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17U -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17U
KR20110005717U KR2020090015660U KR20090015660U KR20110005717U KR 20110005717 U KR20110005717 U KR 20110005717U KR 2020090015660 U KR2020090015660 U KR 2020090015660U KR 20090015660 U KR20090015660 U KR 20090015660U KR 20110005717 U KR20110005717 U KR 201100057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rtical block
horizontal block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999Y1 (ko
Inventor
김낙권
Original Assignee
김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권 filed Critical 김낙권
Priority to KR2020090015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99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은, 제1 가로블럭과, 상기 제1 가로블럭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가로블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가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로블럭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블럭과 제2 세로블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및 상기 제1 가로블럭 및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외, 조립, 구이, 테이블, 화덕

Description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본 고안은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테이블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의 상판(1)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2)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너나 화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구이용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상판의 중앙에는 버너나 화로가 삽설되는 가열홈(1a)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이용 테이블은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캠핑 카(camping car)나 그외 각종 이송수단에 싣고 야외로 나가 캠핑을 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용도가 구이용 테이블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테이블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립식 혹은 비조립식의 일반적인 테이블을 별도로 더 구비하고, 캠핑시마다 상기 구이용 테이블과 함께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용 테이블의 하면에 구비된 테이블 다리(2)는 모두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이나 경사가 많은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구이용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은 제1 가로블럭과; 상기 제1 가로블럭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가로블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가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로블럭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블럭과 제2 세로블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및 상기 제1 가로블럭 및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각각 제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제2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1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암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2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수결합부가 체결되는 제2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체결되는 상기 암결합부와 수결합부 한 쌍은 매미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과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 단턱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 및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 에 지지 단턱 위에 올려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어,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의하면, 1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의하면 사다리꼴로 배치된 테이블 다리에 의해 굴곡이나 경사진 야외에서도 구이 테이블의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1 조립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2 조립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3 조립 상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은 지지부 역할을 하는 제1 가로블럭(110)과, 역시 지지부 역할을 하며 제1 가로블럭(110)과 나란히 배치된 제2 가로블럭(120)과, 서로 마주보는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 사이에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130)과, 상기 제1 세로블럭(130)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140)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150) 및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의 하부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160)를 포함한다.
따라서, 첫째 커버(150)를 제외한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과,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및 테이블 다리(160)를 사용하여 조립하면 구이용 테이블(도 3 참조)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둘째, 그에 더해 커버(150)를 더 포함하여 조립하면 제1의 일반 테이블(도 4 참조)로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셋째,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러 및 테이블 다리(160)만을 사용하 여 재조립하면 제2의 일반적인 테이블(도 6 참조)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160)들이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이와 같이 설치된 테이블 다리(160)는 굴곡이나 경사진 야외에서도 당해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가로블럭(110)은 일 예로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제1 가로블럭 몸체(111)와,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이 접하는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삽입공(112)과,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제1 가로블럭(110)의 일측면 하단에 돌출 결합된 제1 지지판(113) 및 제1 가로블럭(110)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암결합부(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난연성의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가로블럭 몸체(111)가 지지력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2개소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 중 1개소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는 제1 세로블럭(130)의 제1 삽입돌기(132)가 끼워지고, 다른 1개소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는 제2 세로블럭(140)의 제1 삽입돌기(142)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하면으로부터 제1 세로블럭(130) 측으로 돌출된 제1 지지판(113)위에 제1 세로블럭(130)의 일부가 올려짐으로써 상기한 제1 삽입공(112)과 함께 제1 세로블럭(130)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제1 가로블럭(110)에는 제2 세로블럭(14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판(미도시)은 구비하고 있지 않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테이블로조립시 제1 가로블럭(110)의 일측면과 제2 가로블럭(120)의 일측면이 서로 면접촉하면서 조립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외측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 중 하나와 제1 세로블럭(13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가 체결됨으로써 제1 세로블럭(130)이 제1 가로블럭 몸체(111)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제1 암결합부(114)에는 제2 세로블럭(14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45)가 체결됨으로써 제2 세로블럭(140) 역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단,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 암결합부(114)와 제1 수결합부(135, 145)로 이루어진 암수 한 쌍의 체결부재는 매미고리인 것이 사용 편리성 측면에서바람직할 것이므로, 체결부재로서 매미고리가 사용된 경우 상기 제1 암결합부(114)는 매미고리 중 후크일 것이고, 제1 수결합부(135, 145)는 매미고리 중 탄성부재 및 손잡이를 구비한 걸고리일 것이다.
제1 가로블럭(110)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된 제2 가로블럭(120)은 일 예로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제2 가로블럭 몸체(121)와,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이 접하는 제2 가로블럭 몸체(121)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 삽입돌기(122)와, 제2 세로블럭(120)의 일측면이 접하는 제2 가로블 럭(120)의 일측면 하단에 돌출 결합된 제2 지지판(123) 및 제2 가로블럭(120)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2 수결합부(1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가로블럭 몸체(121)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 중 1개소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가 제1 세로블럭(130)의 제2 삽입공(133)에 끼워지고, 다른 1개소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는 제2 세로블럭(140)의 제2 삽입공(143)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하면으로부터 제2 세로블럭(140) 측으로 돌출된 제2 지지판(123)위에 제2 세로블럭(140)의 일부가 올려짐으로써 제2 삽입돌기(122)와 함께 제2 세로블럭(140)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제2 가로블럭(120)은 제1 세로블럭(14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판(113)은 구비하고 있지 않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테이블로조립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로블럭(110)의 일측면과 제2 가로블럭(120)의 일측면이 서로 면접촉하면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가로블럭(110)의 제1 지지판(113)과 제2 가로블럭(120)의 제2 지지판(123)은 서로 엇갈린 방향에 구비되어 있어서, 제1 지지판(113)은 제2 가로블럭(120)의 일측부 하면을 받치고, 제2 지지판(123)은 제1 가로블럭(110)의 타측부 하면을 받치면서,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이 서로 면접촉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가로블럭 몸체(121)의 외측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 중 하나가 제1 세로블럭(13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2 암결합부(136)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 수결합부(124)는 제2 세로블럭(14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2 암결합부(146)가 체결됨으로써,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이 제1 가로블럭 몸체(1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단, 제1 암결합부(114)와 제1 수결합부(135, 145)로 이루어진 암수 한 쌍의 체결부재는 매미고리인 것이 사용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함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130)은 일 예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세로블럭 몸체(131)와, 제1 가로블럭(110)을 바라보는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돌기(132)와, 제2 가로블럭(120)을 바라보는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삽입공(133)과, 제2 세로블럭(140)을 바라보는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 단턱(13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 일측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 및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 타측 구비된 제2 암결합부(1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에 구비된 제1 삽입돌기(132)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 삽입되면서, 제1 세로블럭(130)의 일단부는 제1 지지판(113) 위에 올려진다.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에 구비된 제2 삽입공(133)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가 삽입되고, 제1 세로블럭(130)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134)에는 커버(150)들이 올려진다.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체결되고, 제2 암결합부(136)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가 체결된다.
제2 세로블럭(140)은 제1 세로블럭(130)과 나란히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의 제2 세로블럭 몸체(141)와, 제2 세로블럭 몸체(14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돌기(142)와,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삽입공(143)과, 제1 세로블럭(130)을 바라보는 제2 세로블럭 몸체(1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 단턱(14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제1 가로블럭(110)과 가까운 부분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45) 및 상기 외측면 중 제2 가로블럭(120)과 가까운 부분에 구비된 제2 암결합부(14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세로블럭 몸체(141)에 구비된 제1 삽입돌기(142)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 삽입되고, 제2 세로블럭 몸체(141)에 구비된 제2 삽입공(143)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가 삽입되며, 제2 세로블럭(140)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144)에는 커버(150)들이 올려진다.
또한, 제2 세로블럭 몸체(141)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45)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체결되고, 제2 암결합부(146)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가 체결된다.
커버(150)는 그 양단부가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에 각각 형성된 지지 단턱(134, 144) 위에 올려져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도 2 및 도 4에서는 일 예로서 제1 커버(151) 내지 제3 커버(153)를 포함하여 3개(151, 152, 153)인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1 커버(151) 내지 제3 커버(153)를 조립하면 그 위에 각종 음식용기 등을 올려 놓을 수 있게 한다. 물론, 제1 커버(151) 내지 제3 커버(153)를 조립하지 않으면 도 3과 같이 제1 가로블럭(110), 제2 가로블럭(120), 제1 세로블럭(130) 및 제2 세로블럭(140)에 의해 둘러싸인 개방부에 화로를 설치하여 구이용 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 다리(160)는 본 고안의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가로블럭(110)의 하면에 2개 설치되고, 반대측인 제2 가로블럭(120)의 하면에도 2개 설치되며, 각 테이블 다리(160)는 제1 가로블럭(1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프레임(161) 및 상기 결합 프레임(161)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리부(162)를 포함한다.
다만, 제1 가로블럭(110)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160)는 제1 가로블럭(11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져 조립되고, 제2 가로블럭(120)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160)는 상기 제2 가로블럭(12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져 조립되어, 테이블 다리(160)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와 같이 테이블 다리(도 1의 2 참조)가 모두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면, 굴곡이나 경사가 많은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구이용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테이블 다리(160)를 경사지게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도 5와 같이, 각 결합 프레임(161)과 가로블럭(110, 120)의 하면 사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경사편(161a)을 삽입한 후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경사(161a)편을 삽입하는 대신 결합 프레임(161) 자체를 경사진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반복 용접을 통해서 적층된 용접용 솔더(solder)에 의한 경사 형성 방식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을 조립하기 위해서, 제1 세로블럭(130)과 제 2세로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을 조립한다.
그리고,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에 각각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 145)를 제1 가로블럭(1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걸고, 제2 가로블럭(12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를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에 각각 구비된 제2 암결합부(136, 146)에 걸어 견고히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각 결합 프레임(161)에 다리부(162)를 조립한다.
이상과 같은 조립과정을 마친 본 고안의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 세로블럭(130)과 제 2세로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을 조립하기 이전에, 커버(150)들을 상기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사이에 결합하면 도 4와 같이 제1의 일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및 커버(150)를 제외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을 서로 결합한 후 각 결합 프레임(161)에 다리부(162)를 조립하는 것으로 제2의 일반 테이블서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일반 테이블로서의 조립은 제2 가로블럭(1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삽입돌기(122)를 제1 가로블럭(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공(112)에 끼워넣은 다음,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를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걸면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일반 테이블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은, 종래 기술과 차별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이용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식탁 등 일반적인 테이블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 효율성을 좋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1 조립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2 조립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3 조립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 가로블럭 120: 제2 가로블럭
130: 제1 세로블럭 140: 제2 세로블럭
150: 커버 160: 테이블 다리

Claims (7)

  1. 제1 가로블럭과;
    상기 제1 가로블럭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가로블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가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로블럭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블럭과 제2 세로블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및
    상기 제1 가로블럭 및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각각 제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제2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1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암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2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수결합부가 체결되는 제2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체결되는 상기 암결합부와 수결합부 한 쌍은 매미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과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 단턱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 및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 지지 단턱 위에 올려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어,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KR2020090015660U 2009-12-03 2009-12-03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KR200460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60U KR200460999Y1 (ko) 2009-12-03 2009-12-03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60U KR200460999Y1 (ko) 2009-12-03 2009-12-03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17U true KR20110005717U (ko) 2011-06-10
KR200460999Y1 KR200460999Y1 (ko) 2012-06-15

Family

ID=466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60U KR200460999Y1 (ko) 2009-12-03 2009-12-03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9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781A (zh) * 2018-12-06 2019-03-01 合肥志邦家居有限公司 一种岛台
KR20200049097A (ko) * 2018-10-31 2020-05-08 이원근 야외용 원목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534B1 (ko) * 2013-05-13 2014-05-16 캠푸드 주식회사 실내용 화로 테이블
KR101587570B1 (ko) 2013-12-27 2016-01-21 강승구 태양전지를 구비한 테이블
KR101636551B1 (ko) 2016-03-11 2016-07-05 주식회사 유퍼니 조립식 야외테이블
KR200485384Y1 (ko) * 2016-05-11 2018-01-30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101960251B1 (ko) 2017-09-19 2019-03-20 장영국 다용도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37Y1 (ko) * 1980-09-19 1981-10-26 이성우 야외용 조립 상(床)
JP3723162B2 (ja) * 2002-08-12 2005-12-07 株式会社アールテック・リジョウ 間伐材を用いたバーベキュー用コンロ付き組立テーブル
JP3093054U (ja) * 2002-09-26 2003-04-18 世國企業股▲分▼有限公司 アウトドア用テーブル
JP4354230B2 (ja) 2003-08-22 2009-10-28 パール金属株式会社 組立式テーブ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097A (ko) * 2018-10-31 2020-05-08 이원근 야외용 원목 테이블
CN109393781A (zh) * 2018-12-06 2019-03-01 合肥志邦家居有限公司 一种岛台
CN109393781B (zh) * 2018-12-06 2024-02-20 合肥志邦家居有限公司 一种岛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999Y1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999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KR101407213B1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KR101670264B1 (ko) 야외용 화로대
KR101218779B1 (ko) 야외 테이블
KR101655959B1 (ko) 캠핑용 접이식 그릴 구조
KR20140140691A (ko) 화로대 기능을 가진 휴대용 조립식 화목 난로
JP5916694B2 (ja) バーベキュー用コンロ
KR20100011008U (ko) 사각 화로대
TWI806774B (zh) 篝火台
JP3186537U (ja) 火床部を備えた燃焼炉
KR101824655B1 (ko) 캠핑용 테이블
KR101699503B1 (ko) 가스렌지용 바람막이
KR20120019337A (ko) 조립식 화로 테이블
CN213075439U (zh) 一种可折叠拼装烤炉
US20120067228A1 (en) Collapsible grill
KR200481684Y1 (ko) 캠핑용 조리 테이블
JP5188645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JP6864921B2 (ja) 焚火台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JP2013517439A (ja) 携帯用炭火焼きコンロの補強脚装置
US10849458B2 (en) Portable barbecue
KR20200062527A (ko) 조립이 간편한 우드 롤 테이블
KR20160003710U (ko) 휴대용 화로
KR102611350B1 (ko) 캠핑용 화로
KR20190001859U (ko) 캠핑용 화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