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802U - 경계석용 표지병 - Google Patents

경계석용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802U
KR20110005802U KR2020090015771U KR20090015771U KR20110005802U KR 20110005802 U KR20110005802 U KR 20110005802U KR 2020090015771 U KR2020090015771 U KR 2020090015771U KR 20090015771 U KR20090015771 U KR 20090015771U KR 20110005802 U KR20110005802 U KR 20110005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bottle
light emitting
boundary
road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777Y1 (ko
Inventor
정현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riority to KR2020090015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7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경계석용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지병을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직각이나 경사각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 설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이나 날이 흐려 어두운 날에 차도나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부분에 운전자가 도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빛을 자체 발산하는 표지병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보통 차도와 인도의 지면의 높이가 다르게 되어 있으며 표지병의 설치가 대부분 지면이 낮은 차도에 설치가 되어 있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 자동차로 인한 표지병의 파손이나 쉽게 이물질이 묻게 되어 표지병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경계석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과 발광부가 직각의 일체로 된 표지병이 있었으나 이러한 표지병은 표지병이 직각의 형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석이 정육면체의 모서리가 각진 형태에만 설치가 가능하여 요즘 도시경관의 디자인을 위해 직각뿐만이 아니라 일정한 각도로 경사각을 갖거나 모서리가 만곡된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는 설치가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계석에 설치를 할 경우에 상기에 맞는 별도의 표지병을 재생산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표지병을 절첩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 설 치가 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것이다.
표지병, 채광본체, 발광본체, 절첩수단

Description

경계석용 표지병{Indicator for Boundary Stone}
본 고안은 자동차도로와 인도를 경계하는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지병을 절첩되도록 형성하여 표지병이 설치되는 경계석의 일면이 직각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도 설치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의 중앙선이나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부분에는 야간이나 날이 어두운 날에 운전자가 차도의 중앙선 및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경계부를 식별하여 자동차가 중앙선이나 인도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차의 라이트 빛을 반사하거나 태양광이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빛을 자체 발산하는 표지병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지병의 설치는 차도와 인도의 지면이 다른 높이로 되어 있으며 표지병은 보통 차도의 지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로 인한 파손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표지병에 쉽게 묻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로 인해 표지병의 식별이 어려워 자동차가 경계석에 충돌하거나 인도를 침범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경계석의 상면과 측면의 모서리 부분 에 설치하도록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과 발광부가 직각의 일체로 형성된 표지병이 설치되어 종래의 문제를 보완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경계석이 반드시 일정한 형태의 정육면체의 모서리가 각진 경계석에만 설치가 가능하고 측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갖거나 모서리가 만곡된 경계석 등의 다양하게 디자인 되어지는 경계석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 설치를 할 경우에는 상기에 맞는 표지병을 별도로 생산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표지병을 절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간단하게 조립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계석의 상면에 위치되는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이 설치되는 채광본체의 일측과 경계석의 측면에 위치되는 빛을 발상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발광본체의 일측에 서로 맞물리는 절첩수단을 형성하여 결합토록 함으로써 절첩수단에 의해 절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계석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표지병을 절첩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경계석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채광본체와 발광본체가 결합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채광본체와 발광본체가 절첩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경계석에 본 고안이 표지병이 부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표지병(10)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충전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이 형성된 채광본체(11)와 상기 채광본체(11)의 일측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30)가 형성된 발광본체(12)가 절첩수단으로 절첩되어지게 결합 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절첩수단은 채광본체(11)의 일측에 소정간격으로 대칭되게 통공부(13a)를 형성한 고정경첩(13)이 형성되고 발광본체(12)의 일측에 채광본체(11)에 소정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고정경첩(13)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통공부(14a)를 형성한 회전경첩(14)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통공부(13a,14a)에 고정핀(15)을 결합하여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본체(12)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경첩(14)의 좌,우측으로 통공부(14a) 대신에 소정크기의 만곡된 형태의 돌기(14b)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채광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경첩(13)의 통공부(13a)에 강제로 가압하여 끼워 고정토록 하여 회전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경첩(13)과 회전경첩의(14)의 형성이 채광본체(11)에 고정경첩(13)이 형성되고 발광본체(12)에 회전경첩(14)이 형성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역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광몸체(11)와 발광몸체(12)의 하측에는 경계석(40)과 경계석(40)이 이음되는 이음틈새(4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편(16)이 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편(16)이 없는 상태에서도 채광몸체(11)와 발광몸체(12)의 이면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기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경계석(40)의 상면과 측면에 부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채광본체(11)에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이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발광부(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기능으로서, 채광본체(11)의 상측에 내입홈(11a)을 형성하여 상기 내입홈(11a)에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이 장착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쏠라셀(21)과 상기 쏠라셀(21)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지(23)가 하측에 위치되고 그 하측으로 쏠라셀(21)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 및 발광부(20)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하는 회로판(22)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체 면이 투명한 하우징으로 형성된 채광캡(24)으로 방수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은 채광본체(10) 내입홈(11a)에 장착될 때 나사나 결합피스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어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의 이상 작동 및 고장 시 현장에서 손쉽게 교체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본체(12)에 형성된 발광부(30)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공급받은 전기로 인해 발광체(30)를 발광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발광본체(12)의 양측으로 내입홈(12a)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내입홈(12a)에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너지를 발광체(30)에 공급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는 발광체(31)가 고정되어 결합한 다음 상측으로 발광판(34)을 결합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발광체(31)는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체(31)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공(33)이 형성된 확산틀(32)이 발광체(31)에 상측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확산공(33)은 발광체(31)의 형성된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발광체(31)에서 발산되는 빛이 확산공(33)에 의해 빛을 확산시키도록 하여 식별이 더욱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판(30)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에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아도 반사체에 의해 자동차의 라이트에서 발생되는 빛을 반사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채광몸체(11)의 측면 사방으로 인도에서도 사람이 표지병(10)을 식별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반사체로 된 발광판(31)을 부착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표지병(10)은 절첩수단 즉, 고정경첩(13)과 회전경첩(14)에 의해 절첩되게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경계석(40)에 간단하게 설치가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채광본체와 발광본체가 결합되는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 2는 채광본체와 발광본체가 절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표지병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표지병이 경계석에 부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발광본체의 회전경첩에 돌기가 형성된 표지병의 결합사시도.
도 6은 채광본체와 발광본체의 이면에 결합편이 형성된 이면사시도.
도 7은 채광본체에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이 결합되는 사시도.
도 8과 9는 결합편이 형성된 표지병이 경계석에 부착된 사용상태도.
도 10은 종래의 표지병의 외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표지병 11: 채광본체
12: 발광본체 13: 고정경첩
13a,14a: 통공부 14: 회전경첩
14b: 돌기 15: 고정핀
16: 결합편
20: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 21: 쏠라셀
22: 회로판 23: 충전지
24: 채광캡
30: 발광부 31: 발광채
32: 확산틀 33: 확산공
34: 반사판
40: 경계석 41: 이음틈새

Claims (5)

  1. 태양광을 흡수하여 충전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이 형성된 채광본체(11)와 상기 채광본체(11)의 일측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30)가 형성된 발광본체(12)가 절첩되어지게 절첩수단(13,14)에 의해 결합되어 경계석(40)에 접착 등으로 부착되어짐을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13,14)은 채광본체(11)의 일측에는 소정간격으로 대칭되게 통공부(13a)를 형성한 고정경첩(13)을 형성하고 발광본체(12)의 일측에 채광본체(11)에 소정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고정경첩(13)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통공부(14a)를 형성한 회전경첩(14)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통공부(13a,14a)에 고정핀(15)을 결합하여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본체(12)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경첩(14)의 좌,우측으로 소정크기의 만곡된 형태의 돌기(14b)를 형성하여 채광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경첩(13)의 통공부(13a)에 강제로 가압하여 끼움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듈(20)은 쏠라셀(21)과 충전지(23)와 회로판(22)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체 면이 투명한 하우징으로 형성된 채광캡(24)으로 방수시킨 구조와 이상 작동 및 고장 시 현장에서 손쉽게 교체작업이 가능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몸체(11)와 발광몸체(12)의 하측에 경계석(40)과 경계석(40)이 이음되는 이음틈새(4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편(16)이 각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KR2020090015771U 2009-12-04 2009-12-04 경계석용 표지병 KR200460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71U KR200460777Y1 (ko) 2009-12-04 2009-12-04 경계석용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71U KR200460777Y1 (ko) 2009-12-04 2009-12-04 경계석용 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802U true KR20110005802U (ko) 2011-06-10
KR200460777Y1 KR200460777Y1 (ko) 2012-06-11

Family

ID=4660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71U KR200460777Y1 (ko) 2009-12-04 2009-12-04 경계석용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6395A (zh) * 2015-11-05 2016-01-27 湖州科中电光源有限公司 一种可折叠太阳能led灯
KR102080925B1 (ko) * 2019-07-11 2020-02-25 인동근 횡단보도에 장착되는 도로표지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19B1 (ko) * 2006-08-10 2007-06-04 허민 도로교통용 안전표시장치
KR100873914B1 (ko) 2008-08-07 2008-12-15 정진시그널(주) 경계석용 표지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6395A (zh) * 2015-11-05 2016-01-27 湖州科中电光源有限公司 一种可折叠太阳能led灯
CN105276395B (zh) * 2015-11-05 2018-09-14 慈溪市莱殿光电有限公司 一种可折叠太阳能led灯
KR102080925B1 (ko) * 2019-07-11 2020-02-25 인동근 횡단보도에 장착되는 도로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77Y1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313B1 (ko) 전 방향 투사 매립형 태양광 도로 표지병
KR101930933B1 (ko) 매립형 태양광 엘이디 도로 표지병
KR100873914B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0460777Y1 (ko) 경계석용 표지병
JP7020682B2 (ja) 太陽電池ユニット
JP3970590B2 (ja) 両面型太陽電池パネルを備えた屋外工作物
KR20210123667A (ko) 도로표지병
KR101150705B1 (ko) 태양광집광판을 구비한 표지병
KR200460452Y1 (ko) 자전거 도로용 블록
CN211171737U (zh) 一种具有灯光照明亮化的太阳能护栏立柱
KR20120001121U (ko) 도로경계석에 장착되는 led 표지장치
KR20120108428A (ko) 펜스
JP2011231462A (ja) 自発光体付車止めブロック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R101002601B1 (ko) 엘이디 보도 안전 장치
KR20110116432A (ko) 태양발전식 자전거 도로 매설용 안전유도등
CN210040225U (zh) 光伏电池板
KR20120005364U (ko) 중앙분리블록
CN205824858U (zh) 一种内置电源的投光灯
KR102622682B1 (ko) 태양광발전장치
KR20070025460A (ko) 일체형 태양발광 표시장치
KR101150706B1 (ko) 발광표지판
KR20160012595A (ko) 도로용 표지판
KR102644885B1 (ko) 친환경 발광형 led 도로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62899B1 (ko) 중앙분리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