게 시술해야만 한다. 종래의 치과용 드릴은 핸드피스에 연결하기 위한 생크부와 치조골에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드릴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드릴부가 파손되거나 상황에 맞게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생크부까지 일체로 교체해야 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드릴은 냉각수가 분사되는 내부장공이 절삭날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뼈가루에 의해 막히는 것과 같은 이유로 냉각수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67233호 (2010.07.0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크부와 절삭날부가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고, 내부 주수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주수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내부 주수통로가 형성된 생크 본체부와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생크 결합부를 갖는 생크부 및 분사구가 형성된 드릴날부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는 드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부에는 제2 내부 주수통로가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와 상기 분사구 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드릴날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생크부와 상기 드릴부는 일단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출부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출부는 압입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결합시 1차적으로 동심을 맞추기 위한 제1 압입 가이드부,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입 몸체부, 및 상기 압입 몸체부와 연결되되 상기 압입 몸체부 보다 큰 직경을 갖고, 결합시 2차적으로 동심을 맞추기 위한 제2 압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결되며, 상기 압입 몸체부가 끼워지는 압입홈, 및 상기 압입홈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압입 가이드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입 가이드부는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압입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홈은 상기 압입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드릴날부의 선단 근방에서 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용 주수 드릴은 생크부와 드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내부 주수통로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고, 생크부와 드릴부 결합구조가 2단 이상의 계단구조로 형성되어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주수 드릴은 냉각수가 주입되는 내부 주수통로가 형성되고,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드릴날부의 선단 근방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드릴링 작업시 마찰에 의한 열을 최소화하면서도 분사구가 뼈가루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생크부와 드릴부의 결합부위에 회전방지기능을 형성하여 드릴링 작업시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주수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주수 드릴의 분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크부의 정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부의 정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주수 드릴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크부와 드릴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주수 드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주수 드릴의 분해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크부의 정면도 및 A-A' 단면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부의 정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치과용 주수 드릴(1000)은 주로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드릴링 과정에 사용되며,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치과용 주수 드릴(1000)은 생크부(100) 및 드릴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생크부(100)와 드릴부(200)는 일단 결합되면 통상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는 그 결합된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즉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즉, 생크부(100)와 드릴부(200)는 내부 주수통로의 가공 편의성을 위해 별도로 구비되어 결합된다.
생크부(100)는 생크 본체부(110) 및 생크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생크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형봉의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에는 고속 회전 기구의 핸드피스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 형상의 핸드피스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핸드피스고정부의 형상은 고속 회전 기구의 핸드피스에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고속 회전 기구의 핸드피스는 치과용 주수 드릴(10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측에 상기 생크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갖는다. 생크 본체부(110)는 이러한 고속 회전 기구의 핸드피스와 연결되어 드릴부(20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생크 본체부(1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내부 주수통로(140)가 형성된다. 제1 내부 주수통로(140)는 외부에서 주입된 냉각수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드릴부(200)의 제2 내부 주수통로(23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생크 본체부(11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140)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제1 입구가 형성되고, 생크 본체부(1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140)로 주입된 냉각수를 상기 드릴부(200)의 제2 내부 주수통로(230)로 출수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된다.
생크 결합부(120)는 생크 본체부(110)의 일단에서 생크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생크 결합부(120)는 생크 본체부(110) 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생크 결합부(120)는 내부에 드릴부(200)의 결합돌출부(220)가 삽입되는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드릴부(200)는 드릴날부(210) 및 결합돌출부(220)를 포함하며, 내부에 생크부(100)의 제1 내부 주수통로(140)와 연통되는 제2 내부 주수통로(230)가 형성된다. 즉, 드릴부(20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140)로부터 출수된 냉각수를 상기 제2 내부 주수통로(230)로 주입하기 위한 제2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내부 주수통로(230)로 주입된 냉각수는 드릴날부(210)에 형성된 분사구(23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드릴날부(210)는 인공치아, 즉 임플란트를 식립할 치조골에 일정 크기 및 깊이를 지닌 절삭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날부(210)의 직경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분사구(231)는 상기 드릴날부(210)의 선단 근방에서 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분사구(231)는 상기 드릴날부(210)의 선단 근방에서 상기 제2 내부 주수통로(23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140)를 거쳐 상기 제2 내부 주수통로(230)로 주입된 냉각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분사구(23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분사구(231)는 드릴날부(210)의 선단 근방에서 냉각수가 분사될 수 있는 나선형 홈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구(231)가 드릴날부(210)의 선단이 아닌 선단 근방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홈에 서로 대향하도록 두개 이상 형성됨에 따라 드릴링 작업시 냉각수로 인해 골괴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부에서 주입된 냉각수는 제1 내부 주수통로(140) 및 제2 내부 주수통로(230)를 거쳐 분사구(231)를 통해 드릴링 작업 주위로 분사되며, 이로써 드릴링 작업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드릴날부(210)는 일단부에 생크부(100)의 결합홈(130)과 연결되기 위한 결합돌출부(220)를 포함한다.
결합돌출부(220)는 드릴날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주수 드릴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크부와 드릴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생크부(100)와 드릴부(200)는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생크부(100)의 결합홈(130)과 드릴부(200)의 결합돌출부(220)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30)은 단차를 갖는 2이상의 계단구조로 이루어져 생크 본체부(110)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합돌출부(220)는 상기 결합홈(130)에 대응되도록 단차를 갖는 2이상의 계단 구조로 이루어지되 드릴날부(210)로부터 원위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드릴부(200)의 결합돌출부(220)는 생크부(100)의 결합홈(130)에 압입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130)의 내경과 결합돌출부(220)의 외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의 일대일의 단순 끼움 공차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생크부(100)와 드릴부(200)는 강제 압입 끼움 방식으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홈(130)에 결합돌출부(220)를 삽입하면, 상기 결합홈(130)과 상기 결합돌출부(220)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홈(130)에 결합돌출부(220)를 삽입시, 상기 결합홈(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공간부(S)는 대략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결합홈(130)과 결합돌출부(220)가 자연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돌출부(220)는 제1 압입 가이드부(221), 압입 몸체부(222), 및 제2 압입 가이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압입 가이드부(221), 압입 몸체부(222), 및 제2 압입 가이드부(223)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돌출부(220)는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돌출부(220)는 결합홈(130)에 결합시 1차적으로 동심을 맞추기 위한 제1 압입 가이드부(221),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221)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22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입 몸체부(222), 및 상기 압입 몸체부(222)와 연결되되 상기 압입 몸체부(222) 보다 큰 직경을 갖고 결합시 2차적으로 동심을 맞추기 위한 제2 압입 가이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홈(130)은 제1 가이드홈(131), 압입홈(132), 및 제2 가이드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홈(131), 압입홈(132), 및 제2 가이드홈(133)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홈은(130)은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30)은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221)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131), 상기 제1 가이드홈(131)과 연결되며 상기 압입 몸체부(222)가 끼워지는 압입홈(132), 및 상기 압입홈(132)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압입 가이드부(223)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홈(131)과 제1 압입 가이드부(22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30)으로의 초기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1차적으로 동심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2 가이드홈(133)과 제2 압입 가이드부(223)는 결합홈(130)으로의 마무리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2차적으로 동심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제2 압입 가이드부(223)는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출부(220)의 진입이 마무리되면, 제2 가이드부(223)는 제2 가이드홈(133)을 완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생크부(100)와 드릴부(200)의 결합이 올바르게 그리고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압입홈(132)과 압입 몸체부(222)는 압입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압입홈(132)의 내경과 압입 몸체부(222)의 외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의 일대일의 단순 끼움 공차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입홈(132)에 압입 몸체부(222)를 삽입하면, 상기 압입홈(132)과 상기 압입 몸체부(222)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돌출부(220)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224)를 포함하고, 결합홈(130)은 상기 회전방지돌기(224)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방지돌기(224)는 상기 압입 몸체부(22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회전방지홈(134)은 상기 압입홈(132)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224)는 생크부(100)와 드릴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압입 몸체부(222)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압입 몸체부(22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홈(134)은 상기 회전방지돌기(224)에 대응되는 형상과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치과용 주수 드릴(1000)은 생크부(100)와 드릴부(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내부 주수통로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고, 생크부(100)와 드릴부(200) 결합구조가 2단 이상의 계단구조로 형성되어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각수가 주입되는 내부 주수통로가 형성되고,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구(231)가 드릴날부(210)의 선단 근방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드릴링 작업시 마찰에 의한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치과용 주수 드릴
100 생크부
110 생크 본체부
120 생크 결합부
130 결합홈
131 제1 가이드홈
132 압입홈
133 제2 가이드홈
134 회전방지홈
140 제1 내부 주수통로
200 드릴부
210 드릴날부
220 결합돌출부
221 제1 압입 가이드부
222 압입 몸체부
223 제2 압입 가이드부
224 회전방지돌기
230 제2 내부 주수통로

Claims (6)

  1. 제1 내부 주수통로가 형성된 생크 본체부와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생크 결합부를 갖는 생크부; 및
    분사구가 형성된 드릴날부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는 드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부에는 제2 내부 주수통로가 상기 제1 내부 주수통로와 상기 분사구 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드릴날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는 상기 드릴날부의 선단 근방에서 측 방향으로 나선형 홈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생크부와 상기 드릴부는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출부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출부는 압입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치과용 주수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결합시 1차적으로 동심을 맞추기 위한 제1 압입 가이드부;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입 몸체부; 및
    상기 압입 몸체부와 연결되되 상기 압입 몸체부 보다 큰 직경을 갖고, 결합시 2차적으로 동심을 맞추기 위한 제2 압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 압입 가이드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결되며, 상기 압입 몸체부가 끼워지는 압입홈; 및
    상기 압입홈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압입 가이드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입 가이드부는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압입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홈은 상기 압입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주수 드릴.
  6. 삭제
KR1020210193410A 2021-12-30 2021-12-30 치과용 주수 드릴 KR10264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10A KR102648312B1 (ko) 2021-12-30 2021-12-30 치과용 주수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10A KR102648312B1 (ko) 2021-12-30 2021-12-30 치과용 주수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86A KR20230104386A (ko) 2023-07-10
KR102648312B1 true KR102648312B1 (ko) 2024-03-19

Family

ID=8715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410A KR102648312B1 (ko) 2021-12-30 2021-12-30 치과용 주수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3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005B1 (en) 2000-09-18 2001-11-20 Biolok International Inc. Dental irrigation drill with internal anti-backwash baffle
KR100955103B1 (ko) * 2008-04-19 2010-04-27 장철훈 치과용 핸드피스 및 그 치공구 드릴
KR101143371B1 (ko) * 2009-07-13 2012-05-18 우재현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0052A1 (fr) 2007-06-27 2008-12-31 Roland Dricot Structure pour former de l'o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005B1 (en) 2000-09-18 2001-11-20 Biolok International Inc. Dental irrigation drill with internal anti-backwash baffle
KR100955103B1 (ko) * 2008-04-19 2010-04-27 장철훈 치과용 핸드피스 및 그 치공구 드릴
KR101143371B1 (ko) * 2009-07-13 2012-05-18 우재현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86A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035A (en) Enhanced cutting drill tip for endosseous implants
KR101414978B1 (ko) 냉각수 주입이 우수한 임플란트용 드릴비트
US8277218B2 (en) Screw-type dental implant
EP2237739B1 (en)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KR10075926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4684346A (en) Endodontic access bur with extended diamond coat and method for using
KR20100066506A (ko) 임플란트 식립용 천공기구, 핸드피스, 핸드피스용 어댑터 및 서지컬 가이드
US20190321144A1 (en) Drill for dental implant
CA2473087C (en) Dental implant system
WO2009066935A1 (en) A dental implant drill having a multi-step structure
RU2416375C2 (ru) Расширитель-уплотнитель гребня кости, соединитель, инициирующий бор и набор инструментов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верхнечелюстной кости к установке имплантата
US20130280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s
JP5491180B2 (ja) 医療デバイス
US51202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prosthesis
US20110208192A1 (en) Surgical tool, especially for machining bones for insertion of a dental implant
KR102648312B1 (ko) 치과용 주수 드릴
US4943236A (en) Asymmetrical bone drill
US20100035203A1 (en) Dental Treatment Instrument with Coupling Device for Transmission of Motion and for Releasable Attachment of a Treatment Tool
US20130280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s
US6305935B1 (en) Disposable contra-angle
US5037300A (en) Apparatus for undercutting a tooth
US20040172035A1 (en) Tool for expanding the hole formed in the bone, in particular for installing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KR200467202Y1 (ko) 크레스탈 커터와 파일럿 커터 일체형 임플란트시술용 드릴
US11744672B2 (en) Dental drill
TWM612955U (zh) 機頭限位導引筒狀結構及其工具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