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643U - 왕복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왕복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643U
KR20110005643U KR2020090015564U KR20090015564U KR20110005643U KR 20110005643 U KR20110005643 U KR 20110005643U KR 2020090015564 U KR2020090015564 U KR 2020090015564U KR 20090015564 U KR20090015564 U KR 20090015564U KR 20110005643 U KR20110005643 U KR 201100056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vibrator
blad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90015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643U/ko
Publication of KR20110005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6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6Cutters being movable in the cut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oscillating- 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왕복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100)의 구동축(101)에 끼움되는 주기어(110)와 한쌍의 부기어(111) 및 상기 주기어(110)와 부기어(111)가 하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121)에 맞물리게 되는 한편, 상부에는 기어축(122) 및 기어축(122)의 상부에 편심축(123)이 형성된 감속기어(120)와, 면도기날(150)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면도기날(150)을 자우로 왕복운동 시키게 되는 진동자(140)로 구성된 왕복식 전기면도기로서, 상기 감속기어(120)는 기어축(101)의 내부가 중공상태의 고정홈(122a)이 형성되어 구동축(101)이 끼움되게 되며, 편심축(123)이 끼움되는 축홀(131)이 일측에 형성되고 진동자(140)의 하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바(141)가 삽입되는 끼움홀(132)이 타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링크(130)가 구비되되, 상기 링크(130)는 감속기어(120)의 편심축(1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면도기날의 하부에 체결된 진동자의 직선운동을 감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속기어, 링크

Description

왕복전기면도기{A shave of reciprocating motion type}
본 고안은 왕복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종래의 왕복식면도기의 문제점인 과도한 진동과 소음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왕복식면도기를 사용시에는 저진동과 저소음으로 작동되게 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빠른 면도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요동(搖動) 가능한 칼날 헤드(Head)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복수의 칼날 헤드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왕복식 전기면도기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소 62-22739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복수의 칼날 헤드를 구비한 헤드 블럭(Head Block)의 상단부근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헤드 블럭 전체의 전후 회전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다양한 면도방향에 대하여도 칼날 헤드가 피부에 추종(追從)하도록 고려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축이 헤드블럭의 상단 부근에 있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하는 외부 칼날과 회전축의 거리가 짧고, 피부에 대하여 외부 칼날이 경사져 접한 경우에 가압력이 작으면 헤드 블럭이 회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헤드 블럭을 거의 부 동(Float)시킬 수(위쪽으로 밀어 자유롭게 요동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추종할 수 밖에 없다거나 면도시에 뼈부분의 굴곡 등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며, 피부를 손상하거나 울퉁불퉁하게 면도한 기분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소 55-8649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복수의 칼날 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부동시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칼날 헤드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요철을 갖는 피부를 추종하는 동시에,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려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내부 칼날 구동에 의한 칼날 헤드 전체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부동력(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미는 힘)에 대한 초기 하중을 소정값 이상으로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부에 가압력을 상당히 높이지 않으면 피부를 추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부에 대하여 외부 칼날이 경사져 접한 경우에는, 칼날 헤드가 피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소 63-19748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복수의 칼날 헤드를 상하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칼날 헤드를 링(Ring)에 의해 결합시켜, 피부의 요철을 추종하여 한쪽 방향의 칼날 헤드가 내려가면 다른 한쪽 방향의 칼날 헤드가 올라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면도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며, 더욱이 칼날 헤드가 피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4344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칼날 헤드와 모터를 일 체로 하여 전후, 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칼날 헤드를 움직이기 위한 지지점이 상당히 아래에 위치하기 때 문에, 피부에 대한 양호한 추종성(追從性)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과 더불러 최근의 왕복식면도기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시 과도한 진동과 소음으로 인해 많은 불편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왕복식면도기의 문제점인 과도한 진동과 소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시에 저진동과 저소음으로 작동되게 되는 왕복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끼움되는 주기어와 한쌍의 부기어 및 상기 주기어와 부기어가 하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에 맞물리게 되는 한편, 상부에는 기어축 및 기어축의 상부에 편심축이 형성된 감속기어와, 면도기날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면도기날을 자우로 왕복운동 시키게 되는 진동자로 구성된 왕복식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기어축의 내부가 중공상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구동축이 끼움되게 되며, 편심축이 끼움되는 축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진동자의 하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바가 삽입되는 끼움홀이 타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링크가 구비되되, 상기 링크는 감속기어의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면도기날의 하부에 체결된 진동자의 직선운동을 감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전기면도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왕복식면도기의 문제점인 과도한 진동과 소음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왕복전기면도기를 사용시에는 저진동과 저소음으로 작동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왕복전기면도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를 도시한 저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감속기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며, 도 7은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1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구동모터(100)의 구동축(101)에 끼움되는 주기어(110)와 한쌍의 부기어(111) 및 상기 주기어(110)와 부기어(111)가 하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121)에 맞물리게 되는 한편, 상부에는 기어축(122) 및 기어축(122)의 상부에 편심축(123)이 형성된 감속기어(120) 와, 면도기날(150)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면도기날(150)을 자우로 왕복운동 시키게 되는 진동자(140)로 구성된 왕복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기본구조의 왕복 전기면도기는 전체적으로 헤드부(A)와 몸체부(B)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고안은 종래보다 진동과 소음이 적게 헤드부(A)의 구조를 고안한 것이다.
즉, 도1내지 도5에서 살펴보면, 상기 감속기어(120)는 기어축(101)의 내부가 중공상태의 고정홈(122a)이 형성되어 구동축(101)이 끼움되게 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2 및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편심축(123)이 끼움되는 축홀(131)이 일측에 형성되고 진동자(140)의 하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바(141)가 삽입되는 끼움홀(132)이 타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링크(13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링크(130)는 감속기어(120)의 편심축(1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면도기날의 하부에 체결된 진동자의 직선운동을 감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모타의 구동축이 진동자를 바로 구동시킴으로써 진동과 소음이 큰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감속기어(120)와 링크(130)를 통하여 감속시켜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왕복 전기면도기는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의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왕복전기면도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를 도시한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감속기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도.
도 7은 고안의 헤드부의 구조요소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왕복전기면도기 100 : 구동모터
101 : 구동축 110 : 주기어
111 : 부기어 120 : 감속기어
121 : 내측기어 122 : 기어축
122a : 고정홈 123 : 편심축
130 : 링크 131 : 축홀
132 : 끼움홀 140 : 진동자
141 : 돌출바 150 : 면도기날
A : 헤드부 B : 몸체부

Claims (1)

  1. 구동모터(100)의 구동축(101)에 끼움되는 주기어(110)와 한쌍의 부기어(111) 및 상기 주기어(110)와 부기어(111)가 하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121)에 맞물리게 되는 한편, 상부에는 기어축(122) 및 기어축(122)의 상부에 편심축(123)이 형성된 감속기어(120)와, 면도기날(150)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면도기날(150)을 자우로 왕복운동 시키게 되는 진동자(140)로 구성된 왕복식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120)는 기어축(101)의 내부가 중공상태의 고정홈(122a)이 형성되어 구동축(101)이 끼움되게 되며, 편심축(123)이 끼움되는 축홀(131)이 일측에 형성되고 진동자(140)의 하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바(141)가 삽입되는 끼움홀(132)이 타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링크(130)가 구비되되, 상기 링크(130)는 감속기어(120)의 편심축(1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면도기날의 하부에 체결된 진동자의 직선운동을 감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전기면도기.
KR2020090015564U 2009-12-01 2009-12-01 왕복전기면도기 KR201100056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564U KR20110005643U (ko) 2009-12-01 2009-12-01 왕복전기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564U KR20110005643U (ko) 2009-12-01 2009-12-01 왕복전기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643U true KR20110005643U (ko) 2011-06-09

Family

ID=4929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564U KR20110005643U (ko) 2009-12-01 2009-12-01 왕복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6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795A (zh) * 2018-03-23 2019-10-01 博朗有限公司 电驱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795A (zh) * 2018-03-23 2019-10-01 博朗有限公司 电驱动装置
CN110299795B (zh) * 2018-03-23 2022-02-11 博朗有限公司 电驱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759B2 (en) Head-moving razor
KR200426275Y1 (ko) 멀티형 헤드무빙면도기
KR100598004B1 (ko) 왕복식 전기면도기
US7340839B2 (en) Hair clipper having moving lower blade
JP5837075B2 (ja) シェーバー
KR20080035020A (ko) 전기면도기
JP2005334372A (ja) 往復直線運動を行う被駆動部材を備えたヘッド部が本体部に対して揺動可能な電動器具
JP3699736B2 (ja) 電気かみそり
JPS6216114B2 (ko)
CN108789508B (zh) 往复式电动剃刀
JP7457482B2 (ja) ロータリー式電気かみそり
KR200373624Y1 (ko) 왕복식 헤드무빙면도기
KR200385700Y1 (ko) 망왕복전기면도기
KR20110005643U (ko) 왕복전기면도기
KR200465708Y1 (ko) 이발기의 구동 조인트 소음방지구조
US4115920A (en) Dry shaver with primary and secondary modes of oscillation
JP4539515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CN211030090U (zh) 一种低震动剃毛器切割组件
JP5366121B2 (ja) 電気かみそり
CN220945454U (zh) 一种浮动剃须刀刀头
JPS628858Y2 (ko)
KR200413833Y1 (ko) 이발기 겸용 면도기
JPS5935183Y2 (ja) 電気カミソリの駆動装置
KR200417145Y1 (ko) 이발기 겸용 면도기
CN115431306A (zh) 一种组合式剃毛动刀及剃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