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98U -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98U
KR20110004798U KR2020090014494U KR20090014494U KR20110004798U KR 20110004798 U KR20110004798 U KR 20110004798U KR 2020090014494 U KR2020090014494 U KR 2020090014494U KR 20090014494 U KR20090014494 U KR 20090014494U KR 20110004798 U KR20110004798 U KR 201100047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orage tank
tank body
deformation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409Y1 (ko
Inventor
임형근
현재균
박영일
우일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0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립형 저장탱크의 변형을 감시하여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 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려 사전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보관하는 탱크 몸체와; 선체 내부 공간에 상기 탱크 몸체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선체와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유지수단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수단의 변형을 감시하는 감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가 제공된다.
스트레인 게이지, 롤링키, 피칭키, 독립형 저장탱크,

Description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APPARATUS FOR MONITORING AN INDEPENDENCE TYPE STORAGE TANK}
본 고안은 LNG나 LPG 등을 저장하기 위해 설치되는 독립형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형 저장탱크의 변형을 감시하여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 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려 사전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이나, 마찬가지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한 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플랜트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랜트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포함된다.
LNG FPSO는, 채굴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정제한 후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플랜트이다. 또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함으로써 육상의 저장 및 생산설비를 생략할 수 있게 하는 플랜트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수송선, LNG RV 등의 선박이나, LNG FPSO, LNG FSRU 등의 플랜트 내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선박 및 플랜트를 모두 통칭하여 해양 구조물이라 한다.
이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통상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눠지고, 독립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SPB형으로 나눠진다. MOSS형의 독립형 저장탱크의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15063 호 등에 기재되어 있고, SPB형의 독립형 저장탱크의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305513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독립형 저장탱크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SUS, 및 9% 니켈 등 저온에 강한 합금으로 제조된 탱크 몸체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단열 패널을 부착시켜 만들어지며, 선체의 내부 바닥에 배열되는 복수의 탱크 지지체 상에 놓여진다.
이러한 독립형 저장탱크는, 탱크 몸체가 손상되어 누출이 발생할 경우에, 누출된 저온의 액화가스가 선체와 접촉하여 선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드립 트레이를 설치하여 누출된 액화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한다.
하지만 독립형 저장탱크가 이미 손상되어 액화가스가 누출된다면 드립 트레이 등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일부 액화가스가 선체 바닥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때 선체에 손상 및 변형을 가져와 운행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액화가스 등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에 변형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그 위험수준을 파악하여 사전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경보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탱크 몸체에 위험 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선체 내부 공간에 탱크몸체를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에 감시장치를 부착하여 경보를 할 수 있는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 몸체와; 선체 내부 공간에 상기 탱크 몸체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선체와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유지수단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수단의 변형을 감시하는 감시장치; 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목재용 또는 강철용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수단은 롤링키 또는 피칭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링키 또는 피칭키는,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탱크 몸체에 설치되는 키 부재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키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목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목재블럭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수단은 탱크 지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탱크 지지체는, 선체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스툴과, 상기 스툴과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목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목재블럭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신호를 받는 브리지 박스와; 상기 브리지 박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로 나타내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탱크 몸체의 변형에 대한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탱크 몸체에 위험 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선체 내부 공간에 탱크몸체를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에 감시장치를 부착하여 경보를 할 수 있는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탱크몸체에 과도한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탱크몸체의 변형을 미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박의 운항속도 감소, 운항 방향의 조정 등의 사전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독립형 저장탱크의 탱크 감시 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는 선체 내부 공간에서 탱크 몸체(101)를 유지시키기 위해 선체와 탱크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유지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유지수단은 탱크 지지체(113), 롤링키(206) 및 피칭키(306)를 포함한다. 다만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목재블록(111, 204)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 대신에 다른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목재블록(111, 204)에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가 부착되어 목재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 만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스틸(steel) 등의 재질에 강철용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가 탱크 지지체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가 롤링키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탱크 몸체를 제거한 상태의 선체 바닥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독립형 저장탱크의 탱크 감시장치의 신호전달과정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는, 탱크 지지체(113)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다. 탱크 지지체(113)는, 탱크몸체(101)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 탱크몸체(101)를 지지하는 목재블록(111)과, 목재블록(111)을 탱크몸체(101)의 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103)와, 이 탱크몸체(101)를 선체의 바닥(102)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툴(112)을 포함한다.
탱크몸체(101)는, 측면에 계단식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부(106)를 가진다. 이 단차부(106)가 형성되는 위치는 단열부재(104)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부재(104)의 하부표면과 단차부(106)가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단열부재(104)의 두께에 따라 단차부(106)의 형성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탱크몸체(101)의 단열을 위해 탱크몸체의 외부에 부착되는 단열부재(104)와 목재블록(111)이 만나는 하부표면에는, 저장탱크로부터 LNG가 누출될 경우 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밀봉 테이프(105)가 부착될 수 있다.
목재블록(111)의 측면에 단순한 계단 형태의 단차부(106)가 형성된 것만으로 밀봉 테이프(105)를 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목재블록(111)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목재블록(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06)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목재블록(111)의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블록(1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토퍼(103)의 조립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아울러, 단열부재(104)의 설치 및 밀봉 테이프(105)의 부착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103)는 목재블록(111)이 설치되는 위치에 미리 탱크몸체(101)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탱크몸체(101)에 외부적인 충격이 생겼을 때 스토퍼(103)가 목재블록(111)의 양 외측면 쪽에 위치함으로써 목재블록(111)과 탱크몸체(101)의 이탈을 방지하고 목재블록(111)이 탱크몸체(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블록(111)의 하부에는 목재블록(111)을 선체바닥(102)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툴(stool)(112)이 설치되어 있다. 스툴(112)과 목재블록(111) 사이에는 목재블록(111)의 하부표면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판(109)이 개재되어 있으며, 스툴(112)의 상부표면과 슬라이딩 판(109)의 하부표면 사이에는 수지도포층(108)이 개재되어 있다. 수지도포층(108)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수직판 부재(110)가 설치되어 있어 수지도포층(108)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다.
탱크몸체(101)를 지지하는 목재블록(111)에는 탱크몸체(101)의 변형을 감지 하는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로서 스트레인 게이지(107)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지지체(113)는 선체바닥(102)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탱크몸체(101)(도 1참조)의 하중이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탱크 지지체(113)에 포함되는 목재블록(111)(도 1참고)의 크기 등도 탱크몸체(101)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탱크몸체(101)로부터 누출액이 발생하였을 때 누출액이 선체바닥(102)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선체바닥(10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드립 트레이(307)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목재블록(111)에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스트레인 게이지가 이를 감지해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경보를 통해서 선박의 운항속도나 운항방향을 변경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은 그 변형이 계속 지속될 경우 탱크몸체(111)에 부착된 단열부재(104)의 파손이나 탱크몸체(101) 자체의 파손이 우려될 정도의 변형을 말한다. 외부에서 큰 충격이 가해졌을 때 1차적으로 목재블록(111) 자체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목재블록(111)의 변형으로 인하여 2차적으로 탱크몸체(101)에 부착된 단열부재(104)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탱크몸체(101)자체의 균열로 인해서 액화가스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탱크몸체(101)의 하중이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목재블록(111)에서 감지하게 되는 변형의 위험 수준은 선체바닥(102)에 설치되어 있는 목재블록(11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대적으로 탱크몸체의 하중이 집 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적은 변형에도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탱크몸체의 하중이 분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보다 많은 변형이 생길 때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탱크 감시 장치는, 롤링키(206)에 적용될 수 있다. 롤링키(206)는, 선체(201)에 설치되는 스토퍼(203)와, 탱크몸체(101)에 설치되는 키 부재(205)와, 이 키 부재(205)와 스토퍼(203) 사이에 개재되는 목재 블록(204)을 포함한다. 또한 탱크몸체(101)의 단열을 위해 탱크몸체의 외부에는 단열부재(208)가 부착될 수 있다.
탱크몸체(101)에 설치된 키 부재(205)가 선체에 설치된 스토퍼(203)에 의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탱크몸체(10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207)는 키 부재(205)와 스토퍼(20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목재 블록(204)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오른쪽에 있는 목재 블록(204)에 스트레인 게이지(207)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트레인 게이지(207)는 목재 블록(204)의 왼쪽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목재 블록(204)의 양쪽에 모두 부착될 수도 있다.
목재 블록(204)에 위험 수준 이상의 변형이 생겼을 때 스트레인 게이지(207)가 그 변형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게 된다. 여기서 위험 수준 이상의 변형은 탱크몸체(101)에 설치된 키 부재(205)의 파손이나 탱크몸체(101) 자체의 파손이 우려될 정도의 변형을 말한다. 외부에서 큰 충격이 가해졌을 때 1차적으로 목 재블록(204) 자체에 변형이 발생하며 목재블록(204)의 변형으로 인하여 2차적으로 탱크몸체(101)에 설치된 키 부재(205)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탱크몸체(101) 자체의 균열로 인해서 액화가스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키(206)는 선체바닥(10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롤링키(206)는 선체바닥(102)의 폭 방향으로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탱크몸체(101)(도 2 참조)가 선체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즉 롤링키(206)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207)는 탱크몸체(101)의 길이방향으로의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한 위험수준 이상의 목재 블록(204)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는 피칭키(306)에 대해서도 도시되어 있지만 선체바닥(102)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선체바닥(102)의 길이 방향으로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점을 제외하면 롤링키(206)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롤링키(206) 뿐만 아니라 피칭키(306)에서도 마찬가지로 탱크몸체(101)에 설치되는 키부재와 선체(201)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키부재와 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목재블록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레인 게이지가 이 목재 블록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롤링키(206)의 목재 블록(204)에 스트레인 게이지(207)가 부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감시 장치는, 상기 롤링키(206), 탱크 지지체(113) 및 피칭키(306)의 목재블록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와, 이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신호를 받는 브리지 박스(403)와, 이 브리지 박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405)와, 증폭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로 나타내는 출력부(407)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는 목재블록의 변형을 감지하게 되는데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을 사용자에게 알리려면 신호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레인 게이지(107, 207)가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을 감지하였을 때 브리지 박스(403)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신호를 전달받은 브리지 박스(403)는 증폭기(405)에 다시 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증폭기(405)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준으로 신호를 증폭시키게 된다. 증폭된 신호는 마지막으로 출력부(407)에 전달되는데 사용자는 출력부(407)를 통하여 선체의 어느 부분에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에 따르면, 저장탱크에 위험수준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저장탱크가 변형으로 인해 파손이 되기 전에 미리 선박의 운행속도, 운행방향을 바꿀 수 있어 적절한 사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에 따르면, 기존의 저장탱크의 목재 부분에만 스트레인 게이지를 추가로 부착하는 것으로써 별다른 구조변경 없이도 기존 설비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가 탱크 지지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가 롤링키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탱크 몸체를 제거한 상태의 선체 바닥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독립형 저장탱크의 탱크 감시장치의 신호전달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탱크몸체 102: 선체바닥
104: 단열부재 107: 스트레인 게이지
111: 목재블록 112: 스툴
113: 탱크 지지체 201: 선체
203: 스토퍼 204: 목재블록
205: 키 부재 206: 롤링키
306: 피칭키 307: 드립 트레이
403: 브리지 박스 405: 증폭기
407: 출력부

Claims (8)

  1. 독립형 저장탱크의 변형을 감시하기 위한 탱크 감시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로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 몸체;
    선체 내부 공간에 상기 탱크 몸체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선체와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유지수단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수단의 변형을 감시하는 상기 감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목재용 또는 강철용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롤링키 또는 피칭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 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롤링키 또는 피칭키는,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탱크 몸체에 설치되는 키 부재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키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목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목재블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탱크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탱크 지지체는, 선체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스툴과, 상기 스툴과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목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목재블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신호를 받는 브리지 박스;
    상기 브리지 박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로 나타내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탱크 몸체의 변형에 대한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장탱크.
KR2020090014494U 2009-11-09 2009-11-09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KR200460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94U KR200460409Y1 (ko) 2009-11-09 2009-11-09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94U KR200460409Y1 (ko) 2009-11-09 2009-11-09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98U true KR20110004798U (ko) 2011-05-17
KR200460409Y1 KR200460409Y1 (ko) 2012-05-24

Family

ID=4660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94U KR200460409Y1 (ko) 2009-11-09 2009-11-09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784A1 (ko) * 2010-05-19 2011-1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상부에 연료탱크를 탑재한 부유식 구조물
KR101313620B1 (ko) * 2011-11-03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압전소자가 설치된 선박용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481074B1 (ko) * 2013-04-29 2015-0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콘관입기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달 에너지 보정 방법
KR20150123068A (ko) * 2014-04-24 2015-1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지반 평가용 하이브리드 콘 관입기 및 이를 이용한 철도지반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1697A (ja) * 1987-04-07 1988-10-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地上式タンクの寿命計測装置
JPH0457786A (ja) * 1990-06-15 1992-02-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貯蔵タンクの高応力発生部の変形監視装置
KR20060025771A (ko) * 2004-09-17 2006-03-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스트레인 게이지 브리지의 프로그램가능 션트 교정 장치
ITGE20080025A1 (it) 2008-04-09 2009-10-10 Pegaso Systems S R L Sistema di monitoraggio strutturale e/o termico per navi.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784A1 (ko) * 2010-05-19 2011-1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상부에 연료탱크를 탑재한 부유식 구조물
AU2010353565B2 (en) * 2010-05-19 2014-08-28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US9067663B2 (en) 2010-05-19 2015-06-30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KR101313620B1 (ko) * 2011-11-03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압전소자가 설치된 선박용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481074B1 (ko) * 2013-04-29 2015-0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콘관입기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달 에너지 보정 방법
KR20150123068A (ko) * 2014-04-24 2015-1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지반 평가용 하이브리드 콘 관입기 및 이를 이용한 철도지반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409Y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2510B1 (en) Liquefied gas-storing tank and liquefied gas transport vessel
CN108431485B (zh) 用于液化气体的船舶容纳系统
US20170175952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200460409Y1 (ko)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KR101554897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체
KR20120033825A (ko) 가스 이송부의 위치제어 기능을 갖는 선박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07561A (ko) Lng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US20170144733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secur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101670866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탱크 감시장치
KR20100123982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20170061948A (ko) Lng 독립 탱크의 지지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40004166U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 장치
KR20150044727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상부 구조 및, 그 단열 및 밀폐 방법
KR20120126997A (ko) 저온액체화물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168650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288345B1 (ko) 독립형 lng 저장탱크의 밀봉구조체
KR101551797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및 단열성능 유지방법
KR20100113663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101551789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위치 확인장치
EP3363727A1 (en) Membrane assembly for welding membrane of membrane type storage tank and membrane welding device guide system including same
KR20180011424A (ko) 독립형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170025819A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액화가스 화물창을 구비하는 운반선
KR20170064782A (ko) Lng 화물창의 횡동요 방지를 위한 탄성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
KR2012000221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