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896A -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에너지를 방산하기 위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에너지를 방산하기 위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896A
KR20110004896A KR1020107027209A KR20107027209A KR20110004896A KR 20110004896 A KR20110004896 A KR 20110004896A KR 1020107027209 A KR1020107027209 A KR 1020107027209A KR 20107027209 A KR20107027209 A KR 20107027209A KR 20110004896 A KR20110004896 A KR 20110004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rail
guardrail beam
termination
vehicle
flat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크람 와이. 아부오데
딘 씨. 알버슨
로져 피. 블라이
디. 랜스 제이알. 불러드
유진 씨. 부스
Original Assignee
더 텍사스 에이 & 엠 유니버시티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115,194 external-priority patent/US7883075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115,213 external-priority patent/US7694941B2/en
Application filed by 더 텍사스 에이 & 엠 유니버시티 시스템 filed Critical 더 텍사스 에이 & 엠 유니버시티 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1000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단부 처리시설는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갖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포함한다.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제1 수직 높이로부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제2 수직 높이로 경사진다. 플랫트닝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채널의 수직 치수는 플랫트닝부의 상류 단부에서보다 플랫트닝부의 하류 단부에서 크다. 충격 플레이트는 상기 가드레일 비임의 단부에 충돌하는 차량을 맞물리도록 플랫트닝부에 연결된다. 단부 충돌하는 동안, 충격 플레이트와 플랫트닝부는 차량에 의해 하류 방향으로 가드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된다. 충격 플레이트와 플랫트닝부의 진행은 에너지를 방산하여 차량을 감속시킨다. 가드레일 비임의 하류부가 플랫트닝부로 가압될 때, 가드레일은 수직으로 플랫트닝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종단부는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갖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포함한다.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높이로부터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높이로 경사진다. 지지 포스트는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커플링된다. 종단 지지 포스트는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종단 지지 포스트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장력 상태로 유지하는 내장력 커플링에 의해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 커플링한다. 내장력 커플링은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상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 유지된다. 그러나,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의 내장력 커플링은 역방향 충돌 시에는 해제된다.

Description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에너지를 방산하기 위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본 발명은 대체로 W 비임 가드레일의 단부에 대한 안전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로 W 비임 가드레일의 단부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 에너지를 방산하기 위한 장력 가드레일 종단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고속도로로부터 이탈할 경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대부분의 고속도로에 존재한다. 고속도로를 이탈하는 차량으로 인한 사고의 심각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드레일이 제공된다. 가드레일은 비임 요소가 재방향성 유형의 충돌을 돕도록 장력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가드레일은 교통 흐름에 대향하는 가드레일의 종단부가 위험을 야기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초기의 가드레일은 단부에 적절한 종단부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충돌하는 차량이 가드레일에 의해 관통되어 차량을 급격하게 감속시켜 탑승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가드레일이 차량의 탑승 객실을 직접 관통하여 탑승자에게 치명상을 야기하였다.
적절한 가드레일 종단부의 문제를 인식함에 따라, 가드레일의 단부를 지면으로 테이퍼링된 박스 비임 및 W 비임을 사용하는 가드레일 설계가 개발되었다. 이런 설계는 관통 효과(spearing effect)를 제거한다. 이런 단부 처리시설이 정면 충돌 시에 차량에 대한 관통의 위험성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지만, 이런 단부 처리시설은 램프형 방식으로 작동함에 따라 차량의 런칭(launching)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차량 전복의 가능성과 더불어 상당한 거리까지 공중으로 뜨는 현상(airborne)을 초래한다.
더 양호한 단부 처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에 대한 향상된 에너지 흡수시설 및 처리시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압출기 종단이 개발되었고, 가드레일을 플랫 플레이트로 압착하여 충돌하는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호를 중심으로 가드레일을 굴곡시키는 밴딩 구조부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예시의 압출기 종단 제품은 트리니티 하이웨이 프로덕트(Trinity Highway Products)에 의해 공급되는 ET-PLUSTM 및 ET 2000TM을 포함한다. 다른 압출기 종단 제품은 로드 시스템, 인크.(Road Systems, Inc.)에 의해 공급되는 FLEAT 350TM 및 SKT 350TM을 포함한다.
이들 모든 에너지 흡수 시스템은 제1 w 비임 가드레일 세그먼트를 시스템의 제1 포스트에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을 이용한다. 케이블은 가드레일의 필요 길이부(length-of-need)를 따라 재배향성 충돌을 위해 가드레일 비임 요소에 장력(tension)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개의 케이블 해제 포스트가 이들 종단에 사용되도록 개발되었다. 케이블 해제 포스트는 케이블 앵커(cable anchor)를 해제하여, 포스트가 전방향(단부 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때 시스템의 장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시스템은 단부 유형의 충돌 또는 역방향 유형의 충돌 중에 장력을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 가드레일에 대해 신규하고 향상된 단부 처리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단부 처리시설은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갖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포함한다.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제1 수직 높이로부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제2 수직 높이로 경사를 이룬다. 플랫트닝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채널의 수직 치수는 플랫트닝부의 상류 단부에서보다 플랫트닝부의 하류 단부에서 크다. 충격 플레이트는 상기 가드레일 비임의 단부에서 충돌하는 차량에 맞물리는 플랫트닝부에 연결된다. 단부 충돌 중에, 충격 플레이트와 플랫트닝부는 차량에 의해 하류 방향으로 가드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된다. 충격 플레이트와 플랫트닝부의 진행은 에너지를 방산하여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킨다. 가드레일 비임의 하류부가 플랫트닝부로 가압되면, 가드레일은 수직으로 플랫트닝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기술적 장점은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압축을 통해 충격 에너지를 방산하는 가드레일 단부 처리시설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장점은 가드레일 단부 처리시설이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단부 처리시설이 가드레일을 비교적 평평한 플레이트로 압착하는 플랫트닝 구조를 통해 W 비임 가드레일 요소를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드레일 단부 처리시설은 가드레일의 일부를 플랫트닝시킴으로써 가드레일의 단부와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 에너지를 방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단부가 플랫트닝 구조를 통해 연장되고 지면으로 테이퍼링(tapering)된 것일 수 있다. W 비임 가드레일 요소는 장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종단 지지 포스트에 대해 가드레일 비임의 장력 커플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후에 가드레일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양 충돌 유형에서 장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장점은 시스템이 종단부 근처에서 역방향으로 충돌되면 장력이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역방향 충돌에 따른 가드레일 요소의 장력 해제는 차량의 불안정성 및 급격한 감속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종단부는 하류 단부 및 상류 단부를 갖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포함한다.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높이로부터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높이로 경사를 이룬다. 지지 포스트는 서로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커플링된다. 종단 지지 포스트는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종단 지지 포스트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서 장력을 유지하는 내장력 커플링(resistive tensile coupling)에 의해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 커플링된다. 내장력 커플링은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 유지된다. 그러나,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의 내장력 커플링은 역방향 충돌 중에 해제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기술적 장점은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압축을 통해 충격 에너지를 방산하는 가드레일의 단부 처리시설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장점은 가드레일의 단부 처리시설이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장점은 가드레일을 상대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로 압착하는 플랫트닝 구조를 통해 단부 처리시설이 W 비임 가드레일 요소를 가압한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드레일의 단부 처리시설은 가드레일의 일부를 플랫트닝시킴으로써 가드레일의 단부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 에너지를 방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단부가 플랫트닝 구조를 통해 연장되고 지면으로 테이퍼링된 것일 수 있다. W 비임 가드레일 요소는 장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종단 지지 포스트에 대해 가드레일 비임의 장력 커플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후에 가드레일 비임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양 충돌 유형에서 장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장점은 시스템이 종단부 근처에서 역방향으로 충돌되면 장력이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역방향 충돌에 따른 가드레일 요소의 장력 해제는 차량의 불안정성 및 급격한 감속을 방지한다.
다른 기술적 장점들은 이하의 도면,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특정 장점들이 전술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술된 장점 모두를, 또는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술된 장점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시스템의 종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시스템의 종단부의 단부 처리시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을 포함하는 변형된 가드레일 비임의 측면도 및 프로파일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용으로 적절한 예시적인 약화형 지지 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용으로 적절한 다른 예시적인 약화형 지지 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용으로 적절한 예시적인 변경되지 않은 지지 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종단 지지 포스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비임을 종단 지지 포스트에 연결하기 위한 내장력 연결부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비임을 종단 지지 포스트에 연결하기 위한 예시적인 내장력 연결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스트러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는, 가드레일 비임을 종단 지지 포스트에 연결하기 위한 내장력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가드레일 단부 처리시설(guardrail end treatment)은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일부 충돌 요구조건에 불안전하고, 설치를 위한 세부조건이 까다로우며, 및/또는 비용이 고가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하 설명되는 단부 처리시설은 광범위한 충돌 요구조건에 걸쳐 높은 수준의 성능을 제공하고 단부 처리시설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며 가드레일 종단부 사고와 관련한 부상 및 사망의 수를 감소시키는 W 비임 가드레일의 단부에 대한 안전한 단부 처리시설이다. 설명된 시스템은 단부(end-on) 및 재방향성 유형의 충돌 중에 가드레일 비임 요소에 장력(tension)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시스템이 종단부 근처에서 역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정착 시스템(anchorage system)은 차량이 불안정해지거나 급격하게 감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가드레일 시스템(100)은, 다양한 장애물과 위험요소로부터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고, 교통사고 또는 다른 위험한 상황에서 차량이 차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시스템은 고속도로, 차도, 또는 차량 통행이 가능한 임의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갓길에 사용될 수 있다.
가드레일 시스템(100)은 가드레일 비임(102)과, 차도를 따라 제 위치에서 가드레일 비임(102)을 고정하는 지지 포스트(104)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드레일 비임(102)은 대략 12.5 피트 내지 25 피트(3.8 미터 또는 7.6 미터)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12 게이지 W 비임 레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레일 비임 섹션은 대략 27 내지 31 인치 (68.6 내지 78.7 센티미터)의 높이에서 지지 포스트(104)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레일 스플라이스(rail splice)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특히, 가드레일 비임(102)과 가드레일 비임(102)의 종단부가 도 4a 및 도 4b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이하 설명될 것이다.
가드레일 비임(102)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지지 포스트(104)에 부착되며, 상기 커넥터는 특정 실시예에서 예컨대 16 ㎜(5/8 인치)의 직경과 38 ㎜(1 ½ 인치)의 길이를 갖는 플랫 슬롯 머신 스크루(flat slot machine screw)와 같은 슬롯형 접시 볼트(slotted countersunk bolt)를 포함할 수 있다. 대형 가드레일 너트가 지지 포스트(104)의 후면에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04)는 지면, 콘크리트 기반, 또는 금속 소켓에 매설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04)는 나무, 금속, 플라스틱, 복합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지지 포스트(104) 각각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동일한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지지 포스트(104)의 단면은 가드레일 비임(102)을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기에 적절한 공학적 형상일 수 있다. 이런 단면 형상은 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평행사면형, 중실, 중공, 밀폐형, 또는 개방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가드레일 시스템(100)은 충돌 사고 또는 다른 위험한 상황에서 정도를 벗어난 차량이 차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가드레일(100)은 차도와 차량에 상당히 위험한 요소(예를 들면, 다른 차도, 교량, 절벽 등)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가드레일 시스템(100)은 차도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강한 충격에 반드시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런 강도는 가드레일 시스템(100)이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이 대체로 차도의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도록 차량을 재배향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드레일 시스템이 차도와 그 주변 영역에 추가적 위험을 실제로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시험과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차량이 차도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가드레일 시스템의 종단 섹션에 인접한 가드레일 시스템에 충돌하는 경우에 특히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드레일 시스템이 충돌 사고 시에 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면, 정도를 벗어난 차량과,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심각한 부상과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이런 방법은 정면 충돌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충돌 사고 시에 차량이 공중으로 뜨는 현상을 야기하는 램프 효과(ramp-like effect)를 형성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테이퍼링된 종단부의 사용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다른 방법은 미국특허 제6,398,192호(이하,"'192특허")에 공지된 브레이크어웨이 지지 포스트, 브레이크웨이 케이블 종단(breakaway cable terminal: BCT), 차량 흡수 종단부(vehicle attenuating terminal: VAT), SENTRE 단부 처리시설(end treatment), 브레이크어웨이 종단부(breakaway end terminal; BET)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이런 종단부, 지지부, 단부 처리시설 등은 여러 회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예로서는 엑소다인 테크놀로지(Exodyne Technologies)와 트리니티 인더스트리(Trinity Industries)의 HBA 포스트와, '192특허에 설명된 브레이크어웨이 지지부 포스트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브레이크어웨이 지지부 포스트를 포함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드레일 시스템(100)은 1개의 종단 포스트(106)와 7개의 지지 포스트(104)를 포함한다. 집합적으로, 이 구조는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종단 섹션(108)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섹션(108)은 종래의 가드레일 조립체(100)에 대한 종단부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된다.
도 1에 치수가 기재된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치수는 차단될 길가의 위험요소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종단 섹션(108)은 대략 35 피트(10.7 미터)의 길이를 가진다. 그러나, 종단 섹션(108)의 치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필요 길이부(length-of-need portion)의 길이는 차도의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임의 적절한 길이일 수 있다.
종단 섹션(108)은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에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일 단부에서 종단 섹션(108)은 플레어될 수 있는 반면에, 시스템의 타 단부에서 종단 섹션(108)은 플레어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류 종단 섹션(108)은 플레어된 반면에, 하류 종단 섹션(108)은 플레어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상류 종단 섹션(108)은 대체로 선형 방식으로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반면에, 하류 종단 섹션(108)은 차도에 대체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종단 섹션(108)은 유사한 방식으로 플레어되거나 플레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조가 종단 섹션(108)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또는 양 종단 섹션(108)이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포물선형 플레어로 설치될 수 있다. 포물선형 플레어는 종단부가 상류로 진행하면서 대체로 포물선 진행으로 각각의 지지 포스트의 오프셋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통합 시에,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거나 플레어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종단 섹션(108)을 위치시키는 것은, 종단 섹션(108)이 차량의 진행 시에 차도에 대향하는 레일의 측면에 대한 충돌하는 차량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게이팅 기능(gating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종단 섹션(108)이 선형으로 플레어된 특정 실시예에서, 종단 섹션(108)은 가드레일의 비종단부(non-terminal portion)로부터 대략 6 내지 7도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으로 플레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종단 섹션(108)의 지지 포스트(104)가 대략 75 인치(191 센티미터)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면, 종단 섹션(108)의 거의 모든 하류 포스트(104)는 가드레일의 비종단부에 대해 법선을 이루는 선으로부터 대략 9 인치(22.86 센티미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다음에 위치한 4개의 연속 지지 포스트(104)는 종단 섹션(108)의 상류 단부 쪽으로 이동하면서 가드레일의 비종단부에 대해 법선을 이루는 선으로부터 19, 29.25, 39 및 48 인치 (48.26, 74.3, 99.1 및 121.92 센티미터) 오프셋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가드레일 비임(102)의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는 종단 포스트(106)는 가드레일의 비종단부에 대해 법선을 이루는 선으로부터 대략 47 인치(119.38 센티미터) 오프셋될 수 있다.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섹션(108)은 단부 처리시설(110)을 포함한다. 단부 처리시설(110)은 플랫트닝 슈트(flattening chute; 112)와,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front striking plate; 114)를 포함한다. 특히, 단부 처리시설(110)과 플랫트닝 슈트(112)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제1 포스트(104)에 장착된다. 단부 처리시설(110)의 목적은 차량이 전복되거나 가드레일(102)이 차량 또는 차량 내부의 탑승자를 관통하는 경우와 같은 위험한 상황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충격 에너지를 방산하는 것이다.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플랫트닝 슈트(112)의 하류 단부에서 입구(116)로 제공된다.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플랫트닝 슈트(112) 내에 배치되고 플랫트닝 슈트(112)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플랫트닝 슈트(112)의 상류 단부에서 출구(118)로 빠져나간다. 도 3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랫트닝 슈트(112)의 치수는 지면에 대해 테이퍼링된 가드레일 비임(102)의 종단부에서 종료된다. 출구(118)로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일 부분은,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종단부가 4개의 평판 플레이트 적층체와 유사하도록 수직으로 플랫트닝된다.
종단 포스트(106)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종단부를 지면에 고정하고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를 장력 상태로 배치한다. 도 8a 및 도 8b와, 도 10a 및 도 10b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종단 포스트(106)에 대한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커플링은, 차도를 이탈한 차량에 의해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end-on and re-directive impact) 후에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가 종단 포스트(106)에 장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장력 커플링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는 시스템이 종단부 근처에서 역방향으로 충돌되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에 작용하는 장력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역방향 충격에 대한 가드레일 요소의 장력 해제는 차량의 불안정 및 급격한 감속을 방지한다.
도 3은 보다 구체적인 단부 처리시설(1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 처리시설(110)은 플랫트닝 슈트(112)와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플랫트닝 슈트(112)와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는 압출기(extruder; 120)에 커플링된다. 압출기(120)는 가드레일 비임 부재(102)의 상류부를 둘러싸고, 상부 U 형상 채널 부재(122)와 하부 U형상 채널 부재(124)로 제조되며, 상부 U형상 채널 부재와 하부 U형상 채널 부재는 상호 이격되어 스트랩 플레이트(126)에 의해 고정된다.
채널 부재(122)와 채널 부재(124) 사이의 수직 간격은 가드레일 비임(102)이 압출기(120)에 형성된 채널로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간격이다. 예를 들면, 가드레일 비임(102)이 대략 12.25 인치(31.11 센티미터)의 수직 치수를 갖는 12 게이지 W 비임 레일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특정 실시예에서 채널 부재(122)의 상부와 채널 부재(124)의 하부 사이의 간격은 대략 14 인치(35.56 센티미터)일 수 있다.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는 용접에 의해 단부 처리시설(110)의 압출기(120)에 고정된다.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는 특정 실시예에서 수직으로 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는 압출기(120)의 위아래로 연장되어,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가 정면 충돌 시에 트럭, SUV 및 다른 높이가 높은 차량의 높게 설치된 범퍼와, 소형 차량의 낮게 설치된 범퍼에 의해 용이하게 맞물리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는 단부 처리시설(110)의 상류 단부가 측면에서 차량에 의해 충돌 시에 차량의 관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량 프레임 또는 로커 패널을 맞물리도록 위치 설정된다.
압출기(120)에 장착되는 플랫트닝부(112)는 특정 실시예에서 4개의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금속 플레이트는 절단되거나 및/또는 절곡된 다음, 함께 용접되어 소정의 구성을 형성한다. 다르게는, 플랫트닝부(112)는 소정의 구성으로 절단되고 절곡된 4개 초과의 금속 또는 단일 편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랫트닝부(112)이 조립될 때, 플랫트닝부(112)는 가드레일 비임(102)의 종단부를 수납하는 밀폐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랫트닝부(112)는 3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플랫트닝부(112)의 최하류부는 목부(128)를 포함한다. 목부(128)의 수직 치수는 하류 단부에서 크고 단부 처리시설(110)의 상류 단부에 도달할수록 감소한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에서, 목부(128)의 수직 치수는 하류 단부에서 대략 14 인치(35.6 센티미터)의 폭을 가지고 상류 단부에서 대략 4.5 인치(11.4 센티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목부(128)의 수평 길이는 대략 11 내지 13 인치(27.9 내지 33.0 센티미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하측 에지(132)의 경사도는 상측 에지(130)의 경사보다 클 수 있다. 하측 에지(132)의 증가된 경사도는 충돌 시에 가드레일 비임(102)의 플랫트닝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에서, 상측 에지(130)는 수평을 기준으로 대략 11도의 각도로 상향 경사질 수 있고, 하측 에지(132)는 수평을 기준으로 대략 13도의 각도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에지(130)와 하측 에지(132)의 경사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상측 에지(130)와 하측 에지(132)는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에지(130)와 하측 에지(132) 중 하나는 수평하게(차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고, 상측 에지(130)와 하측 에지(132) 중 다른 하나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각각 경사질 수 있다.
중간부(134)는 목부(128)의 상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을 향해 경사진다. 구체적으로, 중간부(134)는 충돌하는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지면 상의 높이[특정 실시예에서, 31 인치(78.7 센티미터)]로부터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높이로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를 이행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중간부(134)는 하류 단부에서 목부(128)와 관련한 수직 높이로부터 상류 단부에서 대략 지면에 해당하는 높이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중간부(134)의 수평 길이는 대략 18.75 인치(47.63 센티미터)이고, 중간부(134)는 수평을 기준으로 대략 38도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중간부(134)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종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중간부(134)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는 대략 4.5 인치[11.4 센티미터; 상류 단부에서 목부(128)의 폭과 유사함]일 수 있다. 중간부(134) 내의 채널의 치수는 하류 단부에서 중간부(134)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가 상류 단부에서 중간부(134)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와 대체로 동일하도록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플랫트닝부(112)의 제3 부분은 출구부(136)를 포함한다. 출구부(136)는 중간부(134)의 상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출구부(136)는 지면의 표면에 가깝게 배치되고 지면의 표면에 사실상 정렬된다. 또한, 출구부(136)는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을 통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종단부가 플랫트닝 슈트(112)로 빠져나간다. 특정 실시예에서, 출구부(136)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는 대략 4.5 인치[11.4 센티미터; 중간부(134)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와 유사함]일 수 있다. 출구부(136) 내의 채널의 치수는, 출구부(136)의 하류 단부에서 채널의 수직 치수가 출구부(136)의 상류 단부에서 채널의 수직 치수와 대체로 동일하도록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출구부(136)의 수평 길이는 대략 5 내지 7 인치(12.7 내지 17.8 센티미터)일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가드레일 비임 부재(102)는 플랫트닝부(112)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플랫트닝부(112)의 길이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가드레일 비임 부재는 플랫트닝 슈트(112)의 하류 단부에서 입구(116)로 제공된다.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플랫트닝 슈트(112)의 길이를 가로지르며 플랫트닝 슈트(112)의 상류 단부에서 출구(118)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종단부는 플랫트닝 구조를 통해 연장된다. 상류 방향에서 지면으로 향하는 중간부(134)의 경사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가 플랫트닝부(112)의 길이에 걸쳐 지면을 향해 서서히 이행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출구(118)를 빠져나간 후에,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지면에서 종단 포스트(106)에 고정된다.
전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114)와 차량의 단부 충돌 또는 비스듬한 단부 충돌 중에, 단부 처리시설(110)은 하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하류부는 변위된 단부 처리시설(110)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런 충돌 중에, 압출기(120)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를 플랫트닝부(112) 내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압출기(120)는 가이드(138)를 포함하고, 가이드는 충돌 중에 압출기(120)가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때 압출기(120)의 단부에 의한 W 비임 가드레일 요소(102)의 깎임(shaving)을 방지한다. 가이드(138)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플랫트닝부(112) 내로의 적절한 제공을 보장하기 위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에 임의의 요철부(irregularity) 또는 범프를 수용한다.
단부 처리시설(110)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를 따라 이동하고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하류부가 플랫트닝부(112)로 가압되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수직으로 플랫트닝된다. 플랫트닝부(112)의 출구(118)를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부분은 4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플랫트닝된다. 예를 들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수직 치수는 대략 12.25 인치(31.12 센티미터)이고, 플랫트닝부(112)의 목부(134)는 대략 4.5 인치(11.43 센티미터)이며,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플랫트닝부의 수직 치수는 대략 4.5 인치(11.43 센티미터)보다 작을 수 있다. 이 플랫트닝 과정이 발생하면, 상당한 에너지가 방산되어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킨다.
종단 지지 포스트(106)에 대한 커플링을 위해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초기 플랫트닝을 돕도록,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종단부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 슬롯형 영역(202)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슬롯형 영역(202)은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슬롯을 포함한다. 3개 슬롯의 사용이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구성된 가드레일의 시험 평가에서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슬롯형 영역(202)은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종단부(203)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거리만큼 하류로 연장될 수 있다. 슬롯형 영역(202)의 수평 길이는 단부 처리시설(110)의 수평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슬롯형 영역(202)이 종단 포스트(106)에 커플링되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부분과 플랫트닝부(112)를 통해 가로지르는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롯형 영역(202)은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상류 종단부로부터 제1 지지 포스트와 제2 지지 포스트(104) 사이의 임의의 거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종단 섹션(108)의 치수가 도 1에 도시된 치수와 유사한 경우, 슬롯형 영역(202)은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종단부로부터 대략 80 내지 85 인치(2.03 내지 2.16 미터)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형 영역(202)에서 슬롯의 위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W 비임 가드레일(200)에 대한 단면을 참조하여 보다 이해될 수 있다. 골부(valley; 204)는 상측 마루부와 하측 마루부(206) 사이에 위치되고 경사진 웨브부(web portion; 208)의 교차점에서 형성된다. 에지 부재(210)는 각각의 마루부(206)로부터 측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슬롯의 위치는 각각의 마루부(206)와 골부(204)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a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슬롯(212)은 제1 및 제2 마루부(206)에 각각 배치된다. 제3 슬롯(214)은 골부(204)에 위치된다.
슬롯(212, 214)은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종단부가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루부(206) 및 골부(204) 각각의 전체 수직 치수는 제거될 수 있다. 슬롯(212)의 효과적인 크기는 수직으로 측정했을 때 대략 0.5 인치(1.27 센티미터)로 알려져 있다. 슬롯(214)의 효과적인 크기는 수직으로 측정했을 때 대략 0.75 인치(1.91 센티미터)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슬롯(212)은 대략 0.5 인치(1.27 센티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고 대략 81 내지 82 인치(2.05 내지 2.08 미터)로 연장될 수 있다. 슬롯(214)은 대략 0.75 인치(1.91 센티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고 대략 81 내지 82 인치(2.05 내지 2.08 미터)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한 치수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한다. 가드레일 비임(200)이 가드레일 비임 요소(200)의 종단부 전체에 걸쳐 수직으로 적층된 4개의 플레이트로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의의 치수를 갖는 슬롯(212, 214)이 사용될 수 있다.
가드레일 비임(102)이 W 비임 레일 요소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가드레일 비임(102)은 가드레일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단지 예시적인 비임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가드레일 비임(102) 또는 가드레일 비임(102)의 일부는 종래의 W 비임 가드레일, 세 개의 비임 가드레일, 박스 비임, 와이어 로프 또는 충돌 시에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다른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드레일 시스템(100) 내의 전술된 임의 요소의 구조 및 치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충돌하는 차량과 단부 처리시설(110)은 단부 처리시설(110)과 차량의 초기 단부 충돌과 단부 처리시설(110)의 하류 방향으로의 변위의 개시를 따르면서 하나 이상의 지지 포스트(104)와 맞물릴 수 수 있다. 지지 포스트(104)가 지면에서 변형되는 항복 강철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충격이 가해진 지지 포스트(104)는 이들이 충격을 받아 지면을 향해 절곡될 때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포스트가 충돌하는 차량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충돌 시에 충격이 가해진 지지 포스트(104)는 변위될 수 있다. 충격이 가해진 지지 포스트(104)로부터 가드레임 비임(102)이 해제될 수 있지만, 충격부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의 부분은 지면의 표면에 대해 대체로 그들의 원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시에 가드레일 비임(102)이 종단 포스트(106)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드레일 비임(102)은 장력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의 허용 가능한 성능 범위를 확장한다.
또한, 가드레일 비임(102)의 장력은 가드레일 시스템(100)이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필요 길이부에서 재방향성 충돌을 받을 때 이런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하류 방향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충돌하는 차량이 차도를 이탈하여 가드레일 시스템(100)과 충돌할 때, 차량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임의의 지지 포스트(104)는 이들이 충돌될 때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를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변형된 지지 포스트(104)는 지지 포스트(104)가 변위되어 충돌하는 차량에 대해 위험을 야기하지 않도록 지면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가드레일 비임(102)의 장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는 하나 이상의 지지 포스트가 가드레일 비임 요소(102)로부터 해제되더라도 차도를 향해 차량을 재배향하도록 기능을 지속한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가드레일 시스템(1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지지 포스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의 종단 섹션(108)에서 [종단 지지 포스트(106) 다음의] 제1 지지 포스트(500)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약화형 지지 포스트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종단 섹션(108)과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의 다른 부분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예시적인 약화형 지지 포스트(600)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의 일부분에 사용될 수 있는 표준 선형 포스트(700)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가 3개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지만, 3개의 실시예에 공통인 부품을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500, 600, 700)는 기다란 연속성 구조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은 표준 와이드 플랜지 구조이다. 각각의 지지 포스트는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고 상호 이격된 2개의 플랜지(502)를 포함한다. 웨브(504)는 플랜지(502)들 사이에 커플링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502)는 대체로 동일한 구조의 볼트구멍(506)과 절결부(508)를 내부에 포함한다.
가드레일 포스트로서 이용되는 와이드 플랜지 형상과 관련하여, 단면은 통상적으로 "H"와 같은 형상이다. 단면은 굴곡(bending)을 위한 2개의 주축(major axis)을 가진다. "약한(weak)" 축은 대체로 웨브를 통해 연장되며 플랜지에 직교하는 중심축으로 언급된다. "강한(strong)" 축은 대체로 웨브에 직교하며 플랜지의 평면에 대해 평행한 중심축으로 언급된다. 종래의 가드레일 설치인 경우에 약한 축은 도로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강한 축은 도로를 따라 대체로 연장된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드 플랜지는 가드레일 설치를 위한 지지 포스트 조립에 통상 사용되는 표준 W 6×8.5이다. 표준 W 6×8.5 와이드 플랜지는 공칭 6 인치(15.24 센티미터)의 깊이와 피트당 8.5 파운드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일 장점은 장비에 대한 실질적 변경 없이, 지지 포스트(500)를 조립, 변경 및 설치하는 기존의 표준 장비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와이드 플랜지 비임이 다른 많은 사이즈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6인치(15.24 센티미터)의 깊이와 피트당 9 파운드의 중량을 갖는 와이드 플랜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와이드 플랜지는 W 6×9 와이드 플랜지로서 언급된다. 그러나, W 6×9 와이드 플랜지와 W 6×8.5 와이드 플랜지는 이 분야에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W 6×9 와이드 플랜지"와 "W 6×8.5 와이드 플랜지"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W 6×9"으로서 언급될 수 있는 가드레일 포스트의 모든 사이즈 및 구조를 언급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와이드 플랜지에 대해 사용되는 다른 명칭이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I-비임", "H-비임", "W-비임", "S-비임", "M-비임"을 포함하며, 또한 용어 "형상"이 "비임"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지지 포스트(500, 600, 700)는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72 인치 내지 73 ⅜ 인치(182.88 센티미터 내지 186.37 센티미터)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510)와 하부(512)를 포함한다. 중간부(514)는 상부(510)를 하부(512)에 커플링한다. 상부(510)는 지지 포스트에 따라 가드레일 비임[예컨대, 가드레일 비임(102)]의 설치를 위한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2개의 볼트구멍(506)을 포함한다. 하부(512)는 가드레일 지지 시스템의 일부로서 지면 아래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볼트구멍(506)은 각각의 지지 포스트에 따라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가드레일 비임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 표준 구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볼트구멍(506)은 가드레일 비임의 중심에 정렬되며 가드레일 비임의 중심을 지면으로부터 대략 30 인치(76.2 센티미터) 위에 유지한다. 그러나, 볼트구멍(506)의 개수, 크기, 위치 및 구조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상당히 변경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500, 600)는 상대적으로 "약한" 축(W)과 상대적으로 "강한" 축(S)을 포함하도록 각각 변형된다. 지지 포스트(500, 600)는 약한 축(W)이 교통 흐름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고 강한 축(S)이 교통 흐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도록 차도를 따라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 포스트(500, 600)는 통상적으로 강한 축(S)을 중심으로 큰 파손(failure) 없이 상당한 충격(예컨대,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격)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포스트(500, 600)는 충격에 대해 반응하여 파손이 약한 축(W)을 중심으로 보다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다. 다르게는, 지지 포스트(500, 600)는 측방향으로 적절한 강도를 제공하고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약한 강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이 단부 처리시설(110)의 "단부(end-on)"와 충돌하면, 지지 포스트(500, 600)는 파손되어[예컨대, 찌그러져서(buckle)], 차량이 연속하는 지지 포스트와 충돌할 때 차량의 감속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차량이 가드레일 비임(102)의 면을 따라 그리고 가드레일 비임에 대해 각을 이루며 가드레일 시스템(100)과 부딪히면, 지지 포스트(500, 600)는 가드레일 비임(102)에 대체로 평행한 경로를 따라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충분한 저항(강도)을 제공할 것이다.
지지 포스트(500, 600)의 중간부(514)는 2개의 절결부(508)를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방향을 따라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약한 축(W)에 대해 지지 포스트를 추가 약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절결부(508)는 (설치 시에) 인접한 높이에서 약한 축(W)에 대해 지지 포스트를 약화시키도록 중간부(514) 내에 위치된다. 이는 대략 같은 높이에서 지지 포스트의 파손을 수용하여, 지지 포스트(500, 600)가 파손 지점으로부터 "절첩(fold)"되는 것을 허용한다. 하부(512)는 지면 아래에 있기 때문에, 지면 또는 지지 포스트의 하부(512)가 충돌하는 중에 현저하게 편향될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절결부(508)가 지면에 대해 대략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의도되고 볼트구멍(506)의 중심이 지면보다 30 인치(76.2 센티미터) 위쪽에 위치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특정 실시예에서, 볼트구멍(506)은 절결부(508)로부터 30 인치(76.2 센티미터) 위쪽에 위치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볼트구멍과 절결부의 크기, 구조, 위치 및 개구와, 이들의 상호 관계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상당히 변형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지지 포스트의 전체 길이와, 이들 각각의 상부, 하부 및 중간부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상당히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절결부(508)는 지면 아래에 또는 지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지면 아래로의 절결부(508)의 깊이는 절결부(508)의 위치에 또는 근처에서 지지 포스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깊이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지면 아래의 일부 깊이에서, 주변 흙 (또는 다른) 물질은 이런 파손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지지 포스트의 하부(512)를 강화할 것이다.
지면 위쪽에서 절결부(508)의 높이는, 지지 포스트가 절결부(508)에서 파손되는 지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차량을 관통(snag)할 수 있는 "스터브(stub)"를 지면 위에 남겨두지 않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부상 및/또는 치명상을 야기한다. 이런 스터브는 지지 포스트가 작동하는 가드레일 시스템의 재방향성 효과에 유해할 수 있다.
절결부(508)의 수직 치수는 절결부(508)의 수평 치수에 기초하여 한정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특정 절결부의 수직 치수의 비율은 수평 치수와 동일하거나 3배 이하일 수 있다. 다르게는, 비율은 수평 치수의 2배로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결부(508)가 지지 포스트에서 대체로 원형 개구이기 때문에 비율은 1:1이다. 절결부의 수평 치수가 작을수록, 설계자는 지지 포스트(500, 600)의 수평 길이를 따라 파손 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요구할 수 있다.
절결부(508)의 다양한 구조가 본 발명의 개시에 따라 지지 포스트(500, 600)의 설계자에게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형 개구 이외에, 절결부(508)는 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사실상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런 구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502) 내에서 절결부(508)의 수평 배향이 본 발명의 개시 내에서 상당히 변경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c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결부(508)의 중심선은 플랜지(508)의 중심선으로부터 대략 1 인치(2.54 센티미터)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절결부(508)는 이런 에지에 인접하여 또는 이런 에지로부터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결부(508)는 절결부가 플랜지의 에지 전체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재료의 파괴는 에지에서 시작한다. 이런 방식으로, 통상의 천공이 플랜지의 에지에 연장되는 반원형 개구를 형성하도록 에지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절결부(508)를 형성하기 위해 쏘우커트(sawcut)가 플랜지의 외부 에지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 쏘우커트는 지지 포스트의 약한 축을 따라 파손될 듯한 지점의 개시점을 형성한다. 쏘우커트 외에, 유사한 구조가 플랜지를 통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긴 치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슬롯은 플랜지의 에지에서 시작 또는 종료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플랜지의 재료 내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a 내지 도 5c는 가드레일 시스템(100)에서 [종단 지지 포스트(106) 다음에] 제1 지지 포스트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지 포스트(50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단부 처리시설(110)과 같은 단부 처리시설은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에 합체되고, 지지 포스트(500)는 단부 처리시설(110)을 지지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포스트(500)는 단부 처리시설(110)을 지지 포스트(500)에 커플링하기 위해 추가의 볼트구멍(520, 522)을 포함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볼트구멍(520, 522)은 볼트구멍(506) 및 절결부(508)보다 약간 작다. 그러나, 제공된 볼트구멍(520, 522)의 치수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단부 처리시설(110)을 지지 포스트(500)에 커플링하기 위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500)와 대조적으로, 지지 포스트(600, 700)는 추가의 볼트구멍(520, 522)을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단부 처리시설(110)을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가드레일 시스템(100)의 부분에 보다 적절히 사용된다.
W 6×8.5 와이드 플랜지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임의 크기의 가드레일 지지 포스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약화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지지 포스트의 크기, 중량 및 구조는, 충돌하는 차량의 방향을 재배향하기 위해 강한 축을 따라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약한 축을 따라 항복(yielding)을 허용하도록 절결부의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몇 개의 인자일 뿐이다. 또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100)에서 지지 포스트의 적어도 일부는 도 5a 내지 도 5c의 지지 포스트(500, 600)와 같은 약화형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지지 포스트는 종래의, 변경되지 않은 지지 포스트, 또는 가드레일 비임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다른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이런 변경되지 않은 지지 포스트를 도시한다. 지지 포스트(700)는 절결부(508)를 포함하지 않고 변경되지 않은 W 6×8.5 포스트와 같은 표준 라인 포스트, 또는 적절한 크기, 중량 및 구조를 갖는 임의의 다른 지지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포스트의 일부는 차량 충돌 시에 가드레일 비임 요소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종단 지지 포스트는 단부 충돌 또는 재방향성 충돌 후에도 가드레일 비임에 커플링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가드레일 시스템(1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종단 지지 포스트(8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단 지지 포스트(800)는 종단 섹션(108)의 상류 단부에 있는 제1 종단 지지 포스트이다. 도 8a는 종단 지지 포스트(800)의 측면도이고, 도 8b는 동일한 종단 지지 포스트(800)의 정면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종단 지지 포스트(800)는 가드레일 비임(10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이에 의해 가드레일 비임(102)은 가드레일 비임(102)의 길이를 따라 측방향으로 충돌하는 차량의 방향을 재배향하기 위해 가드레일 비임(102)에 장력 하중이 작용하도록 가드레일 비임(102)의 확실한 고정을 제공한다. 가드레일 시스템(100)이 단부 또는 재배향성 유형으로 충돌하는 차량에 의해 부딪히면, 가드레일 비임(102)이 종단 지지 포스트(800)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다양한 구성요소가 종단 지지 포스트(800)에 대해 가드레일 비임(102)을 효과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따라, 가드레일 비임 요소는 이런 충돌 이후에도 장력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가드레일 시스템(100)이 역방향으로 충돌하는 차량에 의해 부딪히면, 가드레일 비임(102)의 장력 커플링은 종단 지지 포스트(800)로부터 해제되어, 차량의 불안정성 및 급격한 차량의 감속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단 지지 포스트(800)는 I 비임 구조인 구조 부재(802)를 포함한다. 구조 부재(802)는 중앙 웨브(806)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플랜지(804)를 포함한다. 통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임 부재(802)는 W 6×15 스틸 포스트 부재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직사각형 측면 플레이트(808)는 구조 부재(802)의 대향 측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플레이트(808)는 용접에 의해 각각의 플랜지(804)에 고정된다.
연결 조립체는 구조 부재(802)를 가드레일 비임 부재에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연결 조립체는 구조 부재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연결이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방향성 충돌 중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연결 조립체는 역방향 충돌 중에 이런 연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 조립체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수용하도록 정렬되는 복수개의 적층형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연결 조립체는 3개의 플레이트, 즉 플랜지 플레이트(810), 키퍼 플레이트(816) 및 와셔 플레이트(824)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플레이트(810)는 측면 플레이트(808) 사이에 고정된다. 플랜지 플레이트(810)는 용접에 의해 구조 부재(802)와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808)에 고정되는 일체 형성의 피스(piece)가 바람직하다. 도 9a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플레이트(810)는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상측 에지(813)의 중앙에 V 형상 절결부(812)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 플레이트(810)는 대략 5 인치(12.7 센티미터)의 길이와 대략 6 인치(15.2 센티미터)의 폭을 가진다. 도 8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두께는 대략 1 인치(2.54 센티미터)일 수 있다.
V 형상 슬롯(812)은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수평한 폭을 따라 중심 설정되고, 대략 1 인치(2.54 센티미터)의 수직 길이와 대략 1 ¾ 인치(4.45 센티미터)의 수평 폭을 가진다. V 형상 슬롯(812)의 둥근 바닥부(814)는 대략 1 ¼ 인치(3.18 센티미터)의 직경을 가진다. 그러나, 설명되고 기재된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치수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기재된 치수는 구조 부재(802)가 W 6×15 스틸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지만,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치수는 구조 부재(802)의 크기 및 치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b를 다시 참조하면, 키퍼 플레이트(816)는 플랜지 플레이트(8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플랜지 플레이트(810)와 마찬가지로, 키퍼 플레이트(816)는 일체 형성의 피스가 바람직하다. 도 9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키퍼 플레이트(816)는 키퍼 플레이트(816)의 상측 에지(820)에 인접한 원형 개구(818)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퍼 플레이트(816)는 대략 3 ⅛ 인치(7.94 센티미터)의 수직 길이와 대략 5 ⅜ 인치(13.65 센티미터)의 수평 폭을 가진다. 개구(818)는 키퍼 플레이트(816)의 수평 폭을 따라 중심 설정되고 키퍼 플레이트(816)의 상측 에지(820)로부터 대략 ⅞ 인치(2.22 센티미터)에 중심을 가진다. U 형상 개구(818)는 대략 1 ¼ 인치(3.18 센티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설명되고 기재된 키퍼 플레이트(816)의 치수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기재된 치수는 구조 부재(802)가 W 6×15 스틸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지만, 키퍼 플레이트(816)의 치수는 구조 부재(802)와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크기 및 치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b를 다시 참조하면, 와셔 플레이트(824)는 키퍼 플레이트(816)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플랜지 플레이트(810) 및 키퍼 플레이트(816)와 마찬가지로, 와셔 플레이트(824)는 일체 형성의 피스가 바람직하다. 도 9c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 플레이트(824)는 와셔 플레이트(824)의 상측 에지(828)의 중앙에 U 형상 슬롯(826)을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셔 플레이트(824)는 대략 4 ⅛ 인치(10.48 센티미터)의 수직 길이와 대략 5 ½ 인치(13.97 센티미터)의 수평 폭을 가진다. 도 8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 플레이트(824)의 두께는 대략 ½ 인치(1.27 센티미터)일 수 있다.
U 형상 슬롯(826)은 와셔 플레이트(824)의 수평 폭을 따라 중심 설정되고, 대략 1 ¼(3.18 센티미터)의 수평 길이와 대략 1 ⅛ 인치(2.86 센티미터)의 수평 폭을 가진다. 슬롯(826)의 둥근 바닥부는 대략 1 ¼ 인치(3.18 센티미터)의 직경을 가진다. 그러나, 설명되고 기재된 와셔 플레이트(824)의 치수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기재된 치수는 구조 부재(802)가 W 6×15 스틸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지만, 와셔 플레이트(824)의 치수는 구조 부재(802)의 크기 및 치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플랜지 플레이트(810), 키퍼 플레이트(816) 및 와셔 플레이트(824) 각각은 한 쌍의 볼트구멍(8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트구멍(830)은 대략 ⅜ 인치(0.95 센티미터)의 직경을 가진다. 플랜지 플레이트(810), 키퍼 플레이트(816) 및 와셔 플레이트(824)가 함께 조립되면, 이들 각각의 볼트구멍(830)은 대체로 상호 정렬된다. 한 쌍의 나사 볼트(832)가 플랜지 플레이트(810), 키퍼 플레이트(816) 및 와셔 플레이트(824)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볼트구멍(83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와셔(834)는 각각의 나사 볼트(83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플레이트들을 서로에 대해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단 지지 포스트(800)의 용도는 장력 상태로 가드레일 비임(102)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종단 지지 포스트(800)와 같은 종단 지지 포스트에 대한 예시적인 가드레일 비임(1000)의 장력 커플링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된 가드레일 비임과 유사한 압축 슬롯형 가드레일 비임(1000)이 연결 플레이트(1002)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플레이트(1002)는 한 쌍의 볼트구멍(1004)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볼트구멍은 압축 슬롯형 가드레일 비임(1000)의 종단부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한 쌍의 유사한 볼트구멍에 정렬될 수 있다. 한 쌍의 나사 볼트(1006)는 볼트구멍(1004)과, 볼트 구멍(1004)과 정렬되는 (도시되지 않은) 유사한 크기의 가드레일 비임(1000)의 볼트구멍을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나사 너트(1008)는 연결 플레이트(1002)와 가드레일 비임(1000)을 통해 볼트(1006) 각각의 연결을 고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볼트구멍(1004)과 가드레일 비임(1000)의 볼트구멍은 대략 ⅞ 인치 (2.22 센티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나사 볼트(1006)는 2 ½×¾ 인치 (6.35× 1.91 센티미터) GR. 5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사이즈는 단지 예시로서 제공됨을 알 것이다. 임의 적절한 사이즈의 볼트구멍 및 볼트가 가드레일 비임(1000)을 연결 플레이트(1002)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002)는 나사 로드(1010)에 결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나사 로드(1010)는 연결 플레이트(1002)에 용접될 수 있다. 도 8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로드(1010)는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V 형상 절결부(814)와, 키퍼 플레이트(816)의 원형 개구(818)와, 와셔 플레이트(824)의 U 형상 절결부(826)를 통해 나사 결합된다. 너트(836)는 나사 로드(10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종단 지지 포스트(800)에 가드레일 비임(1000)을 장력 상태로 고정한다.
너트(836)의 존재는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V 형상 절결부(814)와 와셔 플레이트(824)의 U 형상 절결부(826)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부터 케이블(1010)의 후퇴를 방지한다. 키퍼 플레이트(816)의 개구가 키퍼 플레이트(816)의 에지의 개방형 절결부가 아닌 폐쇄형 원형 개구(818)를 포함하기 때문에, 키퍼 플레이트(816)는 나사 로드(1010)가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키퍼 플레이트(816)는 종단 포스트(800)에 대한 나사 로드(1010)의 장력 상태 연결에 강도를 부가한다. 볼트(834)와 키퍼 플레이트(816) 사이에서 와셔로서 기능하는 와셔 플레이트(824) 또한 연결에 강도를 부가한다.
전술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시스템에 단부 충격 또는 재 방향성 충격이 가해지는 동안, 도 8a 및 도 8b, 도 9a 내지 도 9c,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 설명된 조립체는 종단 지지 포스트(800)에 대한 가드레일 비임(1010)의 장력 커플링이 온전한 모습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가드레일 비임(1010)이 장력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드레일 비임(1010)은 충돌하는 차량을 재배향할 수 있다. 시스템의 열비틀림(column buckling)은 제거될 수 있고, 편향으로 충돌하는 차량은 감속되는 동안 오랜 시간 시스템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차량이 가드레일 시스템에 역방향으로 충돌하면, 가드레일 비임(1010)의 장력 커플링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방향 충격은 원형 개구(818) 바로 위쪽에서 키퍼 플레이트(816)의 상측 에지(820)의 전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 로드(1010)는 V 형상 절결부(812), U 형상 절결부(826) 및 원형 개구(818)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부터 자유로워 진다. 가드레일 비임(1000)의 장력 커플링이 해제되기 때문에, 가드레일 비임(1000)은 차량의 불안정성 또는 급격한 감속을 방지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무너질 수 있다.
역방향 충돌 중에 장력 커플링의 해제를 추가적으로 돕기 위해, 변형된 스트러트(strut)가 제1 인접 지지 포스트에 종단 지지 포스트를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스트러트는 도 2에서 도면부호 140으로 지시되어 있고 도 11a 및 도 11b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러트(140)는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길이방향 비임 부재(1112)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비임 부재(1112)는 임의의 적절한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비임 부재(1112)의 길이는 종단 지지 포스트(106)와 다음에 인접한 지지 포스트(104)를 결합하기에 적합한 길이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비임 부재(1112)는 대략 6 인치(15.24 센티미터)의 폭과 대략 2 인치(5.08 센티미터)의 깊이를 갖는 C 채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용접에 의해 길이방향 비임 부재(1112)에 고정되는 일체 형성의 피스가 바람직하다.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의 상측 에지(1118)의 중앙에 U 형상 절결부(1116)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대략 10 인치(25.4 센티미터)의 수평 치수와 대략 8 인치(20.32 센티미터)의 수직 치수를 가진다.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의 두께는 대략 ¼ 인치(0.635 센티미터)일 수 있다. U 형상 슬롯(1116)은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의 수직 치수를 따라 중심 설정되고, 대략 1 ½ 인치(3.81 센티미터)의 수직 치수와 대략 5 ½ 인치(13.97 센티미터)의 수평 치수를 가진다. U 형상 슬롯(1116)의 둥근 바닥부(1120)는 대략 1 ½ 인치(3.81 센티미터)의 직경을 가진다. 그러나, 설명되고 기재된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의 치수는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와 길이방향 비임 부재(1112)의 치수는 변경될 수 있다.
차량이 역방향으로 가드레일 시스템과 충돌하면, 스트러트(1112)와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가드레일 비임과 종단 지지 포스트 사이의 장력 커플링의 해제를 용이하게 한다.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플랫트닝부(1112)의 출구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램프로서 작용하여 플랜지 플레이트(810)의 V 형상 절결부(814), 키퍼 플레이트(816)의 원형 개구(818) 및 와셔 플레이트(824)의 U 형상 절결부(826)로부터 가드레일 비임에 결합된 나사 로드의 리프팅(lifting)을 용이하게 한다. 가드레일 비임(1000)의 장력 커플링이 해제되기 때문에, 스트러트(1112)와 스트러트 플레이트(1114)는 충돌하는 차량의 불안정성 또는 급격한 감속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는 나사 로드에 대한 가드레일 비임의 예시적인 장력 커플링을 도시한다. 도 12는 가드레일 비임을 종단 포스트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력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롯형 가드레일 비임(1200)은 도 4a의 가드레일 비임(200)과 유사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슬롯형 가드레일 비임(1200)은 종단부(1202)에서 변형되어 케이블 로드(1204)에 결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슬롯형 가드레일 비임(1200)은 한 쌍의 케이블 로드(1204)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로드(1204)는 플랫트닝부(1206)를 통해 가로지를 수 있다. 플랫트닝부(1206)는 도 1 내지 도 3의 플랫트닝부(110)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로드(1204)의 적어도 일부는 플랫트닝부(1206)의 길이를 가로질러 플랫트닝부(1206)의 상류 단부에 마련된 출구(1206)를 빠져나갈 수 있다. 출구(1206)로 나온 후에, 케이블 로드(1204)는 도 8a 및 도 8b, 도 9a 내지 도 9c,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와 관련하여 설명된 메커니즘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지면에서 종단 포스트(106)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의 기술적 장점은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압축을 통해 충격 에너지를 방산하는 가드레일 단부 처리시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드레일 단부 처리시설은 충돌하는 차량의 감속에 필요한 가드레일의 일부를 플랫트닝시킴으로써 가드레일의 단부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 에너지를 방산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단부 처리시설이 가드레일을 상대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로 압착하는 플랫트닝 구조를 통해 W 비임 가드레일 요소를 가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과 달리, W 비임 가드레일 요소는 수평보다는 수직으로 플랫트닝된다.
또 다른 장점은 내장력 커플링이 W 비임 가드레일 요소의 단부를 종단 지지 포스트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단 지지 포스트에 대한 가드레일 비임의 장력 커플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가드레일 비임이 단부 충격 또는 재 방향성 충격 후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양쪽 유형의 충격 중에 장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장점은 시스템이 종단부 근처에서 역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장력이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역방향 충격에 대해 가드레일 요소의 장력 해제는 차량의 불안정성 및 급격한 감속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이런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술된 특징부는 독립적으로 및/또는 상호 조합하여 또는 다른 설계 변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6)

  1.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단부 처리시설이며,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플랫트닝부와,
    플랫트닝부에 커플링되며 상기 가드레일 비임의 단부에서 충돌하는 차량에 맞물리는 충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제1 수직 높이로부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제2 수직 높이로 경사를 이루고,
    채널의 수직 치수는 플랫트닝부의 상류 단부에서보다 플랫트닝부의 하류 단부에서 크고,
    충격 플레이트와 플랫트닝부는 단부 충돌(end-on impact)하는 동안 차량에 의해 하류 방향으로 가드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되고, 충격 플레이트와 플랫트닝부의 진행은 에너지를 방산하여 차량을 감속시키고 가드레일 비임의 하류부가 플랫트닝부로 가압될 때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단부 처리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플랫트닝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수용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중간부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며,
    목부 내에서의 채널의 수직 치수는 상류 단부에서보다 하류 단부에서 크고, 목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대향 에지에 힘을 가하여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수직 플랫트닝을 유도하며,
    중간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제1 수직 높이로부터 제2 수직 높이로 이행하도록 구성되고,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출구부의 상류 단부에서 출구부로 빠져나가는, 단부 처리시설.
  3. 제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압출기 섹션을 더 포함하고, 충격 플레이트는 압출기 섹션에 커플링되는, 단부 처리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출구부로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내장력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종단 지지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내장력 커플링은 단부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 유지되는, 단부 처리시설.
  5. 제4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종단 지지 포스트에 커플링된 나사 로드에 커플링되는, 단부 처리시설.
  6. 제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차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단부 처리시설.
  7. 제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단부 처리시설.
  8. 제7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포물선 형상인, 단부 처리시설.
  9. 제7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선형인, 단부 처리시설.
  10. 제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에 골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주름 형성된 W 비임을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11. 제10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슬롯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슬롯형 영역은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의 골부 각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형 영역은 단부 충돌 중에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가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단부 처리시설.
  12. 제1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은 가드레일을 4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13. 제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은 가드레일을 복수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14.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이며,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비임과,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가드레일 비임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와,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단부 처리시설을 포함하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제1 수직 높이로부터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제2 수직 높이로 경사를 이루고,
    단부 처리시설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플랫트닝부로서, 채널의 수직 치수가 플랫트닝부의 상류 단부에서보다 플랫트닝부의 하류 단부에서 큰 플랫트닝부와,
    플랫트닝부에 커플링되며 상기 가드레일 비임의 단부에서 충돌하는 차량에 맞물리는 충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단부 처리시설은 단부 충돌하는 동안 차량에 의해 하류 방향으로 가드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되고, 단부 처리시설의 진행은 에너지를 방산하여 차량을 감속시키고 가드레일 비임의 하류부가 플랫트닝부로 가압될 때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플랫트닝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수용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중간부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며,
    목부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는 상류 단부에서보다 하류 단부에서 크고, 목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대향 에지에 힘을 가하여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수직 플랫트닝을 유도하며,
    중간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제1 수직 높이로부터 제2 수직 높이로 이행하도록 구성되고,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출구부의 상류 단부에서 출구부로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압출기 섹션을 더 포함하고, 충격 플레이트는 압출기 섹션에 커플링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출구부로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내장력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종단 지지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내장력 커플링은 단부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 유지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종단 지지 포스트에 커플링된 나사 로드에 커플링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차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상류 단부에서 차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포물선 형상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선형인,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3. 제14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에 골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주름 형성된 W 비임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슬롯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슬롯형 영역은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의 골부 각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형 영역은 단부 충돌 중에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가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은 가드레일을 복수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6.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이며,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비임과,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가드레일 비임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와,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단부 처리시설을 포함하며,
    가드레일 비임의 적어도 일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 위해 지면에 대해 제1 수직 높이에 위치 설정되고,
    단부 처리시설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의 수직 치수는 채널의 상류 단부에서보다 채널의 하류 단부에서 크며,
    단부 처리시설은 단부 충돌하는 동안 차량에 의해 하류 방향으로 가드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되고, 단부 처리시설의 진행은 에너지를 방산하여 차량을 감속시키고 가드레일 비임의 하류부가 플랫트닝부로 가압될 때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단부 처리시설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수용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중간부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며,
    목부 내의 채널의 수직 치수는 상류 단부에서보다 하류 단부에서 크고, 목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대향 에지에 힘을 가하여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수직 플랫트닝을 유도하며,
    중간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가 제1 수직 높이로부터 제2 수직 높이로 이행하도록 구성되고,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출구부의 상류 단부에서 출구부로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출구부로 빠져나가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내장력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종단 지지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내장력 커플링은 단부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 유지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30. 제26항에 따른 단부 처리시설이며,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에 골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주름 형성된 W 비임을 포함하고,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슬롯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슬롯형 영역은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의 골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 세트를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31. 제30항에 있어서,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플랫트닝시키는 것은 가드레일을 복수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가드레일을 플랫트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32.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종단부이며,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와,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종단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높이로부터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높이로 경사를 이루고,
    종단 지지 포스트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장력을 유지하는 내장력 커플링에 의해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 커플링되며, 내장력 커플링은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서 유지되고, 내장력 커플링은 역방향 충돌 중에 종단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 사이에서 해제되는, 종단부.
  33. 제32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차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종단부.
  34. 제32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종단부.
  35. 제34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포물선 형상인, 종단부.
  36. 제34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선형인, 종단부.
  37. 제32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는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에 골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주름 형성된 W 비임을 포함하는, 종단부.
  38. 제37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슬롯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슬롯형 영역은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의 골부 각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형 영역은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가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종단부.
  39. 제38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4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플랫트닝되는, 종단부.
  40. 제32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나사 로드에 커플링되고, 나사 로드는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방향성 충돌 중에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장력을 유지하도록 내장력 커플링과 상호 협력하는, 종단부.
  41. 제32항에 있어서, 종단 지지 포스트로부터 하류에 배치된 제1 지지부에 커플링되는 충격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헤드부는 충격 에너지의 방산을 위해 단부 충돌 중에 하류 방향으로 수평하게 변위되도록 작동 가능한, 종단부.
  42. 제3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변형된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고, 변형된 지지 포스트는,
    차도에 인접하여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하측부와,
    대체로 지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중간부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상측부를 포함하며,
    중간부는 제1 축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제2 축에 대해 지지 포스트의 거동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제1 축에 대해 지지 포스트를 약화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약화형 섹션을 포함하는, 종단부.
  43.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종단부이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 커플링되는 종단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며,
    종단 지지 포스트는,
    차도에 인접하여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종축을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의 종축에 대해 예각으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구조 부재에 커플링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립체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구조 부재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커플링은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중에 유지되고 역방향 충돌 중에 해제되는, 종단부.
  44. 제43항에 있어서, 구조 부재는 중심 웨브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45. 제43항에 있어서, 연결 조립체는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조 부재의 종축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 부재의 단부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플레이트 각각은 개구를 포함하는, 단부 처리시설.
  46. 제4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상측 에지에 V 형상 절결부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와,
    원형 형상 개구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와,
    상측 에지에 U 형상 절결부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V 형상 절결부, 원형 형상 개구 및 U 형상 절결부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제3 플레이트가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적층될 때 상호 정렬되는, 단부 처리시설.
  47. 제43항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커플링되는, 단부 처리시설.
  48. 제47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차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단부 처리시설.
  49. 제47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상류 단부에서 차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종단부.
  50. 제49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포물선 형상인, 종단부.
  51. 제49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선형인, 종단부.
  52. 제43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는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에 골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주름 형성된 W 비임을 포함하는, 종단부.
  53. 제52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슬롯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슬롯형 영역은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의 골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형 영역은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가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종단부.
  54. 제52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4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플랫트닝되는, 종단부.
  55. 제43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나사 로드에 커플링되고, 상기 나사 로드는 연결 조립체의 개구를 통해 고정되는, 종단부.
  56.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의 종단부이며,
    하류 단부와 상류 단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 커플링되는 종단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며,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정도를 벗어난 차량을 재배향하기에 적절한 제1 수직 높이로부터 종단부의 상류 단부에서 지면의 표면에 가까운 제2 수직 높이로 경사를 이루고,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는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커플링되며,
    종단 지지 포스트는,
    차도에 인접하여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종축을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의 종축에 대해 예각으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를 구조 부재에 커플링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고,
    구조 부재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의 커플링은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배향성 충돌 중에 유지되고 역방향 충돌 중에 해제되는, 종단부.
  57. 제25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차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종단부.
  58. 제25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는 가드레일 비임의 상류 단부에서 차로도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종단부.
  59. 제27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포물선 형상인, 종단부.
  60. 제27항에 있어서, 플레어는 대체로 선형인, 종단부.
  61. 제56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는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에 골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주름 형성된 W 비임을 포함하는, 종단부.
  62. 제6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는 슬롯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슬롯형 영역은 상측 마루부 및 하측 마루부와 이들 마루부 사이의 골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형 영역은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종단부가 플랫트닝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종단부.
  63. 제61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4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플레이트로 플랫트닝되는, 종단부.
  64. 제56항에 있어서, 가드레일 비임 부재의 상류 단부는 나사 로드에 커플링되고, 나사 로드는 차량에 의한 단부 충돌 또는 재방향성 충돌 중에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장력을 유지하도록 연결 조립체와 상호 협력하는, 종단부.
  65. 제56항에 있어서, 종단 지지 포스트로부터 하류에 배치된 제1 지지부에 커플링되는 충격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헤드부는 충격 에너지의 방산을 위해 단부 충돌 중에 하류 방향으로 수평하게 변위되도록 작동 가능한, 종단부.
  66. 제56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변형된 지지 포스트를 포함하고, 변형된 지지 포스트는,
    차도에 인접하여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하측부와,
    지면에 사실상 인접하여 위치되는 중간부와,
    가드레일 비임의 종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상측부를 포함하며,
    중간부는 제1 축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제2 축에 대해 지지 포스트의 거동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제1 축에 대해 지지 포스트를 약화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약화형 섹션을 포함하는, 종단부.
KR1020107027209A 2008-05-05 2009-05-05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에너지를 방산하기 위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KR20110004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15,213 2008-05-05
US12/115,194 2008-05-05
US12/115,194 US7883075B2 (en) 2008-05-05 2008-05-05 Tension guardrail terminal
US12/115,213 US7694941B2 (en) 2008-05-05 2008-05-05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96A true KR20110004896A (ko) 2011-01-14

Family

ID=4093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209A KR20110004896A (ko) 2008-05-05 2009-05-05 충돌하는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에너지를 방산하기 위한 가드레일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2313560B1 (ko)
KR (1) KR20110004896A (ko)
CN (2) CN103526705B (ko)
AU (1) AU2009244438C1 (ko)
CA (2) CA2940944C (ko)
CL (1) CL2009001078A1 (ko)
DK (1) DK2313560T3 (ko)
HK (1) HK1191073A1 (ko)
IL (2) IL209183A (ko)
MX (3) MX361970B (ko)
NO (1) NO2313560T3 (ko)
NZ (1) NZ589467A (ko)
PL (1) PL2313560T3 (ko)
WO (1) WO2009137483A1 (ko)
ZA (1) ZA2010085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720B1 (ko) * 2017-11-24 2018-09-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속시공 파일 캡을 이용한 고정단부
KR20190025370A (ko) * 2017-09-01 2019-03-11 한국도로공사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9027A1 (en) * 2009-06-05 2010-12-09 Saferoads Pty Ltd An end terminal member
US8905382B2 (en) 2011-02-01 2014-12-09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d terminal
CN106988248B (zh) * 2017-05-17 2022-12-13 西北师范大学 形成潮汐车道的智能隔离装置及使用方法
US11466415B2 (en) 2018-12-07 2022-10-11 Dean L. Sicking Guardrail terminal
CN110159051B (zh) * 2019-04-29 2024-05-14 国网甘肃省电力公司建设分公司 变电构架
CN110106811B (zh) * 2019-05-13 2021-06-01 四川轻化工大学 一种用于公路陡坡的应力自撑式防护栏
CN115404804B (zh) * 2022-09-02 2023-10-03 湖南金宝涟交通设施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撞击导向式高速护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924347T3 (da) * 1997-12-22 2004-07-26 Autostrada Del Brennero S P A Sikkerhedsbarriere-endestykke til et motorvejsautoværn
SE513130C2 (sv) * 1998-11-27 2000-07-10 Anders Welandsson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förhindra skador vid påkörning av ändpartiet av ett vägräcke
CN1135282C (zh) * 1999-07-21 2004-01-21 能量吸收系统公司 护栏
US8517349B1 (en) * 2000-10-05 2013-08-27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Guardrail terminals
WO2003008714A1 (en) * 2001-07-20 2003-01-30 Texas A & M University System Box beam terminals
WO2003064772A1 (en) * 2002-01-30 2003-08-07 The Texas A & M University System Cable guardrail release system
CN201024393Y (zh) * 2006-12-11 2008-02-20 北京中路安交通科技有限公司 高速公路钢管预应力索式防撞活动护栏
CN101122120A (zh) * 2007-09-24 2008-02-13 曲涛 公路用钢板护栏端部可解体盾牌防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70A (ko) * 2017-09-01 2019-03-11 한국도로공사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KR101898720B1 (ko) * 2017-11-24 2018-09-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속시공 파일 캡을 이용한 고정단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26705A (zh) 2014-01-22
CA2725225C (en) 2016-11-01
CN103526705B (zh) 2016-01-06
EP2313560B1 (en) 2017-11-22
CA2940944A1 (en) 2009-11-12
IL231529A0 (en) 2014-04-30
PL2313560T3 (pl) 2018-04-30
WO2009137483A1 (en) 2009-11-12
IL209183A0 (en) 2011-01-31
CA2725225A1 (en) 2009-11-12
DK2313560T3 (da) 2018-01-29
IL209183A (en) 2014-05-28
MX2010012170A (es) 2011-02-18
CA2940944C (en) 2017-10-03
IL231529A (en) 2014-11-30
AU2015249112A1 (en) 2015-11-12
AU2009244438B2 (en) 2015-08-27
AU2009244438C1 (en) 2020-10-22
CL2009001078A1 (es) 2010-04-16
MX361970B (es) 2018-12-19
NZ589467A (en) 2013-03-28
HK1191073A1 (zh) 2014-07-18
CN102084065B (zh) 2013-08-28
EP2313560A1 (en) 2011-04-27
NO2313560T3 (ko) 2018-04-21
AU2009244438A1 (en) 2009-11-12
MX339695B (es) 2016-06-06
CN102084065A (zh) 2011-06-01
ZA201008503B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941B2 (en)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US8882082B2 (en) Tension guardrail terminal
US6505820B2 (en) Guardrail terminal
CA2725225C (en)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US7544009B2 (en) Combined guardrail and cable safety systems
EP2494111B1 (en)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US8491216B2 (en)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US10851503B2 (en) Tension end treatment for guardrail safety system
US20220349136A1 (en) Road safety rail systems and parts and fittings therefor
US11326314B2 (en) Deflector bracket and cable anchor for guardrail terminal
US20110095251A1 (en)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