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906A -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수신 장치,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수신 장치,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906A
KR20110001906A KR20100059120A KR20100059120A KR20110001906A KR 20110001906 A KR20110001906 A KR 20110001906A KR 20100059120 A KR20100059120 A KR 20100059120A KR 20100059120 A KR20100059120 A KR 20100059120A KR 20110001906 A KR20110001906 A KR 2011000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request
transmission
receiving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078B1 (ko
Inventor
가나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27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with deferred 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6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directed to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의 미디어 정보의 전송에 있어서,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이 혼재하는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며, 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미디어 정보와 비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미디어 정보를 식별하여 수신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요구 패킷 생성부(101)는 미디어 정보의 배신(配信)을 요구하는 요구 패킷을 생성한다. 요구 패킷 송신부(102)는,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 요구 응답 패킷 수신부(103)는 송신 장치로부터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요구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요구 응답 해석부(104)는 요구 응답 패킷에 설정되어 있는 요구 응답을 해석한다. 모드 판정부(105)는, 요구 응답에 부가되며, 송신 장치가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 중 어느 쪽의 전송을 실행하는 장치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와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도면 부호 109∼113, 115, 116으로 구성되는 제1 수신부는,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로 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도면 부호 109∼112, 113, 115, 116, 106∼108로 구성되는 제2 수신부는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로 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Description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수신 장치, 송신 장치{MEDIA DISTRIBUTION SWITCHING METHOD,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개시하는 기술은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의 미디어 정보 전송에 있어서,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이 혼재하는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등의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영상이나 음성 등의 미디어 정보의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이 혼재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간성 전송에서는,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1305)에서 얻어지는 영상 신호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1303)에서 부호화되고, 실시간 동화상 패킷으로서,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에 전송되어 복호, 재생된다.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에서 복호, 재생되는 영상 신호의 클록을,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1303)에서의 부호화 시의 클록에 동기시키기 위해, 예컨대 PCR을 사용한 방식이 채용된다. 이 방식에서는, 전송되는 동화상 패킷에 PCR(Program Clock Reference)이라고 불리는 클록 동기용 패킷이 다중화된다. 복호측에서는, 수신된 PCR 데이터와 수신 시의 복호기측의 시스템 타임 클록(STC: System Time Clock)과의 차분이 산출된다. 그리고, 이 차분값에 따라 전압 제어 수정 발진기(VCXO : Voltage Controlled Xtal Oscillator)가 제어되어, 재생 클록이 생성된다. 즉, 실시간성 전송에서는,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1303)(인코더)와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디코더)의 클록이 동기됨으로써,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측의 패킷 수신 버퍼의 사이즈가 가능한 한 많이 작게 되어 영상의 지연이 가능한 한 많이 회피된다.
한편, 비실시간성 전송에서는,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 배신용 영상 수신 장치(1302)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파일 배신 서버(1304) 내의 기억 장치에 축적된 부호화된 영상 신호 파일이 판독되어 패킷 전송된다. 서버 배신용 영상 수신 장치(1302)는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영상 신호 파일을, 자체 장치(自裝置) 내의 시스템 타임 클록에 기초하여 복호하며 재생한다. 비실시간성 전송에서는, 영상 신호 파일이 부호화되었을 때의 타이밍과 완전히 동일한 타이밍에서 전송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이 때문에, 서버 배신용 영상 수신 장치(1302)는 재생 타이밍과 전송 타이밍의 차를 흡수하기 위해, 플로우 제어(flow control)를 실시한다. 플로우 제어에서는, 패킷 수신 버퍼에 체류하는 패킷이 버퍼 사이즈를 넘을 것 같으면, 서버 배신용 영상 수신 장치(1302)로부터 파일 배신 서버(1304)에 송신 정지 요구 패킷이 송신되고, 파일 배신 서버(1304)가 영상 신호 파일의 전송을 정지한다. 반대로, 패킷 수신 버퍼에 체류하는 패킷이 없어질 것 같으면, 서버 배신용 영상 수신 장치(1302)로부터 파일 배신 서버(1304)에 송신 개시 요구 패킷이 송신되고, 파일 배신 서버(1304)가 영상 신호 파일의 전송을 개시(재개)한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는 통상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1303)로부터의 실시간성 전송으로 영상 신호를 수신하지만, 장치의 유효 활용을 위해, 서버 배신용 영상 수신 장치(1302)로부터의 비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영상 신호 파일도 수신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이러한 혼재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에 비실시간성 전송을 위한 플로우 제어 기능을 실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가 파일 배신 서버(1304)로부터 비실시간성 전송으로 영상 신호 파일을 수신하고자 한 경우,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을 식별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은 없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에 플로우 제어 기능을 실장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 배신 서버(1304)로부터 비실시간성 전송으로 영상 신호 파일을 플로우 제어 없이 수신한 경우, 재생 타이밍과 전송 타이밍의 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결과,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의 패킷 수신 버퍼에서, 패킷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여, 영상 신호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미디어 정보와 비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미디어 정보를 식별하여 수신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태의 일례는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의 미디어 정보의 배신을 전환하는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으로서 실현되며,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우선,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 장치에 미디어 정보의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 패킷이 송신된다.
다음에, 요구 패킷에 응답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그 송신 장치가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 중 어느 쪽의 전송을 실행하는 장치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부가한 요구 응답 패킷이 회신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요구 응답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장치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와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가 전환되어 수신 동작이 실행된다.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송신 장치와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송신 장치가 혼재하는 환경에서, 각 송신 장치 전용의 수신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배신원을 의식하지 않고 시임리스하게 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수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수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구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구 응답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수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구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이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도면 부호 100은 비동기 또한 품질 보증 없는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영상 신호와 비실시간성 전송에 의한 영상 파일을 식별하여 수신 가능한 수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2의 도면 부호 200은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수신 장치(100)는 도 13의 실시간 영상 수신 장치(1301)에 대응하며, 송신 장치(200)는 도 13의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1303) 또는 파일 배신 서버(1304)에 대응한다.
도 1의 수신 장치(100)에서, 요구 패킷 생성부(101)는 송신 장치(200)에 대하여,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배신 개시 또는 배신 정지를 지시하는 요구 패킷을 생성한다. 요구 패킷 송신부(102)는 요구 패킷 생성부(101)가 생성한 요구 패킷을 송신 장치(200)를 향하여 도시 생략한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요구 응답 패킷 수신부(103)는 네트워크로부터, 자체 장치가 송신한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요구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요구 응답 해석부(104)는 요구 응답 패킷 수신부(103)에서 수신된 요구 응답 패킷에 지정되어 있는 요구 응답의 내용을 해석한다. 모드 판정부(105)는 요구 응답에 실시간 인코더와 배신 서버 중 어느 쪽의 장치 타입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모드 판정부(105)는 요구 응답에 실시간 인코더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플로우 제어부(106)와 전환부(115)에 대하여, 실시간 모드를 통지한다. 모드 판정부(105)는 요구 응답에 배신 서버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플로우 제어부(106)와 전환부(115)에 대하여, 서버 모드를 통지한다.
데이터 패킷 수신부(109)는 송신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 판정부(110)는 데이터 패킷이, PCR(Program Clock Reference)이 저장된 패킷인지, 그 이외의 영상 정보가 저장된 패킷인지를 판정한다. 자체 장치가 실시간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패킷 판정부(110)에서는, PCR이 저장된 데이터 패킷 또는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인 송신 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온, 영상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 패킷이 검출된다. 패킷 판정부(110)는, 영상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 패킷은 패킷 수신 버퍼(111)에 기록하고, PCR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서는 패킷을 PCR 제어부(112)에 전송한다.
PCR 제어부(112)는 패킷 판정부(110)로부터 전송된 패킷으로부터 PCR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PCR 데이터와 자체 장치 내의 시스템 타임 클록(STC: System Time Clock)의 차분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PCR 제어부(112)는 그 차분값에 대응하는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VCXO(전압 제어 수정 발진기: Voltage Controlled Xtal Oscillator)에 공급한다.
실시간 모드 시에는, 모드 판정부(105)가 전환부(115)에 대하여 VCXO(113)의 출력을 선택시킨다. 이에 따라, 실시간 모드 시에는, VCXO(113)로부터 발진되는 PCR에 기초하여 전압 제어된 클록이 동화상 복호부(116)에 공급된다.
이런 식으로, 실시간 모드 시에는, 동화상 복호부(116)는 패킷 수신 버퍼(111)에 수신된 영상 신호 패킷을, 그 부호화 시의 클록에 동기한 클록으로 복호하며 재생할 수 있다. 즉, 실시간 모드 시에는, 데이터 패킷 수신부(109), 패킷 판정부(110), 패킷 수신 버퍼(111), 동화상 복호부(116), PCR 생성부(206), VCXO(113), 및 전환부(115)를 포함하는 부분이,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로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형성한다.
실시간 모드 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킷 수신 버퍼(111)의 상태에 따라 플로우 제어를 실시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실시간 모드 시에는, 모드 판정부(105)가 플로우 제어부(106)에 실시간 모드를 통지함으로써, 플로우 제어부(106)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자체 장치가 서버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패킷 판정부(110)에서는, PCR 데이터가 저장된 패킷은 무시되며 파기되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만이 패킷 수신 버퍼(111)에 기록되게 된다. 이 데이터 패킷에는, 파일 배신 서버인 송신 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온 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서버 모드 시에는, 모드 판정부(105)가 전환부(115)에 대하여 자주식(自走式) OSC(114)의 출력을 선택시킨다. 자주식 OSC(OSC: OSCillator/발진기)(114)는 송신측 타이밍과는 관계없이 시스템 타임 클록을 발진시킨다. 이에 따라, 서버 모드 시에는, 자주식 OSC(114)로부터 발진되는 시스템 타임 클록이 동화상 복호부(116)에 공급된다.
이 결과, 서버 모드 시에는, 동화상 복호부(116)는 송신 장치(200)로부터 독립된 타이밍에서 자주식 OSC(114)로 발진된 시스템 타임 클록에 기초하여, 패킷 수신 버퍼(111)에 수신된 영상 파일 패킷을 복호하며 재생한다.
여기서, 서버 모드 시에는, 모드 판정부(105)가 플로우 제어부(106)에 서버 모드를 통지한다. 이 결과, 플로우 제어부(106)는 서버 모드 시에, 재생 타이밍과 전송 타이밍의 차를 흡수하기 위해, 플로우 제어를 실시한다.
즉, 플로우 제어부(106)는 서버 모드 시에, 패킷 수신 버퍼(111)에 체류하는 패킷이 버퍼 사이즈를 넘을 것 같으면,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에 제1 지시를 내보낸다. 그 결과,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는 통신하고 있는 송신 장치(200)에 대한 송신 정지 요구 패킷을 생성하고, 이 패킷을 요구 패킷 송신부(108)를 통해 네트워크에 송출한다. 이 결과,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영상 파일이 저장된 데이터 패킷의 송출이 정지되고,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되는 패킷량이 조정된다.
반대로, 플로우 제어부(106)는 서버 모드 시에, 패킷 수신 버퍼(111)에 체류하는 패킷이 없어질 것 같으면,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에 제2 지시를 내보낸다. 그 결과,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는 통신하고 있는 송신 장치(200)에 대한 송신 개시 요구 패킷을 생성하고, 이 패킷을 요구 패킷 송신부(108)를 통해 네트워크에 송출한다. 이 결과,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영상 파일이 저장된 데이터 패킷의 송출이 개시(재개)되고,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되는 패킷량이 조정된다.
여기서, 서버 모드 시에는, 재생 타이밍과 전송 타이밍의 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패킷 수신 버퍼(111)의 용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서버 모드 시에는, 데이터 패킷 수신부(109), 패킷 판정부(110), 패킷 수신 버퍼(111), 동화상 복호부(116), PCR 생성부(206), 자주식 OSC(114), 전환부(115), 플로우 제어부(106),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 및 요구 패킷 송신부(108)를 포함하는 부분이,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로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의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요구 패킷 수신부(2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장치(100)(도 1)가 송출한 요구 패킷을 수신한다.
요구 패킷 해석부(202)는 수신된 요구 패킷을 해석한다.
요구 패킷 해석부(202)는 해석 결과, 요구 패킷이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배신 개시 또는 배신 정지를 요구하는 패킷일 때에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요구 응답 패킷의 송출을 지시한다.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는 상기 요구 패킷을 송신한 수신 장치(100)(도 1)를 향하여, 요구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이때,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는,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일 때에는, 배신 개시 요구에 대응하는 요구 응답 패킷에, 실시간 인코더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부가한다. 반대로,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일 때에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는 배신 서버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부가한다.
또한, 요구 패킷 해석부(202)는 해석 결과, 요구 패킷이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배신 개시 또는 배신 정지를 요구하는 패킷일 때에는, 동화상 송신부(204)에 대하여,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배신의 개시 또는 정지를 지시한다.
자주식 OSC(205)는 시스템 타임 클록을 발진시킨다.
동화상 송신부(204)는 배신 개시 후 배신 정지까지,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라면, 자주식 OSC(205)가 생성하는 클록에 기초해서,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부호화하고 영상 신호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송신 버퍼(207)에 순차 기록한다. 한편,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라면, 동화상 송신부(204)는 배신 개시 후 배신 정지까지, 도시 생략한 기억 장치로부터 영상 파일을 판독하며, 영상 파일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송신 버퍼(207)에 순차 기록한다.
또한,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라면, PCR 생성부(206)는 배신 개시 후 배신 정지까지,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PCR 생성부(206)는 자주식 OSC(205)가 생성하는 클록에 기초하여, 동화상 송신부(204)에서 실시간 배신되는 영상 신호의 클록에 대응하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가 저장된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PCR 생성부(206)는 그 패킷을 패킷 송신 버퍼(207)에 기록한다.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일 때에는, PCR 생성부(206)는 설치되지 않는다.
패킷 송신 버퍼(207)는 기록된 데이터 패킷을 순차 데이터 패킷 송신부(208)에 전송한다. 데이터 패킷 송신부(208)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 장치(100)(도 1)를 향하여 네트워크에 송출한다.
여기서,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인 경우에 있어서, 요구 패킷 해석부(202)는 해석 결과, 요구 패킷이 송신 정지 요구 패킷일 때에는, 패킷 송신 버퍼(207)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 송출 정지를 지시한다. 또한, 요구 패킷 해석부(202)는 해석 결과, 요구 패킷이 송신 개시 요구 패킷일 때에는, 패킷 송신 버퍼(207)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 송출 개시(재개)를 지시한다. 이런 식으로 플로우 제어가 실시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수신 장치(10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 동작 흐름도의 제어 동작은 수신 장치(100) 내의 도시 생략한 프로세서가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에 대하여,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패킷이 송신된다(단계 S301). 이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요구 패킷 생성부(101) 및 요구 패킷 송신부(102)에 의해 실행된다. 도 5는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요구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YPE」 정보는 그 값이 「0x0001」일 때는 배신 요구를, 「0x0002」일 때는 배신 정지를 지시한다. 「PORT1」 정보 및 「PORT2」 정보는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의 TCP/IP 포트 번호를 지정한다. 「ID」 정보는 커넥션의 식별자를 지정한다. 「ABILITY」 정보는 전송 능력을 나타내는 값을 지정한다. 「PULLRATE」 정보는 전송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품질 정보(샘플 레이트)를 지정한다. 「SSRC」 정보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해 요구되는 값이다. 「PROGRAM」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를 지정한다. 단계 S301에서는, 「TYPE」 정보로서 배신 요구를 나타내는 값 「0x0001」이 지정되게 된다.
그 후, 지정 IP 어드레스의 송신 장치(200)로부터의 요구 응답 패킷을 30초간 대기한 후(단계 S301→S302→S301의 반복), 요구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 요구 응답 패킷에 지정되어 있는 요구 응답으로서, 실시간 인코더와 배신 서버 중 어느 쪽의 장치 타입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가 판정된다(단계 S303).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간 모드와 서버 모드가 전환된다(단계 S304). 이상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요구 응답 패킷 수신부(103), 요구 응답 해석부(104), 및 모드 판정부(105)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실시간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PCR 제어에 기초한 데이터 수신이 실행된다(단계 S305→S306). 이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동화상 복호부(116)가 데이터 패킷 수신부(109), 패킷 판정부(110), 및 패킷 수신 버퍼(111)를 통해 수신한 실시간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이다. 이때, 동화상 복호부(116)는 PCR 생성부(206) 및 VCXO(113)를 통해 생성되는 동기 클록에 따라, 복호, 재생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서버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플로우 제어에 기초한 데이터 수신이 실행된다(단계 S305→S307). 이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동화상 복호부(116)가 데이터 패킷 수신부(109), 패킷 판정부(110), 및 패킷 수신 버퍼(111)를 통해 수신한 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이다. 동화상 복호부(116)는 자주식 OSC(114)가 생성하는 시스템 타임 클록에 따라, 복호, 재생 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도 1의 플로우 제어부(106)는 패킷 수신 버퍼(111)를 순차 체크하고(단계 S308), 체류 상태에 이상이 없으면 그대로 데이터 수신을 속행한다(단계 S308→S307).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 제어부(106)는 패킷 수신 버퍼(111)에 체류하는 패킷이 버퍼 사이즈를 넘을 것 같으면(버퍼 오버), 도 1의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에 제1 지시를 내보낸다. 이것을 수신하여,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는 지정 IP 어드레스의 송신 장치(200)(도 2)에 대한 송신 정지 요구 패킷을 생성하고, 이 패킷을 도 1의 요구 패킷 송신부(108)를 통해 네트워크에 송출한다(단계 S308→S309). 이 결과,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영상 파일이 저장된 데이터 패킷의 송출이 정지되고,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되는 패킷량이 조정된다.
반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 제어부(106)는 패킷 수신 버퍼(111)에 체류하는 패킷이 없어질 것 같으면(버퍼 엠티),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에 제2 지시를 내보낸다. 이것을 수신하여,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107)는 지정 IP 어드레스의 송신 장치(200)에 대한 송신 개시 요구 패킷을 생성하고, 이 패킷을 요구 패킷 송신부(108)를 통해 네트워크에 송출한다(단계 S308→S310). 이 결과,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영상 파일이 저장된 데이터 패킷의 송출이 개시(재개)되고,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되는 패킷량이 조정된다.
도 4는 도 2의 송신 장치(20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 동작 흐름도의 제어 동작은 송신 장치(200) 내의 도시 생략한 프로세서가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먼저, 송신 장치(200)는 요구 패킷 수신 대기 상태에 있다(단계 S401의 판정 반복).
요구 패킷이 수신되면, 요구 패킷의 내용이 해석된다(단계 S402). 이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요구 패킷 수신부(201) 및 요구 패킷 해석부(202)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해석의 결과, 요구 패킷이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일 때에는, 상기 요구 패킷을 송신한 IP 어드레스의 수신 장치(100)(도 1)를 향하여, 요구 응답 패킷이 송신된다(단계 S403). 이때,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일 때에는, 요구 응답 패킷에, 실시간 인코더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가 부가된다. 반대로,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일 때에는, 요구 응답 패킷에, 배신 서버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가 부가된다.
도 6은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구 응답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ORT1」, 「PORT2」, 「ID」, 「ABILITY」, 「PULLRATE」의 각 정보는 요구 패킷에 부가되는 것과 동일하다(도 5 참조). 「TYPE」 정보는 배신 요구에 대한 응답값 「0x0101」 또는 정지 요구에 대한 응답값 「0x0102」를 지시한다. 「ERRORCODE」 정보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 「0x0000」 또는 이상(異常), 배신 불가 상태를 나타내는 값 「0x0001」을 지정한다. 「EQPTYPE」 정보는 장치 타입으로서, 실시간 인코더를 나타내는 값 「0x0000」 또는 배신 서버를 나타내는 값 「0x0001」을 지정한다. 이 「EQPTYPE」 정보로써, 송신 장치(200)(도 2)는 수신 장치(100)(도 1)로부터의 요구 패킷에 대하여, 자체 장치의 장치 타입을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100)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자체 장치의 동작을 실시간 모드와 서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 「Rsv.3」, 「Rsv.4」, 「Rsv.5」의 각 정보는 장래를 위해 예약되어 있는 정보이다.
그 후, 도 2의 요구 패킷 해석부(202)로부터 동화상 송신부(204)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의 송신 개시가 지시되고, 송신이 개시된다(단계 S404). 이 이후는, 요구 패킷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면서(단계 S405의 판정의 반복), 데이터 패킷의 송신이 계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의 송신 동작은 도 2의 동화상 송신부(204), 패킷 송신 버퍼(207), 및 데이터 패킷 송신부(208)에 의해 실행되고, 요구 패킷의 수신 동작은 도 2의 요구 패킷 수신부(201)에 의해 실행된다.
전술한 송신 동작에 있어서, 요구 패킷이 수신되면, 그 요구 패킷의 내용이 해석되고, 그 내용이 판정된다(단계 S405→S406→S407). 이 동작은 도 2의 요구 패킷 수신부(201) 및 요구 패킷 해석부(202)에 의해 실행된다.
이 판정의 결과가, 요구 패킷이 배신 정지 요구 패킷인 경우에는, 도 2의 요구 패킷 해석부(202)로부터 동화상 송신부(204)에 대하여 배신 동작 정지가 지시되고, 배신 개시 요구 패킷을 대기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단계 S406→S408→S401).
배신 정지 요구 패킷이 아닌 경우에,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라면, 단계 S407은 실행되지 않고, 단계 S405의 판정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배신 정지 요구 패킷이 아닌 경우로서,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라면, 단계 S407의 플로우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즉, 먼저 요구 패킷이 송신 정지 요구 패킷인지 송신 개시 요구 패킷인지가 판정된다(단계 S407-1). 송신 정지 요구 패킷이 수신된 경우에는, 도 2의 요구 패킷 해석부(202)로부터 패킷 송신 버퍼(207)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 송출 정지가 지시된다(단계 S407-1→S407-2). 그 후, 단계 S405의 판정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송신 개시 요구 패킷이 수신된 경우에는, 요구 패킷 해석부(202)로부터 패킷 송신 버퍼(207)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 송출 개시(재개)가 지시된다(단계 S407-1→S407-3). 그 후, 단계 S405의 판정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런 식으로 플로우 제어가 실시된다.
이상의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동작을 정리하면, 도 7의 동작 시퀀스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이면,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100)로부터의 영상 배신 요구에 대하여(도 3의 단계 S301), 송신 장치(200)는 실시간 인코더의 정보가 부가된 요구 응답을 회신한다(도 4의 단계 S403). 이것을 수신하여, 수신 장치(100)는 자체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 모드로 변경한다(도 3의 단계 S304). 그 후, 송신 장치(200)로부터 수신 장치(100)에 실시간 영상 신호가 전송된다(도 4의 단계 S404, 도 3의 단계 S306).
한편,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이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100)로부터의 영상 배신 요구(도 3의 단계 S301)에 대하여, 송신 장치(200)는 배신 서버의 정보가 부가된 요구 응답을 회신한다(도 4의 단계 S403). 이것을 수신하여, 수신 장치(100)는 자체 장치의 상태를 서버 모드로 변경한다(도 3의 단계 S304). 그 후, 송신 장치(200)로부터 수신 장치(100)에 영상 파일이 전송된다(도 4의 단계 S404, 도 3의 단계 S307).
이상과 같이,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신 장치(100)로부터의 배신 개시 요구 패킷에 대하여, 송신 장치(200)는 자체 장치의 장치 타입을 「EQPTYPE」 정보로써 통지할 수 있고, 수신 장치(100)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자체 장치의 동작을 실시간 모드와 서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수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 수신 장치(100)에 있어서, 요구 패킷 생성부(101)는 먼저, 실시간 모드의 배신 요구 모드 정보가 설정된 요구 패킷을 송신 장치를 향하여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실시간 인코더의 모드가 설정되며 정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이 회신되었다면, 수신 장치(100)는 그대로 실시간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송신 장치로부터 배신 서버의 모드가 설정되어 이상(異常)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이 회신되었다면, 요구 패킷 생성부(101)는, 서버 모드의 배신 요구 모드 정보가 설정된 요구 패킷을 재차 송신 장치를 향하여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배신 서버의 모드가 설정되어 정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이 회신되었다면, 수신 장치(100)는 서버 모드로 동작한다.
도 8의 도면 부호 800은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8에서, 도 2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200)의 구성의 경우와 동일한 번호가 붙은 부분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도 8의 구성이 도 2의 구성과 다른 점은, 요구 모드 판정부(801)가, 요구 패킷 해석부(202)가 수신한 배신 개시 요구 패킷에, 실시간 모드와 서버 모드의 어느 쪽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배신 개시 요구 패킷에 실시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요구 모드 판정부(801)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정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의 회신을 지시한다. 반대로, 배신 개시 요구 패킷에 서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요구 모드 판정부(801)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이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의 회신을 지시한다. 또한, 요구 응답 패킷에는 동시에, 실시간 인코더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이 부가된다.
한편,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인 경우에 있어서, 배신 개시 요구 패킷에 실시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요구 모드 판정부(801)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이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의 회신을 지시한다. 반대로, 배신 개시 요구 패킷에 서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요구 모드 판정부(801)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정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 패킷의 회신을 지시한다. 또한, 요구 응답 패킷에는 동시에, 배신 서버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가 부가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수신 장치(10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 동작 흐름도의 제어 동작은 수신 장치(100) 내의 도시 생략한 프로세서가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에 대하여,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패킷이 송신된다(단계 S901). 이 경우에, 요구 패킷에는 실시간 모드를 나타내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가 부가된다. 도 11은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구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YPE」, 「PORT1」, 「PORT2」, 「ID」, 「ABILITY」, 「PULLRATE」의 각 정보는 도 5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의 요구 패킷의 데이터 구성과 동일하다(도 5 참조). 「RECEIVETYPE」 정보는 전술한 배신 요구 모드 정보를 지정한다. 「EQPTYPE」 정보는, 값 0으로서, 실시간 배신, 서버 배신의 양방에 대응한 디코더인 것을 지정한다. 단계 S901에서는, 「TYPE」 정보로서 배신 요구를 나타내는 값 「0x0001」이 지정되고, 「RECEIVETYPE」 정보로서 실시간 모드를 나타내는 값 「0」이 지정된다. 이 동작은 도 1의 요구 패킷 생성부(101) 및 요구 패킷 송신부(102)에 의해 실행된다.
그 후, 지정 IP 어드레스의 송신 장치(200)로부터의 요구 응답 패킷을 30초간 대기한 후(단계 S901→S902→S901의 반복), 요구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 요구 응답 패킷에 지정되어 있는 요구 응답으로서, 실시간 인코더의 장치 타입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가 판정된다(단계 S903).
이 판정이 YES라면, 도 1의 모드 판정부(105)는 전환부(115) 및 플로우 제어부(106)에, 실시간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904). 이런 식으로 실시간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PCR 제어에 기초한 데이터 수신이 실행된다(단계 S306). 이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3의 단계 S306의 동작과 동일하다.
한편, 단계 S903의 판정이 NO라면, 모드 판정부(105)는 요구 패킷 생성부(101)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것을 수신하여, 요구 패킷 생성부(101)는 지정 IP 어드레스에 대하여, 재차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단계 S905). 이 경우에, 요구 패킷에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 즉 「RECEIVETYPE」 정보로서, 서버 모드를 나타내는 값 「1」이 지정된다.
그 후, 지정 IP 어드레스의 송신 장치(200)로부터의 요구 응답 패킷을 30초간 대기한 후(단계 S905→S906→S905의 반복), 요구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 도 1의 모드 판정부(105)는 전환부(115) 및 플로우 제어부(106)에, 서버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907). 이와 같이 서버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플로우 제어에 기초한 데이터 수신이 실행된다(단계 S307∼S310). 이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3의 단계 S307∼S310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10은 도 8의 송신 장치(80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 동작 흐름도의 제어 동작은 송신 장치(800) 내의 도시 생략한 프로세서가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우선, 단계 S401과 S402의 처리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4의 단계 S401과 S402의 처리와 동일하다.
즉, 먼저 송신 장치(800)는 요구 패킷의 수신 대기의 상태에 있다(단계 S401의 판정 반복).
요구 패킷이 수신되면, 요구 패킷의 내용이 해석된다(단계 S402). 이 동작은 도 8의 요구 패킷 수신부(201) 및 요구 패킷 해석부(202)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해석의 결과, 요구 패킷이 영상 신호 또는 영상 파일의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일 때에는, 그 요구 패킷에 설정되어 있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가 자체 장치의 모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001). 이 동작은 도 8의 요구 모드 판정부(801)에 의해 실행된다.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이 제1회째에 수신되었을 때에는, 도 9의 단계 S901에 의해, 요구 패킷에는 「RECEIVETYPE」 정보로서 실시간 모드를 나타내는 값 「0」이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이면 단계 S1001에서는 일치로 판정되고,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이면 단계 S1001에서는 불일치로 판정된다.
또한,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이면, 단계 S1001에서의 불일치 판정 후, 도 9의 단계 S905에 의해, 제2회째의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이 수신된다. 이 때에는, 도 9의 단계 S901에 의해, 요구 패킷에는, 「RECEIVETYPE」 정보로서 서버 모드를 나타내는 값 「1」이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계 S1001에서는 일치로 판정된다.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로서,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이 제1회째에 수신됨으로써 단계 S1001에서 불일치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이하의 동작이 실행된다. 즉, 요구 모드 판정부(801)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이상을 나타내며 또한 배신 서버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가 부가된 요구 응답 패킷의 회신을 지시한다(단계 S1002). 요구 응답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6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예와 동일하다. 단계 S1002에서는, 「TYPE」 정보로서 배신 요구 응답을 나타내는 값 「0x0101」이 지정되고, 「ERRORCODE」 정보로서 이상, 배신 불가를 나타내는 값 「0x0001」이 지정된다. 또한, 「EQPTYPE」 정보로서 배신 서버를 나타내는 값 「0x0001」이 지정되게 된다. 그 후, 배신 개시 요구 패킷을 대기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단계 S1002→S401).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로서,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이 제2회째에 수신된 경우, 또는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1403)로서, 배신 개시를 요구하는 패킷이 제1회째에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001에서는 일치로 판정된다. 이 경우에는, 요구 모드 판정부(801)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203)에 대하여, 정상을 나타내며 또한 자신의 모드(배신 서버 또는 실시간 인코더)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가 부가된 요구 응답 패킷의 회신을 지시한다(단계 S1003). 즉, 도 6의 데이터 구성예에 있어서, 「TYPE」 정보로서 배신 요구 응답을 나타내는 값 「0x0101」이 지정되고, 「ERRORCODE」 정보로서 정상을 나타내는 값 「0x0000」이 지정된다. 또한, 「EQPTYPE」 정보로서 배신 서버를 나타내는 값 「0x0001」(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인 경우) 또는 실시간 인코더를 나타내는 값 「0x0000」(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인 경우)이 지정되게 된다.
그 후, 도 2의 요구 패킷 해석부(202)로부터 동화상 송신부(204)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의 송신 개시가 지시되고, 송신이 개시된다(단계 S404). 이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4의 단계 S405부터 단계 S408까지의 일련의 제어 동작과 동일하다.
이상의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동작을 정리하면, 도 12의 동작 시퀀스도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다.
자체 장치가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라면,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100)로부터의 실시간 모드가 지정된 영상 배신 요구에 대하여(도 9의 단계 S901), 송신 장치(800)에서는 모드 일치로 판정된다(도 10의 단계 S1001). 이 결과, 송신 장치(800)는 실시간 인코더의 정보가 부가된 정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을 회신한다(도 10의 단계 S1003). 이것을 수신하여, 수신 장치(100)는 자체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 모드로 설정한다(도 9의 단계 S904). 그 후, 송신 장치(800)로부터 수신 장치(100)에 실시간 영상 신호가 전송된다(도 10의 단계 S404, 도 3의 단계 S306).
한편, 자체 장치가 파일 배신 서버라면,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100)로부터의 실시간 모드가 지정된 영상 배신 요구(도 3의 단계 S901)에 대하여, 송신 장치(800)에서는 모드 불일치로 판정된다(도 10의 단계 S1001). 그 결과, 송신 장치(800)는 배신 서버의 정보가 부가된 이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을 회신한다(도 10의 단계 S1002). 이것을 수신하여, 수신 장치(100)는 모드 불일치를 검출함으로써(도 9의 단계 S903), 금번은 서버 모드가 지정된 영상 배신 요구(도 9의 단계 S905)를 송신한다. 이 결과, 송신 장치(800)에서는 모드 일치로 판정된다(도 10의 단계 S1001). 그리고, 송신 장치(800)는 배신 서버의 정보가 부가된 정상을 나타내는 요구 응답을 회신한다(도 10의 단계 S1003). 이것을 수신하여, 수신 장치(100)는 자체 장치의 상태를 서버 모드로 설정한다(도 9의 단계 S907). 그 후, 송신 장치(800)로부터 수신 장치(100)에 영상 파일이 전송된다(도 10의 단계 S404, 도 9의 단계 S307).
이상과 같이,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신 장치(100)로부터 송신 장치(800)에 대하여, 수신 장치(100)가 기대하는 배신 요구 모드를 「RECEIVETYPE」 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의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시용의 실시간 영상 배신 장치와 파일 배신 서버의 혼재 환경에서, 각 장치 전용의 수신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 장치에 의해, 배신원을 의식하지 않고 시임리스하게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영상 신호를 대상으로 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개시한 기술은 영상 신호 이외에도, 음성 신호 등의 여러가지 미디어 신호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101: 요구 패킷 생성부 102, 108: 요구 패킷 송신부
103: 요구 응답 패킷 수신부 104: 요구 응답 해석부
105: 모드 판정부 106: 플로우 제어부
107: 송신 정지/개시 요구 패킷 송신부 109: 데이터 패킷 수신부
110: 패킷 판정부 111: 패킷 수신 버퍼
112: PCR 제어부 113: VCXO
114: 자주식 OSC 115: 전환부
116: 동화상 복호부 201: 요구 패킷 수신부
202: 요구 패킷 해석부 203: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
204: 동화상 송신부 205: 자주식 OSC
206: PCR 생성부 207: 패킷 송신 버퍼
208: 데이터 패킷 송신부 801: 요구 모드 판정부

Claims (4)

  1.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의 미디어 정보의 배신(配信)을 전환하는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미디어 정보의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 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요구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송신 장치가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 중 어느 쪽의 전송을 실행하는 장치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부가한 요구 응답 패킷을 회신하며,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요구 응답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장치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와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수신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요구 패킷을 송신할 때에, 상기 요구 패킷에 상기 수신 장치가 기대하는 제1 동작 모드를 지정하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를 부가하여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요구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와 상기 송신 장치의 동작 모드가 일치한 경우에, 정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상기 요구 응답 패킷을 회신하며, 상기 요구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와 상기 송신 장치의 동작 모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異常)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상기 요구 응답 패킷을 회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요구 응답 패킷에 정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을 때에, 상기 요구 응답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장치 타입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수신 동작을 실행하며,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요구 응답 패킷에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지정하는 배신 요구 모드 정보를 부가한 요구 패킷을,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 재차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3.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정보의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 패킷을 생성하는 요구 패킷 생성부와,
    상기 요구 패킷을 송신하는 요구 패킷 송신부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요구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요구 응답 패킷 수신부와,
    상기 요구 응답 패킷에 설정되어 있는 요구 응답을 해석하는 요구 응답 해석부와,
    상기 요구 응답에 부가되며, 상기 송신 장치가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 중 어느 쪽의 전송을 실행하는 장치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와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판정부와,
    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로 상기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비실시간성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로 상기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수신 장치에 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정보의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요구 패킷 수신부와,
    상기 요구 패킷에 설정되어 있는 요구를 해석하는 요구 패킷 해석부와,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자체 장치(自裝置)가 실시간성 전송과 비실시간성 전송 중 어느 쪽의 전송을 실행하는 장치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부가한 요구 응답 패킷을 회신하는 요구 응답 패킷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KR20100059120A 2009-06-30 2010-06-22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수신 장치, 송신 장치 KR101145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5503 2009-06-30
JP2009155503A JP4740356B2 (ja) 2009-06-30 2009-06-30 メディア配信切替え方法、受信装置、送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06A true KR20110001906A (ko) 2011-01-06
KR101145078B1 KR101145078B1 (ko) 2012-05-14

Family

ID=4298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9120A KR101145078B1 (ko) 2009-06-30 2010-06-22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수신 장치,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70946B2 (ko)
EP (1) EP2271094A3 (ko)
JP (1) JP4740356B2 (ko)
KR (1) KR101145078B1 (ko)
CN (1) CN1019384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257A (ja) * 2010-09-30 2012-04-19 Canon Inc 提供装置、配信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57228B2 (en) * 2014-03-25 2018-01-02 Rosemount Inc. Process conduit anomaly detection using thermal imaging
US10887651B2 (en) * 2014-03-31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ing and operation of an MMTP de-capsulation buff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2267B2 (ja) 1994-06-30 2003-11-05 株式会社東芝 情報通信端末装置
GB9813390D0 (en) 1998-06-23 1998-08-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channel sharing
US20040208158A1 (en) * 1998-08-19 2004-10-21 Fellman Ronald 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of-service guarantees in computer networks
JP2004038677A (ja) * 2002-07-04 2004-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
JP2004193920A (ja) * 2002-12-11 2004-07-08 Toshiba Corp 番組配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KR100956817B1 (ko) 2003-01-11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7200692B2 (en) * 2004-03-10 2007-04-03 Cisco Technology, Inc. PVDM (packet voice data module) generic bus
KR100933121B1 (ko) * 2006-01-23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Ims 도메인을 통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ims 단말의 호 요청을 csi 단말이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073008B2 (en) * 2006-04-28 2011-12-06 Medtronic Minimed, Inc. Subnetwork synchronization and variable transmit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a wireless medical device network
US8418206B2 (en) * 2007-03-22 2013-04-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US20090106807A1 (en) * 2007-10-19 2009-04-23 Hitachi, Ltd.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Switching Video Str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0946B2 (en) 2016-02-23
US20100332591A1 (en) 2010-12-30
KR101145078B1 (ko) 2012-05-14
CN101938464A (zh) 2011-01-05
JP4740356B2 (ja) 2011-08-03
JP2011015020A (ja) 2011-01-20
EP2271094A3 (en) 2013-01-09
CN101938464B (zh) 2015-10-21
EP2271094A2 (en)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3999B2 (en) Distributed fragment timestamp synchronization
TWI668982B (zh) 用於多媒體和檔案傳輸的傳輸介面的方法及伺服器設備、及用於記錄相關指令於其上的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20160072637A1 (en) Calculating and signaling segment availability times for segments of media data
KR101855521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수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US20160165276A1 (en)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US20140137168A1 (en)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819809B (zh) 对内容进行同步操作的方法及装置
JP6737922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8873368B2 (en) Method for processing channel switching failure case, terminal device, and channel switching server
KR20120107882A (ko)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6186580A (ja) 再生装置およびデコード制御方法
JPH10164138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蓄積伝送方法及び装置
EP2566128B1 (en) Method and server for obtaining key information during fast channel switching
KR101145078B1 (ko) 미디어 배신 전환 방법, 수신 장치, 송신 장치
JP2007312122A (ja) ネットワーク受信機
KR100948686B1 (ko) 채널 전환시 지연을 줄이기 위한 iptv 방송 시스템,가속 채널 스트림의 생성 및 재생방법
JP5234172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5082715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33674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8245061A (ja) Ipストリーム伝送におけるpcr再生方式
JP2004274619A (ja) 動画配信サーバ、動画受信端末装置、画像パケット送信方法及び画像パケット受信方法
KR100931344B1 (ko) Vod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시스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KR100657096B1 (ko)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화 장치 및 방법
JP3671969B2 (ja) データ多重方法及び多重データ復号方法
JPWO2007032384A1 (ja) 情報送出装置、情報受信装置および情報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