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362U - 주름 개선 마스크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362U
KR20110003362U KR2020090012711U KR20090012711U KR20110003362U KR 20110003362 U KR20110003362 U KR 20110003362U KR 2020090012711 U KR2020090012711 U KR 2020090012711U KR 20090012711 U KR20090012711 U KR 20090012711U KR 20110003362 U KR20110003362 U KR 201100033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ongitudinal
skin
transverse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559Y1 (ko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지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지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지락
Priority to KR20090012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5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 개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턱부위에 걸쳐지고 타단은 머리부분에 걸쳐져 얼굴 주변으로 장착되어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임시로 당겨주는 탄력성을 갖는 링형의 종방향 마스크; 이마를 둘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와 교차되면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와 결합되어 뒤통수 부분에서 양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장착되고, 체결시 당겨짐에 따라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 당김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를 동시에 당겨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에 의해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갖는 횡방향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2개의 마스크에 의해 턱, 목, 볼 및 이마 등 복수의 부위에 대한 주름을 개선할 때 하나의 마스크를 당김에 의해 2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복수의 부위에 대응하는 피부를 당겨서 펼 수 있어, 간편한 동작만으로 피부 주름을 원하는 정도로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름, 마스크, 화장수, 시트

Description

주름 개선 마스크{A MASK FOR IMPROVING SKIN-WRINKLE}
본 고안은 주름 개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턱, 목, 볼 및 이마 부위에 대한 피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2개의 마스크를 사용함과 아울러, 하나의 마스크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상기 모든 부위의 피부가 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는 주름 개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거나, 얼굴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또는 얼굴에 팩을 하기 위한 용도로 다양한 화장용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도 1 및 도 2에는, 얼굴에 붙여 화장품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마스크팩용 시트지(3)에 턱당김용 시트지(5)가 연장 형성되어서 된 턱당김이 겸용 마스크팩(1)(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09482호, 이하 '종래기술 1'이라 칭함)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1에서는, 마스크팩용 시트지(3)를 얼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턱당김용 시트지(5)를 위로 당긴 상태에서 화장품팩 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3에는 얼굴의 양측면과 턱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안면 압박대(10)(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40803호, 이하 '종래기술 2'라 칭함)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2에서는, 길게 형성된 탄력성 압박밴드(11) 중앙의 지지편(13)이 턱에 밀착된 상태에서 압박밴드(11) 양단의 밸크로 테이프(15)들이 머리 위에서 부착 고정되고, 머리밴드(17)는 이마를 둘러서 밸크로 테이프(19)에 의하여 고정되어 압박밴드(11)와 머리밴드(17)가 얼굴 양측의 볼과 턱의 하부 및 이마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1에서는, 마스크팩용 시트지(3)에는 화장품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턱당김이 겸용 마스크팩(1)은 1회용으로 사용된 후 폐기될 수밖에 없어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었다.
그리고 종래기술 1에서는 마스크팩용 시트지(3) 전체에 대해 화장품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얼굴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화장품이 사용됨으로써 화장품이 과도하게 소모될 뿐만 아니라, 필요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화장품을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한편, 종래기술 2에서는, 다이어트 중인 착용자의 피하지방을 압박하여 피부의 처짐과 주름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얼굴 피부를 중앙으로 모이게 함으로써 피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지라도 주름의 방지 또는 개선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한 종래기술 2에서는, 화장수를 얼굴에 흡수시키기 위한 시트를 얼굴에 부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시트를 압박밴드(11) 또는 머리밴드(17) 내측에 삽입한 경우에는 압박밴드와 머리밴드가 화장수에 의해 오 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2개의 마스크에 의해 턱, 목, 볼 및 이마 등 복수의 부위에 대한 주름을 개선할 때 하나의 마스크를 당김에 의해 2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복수의 부위에 대응하는 피부를 당겨서 펼 수 있는 주름 개선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용성 시트에 묻은 화장수가 손에 묻거나 마스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름 개선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얼굴 각 부위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화장수로 팩할 수 있는 주름 개선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1고안은 주름 개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턱부위에 걸쳐지고 타단은 머리부분에 걸쳐져 얼굴 주변으로 장착되어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임시로 당겨주는 탄력성을 갖는 링형의 종방향 마스크; 이마를 둘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와 교차되면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와 결합되어 뒤통수 부분에서 양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장착되고, 체결시 당겨짐에 따라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 당김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를 동시에 당겨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에 의해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갖는 횡방향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제1고안에 의하면, 종방향 마스크와 횡방향 마스크를 이용하여 턱, 목, 볼 및 이마 등 복수의 부위에 대한 주름을 개선할 때 횡방향 마스크를 당김에 의해 횡방향 마스크와 종방향 마스크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복수의 부위에 대응하는 피부를 당겨서 펼 수 있어, 간편한 동작만으로 피부 주름을 원하는 정도로 펼 수 있다.
제2고안은 제1고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마스크는,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는 당김력과 상기 종방향 마스크에 대한 당김력을 가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1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마스크에는 상기 제1체결수단에 체결 가능한 제2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크기 및 원하는 당김력에 대응되게 횡방향 마스크와 종방향 마스크 간의 결합부위를 변경할 수 있어 의도하는 부위에 의도하는 강도의 당김력을 가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제3고안은 제1고안 또는 제2고안에서, 턱, 목 및 볼 부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종방향 마스크의 내측과 이마 부위에 대응하는 횡방향 마스크의 내측에는, 화장수가 묻혀지는 수용성 시트와, 상기 종방향 마스크 또는 횡방향 마스크의 신축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접힘부를 갖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종방향 마스크 또는 횡방향 마스크에 장착되는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수용성 시트에 묻혀진 화장수가 통과되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측단에는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로 상기 수용성 시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밀착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고안에 따르면, 수용성 시트에 묻은 화장수가 손에 묻거나 마스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얼굴 각 부위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화장수로 팩할 수 있음으로써, 얼굴 부위별 맞춤형 주름 관리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에 의하면, 2개의 마스크에 의해 턱, 목, 볼 및 이마 등 복수의 부위에 대한 주름을 개선할 때 하나의 마스크를 당김에 의해 2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복수의 부위에 대응하는 피부를 당겨서 펼 수 있어, 간편한 동작만으로 피부 주름을 원하는 정도로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크기 및 원하는 당김력에 대응되게 2개의 마스크 간의 결합부위를 변경할 수 있어 의도하는 부위에 의도하는 강도의 당김력을 가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용성 시트에 묻은 화장수가 손에 묻거나 마스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손을 씻거나 마스크를 세척 또는 폐기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화장수가 불필요한 곳에 묻지 않으면서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얼굴 각 부위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화장수로 팩할 수 있음으로써, 얼굴 부위별 맞춤형 주름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은 종방향 마스크(30) 및 횡방향 마스크(40)로 구분된다. 종방향 마스크(30)는 얼굴의 종방향 즉, 높이방향으로 머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단은 턱부위에 걸쳐지고 타단은 머리부위에 걸쳐진다. 이때 종방향 마스크(30)는 신축 가능한 탄력성을 갖는 링형태로 구성되므로, 예를 들면 목부위에 장착하고 턱부위에 일단을 걸친 상태에서 타단을 머리부위에 걸침으로써 얼굴 주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머리 크기는 사람마다 서로 다르므로, 상기 종방향 마스크(30)가 탄력성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종방향 마스크(30)만을 착용한다고 하여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원하는 만큼 당기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30)는 횡방향 마스크(40)를 착용하기 전에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임시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방향 마스크(30)는 링형태로 구성되므로, 횡방향 마스크(40)를 착용하기 전에 얼굴 주변에 착용하는 것만으로 종방향 마스크(30)의 위치를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횡방향 마스크(40)는 이마 부위에 장착되어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얼굴의 횡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횡방향 마스크(40)는 이마를 둘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와 교차되면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와 결합되어 뒤통수 부분에서 양단이 서로 체결된다. 이때 종방향 마스크(30)와 횡방향 마스크(40)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는 종방향 마스크(30)와 횡방향 마스크(4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41) 및 제2체결수단(3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횡방향 마스크(40)에는 프레스버튼의 요면(凹面) 또는 철면(凸面) 등의 제1체결수단(41)이 구비되고, 종방향 마스크(30)에는 프레스버튼의 요면 또는 철면에 대응하는 요면 또는 철면 등의 제2체결수단(31)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방향 마스크(40)에 프레스버튼의 요면이 구비되고, 종방향 마스크(30)에는 프레스버튼의 철면이 구비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체결수단(41, 31)에 의해 횡방향 마스크(40)와 종방향 마스크(30)가 결합하면, 횡방향 마스크(40)를 뒤통수 부분에 체결하기 위하여 당길 때 종방향 마스크(30)도 함께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당겨짐으로써 종방향 마스크(30)가 덮고 있는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도 함께 펴지게 된다.
이때 횡방향 마스크(40)의 제1체결수단(41)은 횡방향 마스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로 마련된다. 이는 횡방향 마스크(40)에 의한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의 당김력과,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에 대한 당김력을 가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①방향측에 위치한 제1체결수단(41)에 제2체결수단(31)을 결합하면, 횡방향 마스크(40)를 당기는 경우에 횡방향 마스크(40)에 의한 이마 부위의 당김력이 증가함과 아울러, 횡방향 마스크(40)를 당길 때 종방향 마스크(30)가 당겨지는 거리도 증가함으로서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에 대한 당김력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②방향측에 위치한 제1체결수단(41)에 제2체결수단(31)을 결합하면, 이마 부위의 당김력과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에 대한 당김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 마스크(40)의 양단에는 밸크로 테이프(43)가 장착되어 있어 횡방향 마스크(40)를 충분히 당긴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43)를 이용하여 횡방향 마스크(40)의 양단을 접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마스크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한 한정이 없지만, 예를 들면, 통상 사용되는 압박밴드나, 폴리에스테르 스판덱스(Polyester Spandex) 소재 또는 나일론 스폰(Nylon Spon) 소재로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주름 개선 마스크에 의하면, 2개의 마스크 중 하나(종방향 마스크(30))를 얼굴 둘레에 착용한 상태로 다른 하나(횡방향 마스크(40))를 당김에 의해 종방향 마스크(30)와 횡방향 마스크(40)가 함께 당겨진다. 따라서 한번의 당김 동작만으로 2개의 마스크가 덮고 있는 해당 부위(종방향 마스크(30)의 경우에는 턱, 목, 볼 부위의 피부이고, 횡방향 마스크(40)의 경우에는 이마 부위의 피부가 해당됨)의 피부 주름을 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주름 개선 마스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마스크 내측에 구비되는 수용성 시트와 밀착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마스크의 신장에 따른 밀착포의 신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마스크(30)와 횡방향 마스크(40)가 그대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에 대응하는 종방향 마스크(30)의 내측에 수용성 시트(50)와 밀착포(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시트(50)와 밀착포(60)는 이마 부위의 피부에 대응하는 횡방향 마스크(40)의 내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시트(50)는, 화장수를 묻힐 수 있고 화장수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통상의 시트이다. 또한 화장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지만, 본 고안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 마스크(30, 40)에 의해 피부가 당겨진 상태에 있으므로, 주름개선 및 셀룰라이트 분해에 유익한 화장수가 사용된다면, 주름개선에 보다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밀착포(60)는, 상기 수용성 시트(50)를 내장하고, 수용성 시트(50)에 묻혀진 화장수가 피부로는 흡수될 수 있으되, 마스크(30, 40)로는 흡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밀착포(60)는 마스크의 신축에 따라 파손없이 신축이 가능한 소재 및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밀착포가 마스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없는 소재로 제작된다면, 상기 밀착포는 마스크의 신축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스크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밀착포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비닐 소재로 제작된다면, 밀착포(60)에는, 마스크의 신축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접힘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힘부(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의 신축방향에 직각으로 접혀진 상태로 마련된다. 이때 접힘부(61)는 상기 마스크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스크가 신장되면 마스크의 신장 정도에 따라 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포(60)는, 상기 접힘부(61)를 제외한 상단과 하단이 상기 종방향 마스크(30) 또는 횡방향 마스크(40)에 장착되는 내피(63)와 외피(65)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65)에는 상기 수용성 시트(50)에 묻혀진 화장수가 통과되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67)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포의 측단에는 상기 내피(63)와 외피(65) 사이로 상기 수용성 시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69)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힘부(61)를 제외한 내피(63)와 외피(65)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마스크(30, 40)에 장착된다. 따라서 내피(63)와 외피(65)의 상단 및 하단은 마스크의 신장에 따라 벌어지지만, 마스크에 장착된 상단 및 하단 간에는 접힘부(61)가 마련되어 있어 내피(63)와 외피(65)는 마스크의 신장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다.
이때 내피(63)는 마스크와 수용성 시트(50)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내피(63)에 의해 수용성 시트(50)에 묻은 화장수가 마스크로 침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화장수에 의한 마스크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피(65)는 상기 내피(63)와 함께 수용성 시트(50)를 마스크에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외피(65)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공(6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67)을 통해 상기 수용성 시트(50)에 묻은 화장수가 피부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관통공(67)을 통해 수용성 시트(50)에 화장수를 묻힐 수도 있다.
한편, 밀착포(60)의 측단에는 상기 내피(63)와 외피(65) 사이로 상기 수용성 시트(50)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삽입부(69)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용성 시트(50)를 상기 밀착포(60)의 삽입부(69)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포(60)에 삽입하거나 사용후에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용성 시트(50)에 묻히는 화장수가 손에 묻거나 마스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손을 씻거나 마스크를 세척 또는 폐기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화장수가 불필요한 곳에 묻지 않으면서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가 턱, 목, 볼 및 이마에 대응되는 부위에 수용성 시트(50)를 삽입할 수 있는 밀착포(60)가 구비되어 있어 각 밀착포(60)에 서 로 다른 화장수를 묻힌 수용성 시트(50)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얼굴 각 부위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화장수로 팩할 수 있음으로써, 얼굴 부위별 맞춤형 주름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밀착포는 마스크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수용성 시트를 유지하고 수용성 시트에 묻은 화장수가 마스크로 침투되지 않으면서 피부로만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그 구성 및 형태는 제2실시예의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주름 개선 마스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마스크 내측에 구비되는 수용성 시트와 밀착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마스크의 신장에 따른 밀착포의 신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0 : 종방향 마스크 31 : 제2체결수단
40 : 횡방향 마스크 41 : 제1체결수단
43 : 밸크로 테이프 50 : 수용성 시트
60 : 밀착포 61 : 접힘부
63 : 내피 65 : 외피
67 : 관통공 69 : 삽입부

Claims (3)

  1. 일단은 턱부위에 걸쳐지고 타단은 머리부분에 걸쳐져 얼굴 주변으로 장착되어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임시로 당겨주는 탄력성을 갖는 링형의 종방향 마스크(30);
    이마를 둘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와 교차되면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와 결합되어 뒤통수 부분에서 양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장착되고, 체결시 당겨짐에 따라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 당김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 마스크(30)를 동시에 당겨서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에 의해 턱, 목 및 볼 부위의 피부를 펴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갖는 횡방향 마스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마스크(40)는, 이마 부위의 피부를 펴는 당김력과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에 대한 당김력을 가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1체결수단(41)을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마스크(30)에는 상기 제1체결수단(41)에 체결 가능한 제2체결수단(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턱, 목 및 볼 부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종방향 마스크(30)의 내측과 이마 부위에 대응하는 횡방향 마스크(40)의 내측에는,
    화장수가 묻혀지는 수용성 시트(50)와,
    상기 종방향 마스크(30) 또는 횡방향 마스크(40)의 신축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접힘부(61)를 갖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종방향 마스크(30) 또는 횡방향 마스크(40)에 장착되는 내피(63)와 외피(65)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65)에는 상기 수용성 시트(50)에 묻혀진 화장수가 통과되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67)이 형성되며, 측단에는 상기 내피(63)와 외피(65) 사이로 상기 수용성 시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69)가 마련되는 밀착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마스크.
KR20090012711U 2009-09-28 2009-09-28 주름 개선 마스크 KR200460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2711U KR200460559Y1 (ko) 2009-09-28 2009-09-28 주름 개선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2711U KR200460559Y1 (ko) 2009-09-28 2009-09-28 주름 개선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62U true KR20110003362U (ko) 2011-04-05
KR200460559Y1 KR200460559Y1 (ko) 2012-06-04

Family

ID=4420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2711U KR200460559Y1 (ko) 2009-09-28 2009-09-28 주름 개선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31Y1 (ko) * 2012-03-26 2012-06-25 최성국 주름 개선용 머리띠
WO2018155868A1 (ko) * 2017-02-27 2018-08-30 박상연 안면당김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지지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69U (ko) 2015-02-17 2016-08-25 지승구 리프팅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2814U (ja) * 1983-04-18 1984-10-31 広沢 美代子 美容バンド
KR100660605B1 (ko) * 2005-10-31 2006-12-22 김권봉 다기능 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31Y1 (ko) * 2012-03-26 2012-06-25 최성국 주름 개선용 머리띠
WO2018155868A1 (ko) * 2017-02-27 2018-08-30 박상연 안면당김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지지밴드
CN110366378A (zh) * 2017-02-27 2019-10-22 朴祥延 具有面部提拉功能的面膜支撑带
CN110366378B (zh) * 2017-02-27 2022-04-12 朴祥延 具有面部提拉功能的面膜支撑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559Y1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800B2 (en) Facial mask
US20060278252A1 (en) Multipurpose hair apparel
US20180161194A1 (en) Jaw fixation belt
JP2006247195A (ja) 身体用弛緩予防および改善具
KR200460559Y1 (ko) 주름 개선 마스크
KR200464644Y1 (ko) 국소부위 집중 케어 마스크 팩
JP5334152B2 (ja) フェイスマスク用補助具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KR200409481Y1 (ko) 마스크팩
JP5343247B2 (ja) 美容補助具
CN213045366U (zh) 一种头戴式口罩
WO2009088115A1 (en) The disposable hair-band for cutting off liquid for permanent wave
JP3180615U (ja) ヘアキャップ兼用毛染め用ケープ
CN219743383U (zh) 一种可拉伸回弹的面膜
KR200409482Y1 (ko) 턱 당김이 겸용 마스크 팩
JP3233761U (ja) 抗菌性を有するアイマスク
CN214317068U (zh) 一种口罩
JP2007089730A (ja) 美顔装置
JP3118478U (ja) 顔面補正美容バンド
CN210929746U (zh) 一种一次性医用口罩
CA2974676A1 (en) Face wrinkle remover
JP3191345U (ja) 紫外線防止布を使用した立体的フェイスマスク
JP3118539U (ja) 洗髪用補助具
KR100567558B1 (ko) 마스크 겸용 모자
JP3043517U (ja) 皺伸ば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