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525Y1 -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 Google Patents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25Y1
KR200354525Y1 KR20-2004-0009735U KR20040009735U KR200354525Y1 KR 200354525 Y1 KR200354525 Y1 KR 200354525Y1 KR 20040009735 U KR20040009735 U KR 20040009735U KR 200354525 Y1 KR200354525 Y1 KR 200354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olution
container
liqui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환
Original Assignee
배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환 filed Critical 배기환
Priority to KR20-2004-0009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나 주류 용기의 뚜껑에 액상 용액을 내장할 수 있도록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부를 성형하는 구조의 액상용액 내장용 이중뚜껑에 관한 것이다.
내장된 용액은 음료나 주류 음용시 뚜껑의 상부를 눌러 뚜껑상부로부터 액상 용액 수용부의 밑바닥을 향해 달린 침봉에 의거 용액 수용부의 밑바닥에 용액 출수구가 생기도록 하여 동 출수구로 용액이 흘러 음료(주류)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혼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상용액 내장용 이중 뚜껑은 내장된 용액을 용기내부의 음료(주류) 내용물에 최초부터 혼합하여 제품화할 경우 장기간이 경과하면 내용물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내용물(제품)의 성분 변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을 경우 내용물(제품)을 음용하기전 보관하는 기간 동안에는 액상용액과 내용물(제품)이 분리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과 음용시 뚜껑상부를 누를 경우 수용부의 출수구로 액상용액이 용기 내부로 떨어져 들어가 혼입되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제품 효능 이미지 제고의 기능이 있게 된다.
액상용액의 예를 들면 고농축 음용 액상산소. 한약제 추출농축액등을 들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용액 내장용 이중구조 병뚜껑{Two fold bottle cap for storing liquefied concentration}
본 고안은 음료(주류)용기의 뚜껑에 액상 용액을 내장할 수 있도록 수용부를 성형토록 하는 액상 용액 내장용 이중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주류) 음용시 번거러운 절차없이 간단하게 뚜껑 윗 부분을 눌러 내장된 액상용액을 음료(주류)에 혼입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음료나 주류에 다른 액상제품을 혼입하여 음용할 경우 별도의 용액병에 내장된 용액의 용기 뚜껑을 열고 동 용액을 음료(주류)병에 부어 음용하게 되므로 동 용액과 음료(주류)의 일체형 제품 판매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음료(주류)제품과 혼입할 액상 용액을 단일 용기에 일체형으로 제품 포장화 하기 위한 고안으로 음용시 간단한 조작으로 내장 용액이 음료(주류)제품속으로 혼입되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고안 병뚜껑의 전체적인 단면도
도2는 액상 용액 내장용 수용부 단면도
도3은 수용부의 덮게 및 용액 출수구를 생성하기 위한 침봉 단면도
도4는 용액 출수구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용부 밑바닥에 성형한 홈선
도3-1은 출수구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3, 도4와 다른 구조의 침봉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 음료(주류)용기
02: 내용물(제품)
21: 수용부
22: 뚜껑 돌출부
23: 수용부 밑바닥(출수구)
31: 수용부 덮개
32: 출수구 생성용 침봉
41: 출수구 홈선
본 고안은 병뚜껑 내부에 액상용액을 내장할 수 있는 수용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나사형 이중뚜껑으로 용기를 잠근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수용부에 혼입할 액상용액을 채운다음 도3의 덮개를 덥고 뚜껑의 가장자리에 뚜껑 돌출부(22)가 생기도록 벤딩과 롤링과정을 거쳐 봉합하여 이중 구조 병뚜껑을 제작하게 된다.
도3의 덮개부분(31)은 유격이 약 2-3mm정도 되도록 볼록하게 하고 재질은 탄력이 좋은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등으로 하여 눌렀을 때 도4의 침봉이 수용부 밑바닥의 출수구를 생성한 후 박판 탄력에 의거 덮개부분이 튀어 원위치로 올라오도록 하여 침봉이 출수구의 구멍을 막지 않도록 한다.
또 도4의 수용부 밑바닥(23)에 출수구 구멍이 용이하게 생성되도록 얇은 홈선이 그림(41)과 같이 나도록 한다.
뚜껑 돌출부(22)는 제품 저장이나 이동중 본의 아니게 수용부 덮개(31)부분이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1은 뚜껑의 덮개부분(31)의 재질을 비 탈력적인 재질로 제작할 경우 침봉에 그림과 같은 홈을 설치하여 수용부의 덮개 부분을 눌러 침봉이 수용부의 맡바닥에 출수구를 형성한 후 침봉이 출수구를 막은 상태에도 침봉의 홈통으로 출수구가 확보되어 액상용액이 음료 용기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액상용액 내장용 이중뚜껑은 내장된 액상용액을 용기내 음료(주류)내용물에 최초부터 혼합하여 제품화 할 경우 보관 기간이 경과되면 액상 용액과 내용물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제품의 성분 변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경우 내용물을 음용하기전 보관 기간중에는 액상 용액과 내용물을 분리 저장하되 동일 용기에 일체형으로 제품화 할 수 있는 기능과 음용시 뚜껑 상부를 누를 경우 출수구로 내장된 액상용액이 용기 내부로 떨어져 들어가 혼입되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하여 제품 효능 이미지 제고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음료(주류)등의 용기 뚜껑 수용부에 내장된 액상 용액이 음료(주류) 음용시 출수구를 통해 음료(주류)용기 내부로 흘러들어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액 내장용 이중 구조의 병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뚜껑의 상부를 누르므로서 수용부의 밑바닥을 향해 뚜껑의 덮개부분에 달린 침봉에 의거 수용부의 밑바닥에 출수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액 내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KR20-2004-0009735U 2004-04-06 2004-04-06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KR200354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735U KR200354525Y1 (ko) 2004-04-06 2004-04-06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735U KR200354525Y1 (ko) 2004-04-06 2004-04-06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25Y1 true KR200354525Y1 (ko) 2004-06-30

Family

ID=4943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735U KR200354525Y1 (ko) 2004-04-06 2004-04-06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33B1 (ko) 2019-07-29 2020-06-24 윤혜지 대상물의 개별 내장 및 추출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병 구조체
CN111731640A (zh) * 2020-06-16 2020-10-02 海宁萃智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使用干冰破膜的固液分离瓶
KR102248216B1 (ko) 2019-11-28 2021-05-03 권기한 티백의 내장 보관과 길이 가변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바틀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33B1 (ko) 2019-07-29 2020-06-24 윤혜지 대상물의 개별 내장 및 추출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병 구조체
KR102248216B1 (ko) 2019-11-28 2021-05-03 권기한 티백의 내장 보관과 길이 가변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바틀 구조체
CN111731640A (zh) * 2020-06-16 2020-10-02 海宁萃智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使用干冰破膜的固液分离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93082B2 (en) Cap structure for beverage container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WO2009129153A1 (en) Multi-compartment fluid storage device
US9714123B2 (en) Dispensing closure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KR200354525Y1 (ko) 액상용액 냉장용 이중구조 병뚜껑
CN101784461B (zh) 可自加热容器
US20100126957A1 (en) Attachable mixing device
WO2015167403A1 (en) A hand mixer for preparing drinks, particularly cocktails and slammers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20080000223U (ko) 티 캡
CN205441338U (zh) 一种即时混合饮品包装结构
KR101104633B1 (ko) 음료용기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454700Y1 (ko)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RU57248U1 (ru) Банка для напитка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KR200170710Y1 (ko) 여러가지의 음료원액이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KR20110058992A (ko) 캔 용기의 유출구 개폐장치
RU2543414C1 (ru) Емкость для мультикомпонентных напитков
AU2006213131A1 (en)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