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870A - 트레이닝 장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트레이닝 장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870A
KR20110005870A KR1020107025665A KR20107025665A KR20110005870A KR 20110005870 A KR20110005870 A KR 20110005870A KR 1020107025665 A KR1020107025665 A KR 1020107025665A KR 20107025665 A KR20107025665 A KR 20107025665A KR 20110005870 A KR20110005870 A KR 2011000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lse wave
gas bag
gas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495B1 (ko
Inventor
요시아끼 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Publication of KR2011000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61B17/1355Automated 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61B5/02116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of pulse wave amplitu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24/0078Exercise efforts programmed as a function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5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A63B2208/053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high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5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 A63B2213/006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under hypoxy conditions, i.e. oxygen supply subnor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4Frequency, e.g. of vibration osc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3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loo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mat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효과적이고 또한 안전하게 가압 트레이닝을 실행하기 위한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트레이닝 장치는, 긴장 체결구(100)와, 본체 장치(200)와, 측정 장치(300)와, 제어 장치(4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긴장 체결구(100)는 사지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다. 긴장 체결구(100)는 기밀한 가스 주머니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 공기를 출입시킴으로써, 사지에 대해 부여하는 조임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체 장치(200)는 가스 주머니로의 공기의 출입을 제어한다. 측정 장치(300)는 긴장 체결구(100)가 권취된 사지에 설치되어 맥파의 크기를 측정한다. 제어 장치(400)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에 앞서 실행되는 전처리로, 맥파의 크기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맥파를 특정하여 그것에 0.2 이상 1 미만의 수를 곱하여 얻어진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적당한 가스압으로서 선택한다.

Description

트레이닝 장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TRAIN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FOR TRAINING, AND METHOD FOR CONTROL}
본 발명은 종래부터 가압 트레이닝으로서 실시되어 보급되어 있는 트레이닝 방법을 보다 안전하게 또는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자인 사토 요시아키는, 근육의 증강을, 용이하고, 안전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근력 증강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거듭 연구를 행하고 있고, 그 성과로서 평성 5년 특허원 제313949호의 특허 출원을 행하여, 특허 제2670421호를 받는 것에 이르고 있다.
이 특허에 관한 근력 증강 방법은, 가압을 사용하여 행하는 종래에는 없는 특징적인 것이다. 이 근력 증강 방법(이하, 「가압 트레이닝(등록 상표) 방법」이라고 부름)은, 이하와 같은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근육에는, 지근과 속근이 있지만, 지근은 거의 커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근육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지근과 속근 중, 속근을 활동시킬 필요가 있다. 속근이 활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락트산의 근육으로의 축적이 계기가 되어 뇌하수체로부터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에는, 근육을 만들고, 체지방을 분해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속근을 활동시켜 피로하게 하면, 속근의, 나아가서는 근육의 증강이 행해지게 된다.
그런데, 지근과 속근에는, 전자가, 산소를 소비하여 활동하는 것이고, 또한 가벼운 부하의 운동을 행하면 활동을 개시하는 것에 비해, 후자가, 산소가 없어도 활동하는 것이고, 또한 상당히 큰 부하를 가한 경우에 지근에 지연되어 활동을 개시한다고 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속근을 활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활동을 개시하는 지근을 빠르게 피로하게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근력 증강 방법에서는, 바벨 등을 사용한 심한 운동을 행하게 함으로써 지근을 우선 피로하게 하고, 계속해서 속근을 활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속근을 활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운동량이 필요하므로, 긴 시간이 걸리고, 또한 근육 및 관절로의 부담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근육의 사지의 근원 부분 부근의 소정의 부위를 조여 가압하고, 그곳보다도 하류측으로 흐르는 혈류를 제한한 상태로 근육에 운동을 행하게 하면, 그 근육에 공급되는 산소가 적어지므로, 활동을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는 지근이 바로 피로해진다. 따라서, 가압에 의해 혈류를 제한한 상태로 근육에 운동을 행하게 하면, 큰 운동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속근의 활동을 빠르게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사지의 근원 부분 부근의 소정의 부위를 조여 가압하면, 그 가압력이 적당한 경우에는, 사지의 피부에 가까운 곳에 존재하는 정맥이 닫히고, 사지의 보다 깊은 곳에 존재하는 동맥은 통상의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된다. 그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면,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이 조여진 사지 중에는, 동맥으로부터 공급되지만 정맥으로부터 나갈 수 없는 혈액이 저류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그 사지가 운동을 격렬하게 행하고 있는 상태와 매우 가깝기 때문에, 근육이 격렬하게 피로해지는 것이다. 또한, 근육의 피로는 정맥이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근육 내에서 생성된 락트산이 근육의 밖으로 나오기 어려워지는 것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가압 트레이닝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운동을 행했을 때와 동일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를 의사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가압 트레이닝 방법을 행하면, 근력 트레이닝의 효과가 발생하고, 또한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근육에 있어서의 혈류를 저해함으로써, 근육의 비약적인 증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가압 트레이닝 방법은, 이 혈류 저해에 의한 근력 증강의 이론을 응용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사지의 적어도 하나의 기단부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그곳보다도 하류측으로 흐르는 혈류를 저해시키는 적당한 조임력을 부여하고, 그 조임력에 의해 근육에 혈류 저해에 의한 적절한 부하를 부여하고, 그것에 의해 근육에 피로를 발생시켜, 한층 근육의 효율이 좋은 증강을 도모한다고 하는 것이다.
가압 트레이닝 방법은, 혈류의 저해에 의한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근육에 부여하는 부하의 총량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운동과 조합하는 경우에는, 운동에 의한 부하를 종래보다도 줄인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특징은, 근육을 증강하는 데 있어서 근육에 행하게 하는 운동량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관절이나 근육 손상의 우려를 감소시키거나, 또한 트레이닝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가압 트레이닝 방법은, 혈류 저해에 의한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근육의 증강을 행하는 것이므로, 근육을 증강시키는 데 있어서 운동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큰 특징을 갖는다. 이 특징에 의해, 가압 트레이닝 방법은, 운동 기능에 이상이 있는 사람, 예를 들어 고령자나, 부상을 지고 있는 사람 등의 근육을 증강시키거나, 그들의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큰 효과가 있다.
그런데,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의 기단부 부근을 어느 정도의 강도로 조일 것인가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가압 트레이닝은,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의 기단부 부근을 조임으로써 발생하는 혈류 저해에 의해,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에 심한 운동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사적으로 만들어야만 그 효과가 올라가지는 것이다. 한편, 가압 트레이닝은 혈류 저해의 정도를 과잉으로 하면 사용자의 건강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를 조이는 경우의 힘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하는 점은, 가압 트레이닝을 사용자에게 지도하는 사람의 지식이나 경험에 의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가압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기량이 없는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이하의 발명을 제안한다. 본원에 관한 발명은, 제1 발명과 제2 발명으로 크게 구별된다.
제1 발명은,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트레이닝 장치이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가압 트레이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지의 근원 부분 부근의 소정의 부위를 조여 가압함으로써, 사지에 혈류의 저해를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운동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조임 내지 가압은, 이것도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그 사지 중에 있는 정맥을 폐쇄된 상태로 하고, 동맥을 개방한 상태로 함으로써, 조임을 행한 사지의 선단측에 통상 시보다도 많은 혈액이 저류된 상태로 하는 것이 목적이 된다.
그런데, 가압 트레이닝을 시술하는 경우에는, 정맥뿐만 아니라, 동맥도 어느 정도 폐쇄할 정도의 압력을 사지의 소정의 부위를 조이기 위해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맥을 지나치게 폐쇄하면, 팔이나 다리로 유입되는 혈류의 양이 줄기 때문에,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고 있는 사람(사용자)의 건강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에서는, 사지의 근원 부근의 조임을 본격적으로 행하는 통상 처리에 앞서 전처리를 행하고, 그 전처리에서,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을 조일 때에 부여하는 적절한 압력의 기준이 되는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최대 맥파압은,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을,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조인 경우에 그것에 수반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맥파라 함은, 심장의 수축에 의해 대동맥에 혈액이 압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혈관 내의 압력 변화가 말초 방향으로 전달할 때의 파동을 말한다. 이 파동에 의한 혈관의 용적 변화로서 검출되는 것이 용적 맥파이고, 혈관 내의 압력 변화로서 검출되는 것이 압맥파이다. 제1 발명에서는, 이 어느 하나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맥파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는 맥파 그 자체를 포함함)를 맥파 측정 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상술한 최대 맥파압을 결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최대 맥파압(보다 정확하게는, 최대 맥파압이 계측되었을 때의 맥파와, 최대 맥파압이 계측되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적절한 조임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 될 수 있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최대 맥파압은 압력 설정 수단이 긴장 체결구의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고 있는 중에 변동되는 맥파가 최대로 된 그 시점의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이다. 반대로 말하면,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켰을 때에, 그 사지에 있어서의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이 최대 맥파압이다. 맥파가 최대라고 하는 것은, 조임을 그 기단부 부근에서 행해지고 있는 그 사지 중으로 동맥을 통해 보내지는 혈액의 양이 최대(혹은, 동맥을 통해 혈액을 보내려고 하는 작용이 최대임)라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가 어떤 사람이면(예를 들어, 노약 남녀별, 건강 상태별, 운동 경력별에 의하지 않고), 일정한 정밀도를 갖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대 맥파압은 사용자의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에 부여해야 할 조임력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에 부여해야 할 조임력은,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최대 맥파압으로 되었을 때의 맥파보다도 작아진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며,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최대 맥파압으로 되었을 때의 맥파보다도 큰 압일 때에, 가압 트레이닝의 효과가 크게 생기기 쉽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발명에서는, 전처리 시에, 제어 수단이, 최대 맥파압을 기준으로 하면서,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한다. 또한, 통상 처리 시에, 제어 수단은 압력 설정 수단이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을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기준압의 정의 중에,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으로 하는 것은, 맥파는,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최대 맥파압으로 되었을 때의 맥파(최대로 되어 있는 맥파)를 정점으로 하여,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작은 측에서는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작아질수록 작아지고,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큰 측에서는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커질수록 작아진다고 하는 대략 대칭의 변화를 나타내므로, 제1 기준압과 동일한 압은,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의 측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작은 압의 측에 1개씩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제1 계수를 0.2보다도 큰 수로 하고 있는 것은, 최대 맥파압을 발생했을 때의 최대로 되어 있는 맥파의 0.2배를 하회할 정도로 맥파가 작아질수록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을 향상시키면, 가압 트레이닝 시에 동맥이 필요 이상으로 닫히는 사태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하이레벨의 애슬리트가 사용자인 경우도 아닌 한, 가압 트레이닝의 안전성에 어려움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1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을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가압 트레이닝의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제1 계수를 적절하게 결정하기만 하면, 가압 트레이닝이 행해질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압이, 최대 맥파압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므로, 사용자, 혹은 사용자에게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게 하는 사람의 기량이나 경험이 부족했다고 해도, 가압 트레이닝을 효과적이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전처리 시에 실제로 계측한 가스 주머니 내의 압에 기초하여 제1 기준압을 결정하므로, 과거의 데이터 등에 기초하는 경험 법칙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압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 등에 비해, 제1 기준압이 적정할 가능성이 높다.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계수는, 0.2 이상 1 미만의 소정의 수로 결정되게 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0.9 이하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는, 제1 계수가 0.9보다도 1에 가까울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은, 가압 트레이닝을 안전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상응하지만,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에는 약간 약하기 때문이다.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계수는,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0.4 내지 0.6 사이의 수로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평균적인 대다수의 사용자는, 이 범위의 제1 계수에 의해 결정되는 제1 기준압 정도의 압을 가스 주머니에 가한 상태로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면, 가압 트레이닝의 효과와 안전성을 양립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제1 계수는, 고정해도 좋고 가변이라도 좋다. 제1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계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입력되는 정보는, 제1 계수 바로 그 자체라도 좋고, 미리 준비된 복수의 제1 계수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라도 좋다.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상 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압 트레이닝의 효과,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제1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의 긴장 체결구는, 단수라도, 복수라도 좋다.
제1 발명의 상기 긴장 체결구가, 복수인 경우, 상기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각각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권취된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상기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사지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압력 설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와, 상기 제1 기준압을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통상 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을 조이는 상기 긴장 체결구와 대응된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의 각각이, 그들 압력 설정 수단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구비하는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당해 긴장 체결구가 사용되는 사지에 대해 특정된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긴장 체결구마다 결정되는 최대 맥파압은 긴장 체결구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장치이면, 복수의 긴장 체결구에 의해 각각의 사지에 부여되는 조임압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1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제1 발명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는,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1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제1 발명에 의한 방법은,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고,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실행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켜,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을 특정하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하고,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한다.
본원의 제2 발명은,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트레이닝 장치이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상기 제1 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2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발명에서는, 제1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기준압을 특정할 뿐만 아니라, 제1 기준압을 구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제2 기준압을 정하기 위한 제2 계수는 제1 계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2 기준압이 특정될 때의 맥파는 제1 기준압이 특정될 때의 맥파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는,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제2 기준압일 때의 쪽이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 제1 기준압의 경우보다도, 동맥에 보다 많은 혈류가 흐르고 있거나, 동맥이 혈류를 흘리는 힘이 강하다고 하는 것이므로, 제2 기준압의 쪽이 제1 기준압보다도 압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을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 사이로 유지함으로써, 가압 트레이닝의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적절하게 결정하기만 하면, 가압 트레이닝 시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이, 최대 맥파압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므로, 사용자, 혹은 사용자에게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게 하는 사람의 기량이나 경험이 부족했다고 해도, 가압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발명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계수를, 0.9 이하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제2 계수가 0.9보다도 1에 가까운 값으로 제2 계수를 결정하면, 제2 계수 부근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은, 가압 트레이닝을 안전하게 행하는 데는 상응하지만, 효과를 발생시키는 데에는 약간 약해지기 때문이다.
제2 발명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계수를, 0.5 내지 0.7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제2 계수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기준압은, 많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가압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당한 하한의 압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제2 계수는, 고정이라도 좋고 가변이라도 좋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2 계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입력되는 정보는, 제2 계수 그 자체라도 좋고, 미리 준비된 복수의 제2 계수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라도 좋다.
또한, 제1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0.4 내지 0.6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제1 계수에 의해 결정되는 제1 기준압은, 많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가압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당한 상한의 압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제1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계수는 고정이라도 좋고 가변이라도 좋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계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입력되는 정보는 제1 계수 그 자체라도 좋고, 미리 준비된 복수의 제1 계수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라도 좋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제1 계수 이상 상기 제2 계수 이하의 소정의 수인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1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계수와 상기 제2 계수의 양쪽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장치이면, 트레이닝 장치의 사용자는 1개의 중간수의 입력을 행하는 것만으로 트레이닝 장치에 제1 계수와 제2 계수의 결정을 맡길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제어 수단이 중간수로부터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트레이닝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1개의 정보에 의해 특정된 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감산하는 동시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가산하여, 전자를 제1 계수로, 후자를 제2 계수로 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1개의 정보에 의해 특정된 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승산하는 동시에, 1보다도 큰 소정의 수를 승산하여, 전자를 제1 계수로, 후자를 제2 계수로 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의 긴장 체결구는 단수라도, 복수라도 좋다.
긴장 체결구가 복수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각각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권취된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 있어서의 맥파의 큰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사지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와, 상기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을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통상 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을 조이는 상기 긴장 체결구와 대응된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의 각각이, 그들 압력 설정 수단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구비하는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당해 긴장 체결구가 사용되는 사지에 대해 특정된 상기 제1 기준압과 상기 제2 기준압 사이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긴장 체결구마다 결정되는 최대 맥파압은 긴장 체결구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장치이면, 복수의 긴장 체결구에 의해 각각의 사지에 부여되는 조임압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는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다.
이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상기 제1 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2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제2 발명의 방법은,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고,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실행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고,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을 특정하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상기 제1 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2 기준압을 특정하고,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한다.
이하의 기술은, 제1 발명의 경우와 제2 발명의 경우에 공통된다.
제1 발명의 경우도, 제2 발명의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은, 전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한다. 이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의 변화는 연속적인 것이라도, 단계적인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단계적」이라 함은, 시간이 경과해도 압력의 변화가 없다고 하는 시간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커지는 방향으로 변화되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최종적으로, 최대 맥파압(정확하게는, 제1 발명의 경우에는 최대 맥파압과 제1 기준압, 제2 발명의 경우에는 그들과 제2 기준압)을 결정할 수 있도록,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맥파압은 맥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맥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것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자유롭다. 맥파 데이터는, 복수회, 예를 들어 연속해서 제어 수단에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보내진다. 연속해서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보내지는 맥파 데이터는, 시간적으로 도중에 끊기지 않고 제어 수단으로 보내져도 좋고, 일정한, 혹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제어 수단으로 보내져도 좋다.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제1 기준압을 초과한다고 예상되는 압력보다도 일단 높이고, 그 후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내리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경우, 제어 수단은 최대 맥파압을 이하와 같이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내려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전(혹은, 그 전후의 경우도 포함함)의 맥파 데이터로부터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맥파는 사지의 기단부 부근을 조이는 압력을 줄여 감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고, 그 압력이 어느 압력을 하회하면 서서히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지의 기단부 부근의 조임을 위해 부여하는 압력이 줄어 감으로써 맥파가 커져 가고, 그리고 맥파가 감소로 바뀌었을 때에는, 맥파가 감소로 바뀌기 얼마 전에 맥파의 최대치가 있다. 상술한 방법에서는,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낸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전의 맥파 데이터로부터(혹은, 그 전후의 맥파 데이터로부터), 최대 맥파압에 대응하는 최대로 된 맥파를 특정, 혹은 추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내려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직전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으로서 특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방법도, 사지의 기단부 부근을 조이는 압력을 줄여 감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고, 그 압력이 어느 압력을 하회하면 서서히 작아진다고 하는 맥파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맥파를 측정할 때에, 가능한 한 시간적으로 연속되거나, 혹은 가능한 한 짧은 시간 간격으로 맥파 데이터를 제어 수단으로 보내도록 한 쪽이 좋다.
이상의 2개의 예의 경우에는, 우선, 제1 기준압으로서 예상되는 압력보다도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일단 올리고, 거기서부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내리는 것이 필요해진다. 제1 기준압으로서 예상되는 압력은, 사용자에 따라서 다르지만, 경험상 이 정도의 범위에 들어간다고 하는 예상은 가능하므로, 그와 같은 것을 행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일단 올려야 할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은 평균적으로는 230 내지 250㎜Hg 정도이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트레이닝 장치는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기 위한 전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제1 기준압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야만 해 일단 올려야 할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 수단으로부터 그 입력을 수취한 제어 수단이, 압력 설정 수단으로, 그 입력에 기초한 압력까지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일단 올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을 하회한다고 예상되는 압력보다도 일단 낮추고, 그 후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올리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는, 상술한 경우와는 반대로,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올리면서 최대 맥파압 등이 특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올라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전의 맥파 데이터로부터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올라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직전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으로서 특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맥파는, 사지의 기단부 부근을 조이는 압력을 증가시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고, 그 압력이 어느 압력을 상회하면 서서히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2개의 방법에 의해서도, 사지의 기단부 부근을 조이는 압력을 줄여가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방법을 실행하는 경우, 최대 맥파압으로서 예상되는 압력보다도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낮게 해 두고, 거기서부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올려 가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는, 예를 들어,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올려 감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맥파 측정 수단이 측정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파라미터는, 맥파의 크기에 관한 것이라면 어떤 물리량에 관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맥파 측정 수단은, 예를 들어 피부에 압접하여 피부로부터의 면압을 측정하는 센서로, 맥파에 따라서 변화되는 피부로부터의 면압을 측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맥파는 피부 상에 맥동으로서 나타나므로, 상술한 맥파 측정 수단은, 그 맥동에 따라서 변화되는 피부로부터의 면압을 파라미터로서 측정하는 것이다.
혹은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가스 주머니의 내부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파라미터로서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는 피부 상에 맥동으로서 나타나지만, 그 맥동에 의해 사지의 기단부 부근에 권취된 긴장 체결구가 구비하는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의 압력은 변화된다. 상술한 맥파 측정 수단은 이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파라미터로서 측정한다.
또한,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의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맥파 측정 수단이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의 맥파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맥파 측정 수단은 반드시 그 소정의 부위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의 맥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에 포함되는 긴장 체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에 포함되는 팔용의 긴장 체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에 포함되는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에 포함되는 본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의 내부에 생성되는 기능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의 전처리 시에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의 압력이 변화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의 변화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트레이닝 장치의 전처리 시에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의 압력이 변화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의 변화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트레이닝 장치의 전처리 시에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의 압력이 변화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의 변화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양 실시 형태에서 중복되는 대상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중복되는 설명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트레이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장치는 긴장 체결구(100)와, 본체 장치(200)와, 측정 장치(300)와, 제어 장치(4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장치(200)와 제어 장치(400)를 별개의 장치로 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이들을 일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장 체결구(100)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긴장 체결구(100)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긴장 체결구(100)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장 체결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보다 상세하게는 4개로 되어 있다. 긴장 체결구(100)가 4개로 되어 있는 것은, 가압 트레이닝을 실행하는 사용자의 양손, 양다리에 대해 가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장 체결구(100) 중, 긴장 체결구(100A)는 팔용(팔에 권취되어 팔을 가압하기 위한 것), 긴장 체결구(100B)는 다리용(다리에 권취하여 다리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긴장 체결구(100)의 수는 반드시 4개일 필요는 없고, 1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또한, 팔용의 긴장 체결구(100A)와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100B)는 반드시 동수일 필요는 없다. 복수의 사람이 동시에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라면, 긴장 체결구는 4개보다 많아지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장 체결구(100)는 사지의 어느 하나의 사지의 근원 부분 부근의 외주의 주위로 권취한 상태로,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을 소정의 압력에 의해 조이는 것이다. 긴장 체결구(100)는 사지의 근원 부분 부근의 조임을 행하기 위해 사지의 근원 부분 부근에 부여하는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긴장 체결구(10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벨트(110), 가스 주머니(120) 및 고정 부재(130)로 이루어진다.
벨트(110)는 긴장 체결구(100)가 권취되는 사지의 근원 부분의 부근(보다 상세하게는, 팔의 근원 부분의 부근 또는 다리의 근원 부분의 부근 중, 외부로부터 조임을 행함으로써 혈류의 저해를 일으키는 데 적절한 위치임. 이하, 이를 본원에서는 「조임 부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권취되는 것이면, 그 상세를 묻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10)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성은 없지만, 신축성을 구비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벨트(110)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벨트(110)의 길이는, 사용자의 조임 부위의 외주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하면 좋다. 벨트(110)의 길이는 조임 부위의 외주의 길이보다 길면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10)의 길이는, 조임 부위의 외주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팔용의 긴장 체결구(100A)의 벨트(110)의 길이는, 팔의 조임 부위의 외주의 길이가 26㎝인 것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90㎝로 되어 있다. 또한,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100B)의 벨트(110)의 길이는 다리의 조임 부위의 외주의 길이가 45㎝인 것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145㎝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벨트(110)의 폭은 긴장 체결구(100)의 조임 부위가 어디인지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조임 부위가 팔의 근원 부분의 부근인 팔용의 긴장 체결구(100A)의 벨트(110)이면 폭 3㎝ 정도, 조임 부위가 다리의 근원 부분의 부근인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100B)의 벨트(110)이면 폭 5㎝ 정도로 하면 좋다. 벨트(110)의 폭은, 그것을 조인 팔 또는 다리를 절곡한 경우라도 근복에 실리지 얹히지 않을 정도의 가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가스 주머니(120)는 벨트(11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는 벨트(110)의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무엇보다, 가스 주머니(120)의 벨트(110)로의 설치 방법은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통 형상으로 구성한 벨트(110)의 내부에, 가스 주머니(120)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가스 주머니(120)는 또한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그 일단부가 벨트(110)의 일단부[도 2에서는, 벨트(110)의 하단부]와 일치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스 주머니(120)는 기밀한 주머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는, 예를 들어 압박대(manchette)에 사용되는 고무 주머니와 동일한 신축성을 구비한 고무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의 소재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가스 주머니(120)의 길이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임 부위의 외주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팔용의 긴장 체결구(100A)의 가스 주머니(120)의 길이는 25㎝이고,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100B)의 가스 주머니(120)의 길이는 45㎝로 되어 있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의 폭은 긴장 체결구(100)의 조임 부위가 어디인지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팔용의 긴장 체결구(100A)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의 폭을 3㎝ 정도,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100B)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의 폭을 5㎝ 정도로 하고 있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에는 가스 주머니(120) 내부와 연통하는 접속구(121)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고무 튜브에 의해 구성되는 접속관(500)을 통해, 본체 장치(200)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접속구(121)를 통해, 가스 주머니(120) 중에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가 송입되거나, 또는 가스 주머니(120) 중의 기체가 외부로 빠지게 된다.
고정 부재(130)는 조임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벨트(110)를 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130)는, 벨트(110)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가 설치되어 있는 면의 벨트(110)의 타단부[도 2에서는, 벨트(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면 파스너이다. 이 고정 부재(130)는 가스 주머니(12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벨트(110)의 전체면의 어디든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110)를 조임 부위에 권취하여, 고정 부재(130)로 벨트(110)를 고정한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120)로 공기가 송입되면,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적당한 압력으로 조인다. 반대로, 그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가 빠지면,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조이는 압력이 작아진다.
본체 장치(200)는 가스 주머니(120)로 기체를 송입하는 동시에,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스 주머니(120)로 기체를 송입하기 위한 구성,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빼기 위한 구성은 모두, 그들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일례가 되는 본체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장치(200)는 4개의 펌프(210)와, 펌프 제어 기구(2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펌프(210)는 모두, 4개의 긴장 체결구(100)의 어느 하나와 접속관(500)으로 접속되어 있고, 접속관(500)으로 접속되어 있는 긴장 체결구(100)와 대응되어 있다.
펌프(210)는 그 주위에 있는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를 도입하여, 이것을 후술하는 펌프 접속구(211)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펌프(2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개의 펌프(210)는 모두, 펌프 접속구(211)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접속된 접속관(500)과, 접속구(121)를 통해, 가스 주머니(120)로 접속되어 있다. 펌프(210)가 기체를 보내면, 그 펌프(210)와 대응된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로 기체가 송입되고, 펌프(210)가 밸브를 개방하면, 그 펌프(210)와 대응된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프 제어 기구(220)는, 제어 장치(400)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서 펌프(210)를 제어하여, 펌프(210)에 가스 주머니(120)로 기체를 송입하거나, 혹은 펌프(210)로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뺀다. 이 데이터를 수취하기 위해, 본체 장치(200)는 펌프 제어 기구(220)가 구비하는 단자에 그 일단부가 접속된 케이블(600)에 의해, 제어 장치(400)에 접속되어 있다.
각 펌프(210)는 또한, 압력 센서(212)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 센서(212)는 펌프(210) 내의 기체의 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펌프(210)의 기체의 압은, 즉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이므로, 압력 센서(212)는 결국,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계측하는 것이다. 압력 센서(212)가 검출한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은, 펌프 제어 기구(220)를 통해 제어 장치(400)로 대략 실시간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측정 장치(300)는 긴장 체결구(100)가 사지의 소정의 조임 부위에 설치되었을 때에, 그 사지의 긴장 체결구(100)가 권취된 조임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말단측에서, 긴장 체결구(100)가 사지의 조임 부위를 조인 경우에 그 조임을 위한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당해 사지의 동맥에 있어서의 맥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측정 장치(30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장 체결구(100)와 동일하게 4개로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측정 장치(300)는 긴장 체결구(100)의 어느 하나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장치는, 긴장 체결구(100)와 측정 장치(300)의 조를 4세트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측정한 맥파를 나타내는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측정 장치(300)가 측정하는 맥파는, 용적 맥파라도 좋고, 압맥파라도 상관없다. 결국, 맥파를 측정하는 장치는 공지이므로 적당한 장치를 이용하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300)는 압맥파를 맥파로서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압맥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30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면압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압력 센서이다. 또한, 용적 맥파를 맥파로서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 장치(300)는, 예를 들어 광전식 용적 맥파의 측정에 사용되는 포토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맥파는 펌프(210)에 설치된 압력 센서(212)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혈관의 미묘한 팽창 수축에 기초하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의 변화에 의해 측정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300)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경시적으로 연속해서 도중에 끊기지 않도록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시시각각 변화되는 경우가 있는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 장치(300)는 연속해서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측정 장치(300)는, 예를 들어 30초에 한번 마다와 같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4개의 측정 장치(300)는 모두, 맥파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술한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어 장치(400)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측정 장치(300)는 출력 단자(310)(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고, 출력 단자(310)에 그 일단부를 접속된 케이블(700)을 통해, 맥파 데이터를 제어 장치(400)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700)의 타단부는 제어 장치(400)에 접속되어 있다. 무엇보다, 맥파 데이터를 제어 장치(400)로 보내기 위한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광이나 전파를 사용하여 무선에 의해 제어 장치(400)로 데이터를 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간적으로 도중에 끊기지 않고 측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측정 장치(300)가 생성한 맥파 데이터가, 대략 실시간으로 제어 장치(400)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렇게 되어 있지 않지만, 측정 장치(300)는 긴장 체결구(100)와 일체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어 장치(400)는 본체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장치(400)는 본체 장치(200) 중 4개의 펌프(210)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펌프 제어 기구(220)로 보냄으로써, 펌프 제어 기구(220)에 펌프(210)를 제어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400)는, 또한 도시를 생략한 입력 장치를 그 외부에 구비하고 있다. 입력 장치는 텐키를 포함하는 기지의 입력 장치이다.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장치(400)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 6에 도시한다. 제어 장치(400)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있고, CPU(401), ROM(402), RAM(403), 인터페이스(404)를, 버스(405)로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CPU(401)는 중앙 처리부로, 제어 장치(40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ROM(402)은 이 제어 장치(400)에서 실행되는 후술하는 처리를 행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고, CPU(401)는 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ROM(402)은 플래시 ROM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RAM(403)은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404)는 외부와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ROM(402), RAM(403)에 추가하여, 그들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하드 디스크가 존재해도 좋다.
인터페이스(404)는 케이블(600)의 타단부와 접속 가능한 도시를 생략한 접속 단자와, 케이블(700)의 타단부와 접속 가능한, 도시를 생략한 접속 단자 4개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측정 장치(300)로부터의 상술한 맥파 데이터는, 케이블(700)을 통해 인터페이스(404)에 의해 접수되고, 또한 후술하는 제어 데이터는 인터페이스(404)로부터 케이블(600)을 통해 본체 장치(200)로 보내진다. 인터페이스(404)는, 또한 케이블(600)을 통해 각 펌프(210)에 설치된 압력 센서(212)가 측정한 그 시점에 있어서의 각 펌프(210) 내의 압[그 펌프(210)에 대응한 각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케이블(600)을 통해 접수한다. 인터페이스(404)는, 또한 상술한 입력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입력 장치를 조작한 것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접수한다.
CPU(401)가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40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블록이 생성된다.
제어 장치(400)에는 입력 정보 해석부(411), 주제어부(412), 맥파 해석부(413),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 정보 해석부(411)는 맥파 데이터, 입력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압력 센서(212)로부터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404)로부터 접수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는 것이다.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접수한 데이터가 맥파 데이터 및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의 데이터인 경우, 그것은 그대로 맥파 해석부(413)로 보내지고, 또한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접수한 데이터가 입력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해석한 내용에 대한 데이터는 주제어부(412)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주제어부(412)는 제어 장치(40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주제어부(412)는, 우선 이 트레이닝 장치에서 실행되는 2개의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이 트레이닝 장치에서는 자동 모드와, 매뉴얼 모드의 2개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자동 모드는, 또한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자동 모드는 입력 장치에서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실행된다. 또한,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그 전후는 상관없지만,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도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1 계수는 0.2 이상 1 미만의 숫자를 특정하는 것이다. 제1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0.55」, 「0.70」 등의 0.2 이상 1 미만의 숫자를 직접 특정하는 것이라도 좋고, 0.20으로부터 0.05피치 등으로 미리 복수 준비되어 있는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숫자로부터 적당한 것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라도 좋다.
자동 모드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할 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모드이다.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입력 장치에서 행해진 경우, 그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제1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입력 정보 해석부(411)로 보내진다. 그리고,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그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고, 그것을 주제어부(412)로 보냄으로써, 자동 모드가 실행된다. 이 경우, 주제어부(412)는 자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지시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것을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와, 맥파 해석부(413)로 보낸다. 주제어부(412)는, 또한 자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된 제1 계수를 맥파 해석부(413)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자동 모드의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계속해서, 매뉴얼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매뉴얼 모드는 입력 장치에서 매뉴얼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실행된다. 매뉴얼 모드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할 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을 매뉴얼로 결정하여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모드이다.
매뉴얼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매뉴얼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함께, 혹은 그것에 이어서, 어느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할지, 또한 그 압력을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시킬지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들 데이터는 입력 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입력 정보 해석부(411)로 보내진다. 그리고,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그들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것을 주제어부(412)로 보냄으로써, 매뉴얼 모드가 실행된다. 이 경우, 주제어부(412)는 매뉴얼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어느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할지, 또한 그 압력을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시킬지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함께, 그것을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낸다.
또한, 어느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할지, 또한 그 압력을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시킬지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긴장 체결구(100)마다 달라도 좋다. 또한, 어느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할지, 또한 그 압력을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시킬지 등의 데이터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필요는 없고,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맥파 해석부(413)는 자동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주제어부(412)로부터 보내져 온 경우, 자동 모드의 전처리가 실행되고 있을 때에, 케이블(700), 인터페이스(404), 입력 정보 해석부(411)를 통해 맥파 데이터와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의 데이터를 접수한다. 그리고, 그 맥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의 크기와 제1 기준압을 특정한다. 이들을 맥파 해석부(413)가 어떻게 검출할지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맥파 해석부(413)는 특정한 제1 기준압에 대한 데이터를, 주제어부(412)를 통해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주제어부(412)로부터 수취한 제1 기준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생성한 제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본체 장치(200)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주제어부(412)로도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가 제어 데이터를 어떻게 생성할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를 수취한 본체 장치(200)의 펌프 제어 기구(220)는 그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펌프(210)의 각각을 제어한다.
다음에, 이 트레이닝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트레이닝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 트레이닝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는, 우선 4개의 긴장 체결구(100)를 사용자의 사지의 조임 부위에 권취한다. 팔용의 긴장 체결구(100A) 2개는 양팔에, 다리용의 긴장 체결구(100B) 2개는 양다리에 각각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주머니(120)에 조임 부위의 주위를 1주시키는 동시에, 잉여 길이분의 벨트(110)에 그 주위를 또한 대략 2주시킨 후 고정 부재(130)에 의해 벨트(110) 선단부를 고정한다.
계속해서, 4개의 긴장 체결구(100)가 설치된 팔, 다리의 맥파(보다 정확하게는, 조임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의 맥파)를 취하는데 적합한 위치에, 4개의 측정 장치(300)를 각각 설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 장치(300)는 긴장 체결구(100)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 긴장 체결구(100)에 접하도록 하여 설치한다.
계속해서, 4개의 긴장 체결구(100)를, 본체 장치(200)와 접속관(500)으로 각각 연결한다. 또한, 4개의 측정 장치(300)를, 제어 장치(400)와 케이블(700)로 각각 연결한다. 또한, 제어 장치(400)와 본체 장치(200)를 케이블(600)로 연결한다.
그 상태에서, 가압 트레이닝을 개시한다.
가압 트레이닝의 개시에 있어서, 사용자 혹은 사용자에게 가압 트레이닝의 시술 내지 지도를 행하는 사람은,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자동 모드와 매뉴얼 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제로는, 사지 중 2개 이상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가압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사지 모두에 긴장 체결구(100)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라면,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다. 사지 중 2개 이상에 대해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에는,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순서대로 사지의 각각에 대해 가압 트레이닝을 행해도 좋고, 복수의 사지에 대해 동시에 가압 트레이닝을 행해도 좋고, 복수의 사지에 대해 일부 시간을 중복시키면서 시간을 어긋나게 하여 가압 트레이닝을 행해도 좋다.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404), 입력 정보 해석부(411)를 통해 주제어부(412)로 보내진다. 주제어부(412)는 자동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맥파 해석부(413)와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낸다. 이 데이터를 수취한 맥파 해석부(413)와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자동 모드 중 전처리를 개시한다. 주제어부(412)는, 또한 제1 계수를 맥파 해석부(413)로 보낸다.
또한, 제1 계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0.2 이상, 1 미만의 숫자이지만, 이것으로 제한을 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수는 0.2 이상, 0.9 이하의 숫자로 하도록 제한을 걸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한이 걸려 있는 경우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제1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제1 계수가 0.2보다 작거나, 혹은 0.9보다 컸던 경우에는, 주제어부(412)는 그 접수를 거부하고, 다시 입력을 사용자 등에게 재촉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계수의 범위의 제한은 상술한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계수를, 0.4 내지 0.6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계수의 범위의 제한을 행하는 경우, 제1 계수의 범위의 제한을 특정한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만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것의 입력을 사용자 등이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때에 사용자에게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운동 경험 연수 등의 정보)의 입력을 행하게 하고, 그것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는, 제1 계수에 제한을 걸도록 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수는 0.50으로 한다.
전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생성한 그 제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404), 케이블(600)을 통해, 본체 장치(200)의 펌프 제어 기구(220)와 주제어부(412)로 보낸다. 이때 펌프 제어 기구(220)로 보내지는 제어 데이터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빠르게(예를 들어, 1초 이내에), 예상되는 제1 기준압보다도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이 명백하게 커질 때까지(예를 들어, 제1 기준압이라고 예상되는 압력의 1.5 내지 2.0배 정도까지) 펌프(210)에 공기를 가스 주머니(120) 내로 보내게 하여, 그 후 예를 들어 5 내지 10초 정도 걸려서,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명백하게 작아질 때까지(예를 들어, 최대 맥파압이라고 예상되는 압력의 0.5 내지 0.7배 정도까지)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내리는 처리를 펌프(210)에 행하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를 수취한 펌프 제어 기구(220)는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펌프(210)를 구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펌프(210)는 그 펌프(210)에 대응된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로 공기를 보내고, 그 후 밸브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를 뺀다. 이에 의해, 긴장 체결구(100)가 구비하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과,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에 대해 부여하고 있는 압력이 일단 상당히 높아지고, 그 후, 긴장 체결구(100)가 구비하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과,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에 대해 부여하고 있는 압력이 모두 작아져 간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내리는 방법은, 연속적인 것이라도, 단계적인 것(시간의 경과와 함께 압력이 변화되지 않는 시간이 있는 경우)이라도 좋다.
한편, 전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조이기 위해 조임 부위에 부여하고 있는 압력이 변화되므로, 그것에 수반하여 맥파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변화되는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파라미터는 맥파의 변동에 의해 변화되는 피부로부터 측정 장치(300)로 부여되는 압력임]를, 측정 장치(300)는 경시적으로 연속해서 측정하여 그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케이블(700),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그것을 입력 정보 해석부(411)로 보낸다. 이것을 시간적으로 도중에 끊기지 않고 수취한 맥파 해석부(413)는 최대 맥파압과, 제1 기준압을 특정한다.
맥파 해석부(413)가, 최대 맥파압과 제1 기준압을 어떻게 특정할지 설명한다.
도 8에 측정된 맥파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 중 A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 중 우측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내리고 있는 곡선이,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단위 : ㎜Hg)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 B로 나타내고 있는 지그재그의 곡선이, 맥파의 크기(단위 : ㎜Hg)를 나타내고 있다. 어느 시점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는 지그재그의 이웃하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진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맥파의 크기는,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조이기 위해 조임 부위에 부여하고 있는 압력이 작아져 감에 따라서 서서히 커져가고,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조이기 위해 조임 부위에 부여하고 있는 압력[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어느 압력을 하회하면 감소로 바뀐다. 도 8에서는, 도면 중 P1로 나타낸 시점에서 맥파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고 있다. 맥파 해석부(4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 데이터에 의해 계속적으로 맥파의 크기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맥파의 크기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뀐 그 시점을, 맥파의 크기가 최대로 된 시점으로 특정한다. 또한, 맥파 해석부(413)는, 도면 중 P1로 나타낸 시점 전, 혹은 그 전후의 맥파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맥파의 크기에 대한 함수를 시간으로 미분하여 맥파의 크기의 극값이 되는 시점을 구하여, 그 시점을 맥파가 최대로 되는 시점으로 특정(추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맥파 해석부(413)는 맥파가 최대로 된 시점(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의 크기(도 8에 있어서의 L)를 특정한다.
한편, 제1 기준압은 이하와 같이 특정된다. 맥파 해석부(413)는 도 8에 도시한 데이터, 즉 전처리가 실행되어 있을 때의 어느 시간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과, 맥파의 크기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의 크기(L)가 특정된 후, 그때의 맥파의 크기(L)에 제1 계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0.50)를 곱한 크기로 맥파가 이루어져 있고, 또한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시점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은, 맥파가 l1로 된 시점이다.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이, 제1 기준압으로 된다. 도 8에서 말하면, l1의 연장선과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곡선이 교차한 시점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 즉 대략 200㎜Hg이 제1 기준압으로 특정된다.
맥파 해석부(413)는 제1 기준압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것을 주제어부(412)로 보낸다.
이상에 의해, 전처리는 종료된다.
계속해서, 주제어부(412)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에 통상 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지시를 그 내용으로 하는 데이터를 보낸다. 이때, 주제어부(412)는 통상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압의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낸다.
통상 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지시를 수취한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본체 장치(200)의 펌프 제어 기구(220)로, 인터페이스(404), 케이블(600)을 통해 보낸다. 그 제어 데이터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이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제1 기준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내용이라도 좋고,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제1 기준압을 중심으로 하는 ±10 퍼센트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라도 좋고,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제1 기준압을 중심으로 하는 ±10 퍼센트의 범위를 30초 주기로 왕복시키도록 하는 등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어 데이터는 가압 트레이닝의 실행 시간에 대한 데이터도 포함하고 있다. 그 시간은 팔에 대한 가압 트레이닝의 경우이면 10 내지 15분 정도의 경우가 많고, 다리에 대한 가압 트레이닝의 경우이면, 15 내지 20분 정도의 경우가 많다.
이 제어 데이터를 수취한 펌프 제어 기구(220)는 제어 데이터의 지시대로 펌프(210)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긴장 체결구(100)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트레이닝 장치에 따르면,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가압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다. 펌프 제어 기구(220)는 압력 센서(212)로 그 시점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모니터하면서, 제어 데이터의 지시대로 펌프(210)를 구동시킨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펌프(210)는 밸브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를 뺀다. 또한, 가압 트레이닝이 종료된 것을 사용자 등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이 되는 램프나 버저를, 트레이닝 장치의 어딘가에 설치해 두고, 램프의 점등이나 버저의 발음에 의해 가압 트레이닝의 종료를 그들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뉴얼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할지, 또한 그 압력을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시킬지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 장치를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가압 트레이닝을 시술하는 사람에 의해 입력된다. 이들 데이터는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수취하여, 그들의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한다. 입력 정보 해석부(411)는 그 해석한 내용을 주제어부(412)로 보낸다.
이 데이터를 수취한 주제어부(412)는 그 데이터를, 매뉴얼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지시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낸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그 지시에 대한 데이터를 수취하면, 그 지시와 함께 주제어부(412)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대로,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이 정도로 하고, 그것을 이것만큼의 시간 계속하도록 펌프(210)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지시를 그 내용으로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데이터는 인터페이스(404), 케이블(600)을 통해 펌프 제어 기구(220)로 보내진다.
이 제어 데이터를 수취한 펌프 제어 기구(220)는 제어 데이터의 지시대로 펌프(210)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은 사용자 등이 입력한 대로의 조건에 따라서 변화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은 상술한 최대 맥파압을 초과할 수도 있지만, 의사 등의 가압 트레이닝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는 사람이 입력 장치의 조작을 행하는 한에 있어서는, 가압 트레이닝의 안전성, 유효성은 유지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펌프(210)는 밸브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를 뺀다. 또한, 가압 트레이닝이 종료된 것을 램프의 점등이나 버저의 발음에 의해 사용자 등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자동 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해도 좋고, 가벼운 운동을 행해도 좋다.
또한, 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전처리는 사용자가 이 트레이닝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 트레이닝하는 경우의 최초에만 행하고, 다음의 가압 트레이닝 시부터는, 최초의 가압 트레이닝 시에 특정한 최대 맥파압을 유용함으로써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최대 맥파압은 사용자의 몸 상태 등에 따라서 변동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트레이닝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 트레이닝을 행할 때마다 전처리를 행하여, 그때마다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에서의 전처리를, 이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실행되는 전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에서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은 제1 기준압보다도 명백하게 크다고 예상되는 압력까지 일단 올려진 후 내려졌지만, 이 변형예에서는, 최대 맥파압보다도 명백하게 작은 압(예를 들어, 상압)으로부터 서서히 올라가도록 제어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와 하드웨어의 구성의 점에서는 차이는 없다.
이하, 변형예에서 실행되는 자동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의 경우라도,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404), 입력 정보 해석부(411)를 통해 주제어부(412)로 보내진다. 주제어부(412)는 자동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맥파 해석부(413)와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낸다. 이 데이터를 수취한 맥파 해석부(413)와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자동 모드 중 전처리를 개시한다.
전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변형예에서는 이 제어 데이터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의 그것과 다르다.
변형예에서는, 제어 데이터는 적당한 시간으로(예를 들어, 5 내지 10초로),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제1 기준압보다도 명백하게 큰 압력(예를 들어, 제1 맥파압이라고 예상되는 압력의 1.5 내지 2.0배 정도)까지 올리고, 그 후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상압까지 내린다고 하는 처리를 펌프(210)에 행하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생성한 그 제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404), 케이블(600)을 통해, 본체 장치(200)의 펌프 제어 기구(220)와 주제어부(412)로 보낸다.
이 데이터를 수취한 펌프 제어 기구(220)는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펌프(210)를 구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펌프(210)는 그 펌프(210)에 대응된 긴장 체결구(100)의 가스 주머니(120)로 공기를 보내고, 제1 기준압보다도 명백하게 큰 압력까지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높인 후,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를 뺀다.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올라가고 있는 동안,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조이기 위해 조임 부위에 부여하고 있는 압력이 변화되므로, 그것에 수반하여 맥파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변화되는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 장치(300)는 경시적으로 연속해서 측정하여 그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케이블(700),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그것을 입력 정보 해석부(411)로 보낸다. 이것을 시간적으로 도중에 끊기지 않고 수취한 맥파 해석부(413)는 맥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맥파가 어느 시점에서 최대로 되었는지를 특정한다. 이때, 압력 센서(212)로부터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의 데이터도 맥파 해석부(413)로 보내져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맥파 해석부(413)는 맥파가 어느 시점에서 최대로 되었는지를 이하와 같이 하여 특정한다. 도 9에 측정된 맥파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 중A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단위 : ㎜Hg)이고, B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맥파의 크기(단위 : ㎜Hg)이다.
이 변형예와 같이,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사지를 조이는 압력을 높여 가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맥파는 서서히 커져 가고, 그 압력이 어느 크기를 초과하면 이번에는 감소로 바뀐다. 도 9에서는, 도면 중 P2로 나타낸 시점에서 맥파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고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의 맥파 해석부(4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 데이터에 의해 계속적으로 맥파의 크기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맥파의 크기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뀐 그 시점을, 맥파의 크기가 최대로 된 시점으로 특정한다. 또한, 맥파 해석부(413)는 도면 중 P2로 나타낸 시점 전, 혹은 그 전후의 맥파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맥파의 크기에 대한 함수를 시간으로 미분하여 맥파의 크기의 극값이 되는 시점을 구하고, 그 시점을 맥파가 최대로 되는 시점으로 특정(추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결국, 맥파 해석부(413)는 맥파의 크기가 최대로 된 시점(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측정한다.
한편, 제1 기준압은 이하와 같이 특정된다. 맥파 해석부(413)는, 도 9에 도시한 데이터, 즉 전처리가 실행되고 있을 때의 어느 시간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과, 맥파의 크기의 데이터(중, 적어도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 이후의 것)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의 크기(L)가 특정된 후, 그때의 맥파의 크기(L)에 제1 계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0.50)를 곱한 크기로 맥파가 이루어져 있고, 또한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시점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은 맥파가 도 9 중의 l1로 된 시점이다.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이, 제1 기준압으로 된다. 도 9에서 말하면, l1의 연장선과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곡선이 교차한 시점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 즉 대략 190㎜Hg이 제1 기준압이라고 특정된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가스 주머니(120) 중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보다도 명백하게 큰 미리 정해진 압력까지 일단 올리고, 그 후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상압까지 내리는 것으로 하고 있었지만, 맥파 해석부(413)가 제1 기준압을 특정한 시점에서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를 빼는 제어를 펌프 제어 기구(220)가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그와 같은 제어를 펌프 제어 기구(220)에 행하게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트레이닝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바뀌지 않는다. 특히, 제1 실시 형태의 도 1 내지 도 6까지 설명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의 부분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트레이닝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변함이 없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트레이닝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변함이 없다. 단,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의 주제어부(412)와 맥파 해석부(413)의 기능은,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약간 다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입력 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와, 그 경우에 인터페이스(404),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입력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정보도,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하는 경우, 제1 기준압을 특정하는 정보도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도록 되어 있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 대신에,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에 추가하여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다.
제1 계수와 제2 계수는 모두, 0.2 이상 1 미만의 숫자를 특정하는 것이다. 단, 제2 계수는 제1 계수보다도 크다.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각각 개별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라도 좋다. 이 정보는 모두, 예를 들어, 「0.55」, 「0.70」 등의 0.2 이상 1 미만의 숫자를 직접 특정하는 것이라도 좋고, 0.20으로부터 0.05피치 등으로 미리 복수 준비되어 있는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숫자로부터 적당한 것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라도 좋다. 또한,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중간수(제1 계수 이상 제2 계수 이하의 소정의 수)에 대한 1개의 정보라도 좋다.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와, 제1 계수 및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는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입력 정보 해석부(411)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입력 정보 해석부(411)는 그들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것을 주제어부(412)로 보낸다. 그것에 의해, 자동 모드가 실행된다. 이 경우, 주제어부(412)는 자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지시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것을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와, 맥파 해석부(413)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주제어부(412)는, 또한 자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1 계수 및 제2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특정된 제1 계수 및 제2 계수를 맥파 해석부(413)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주제어부(412)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1 계수 및 제2 계수를 특정한다.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각각 개별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에는, 주제어부(412)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계수 및 제2 계수를 결정한다.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상술한 중간수에 대한 정보인 경우에는, 주제어부(412)는 그 1개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수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중간수에 어떤 연산을 행하여 제1 계수와 제2 계수의 양쪽을 결정한다. 이 연산은, 예를 들어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특정된 중간수 자체를 제1 계수로 하고, 그것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가산하거나, 또는 1보다도 큰 소정의 수(예를 들어, 1.15 내지 1.30 사이의 적당한 수)를 승산함으로써 특정된 수를 제2 계수로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이 연산은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된 중간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예를 들어, 0.05 내지 0.20 사이의 적당한 수)를 감산한 것을 제1 계수, 중간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감산된 것과 동일해도, 그렇지 않아도 좋음)를 가산한 것을 제2 계수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그 연산은 중간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예를 들어, 0.85 내지 0.95 사이의 적당한 수)를 승산한 것을 제1 계수, 중간수에 1보다도 큰 소정의 수(예를 들어, 1.05 내지 1.15 사이의 적당한 수)를 승산한 것을 제2 계수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경우도, 제1 계수, 제2 계수에 범위적인 제한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계수는, 예를 들어 0.4 내지 0.6 사이의 수로 제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2 계수는, 예를 들어 0.9 이하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0.5 내지 0.7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계수가, 0.4 내지 0.6, 제2 계수가, 0.5 내지 0.7의 조합은 범용성이 높다.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각각 개별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에 있어서, 그들 정보가 나타내는 제1 계수, 제2 계수의 어느 하나가 상술한 제한에 반하는 것이라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제어부(412)는 그 입력을 거부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계수가 제2 계수보다도 큰 경우에도, 주제어부(412)는 그 입력을 거부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계수와 제2 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중간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에 있어서, 당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중간수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을 통해 구해진 제1 계수, 제2 계수의 어느 하나가 상술한 제한에 반하는 것이라면, 주제어부(412)는 중간수를 특정하기 위한 상술한 정보의 입력을 거부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 펌프 제어 기구(220), 펌프(210)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맥파 해석부(413)는 전처리 시에 있어서, 최대 맥파압과 제1 기준압을 특정하였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에 추가하여 제2 기준압도 특정한다.
맥파 해석부(413)가, 최대 맥파압과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을 어떻게 특정할지 설명한다. 당연히, 제1 기준압의 특정한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공통이고, 제2 기준압의 특정의 방법도 그것에 준한다.
도 10에, 측정된 맥파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 중 A로 나타내고 있는 곡선이,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체의 압력(단위 : ㎜Hg)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 B로 나타내고 있는 곡선이, 맥파의 크기(단위 : ㎜Hg)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는, 제1 기준압으로 예상되는 압보다도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일단 올린 후,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내리는 경우이다.
맥파의 크기는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에 부여하고 있는 압력이 작아져 감에 따라서 서서히 커져 가고, 긴장 체결구(100)가 조임 부위를 조이기 위해 조임 부위에 부여하고 있는 압력[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어느 압력을 하회하면 감소로 바뀐다. 도 10에서는, 도면 중 P1로 나타낸 시점에서 맥파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고 있다. 맥파 해석부(4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 데이터에 의해 계속적으로 맥파의 크기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맥파의 크기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뀐 그 시점을, 맥파의 크기가 최대로 된 시점으로 특정한다. 맥파 해석부(413)는 맥파가 최대로 된 시점(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의 크기(도 10에 있어서의 L)를 특정한다.
한편, 제1 기준압은 이하와 같이 특정된다. 맥파 해석부(413)는, 도 10에 도시한 데이터, 즉 전처리가 실행되고 있을 때의 어느 시간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과, 맥파의 크기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의 크기(L)가 특정된 후, 그때의 맥파의 크기(L)에 제1 계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0.55로 함)를 곱한 크기로 맥파가 이루어져 있고, 또한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시점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은 맥파가 l1로 된 시점이다.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이, 제1 기준압으로 된다. 도 10에서 말하면, l1의 연장선과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곡선이 교차한 시점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 즉 대략 200㎜Hg이 제1 기준압으로 특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기준압은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의 크기(L)가 특정된 후, 그때의 맥파의 크기(L)에 제2 계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0.62라고 함)를 곱한 크기로 맥파가 이루어져 있고, 또한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최대 맥파압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시점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은 맥파가 l2로 된 시점이다. 그때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이, 제2 기준압으로 된다. 도 10에서 말하면, l2의 연장선과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곡선이 교차한 시점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 즉 대략 180㎜Hg이 제2 기준압이라고 특정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최대 맥파압보다도 명백하게 작은 압(예를 들어, 상압)으로 내린 후,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을 올려 가고, 그 과정에서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을 특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준하여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을 특정하면 좋다.
맥파 해석부(413)가,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들을 주제어부(412)로 보내고, 제2 실시 형태의 전처리는 종료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주제어부(412)는 통상 모드를 개시할 때에,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에 통상 처리를 행하라고 하는 지시를 그 내용으로 하는 데이터와, 제1 기준압의 데이터를 보낸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주제어부(412)는 이들에 추가하여, 제2 기준압의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로 보낸다.
통상 처리를 행하라고 하는 지시를 수취한 제어 데이터 생성부(414)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것을 본체 장치(200)의 펌프 제어 기구(220)로, 인터페이스(404), 케이블(600)을 통해 보낸다.
그 제어 데이터는 제1 기준압을 상한, 제2 기준압을 하한으로 하는 것이다. 그 제어 데이터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이 제1 기준압으로부터 제2 기준압 사이의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제1 기준압 또는 제2 기준압을 유지하도록 하라는 내용이라도 좋고,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을 30초마다 교대로 왕복하는 것으로 하라는 것이라도 좋고, 가스 주머니(120) 내의 압력이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의 중심으로부터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의 차의 절반을 진폭으로 하여 주기 1분으로 변화하도록 하라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어 데이터가 가압 트레이닝의 실행 시간에 대한 데이터도 포함하고 있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어 데이터를 수취한 펌프 제어 기구(220)는 제어 데이터의 지시와 같이 펌프(210)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긴장 체결구(100)는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의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한다.
가압 트레이닝 종료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Claims (26)

  1.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0.9 이하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0.4 내지 0.6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상 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5.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상기 제1 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2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0.4 내지 0.6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계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계수를 0.9 이하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계수를 0.5 내지 0.7 사이의 수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2 계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 이상 상기 제2 계수 이하의 소정의 수인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1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계수와 상기 제2 계수의 양쪽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1개의 정보에 의해 특정된 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감산하는 동시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가산하여, 전자를 제1 계수로, 후자를 제2 계수로 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중간수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입력된 1개의 정보에 의해 특정된 수에 1보다도 작은 소정의 수를 승산하는 동시에, 1보다도 큰 소정의 수를 승산하여, 전자를 제1 계수로, 후자를 제2 계수로 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제1 기준압을 초과한다고 예상되는 압력보다도 일단 높이고, 그 후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내리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내려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전의 맥파 데이터로부터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내려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직전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으로서 특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을 하회한다고 예상되는 압력보다도 일단 낮추고, 그 후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을 올리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올라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전의 맥파 데이터로부터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올라가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연속해서 수취하여, 상기 맥파 데이터가, 상기 맥파의 크기가 그때까지보다도 작아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 경우에, 그 직전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최대 맥파압으로서 특정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가스 주머니의 내부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파라미터로서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체결구는 복수이고,
    상기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각각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권취된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상기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사지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와, 상기 제1 기준압을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통상 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을 조이는 상기 긴장 체결구와 대응된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의 각각이, 그들 압력 설정 수단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구비하는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당해 긴장 체결구가 사용되는 사지에 대해 특정된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체결구는 복수이고,
    상기 맥파 측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각각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권취된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 있어서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상기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사지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은 상기 긴장 체결구와 동수이고, 또한 그 각각이 상기 긴장 체결구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와, 상기 제1 기준압과, 제2 기준압을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통상 처리 시에, 사지의 각각을 조이는 상기 긴장 체결구와 대응된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의 각각이, 그들 압력 설정 수단과 대응된 긴장 체결구가 구비하는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당해 긴장 체결구가 사용되는 사지에 대해 특정된 상기 제1 기준압과 상기 제2 기준압 사이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 장치.
  23.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며,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24.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고,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실행되는 방법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고,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을 특정하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을 특정하고,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25.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며,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이 발생한 시점의 맥파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상기 제1 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2 기준압을 특정하게 되고,
    또한,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26. 사지의 어느 하나의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권취된 상기 벨트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에 소정의 조임압을 부여하는,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를 갖는 긴장 체결구와 조합함으로써 트레이닝 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이고,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을 원하는 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 압력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근육의 소정의 부위의 부근, 혹은 그곳보다도 사지의 말단측에서, 상기 조임압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동맥의 맥파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되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당해 파라미터에 대한 맥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파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실행되는 방법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전처리와 통상 처리의 2개의 처리를 상기 압력 설정 수단에 실행시키고,
    상기 전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맥파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맥파 데이터를 복수회 접수함으로써, 맥파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인 최대 맥파압을 특정하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1보다 작은 소정의 제1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1 기준압과,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맥파에 미리 정한 0.2 이상이고 상기 제1 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계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크기의 맥파를 발생했을 때의 가스 주머니 내의 압이고, 상기 최대 맥파압이 발생했을 때의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압보다도 큰 압인 제2 기준압을 특정하고,
    상기 통상 처리 시에는,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이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압력을 상기 제1 기준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압력 설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0107025665A 2008-04-17 2009-04-16 트레이닝 장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KR101245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8389 2008-04-17
JP2008108389 2008-04-17
PCT/JP2009/058032 WO2009128561A1 (ja) 2008-04-17 2009-04-16 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用制御装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870A true KR20110005870A (ko) 2011-01-19
KR101245495B1 KR101245495B1 (ko) 2013-03-25

Family

ID=4119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665A KR101245495B1 (ko) 2008-04-17 2009-04-16 트레이닝 장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45536B2 (ko)
EP (1) EP2277606B1 (ko)
JP (1) JP5165752B2 (ko)
KR (1) KR101245495B1 (ko)
CN (1) CN102065955B (ko)
AU (1) AU2009236880B2 (ko)
CA (1) CA2721798C (ko)
HK (1) HK1155682A1 (ko)
RU (1) RU2468845C2 (ko)
WO (1) WO20091285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917A (ko) 2017-11-04 2019-05-14 오현석 자동 저항 조절 재활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1983B2 (ja) * 2007-01-09 2012-04-25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JP5599370B2 (ja) * 2010-10-18 2014-10-01 由久 山崎 静脈環流制限状態設定装置
JP4919366B1 (ja) * 2011-11-17 2012-04-18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及びその制御方法
JP5908733B2 (ja) * 2012-01-24 2016-04-26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
JP5255722B1 (ja) * 2012-06-28 2013-08-07 Kaatsu Japan株式会社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血管強化方法
WO2016006055A1 (ja) * 2014-07-09 2016-01-14 Kaatsu Japan株式会社 筋肉増強方法
US9814467B2 (en) * 2014-07-10 2017-11-14 Western Clinical Engineering Ltd. Personalized tourniquet apparatus
WO2016011538A1 (en) 2014-07-25 2016-01-28 Western Clinical Engineering Ltd. Tourniquet system for personalized restriction of blood flow
CN107735149B (zh) * 2015-11-11 2020-01-21 人类纽带有限会社 适当压力决定装置、适当压力决定系统、决定适当压力的方法
US20180021210A1 (en) * 2016-07-19 2018-01-25 James Stray-Gundersen Efficacy based feedback system for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DK201600116U4 (da) * 2016-10-12 2017-09-22 Videnform V/Thomas A Cortebeeck Udstyr til okklusionstræning
FR3084594B1 (fr) * 2018-08-06 2021-05-07 Mad Up Appareil d'entrainement physique d'au moins l'un des membres d'un etre vivant
SE1851567A1 (en) * 2018-12-12 2020-06-13 Tendo Ab Control of an active orthotic device
CN110227237A (zh) * 2019-05-25 2019-09-13 天津大学 一种下肢康复训练装置及方法
RU2733870C1 (ru) * 2020-04-14 2020-10-07 Павел Николаевич Половников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тренировочного процесс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2370027A (zh) * 2020-10-21 2021-02-19 天津大学 一种基于脉搏波监测的肌肉训练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402A (en) * 1976-06-25 1978-03-07 Benjamin Jr J Malvern Apparatus f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JPS62292139A (ja) * 1986-06-12 1987-12-1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H05313949A (ja) 1992-05-13 1993-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ステム総合試験装置
JP2670421B2 (ja) 1993-11-22 1997-10-29 株式会社ベストライフ 筋力トレーニング方法
US6045510A (en) * 1994-02-25 2000-04-04 Colin Corporation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JPH0938051A (ja) * 1995-07-25 1997-02-10 Kiyokukou Bussan Kk 至適運動強度測定方法及び装置
JP2796276B2 (ja) * 1996-09-19 1998-09-10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
JP2001214304A (ja) * 2000-02-01 2001-08-07 Kyoto Seni Kogyo:Kk 腹締めベルト
JP4342849B2 (ja) * 2003-06-19 2009-10-14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加圧筋力増強装置、及び制御装置、並びに該制御装置にて実行される方法
JP4322591B2 (ja) * 2003-08-15 2009-09-02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増強システム、及び筋力増強器具の加圧力制御装置
CN100496388C (zh) * 2005-08-31 2009-06-10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利用信号变换计算血压的装置
JP4597840B2 (ja) * 2005-11-04 2010-12-15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制御方法
EP1785088A1 (en) * 2005-11-14 2007-05-16 Congener Wellness Corp. A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cardiovascular related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JP4839179B2 (ja) * 2006-10-18 2011-12-21 敏明 中島 治療システム、治療装置、制御方法
US20080243009A1 (en) * 2007-03-30 200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inflation of a cuff in blood pressure determin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917A (ko) 2017-11-04 2019-05-14 오현석 자동 저항 조절 재활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1798C (en) 2014-08-12
HK1155682A1 (en) 2012-05-25
US20110060231A1 (en) 2011-03-10
KR101245495B1 (ko) 2013-03-25
JPWO2009128561A1 (ja) 2011-08-04
AU2009236880B2 (en) 2012-01-12
EP2277606B1 (en) 2017-10-04
RU2468845C2 (ru) 2012-12-10
US9545536B2 (en) 2017-01-17
RU2010146131A (ru) 2012-05-27
CN102065955A (zh) 2011-05-18
CN102065955B (zh) 2012-05-02
AU2009236880A1 (en) 2009-10-22
EP2277606A1 (en) 2011-01-26
WO2009128561A1 (ja) 2009-10-22
EP2277606A4 (en) 2015-03-04
JP5165752B2 (ja) 2013-03-21
CA2721798A1 (en)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495B1 (ko) 트레이닝 장치, 트레이닝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KR101116489B1 (ko) 치료 시스템, 치료 장치, 제어 방법
KR100782635B1 (ko) 가압 근력 증강 장치 및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JP459784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制御方法
JP6548177B2 (ja) 適正圧決定装置、適正圧決定システム、適正圧を決定する方法
JP4921983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JP2007125254A5 (ko)
JP2008167786A5 (ko)
WO2022224518A1 (ja) 血管トレーニング装置、方法、血管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