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557U - 타이어 가류금형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57U
KR20110004557U KR2020090014183U KR20090014183U KR20110004557U KR 20110004557 U KR20110004557 U KR 20110004557U KR 2020090014183 U KR2020090014183 U KR 2020090014183U KR 20090014183 U KR20090014183 U KR 20090014183U KR 20110004557 U KR20110004557 U KR 20110004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tread
tread segment
vulcanization mold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57U/ko
Publication of KR20110004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5Vulcanising presses characterised by moulds integral with the presses having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L2030/002T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체를 상하분할 가능하도록 2개로 구성하고,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2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트레드세그먼트에 균일한 압력을 가해 식출현상을 최소화하고, 또한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의 측면을 곡면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가류동작시 그린케이스의 압력에 의한 각 세그먼트의 유동 및 안정성을 높인 타이어 가류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타이어 트레드형상을 형성시키는 트레드세그먼트와,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백세그먼트와, 상기 백세그먼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개폐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에 압력을 가해주는 구동체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는 상부 트레드세그먼트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체는 상,하 분할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류시 트레드세그먼트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특정부분의 변형, 트레드세그먼트의 틈새발생 및 식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타이어 가류금형, 트레드세그먼트, 구동체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금형{TIRE CURING MOLD}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체를 상,하분할되도록 2개로 구성하고,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 세그먼트를 각각 24개로 분할한 타이어 가류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생산 공정은 크게 원재료인 고무에 약품을 섞어 배합하는 정련공정, 배합된 고무를 반제품으로 제조하는 압연·압출공정, 반제품을 일정한 크기로 자르는 재단공정에서 제조된 반제품을 정해진 크기로 조립하는 성형공정, 성형공정에서 만들어진 그린케이스(Green Case)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가류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가류공정은, 가류금형내에 그린케이스를 넣고 일정시간 열과 압력을 가하여 그린케이스를 가류금형에 밀착시켜 가류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트레드 패턴 및 사이드월모양에 따라 그린케이스의 모양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그린케이스의 가류공정이 끝난 후에는 가류금형으로부터 완성된 최종품 타이어를 인출하게 된다.
이러한 가류공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타이어 가류금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트레드세그먼트(2)가 대략 8 ~9개의 세그먼트(7)로 분할되 어 있고, 또한 구동체(1)는 일체형 원통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타이어 가류금형은, 최종품 타이어를 인출할 때 벤트고무가 떨어지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트레드세그먼트(2)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일체형 원통구조의 구동체(1)로 인해 트레드세그먼트(2) 전체에 압력이 불균일하게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트레드세그먼트(2)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 가해지므로 트레드세그먼트의 하부에 틈새를 유발하여 틈새식출현상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8 ~ 9개로 분할된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7)가 그린케이스와 조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트레드세그먼트가 폐쇄될 때 분할된 각 세그먼트(7)사이로 그린케이스의 고무가 유입된 상태로 폐쇄됨으로써 물림식출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체를 상하분할 가능하도록 2개로 구성하고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2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트레드세그먼트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식출현상을 최소화하고, 또한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의 측면을 곡면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가류동작시 그린케이스의 압력에 의한 각 세그먼트의 유동 및 안정성을 높인 타이어 가류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금형은,
타이어 트레드형상을 형성시키는 트레드세그먼트와,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백세그먼트와, 상기 백세그먼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개폐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에 압력을 가해주는 구동체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는 상부 트레드세그먼트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체는 상,하 분할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트레드세그먼트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는 각각 원주상 24분할된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의 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에 의하면, 구동체가 상하 분할형으로 이루어지므로 구동체의 구동반경이 줄어들고, 가류시 트레드세그먼트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특정부분의 변형 및 트레드세그먼트의 틈새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 세그먼트를 각각 24개로 분할함으로써 종래의 트레드세그먼트에 비해 그린케이스의 식출물림량이 2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식출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측면이 곡선 분할형태인 세그먼트로 인해 트레드세그먼트간 피치의 어긋남과 단차발생을 방지하여 완제품의 외관품질을 높여, 결과적으로 생산 효율성과 외관품질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구동체와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세그먼트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 측면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체(1)와 가이드 플레이트(3)와 백세그먼트(back segment)(4)와 상부(2a)세그먼트 및 하 부(2b)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트레드세그먼트(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체(1)는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를 개폐시키고, 가류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에 압력을 가하고, 또한 압력이 일정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로 분리가능하도록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상,하 각각의 구동체(1)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와 볼트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는 상,하로 분리가능하도록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은 상기 구동체(1)와 볼트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백세그먼트(4)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세그먼트(4)는 각각 24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상부 백세그먼트(4a)와 하부 백세그먼트(4b)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백세그먼트(4a,4b)는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백세그먼트(4a)는 상측 지지부(5a)와 볼트 결합하고, 하부 백세그먼트(4b)는 하측 지지부(5b)와 볼트 결합한다. 또한 백세그먼트(4)는 내측으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와 볼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는 타이어의 트레드형상을 형성시켜주는 장치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4개의 세그먼트(7)가 원주를 따라 형성된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7)는 상기 백세그먼트(4)의 각 세그먼트와 상하로 위치한 2개의 볼트체결구멍(8)을 통해 볼트결합된다. 일반적으로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7)분할 수는 많을수록 물림 식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세그먼트(7)의 수가 24개를 넘게 되면 금형의 조립분해가 어려워지고, 제작비용도 상승하게되며, 트레드세그먼트(2)의 정밀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각각의 세그먼트(7)의 측면(6)은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트레드세그먼트간 피치의 어긋남과 단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를 나타내고 있으나,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의 구성도 상기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인 타이어 가류금형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그린케이스를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에 위치시키고 그 위로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를 결합시킨 후, 트레드세그먼트(2)내에 고온고압을 가하면서 그린케이스의 내부에 브라더를 팽창시켜 그린케이스를 금형의 내주에 압착시키면서 가류공정를 행한다.
이때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구동체(1)에 의해 트레드세그먼트(2)내에 압력이 균일하게 형성되며,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가 각각 24개의 세그먼트(7)로 분할된 트레드세그먼트(2)에 의해 식출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가류공정이 완료되면, 가이드플레이트(3)의 상,하 각 부분은 상기 백세그먼트(4)의 경사면을 따라 각각 상, 하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와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도 상하로 개방되어(도 3b참조), 트레드세그먼트(2)의 안쪽에 위치한 완료된 타이어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류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트레드세그먼트를 이루는 각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가류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가류금형의 구동체와 트레드세그먼트가 열리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드세그먼트의 상부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 측면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구동체 2: 트레드세그먼트(2a: 상부 트레드세그먼트 2b:하부 트레드세그먼트)
3: 가이드 플레이트 4: 백세그먼트(4a:상부 백세그먼트 4b:하부 백세그먼트)
5a: 상측지지부 5b:하측지지부 6: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의 측면
7: 트레드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 8: 볼트체결구멍

Claims (3)

  1. 타이어 트레드형상을 형성시키는 트레드세그먼트(2)와, 상기 트레드세그먼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백세그먼트(4)와, 상기 백세그먼트(4)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플레이트(3)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의 개폐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에 압력을 가해주는 구동체(1)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는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체(1)는 상,하 분할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의 상부 트레드세그먼트(2a) 및 하부 트레드세그먼트(2b)는 각각 원주상 24분할된 세그먼트(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세그먼트(2)의 각 세그먼트(7)의 측면(6)은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KR2020090014183U 2009-10-30 2009-10-30 타이어 가류금형 KR201100045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83U KR20110004557U (ko) 2009-10-30 2009-10-30 타이어 가류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83U KR20110004557U (ko) 2009-10-30 2009-10-30 타이어 가류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57U true KR20110004557U (ko) 2011-05-09

Family

ID=4423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183U KR20110004557U (ko) 2009-10-30 2009-10-30 타이어 가류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6778B (zh) 用于轮胎硫化模具的表层上的内衬组件
KR101611844B1 (ko)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JP2013103478A (ja) ローカバー
KR101657368B1 (ko) 공기배출구가 개선된 타이어 가류 몰드
JP2017065232A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CN103648802A (zh) 用于改进激进的胎面设计的均匀性和耐久性的方法和轮胎
CN104999602A (zh) 轮胎硫化模具、轮胎制造方法和轮胎硫化模具的制造方法
KR10101080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에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KR20110004557U (ko) 타이어 가류금형
JP4903822B2 (ja) タイヤ用モールド
US1914487A (en) Apparatus for forming tires
KR102204892B1 (ko) 블래더 제조 장치 및 블래더 제조 방법
JP2006264480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成形金型
KR101357717B1 (ko) 타이어 가류장치
CN208452034U (zh) 快换型垫带成型两瓣模
KR102119455B1 (ko) 버 형성방지를 위한 필러게이지 일체 가공형 다중 분할 그린타이어 패턴몰드
JP2006247921A (ja)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そのタイヤ成形用金型により製造した空気入りタイヤ
KR101658312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KR20040110147A (ko) 타이어의 벤트리스 가류 금형
KR200442824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필터벤트
KR101312907B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JP5607466B2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
KR20230053092A (ko) 타이어 제조용 가류금형
KR10230116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630517B1 (ko)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서의 블레이드 식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