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76U -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 Google Patents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76U
KR20110005176U KR2020090014985U KR20090014985U KR20110005176U KR 20110005176 U KR20110005176 U KR 20110005176U KR 2020090014985 U KR2020090014985 U KR 2020090014985U KR 20090014985 U KR20090014985 U KR 20090014985U KR 20110005176 U KR20110005176 U KR 201100051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luminum
closing
bevera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700Y1 (ko
Inventor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조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현 filed Critical 조용현
Priority to KR2020090014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70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7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등을 담아서 사용하기 위한 알루미늄 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탭 손잡이와 일체로 결합하는 회전 개폐구를 캔의 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캔 뚜껑의 음료구멍을 한 번 절취하여 사용한 후에도 남은 음료를 저장 및 보관하여 추후 다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개선된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내주면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턱(111a)이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상면의 일부에 개구편(121)이 압력에 의하여 함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캔 상판(120); 상기 캔 상판의 중심부에 중심핀(13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편(121)을 가압하는 부분인 탭노즈(131)를 가지는 탭 손잡이(130); 및 상기 중심핀(132)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턱(1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면의 일부에 개방부(143)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 개폐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을 제공한다.
알루미늄 캔, 본체, 가이드 턱, 캔 상판, 개구편, 음료 유출로, 탭 손잡이, 회전 개폐구, 중심핀

Description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Aluminum can having an one-touch open handle and rotating shutter assembly}
본 고안은 음료 등을 담아 음용하기 위한 알루미늄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구멍을 일단 개방하여 일회 사용한 후에도 잔여 음료를 보관 및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내장함으로써 남은 음료를 버리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인 알루미늄 캔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캔은 음료수, 주류 및 엑기스 등 각종 유체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최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용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알루미늄 캔은 탭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서, 탭 손잡이를 위로 들어 올려서 음료 구멍을 원터치로 절취한 후 개방된 음료구멍을 통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 매우 편리한 음료 용기 중의 하나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이러한 종래의 음료용 캔은 일단 개구편을 절취하여 음료구멍을 개방한 후에는 다시 잔여 음료를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이다,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나 맥주와 같은 주류는 음료구멍이 개방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면 탄산가스가 증발하여 그 맛이 변질되어 재사용할 수 없게 되고, 결국 남은 음료를 버려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매우 비경제적이며, 그렇다고 하여 음료용 캔을 아주 작은 사이즈로 제작하여 소량을 담아 팔기에도 여러가지 면에서 적합지 않다. 따라서, 한 번 개봉한 알루미늄 캔이라도 잔여 음료가 있는 경우 음료의 맛이 변질되지 않도록 간단하게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이 알루미늄 캔 장치에 자체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알루미늄 캔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알루미늄 캔을 일단 개봉하여 음료를 섭취한 후에도 잔여 음료가 있는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료를 밀봉하여 보관하고 언제든지 음료를 재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음료용 알루미늄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내주면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턱(111a)이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상면의 일부에 개구편(121)이 압력에 의하여 함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캔 상판(120); 상기 캔 상판의 중심부에 중심핀(13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편(121)을 가압하는 부분인 탭노즈(131)를 가지는 탭 손잡이(130); 및 상기 중심핀(132)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턱(1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면의 일부에 개방부(143)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 개폐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개폐구(140)의 상면에는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개구편(121)의 하방에는 상기 캔 상판(120)에서 하방으로 연장하여 끝단이 절곡되는 음료 유출로(12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알루미늄 캔에 의하면 사용자가 알루미늄 캔의 내용물인 음료 등을 섭취하고 난 후 그 내용물이 잔존하는 경우에도 탭 손잡이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료 유출구를 다시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추후 맛이 변질되지 않게 재사용하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내용물이 매실 엑기스나 기타의 액체처럼 한 번 개봉한 후에도 오랫동안 그 양을 나누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뚜껑이 필요없이 회전 개폐구만을 조작함으로서 그 보관 및 저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원리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알루미늄 캔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알루미늄 캔 상부의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 개폐구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고안의 알루미늄 캔(100)은 그 외관이 종래의 알루미늄 캔과 유사하다. 즉, 알루미늄 박판을 딥 드로잉하여 제조하는 본체(110), 상 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캔 상판(120), 상기 캔 상판(120)의 일 부분에 미리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압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개구편(121), 일측 단부에 상기 개구편(121)을 개방하기 위한 탭 노즈(131)를 가지는 탭 손잡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캔(100)의 외부 구성은 기존의 알루미늄 캔의 경우와 크게 다를 것이 없으나, 본 고안의 요지는 알루미늄 캔의 내부에 존재한다.
알루미늄 캔(100)의 내부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가이드 턱(111a)이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턱(111a)에는 후술할 회전 개폐구(140)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 개폐구(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면의 일 부분에 음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개폐구(140)의 회전판(141)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회전판(141)의 상면을 합성수지로 덮은 수지 코팅층(1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44는 후술할 중심핀이 결합하는 부위인 중심핀 결합부를 나타낸다.
상기 탭 손잡이(130)는 중심핀(132)에 의하여 캔 상판(120)에 부착되는데, 상기 중심핀(132)은 캔 상판(120)을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그 하단부에 회전 개폐구(140)가 고정 결합한다.
상기 캔 상판(120)의 개구편(121)의 하방에는 음료 유출로(122)가 형성되는 데, 상기 음료 유출로(122)는 상기 캔 상판(120)에서 연장하여 형성하되, 하방으로 돌출하며 그 하단부 끝단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음료 유출로(122)의 하단부에는 회전 개폐구(140)의 수지 코팅층(142)이 접촉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캔(1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알루미늄 캔을 최로로 개방할 때에는 탭 손잡이(130)를 들어올려 탭 노즈(131)로 개구편(121)을 가압하여 음료 유출구(122a)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회전 개폐구(140)의 개방부(143)의 위치는 개구편(12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미리 셋팅되어 있다. 사용자가 음료 등을 섭취하고 난 후 내용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탭 손잡이(130)를 돌려서 이와 연결된 회전 개폐구(140)를 회전 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 개폐구(140)는 상기 가이드 턱(111a)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 개폐구(140)가 회전하면 개구편(121)의 하방에 위치하던 개방부(143)가 회전하여 상면이 폐쇄된 회전 개폐구(140)의 수지 코팅층(142)이 개구편(121)의 하방에 위치하여 음료 유출로(122)의 하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지 코팅층(122)과 음료 유출로(122)의 하단부는 수지 코팅층(122)의 탄성 밀착력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봉된다. 따라서, 음료 내에 존재하는 탄산가스 등이 음료 유출구(122a)를 통하여 캔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알루미늄 캔(100)을 냉장고 등에 보관하다가 다시 음료수 등을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탭 손잡이(130)를 돌려 회전 개폐구(140)를 회전시켜 개방부(143)를 음료 유출구(122a)와 소통하는 위치에 두면 되는 것이다.
상기 음료 유출로(122)와 상기 수지 코팅층(142) 간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료 유출로(122)의 하단부에도 합성수지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알루미늄 캔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알루미늄 캔 상부의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 개폐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알루미늄 캔 110: 본체
111a: 가이드 턱 120: 캔 상판
121: 개구편 122: 음료 유출구
122a: 음료 유출로 130: 탭 손잡이
131: 탭 노즈 132: 중심핀
140: 회전 개폐구 141: 회전판
142: 수지 코팅층 143: 개방부
144: 중심핀 결합부

Claims (3)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내주면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턱(111a)이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상면의 일부에 개구편(121)이 압력에 의하여 함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캔 상판(120);
    상기 캔 상판의 중심부에 중심핀(13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편(121)을 가압하는 부분인 탭노즈(131)를 가지는 탭 손잡이(130); 및
    상기 중심핀(132)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턱(1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면의 일부에 개방부(143)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 개폐구(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개폐구(140)의 상면에는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편(121)의 하방에는 상기 캔 상판(120)에서 하방으로 연장하여 끝단이 절곡되는 음료 유출로(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KR2020090014985U 2009-11-19 2009-11-19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KR200454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85U KR200454700Y1 (ko) 2009-11-19 2009-11-19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85U KR200454700Y1 (ko) 2009-11-19 2009-11-19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76U true KR20110005176U (ko) 2011-05-25
KR200454700Y1 KR200454700Y1 (ko) 2011-07-25

Family

ID=4929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985U KR200454700Y1 (ko) 2009-11-19 2009-11-19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7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726A (ko) 2022-06-14 2023-12-21 엄두영 안전한 개봉이 가능한 캔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2118A2 (de) 1996-09-18 1998-03-26 Cetoni Umwelttechnologie-Entwicklungsgesellschaft Mbh Behälter, insbesondere getränkedose, sowie deckel für einen solchen behälter
AU722976B2 (en) 1997-02-17 2000-08-17 Michael N. Cagan Drinks can lid with closure cap
JP2001072113A (ja) 1999-08-25 2001-03-21 Kang San Technologies Ltd 飲料容器上に装着可能なカバーとその装着方法および装置
DE20004152U1 (de) * 2000-03-08 2001-07-19 Ackermann Bruno Dose mit Drehverschlu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700Y1 (ko) 201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5461C (zh) 饮料容器的盖体
US20050051553A1 (en) Re-closure device for pop-top can
WO2008076797A3 (en) Dual compartment container having a rotating cover
HK1090017A1 (en) Drink dispenser with dispensing line that can be hinged open
US20110036840A1 (en) Ring pull can cap
US20130292381A1 (en) Reclosable Container Lid
JP2014094044A (ja) 飲料抽出用容器
KR200454700Y1 (ko)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US8727164B1 (en) Gas release resealable tab mechanism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WO2000001587A1 (en) Reclosable closure for cans
JPH09299253A (ja) 液体容器
KR20110058992A (ko) 캔 용기의 유출구 개폐장치
KR100787298B1 (ko) 개폐식 슬라이딩 캔엔드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KR200354525Y1 (ko)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US20240034510A1 (en) Soda can with closing system
CN213293046U (zh) 一种新型带盖子的改良易拉罐
KR20110130121A (ko)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EP0093517A2 (en) Dispensing taps
KR200281841Y1 (ko) 오프너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