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882A -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882A
KR20120107882A KR1020120029158A KR20120029158A KR20120107882A KR 20120107882 A KR20120107882 A KR 20120107882A KR 1020120029158 A KR1020120029158 A KR 1020120029158A KR 20120029158 A KR20120029158 A KR 20120029158A KR 20120107882 A KR20120107882 A KR 2012010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ditional content
basic
broadca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진
윤국진
이광순
정원식
허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005,07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346566A1/en
Priority to EP12760647.3A priority patent/EP2690876A4/en
Priority to PCT/KR2012/002057 priority patent/WO2012128563A2/ko
Publication of KR2012010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송신 시스템에서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여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하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로 더 송신되고, 수신 단말에서는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과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연동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하고 재생하여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부가콘텐츠 다운로드 방식에 비해 시간 지연이 없고, 단말에 대용량 저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시청자가 방송서비스에 접근한 시간 이후부터의 부가콘텐츠 부분에 대해서만 스트리밍 받아 방송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ssociated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생동감있는 장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입체감이 더해진 영상 서비스, 시점에 자유도를 줄 수 있는 영상 서비스 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다. 그런데, 방송망을 통해 이러한 3D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2차원 AV프로그램보다 넓은 대역폭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대용량의 3D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방안의 하나로 기존 2차원 AV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3D 데이터는 미리 유휴 시간대에 여분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기가 저장한 다음 실시간 방송 스트림이 전송될 때 동기를 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비실시간 기반의 디지털 실감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53175, 2008.06.12) 또한, 최근에 북미 방송 표준단체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는 IP 패킷을 ATSC 방송망을 통해 전송하는 메커니즘으로 비실시간(Non Real-Time, NRT) delivery 규격을 표준화하고 있으며 현재 후보 표준(Candidate Standard)으로 제정되어 있다. 따라서 3D 부가 콘텐츠를 ATSC NRT 규격을 따라 전송하는 방안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공통적으로 3D 부가 콘텐츠를 실시간 AV 프로그램과 연동하기 위하여, 3D 부가 콘텐츠를 미리 전송하고 수신기가 저장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우선 콘텐츠 측면에서, 콘텐츠에 대한 편집이 비실시간 서비스를 시작할 때까지 완료되어 있어야 하고, 생방송 콘텐츠에 대해서는 미리 비실시간으로 미리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길이가 긴 대용량 콘텐츠의 경우 다운로드 시간이 길어지며 대용량 저장 장치가 필요하고, 방송 전에 프로그램의 내용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측면에서도, 채널에 접근하는 실시간 방송서비스에 비해 비실시간 서비스는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만큼의 지연이 발생하고,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의 경우에도 다운로드 시간만큼의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실시간 프로그램이 시작한 후에 연동형 서비스를 받기 위해 그 이후의 콘텐츠 부분만을 다운로드 받으려고 해도 부가 콘텐츠가 하나의 파일로 구성되므로 파일 전체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방송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에서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에서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에서 방송콘텐츠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기반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방송스트림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하는 방송망 송신부, 및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망 송신부 또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방송망 수신부,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망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기반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콘텐츠 재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망 수신부 또는 상기 통신망 수신부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콘텐츠 재생부가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스트리밍으로 전송함으로써 시간 지연이 없고, 단말에 대용량 저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단말이 방송서비스에 접근한 시간 이후부터의 부가콘텐츠 부분에 대해서만 스트리밍 받아 방송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 방식의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절차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방식의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절차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경로는 기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통해 방송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기본콘텐츠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망을 통해 방송 수신 단말에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B)경로는, 상기 (A)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가 상기 방송망이 아닌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 수신 단말에 전달되는 경로이다. 상기 단말에서는 이렇게 이종망을 통해 전달된 두 개의 스트림을 연동하여 시청자에게 연동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이종망 연동형 방송 서비스의 일예로서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는 추가되는 부가 비디오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고 단말에서 AV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를 맞추어 재생하도록 구성하여 연동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외에도 다시점 방송 서비스, 다채널 오디오 서비스, 스케일러블(scalable) 비디오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방송에 필요한 부가콘텐츠를 송신하고 수신처리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단말이 반드시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상기 방송 단말과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장치가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에 연결되어 있으면 이 장치를 경유하여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런 접근을 통해 기존 방송 채널만 접근할 수 있는 방송 단말도, 이종망의 부가 콘텐츠를 연동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망은 기존 방송망이나 차세대 방송망까지 포함하며,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P)망, 유무선 통신망, 케이블 망 등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망으로 앞으로 도래할 차세대 통신망/인터넷망/방송망 및 통신방송융합망 등의 망을 포함한다. 통신방송융합 망이 되면서 방송망과 통신망의 구분이 모호해질 수 있으나 두개의 망이 이종망인 경우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망을 통해 푸쉬(Push) 방식으로 기본콘텐츠가 멀티캐스트(multicast)되고, 제2통신망을 통해 푸쉬 또는 풀(Pull) 방식으로 부가콘텐츠가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콘텐츠 송수신 시스템(20)은 송신 시스템(200)과 단말(230)로 구성된다. 송신 시스템(200)이 송신하고자 하는 방송콘텐츠는 기본콘텐츠와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시스템(200)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여 방송망(210)을 통하여 단말(230)로 보낸다. 또한, 송신 시스템(200)은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여 통신망(220)을 통하여 단말(250)로 보낸다. 단말(250)은 방송망(21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과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연동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
송신시스템(200)과 단말(230)의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참조하면, 송신 시스템은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한다(S300). 또한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한다(S310).
상기 방송콘텐츠는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본콘텐츠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어 방송 단말에서 수신 재생될 수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본콘텐츠는 정지영상, 동영상, CG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텍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콘텐츠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되며,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3차원 입체방송의 경우 2차원 영상인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는 상기 2차원 영상에 동기화되어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부가정보이다. 또한, 예를 들어,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3D영상과 관련된 좌, 우 영상을 각각 기준콘텐츠(좌 영상)과 부가콘텐츠(우 영상)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 영상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되고, 상기 우 영상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는 S300이 S310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310이 S300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한다(S320).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한다(S330).
이 경우,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로 더 송신된다(미도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가 동기를 맞추어 연동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상기 방송망으로 송신되는 기본콘텐츠와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되는 부가콘텐츠가 연동될 때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을 알려주는 정보이거나, 상기 두 콘텐츠의 프레임(frame) 또는 엑세스 유닛(access unit, AU)이 콘텐츠의 시작으로부터 몇번째 프레임 또는 엑세스 유닛인지 직간접적으로 알려주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대응(corresponding)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 이 과정을 동기화라고 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동기화된 기본콘텐츠와 부가콘텐츠를 연동 재생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상기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통하여 상기 부가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는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frame ordering)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나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어느 하나만 아는 경우에도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알고,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아는 경우,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가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지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푸쉬(Push) 또는 풀(Pull)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푸쉬 방식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동기화되는 부가콘텐츠를 연동형 서비스를 신청한 시청자에게 멀티캐스트(multicast)형태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풀 방식은 시청자 각각에게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로서 시청자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부가콘텐츠를 응답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에서 기본콘텐츠로의 접근이 기본콘텐츠의 중간부터 들어간 경우, 만약 푸쉬 방식이라면, 상기 단말은 상기 멀티캐스트 되는 부가콘텐츠의 수신을 시작하고,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찾아 수신단에서 두 콘텐츠 스트림을 동기를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 만약 풀 방식이라면, 상기 단말은 오프셋(offset)을 감안한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송신 시스템(스트리밍 서버)으로 상기 부가콘텐츠를 요청해야 할 것이다. 상기 단말은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나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가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과 별도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송신되는 경우라면,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연동 재생 정보에 대한 접근 정보(예를 들어,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또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의, URL 또는 URI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접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나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에 접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복수이고, 다른 인코딩률(encoding rate)로 인코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상기 부가콘텐츠를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이 존재할 수 있고, 각 단말과 연결되는 통신망의 통신 환경은 서로 다르므로, 각 단말의 통신 환경에 적합한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스트림을 제공하여 실시간 방송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다양한 단말의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다른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다른 포트(논리적 채널)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더 송신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본콘텐츠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접근 정보이다.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부가콘텐츠를 먼저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기본콘텐츠가 어떤 RF 주파수로 송신되는지 알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기본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에 대한 TSID 정보, 다음으로 상기 기본콘텐츠를 포함하는 TS 내의 프로그램 넘버(program number), 그 다음으로 기본콘텐츠의 기초 스트림(Elemnetary Stream, ES)의 PID(Packet ID) 필드(Field)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필드는 ATSC A/65 PSIP와 MPEG-2 Systems의 PSI에서 사용하고 있는 필드들과 동일하다.
비록 도 3에서는 S320이 S330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330이 S320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S340).
상기 단말은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하고, 연동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가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부가콘텐츠가 파일 형식인 경우,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만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기본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재생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가 동기화되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상기 수신된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에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송신 시스템과 상기 단말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 방식의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절차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송신 시스템은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생성한다(S400).
또한,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S410).
비록 도 4에서는 S400이 S410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410이 S400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한다(S420).
또한,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S430).
비록 도 4에서는 S420이 S430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430이 S420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S440).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단말은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푸쉬 방식 서비스에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송신 시스템에 의하여 멀티캐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에 접근하여 수신을 시작한다.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가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작 정보이다. 예를 들어, IP망을 가정하면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뜻한다. 이 접근 정보는 상기 송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리밍 서버와 부가콘텐츠의 직접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부가콘텐츠 스트리밍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타 파일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에 대한 접근 정보(예를 들어,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의 URL 또는 URI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동기화시킨다. 상기 단말은 상기 동기화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연동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기본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재생하고,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로 동기화하여 재생함으로써,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복수이고, 다른 인코딩률로 인코딩되어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는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부분 및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부분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방식의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절차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시스템은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생성한다(S500).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한다(S510).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 및 재생 위치를 확인한다(S520).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에 상기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를 요청한다(S530).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S540).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가콘텐츠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 또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미리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지정한다.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부가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한다(S550).
상기 송신 시스템은 풀(Pull) 방식으로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또는,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부가콘텐츠 전체에 관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S510에서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그리고 S550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과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S560).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매칭시키고, 상기 재생 위치가 매칭된 기본콘텐츠와 부가콘텐츠를 연동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복수이고, 다른 인코딩률로 인코딩되어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는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부분이나,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부분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가 방송망을 통하여 송신되지 않고, 통신망을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와 함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와 함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의 URL 또는 URI를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수신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의 URL 또는 URI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시스템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이 후의 절차는 S540, S550, 및 S560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 시스템(60)은 방송콘텐츠 서버(600), 방송스트림 생성부(610), 방송망 송신부(620), 스트리밍 서버(630)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600)는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와 부가콘텐츠를 따로 출력한다. 상기 부가콘텐츠는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된다.
방송콘텐츠 서버(600)는 상기 기본콘텐츠를 방송스트림 생성부(610), 상기 부가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버(630)로 전달한다.
방송스트림 생성부(61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한다.
방송망 송신부(620)는 생성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한다.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이 경우, 상기 방송망 송신부(620) 또는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방송망 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더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망 송신부(62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모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모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망 송신부(62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방송망 송신부(62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URL 및 UR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채널 ID, 프로그램 넘버, 및 ES_P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먼저 수신한 경우,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방송망 송신부(62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방송망을 통하여 미리 상기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상기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는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나,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어느 하나만 아는 경우에도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시스템(60)에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이나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리밍 서버(63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푸쉬 또는 풀 방식으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630)에서 생성하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복수이고, 다른 인코딩률로 인코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적합한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콘텐츠 서버(700), 기본콘텐츠 인코더(710),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720), 방송 스트림 다중화부(730), 송신부(740), 부가콘텐츠 인코더(750), 메타데이터 생성부(760), 스트리밍 생성부(770), 프로토콜 처리부(78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700)는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와 부가콘텐츠 중, 상기 기본콘텐츠는 기본콘텐츠 인코더(710)로 전달하고, 상기 부가콘텐츠는 부가콘텐츠 인코더(750)로 전달한다. 상기 부가콘텐츠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된다.
상기 기본콘텐츠는 콘텐츠 서버(700)에서 방송 스케줄에 맞추어 기본콘텐츠 인코더(710)로 전달된다.
기본콘텐츠 인코더(710)는 상기 기본콘텐츠를 정해진 방식으로 인코딩하고, 기초스트림 형태로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기초스트림은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을 형성한다.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송출하는 경우 복수의 기초스트림은 방송 스트림 다중화부(730)를 거쳐 하나의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TS)으로 출력된다.
상기 전송스트림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기초스트림을 찾아내기 위해 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종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전송되어야 한다. 상기 정보는 ATSC의 PSIP/PSI, DVB의 SI 규격에서 다루고 있으며, 데이터 스트림과 별도의 테이블 형태(이하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이라 한다.)로 상기 단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620)에서 생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포함한 메타 정보가 새롭게 정의되어 상기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수신 단말이 부가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작 접근 정보로서 IP망을 가정하면 URL 또는 URI를 뜻한다.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송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리밍 서버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위치 정보이거나, 상기 부가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타 파일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후술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760)에서 생성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두 콘텐츠가 연동될 때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을 알려주는 정보이거나, 상기 두 콘텐츠를 프레임(기초 스트림에서는 엑세스 유닛)단위로 동기 맞추어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동기 정보이다.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을 알려주는 정보는 ATSC A/93 규격의 트리거링 메커니즘(triggering mechanism)을 사용할 수 있다. ATSC A/93 규격의 트리거링 메커니즘은 미리 전송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재생 또는 시작 시점을 PTS(presentation time stamp) 값을 통하여 알려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연동형 서비스에 상기 메커니즘을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단말의 수신기가 상기 기본콘텐츠의 전송 전에 방송채널에 진입한 경우 연동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시점뿐만 아니라, 상기 부가콘텐츠의 어느 재생 위치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연동 재생 정보를 추가적인 필드로 정의하여 넣어줄 수 있다. 상기 필드는 ATSC A/93을 확장하여 본 발명과 같이 연동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그 콘텐츠의 이용에 대한 트리거링 시그널링(triggering signaling)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필드의 목적은 연동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상기 부가콘텐츠의 어느 위치부터 재생하여야 하느냐를 알려주기 위한 시그널링으로서, 기존 규격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은 시작만 알려주면 되고, 콘텐츠도 항상 처음부터 재생하기 때문에 필요치 않았으나, 본 발명의 프레임 또는 AU 레벨로 연동 재생하기 위해서는 이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정보의 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가콘텐츠가 부분마다 오더링(ordering) 되었다고 가정하면 이를 인덱싱(indexing) 하기 위한 인덱스(index) 정보이다. 비디오 콘텐츠의 경우 프레임 넘버(frame number)나 GOP 넘버가 될 수 있다.
두번째는 기본콘텐츠와 부가콘텐츠를 연동 재생, 즉 동기맞추어 재생하기 위해서는 두 콘텐츠에 짝이 되는 부분을 알려주기 위해 마크(mark)를 넣어줬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콘텐츠를 기본콘텐츠와 부가콘텐츠의 두 스트림으로 나누어 전송한다면 각 프레임에 특정 클럭(clock)을 레퍼런스(reference)로 한 타임 코드(time code)나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될 수 있다.
세번째는 기본콘텐츠의 현재 전송되는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정보로서 기본콘텐츠의 첫번째 프레임이 전송될 때 찍힌 시작(initial) PTS 정보이다. 또한 원래 트리거 신호에 원래 삽입된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알려주는 PTS는 현재 전송되는 프레임의 현재(current) PTS를 알려준다. PTS 값이 프레임이 진행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한다면, 이 두 PTS로부터 수신기는 현재 PTS를 갖고 있는 기본콘텐츠의 프레임이 몇번째 프레임인지 계산할 수 있다. 만약 부가콘텐츠도 기본콘텐츠와 같은 프레임 오더링(frame orde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 이는 곧 기본콘텐츠의 현재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의 프레임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이 위치부터 재생하면 두 콘텐츠를 동기를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HD 영상보다 해상도가 큰 UHD 영상의 소스를 스케일러블 코딩(scalable coding)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원 영상을 다운샘플링(downsampling)한 HD 영상은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로서, 인코딩하여 방송망으로 전송되는 기본콘텐츠로 생각하고, UHD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로서 스케일러블 코덱(scalable codec)을 사용하여 인코딩한 UHD 영상을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부가콘텐츠로 볼 수 있다. 두 스트림은 같은 프레임 오더링을 가지므로 현재 기본콘텐츠의 프레임 위치를 알면 부가콘텐츠의 대응 프레임 위치를 알 수 있고, 이 프레임부터 디코딩하여 두 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UHD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세번째 정보의 경우, 송신단에서 시작 PTS와 현재 PTS 사이에 클럭 디스컨티뉴이티(clock discontinuity)가 발생한 경우 활용할 수 없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다중화된 TS를 바로 송출하지 않고 재다중화기를 두어 클럭 디스컨티뉴이티와 디스컨티뉴이티되는 오프셋(offset)을 검출하여 오프셋만큼 시작 PTS 값에 더해줘서 수신단에서는 클럭이 선형적으로 변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두 콘텐츠를 프레임(기초 스트림에서는 엑세스 유닛)단위로 동기 맞추어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동기 정보는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콘텐츠 스트림의 특정 위치(AU)를 기준으로 대응하는 부가콘텐츠 스트림의 위치(AU)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프레임 넘버를 사용하거나 프레임 넘버를 계산할 수 있는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정보는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다중화할 때 패킷화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의 헤더에 삽입할 수도 있다.
방송 스트림 다중화부(730)는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720)에서 생성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과 상기 기본콘텐츠 인코더(710)에서 생성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다중화한 전송스트림을 송신부(740)로 보낸다.
송신부(740)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과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포함한 상기 다중화된 전송스트림을 채널 인코딩, 변조 등의 과정을 거쳐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되는 상기 기본콘텐츠와는 달리 상기 부가콘텐츠는 방송 스케줄에 맞추어 스트리밍 형태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된다. 또는, 상기 부가콘텐츠는 상기 단말의 요청이 있을 때 스트리밍 형태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될 수도 있다.
부가 콘텐츠 인코더(750)는 콘텐츠 서버(700)로부터 상기 부가콘텐츠를 전달받는다. 부가 콘텐츠 인코더(750)는 상기 부가콘텐츠를 인코딩한다. 상기 인코딩된 부가콘텐츠는 TS와 같은 스트림 형태이거나 특정 파일 포맷으로 랩핑(wrapping)된 형태이다. 이 경우, 부가 콘텐츠 인코더(750)는 상기 부가콘텐츠를 다른 인코딩률을 가진 복수개의 부가콘텐츠 스트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통신망의 통신 환경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이 끊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는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본콘텐츠의 현재 프레임을 알면, 동일한 프레임 오더링을 가진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바로 찾을 수 있고, 이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를 재생하여 두 콘텐츠를 동기를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760)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새로운 메타데이터로 정의하여 생성한다. 이 경우 메타데이터 생성부(76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스트리밍 생성부(770)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과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입력받아 스트리밍을 위한 정보들로 변환하고 스트리밍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를 생성한다.
프로토콜 처리부(780)는 스트리밍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즉,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하거나 패킷을 수신하여 해석한다. 이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부가콘텐츠 송신 요청을 받으면 스트리밍 생성부(770)에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받아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한다. 송신한 상기 패킷에 대한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 패킷을 수신하거나, 송신한 상기 패킷에 대한 오류가 있음을 아는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780)는 해당 상기 패킷을 재송신한다.
상기 스트리밍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실시간 중계를 지원하는 모든 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MP(Real-Time Messaging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등 뿐 아니라, 어댑티브 스트리밍(Adaptive Streaming)을 지원하는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토콜 처리부(780)에 의한 주요 송신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가콘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 스트리밍 환경 설정을 위해 스트리밍 생성부(770)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와 제어를 위한 논리적 채널을 따로 둘 경우 상기 동작은 제어 채널에서 일어난다. 환경 파라미터와 인코딩률이 설정되면 스트리밍 패킷을 송신한다. 이 때,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보다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먼저 송신하고 이후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서 요청한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을 가진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요청하면 그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을 가진 부가콘텐츠 스트림으로 스위치(switch)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 방식의 서비스에서 다양한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또는 포트)로 다른 인코딩률을 가진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송신 시스템에서 이종망을 통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스트림의 형태로 수신하는 상기 단말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80)은 방송망 수신부(800), 통신망 수신부(810), 및 방송콘텐츠 재생부(820)을 포함한다.
방송망 수신부(800)는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통신망 수신부(810)는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방송망 수신부(800) 또는 상기 통신망 수신부(81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방송망 수신부(80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와 함께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 수신부(810)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망 수신부(80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송신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통신망 수신부(810)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상기 송신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방송콘텐츠 재생부(820)은 수신된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기반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 이 경우, 방송콘텐츠 재생부(820)는 상기 수신한 연동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동기화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연동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 상기 방송콘텐츠는 상기 단말에서 시청자에게 최종적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로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로 구성된다.
또한, 통신망 수신부(81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에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 수신부(810)는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리밍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단말은 수신 처리부(900), 기본콘텐츠 디코더(910),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920), 프로토콜 처리부(930), 스트리밍 복원부(940), 부가콘텐츠 디코더(950), 서비스 관리부(960), 동기화부(970), 렌더링부(980)을 포함한다.
수신 처리부(900)는 RF 신호 수신, 복조, 채널 디코딩 기능 등을 수행하며, 동시에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단말에서 선택한 기본콘텐츠의 추출 기능까지 수행한다. 이 경우 수신 처리부(900)는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다중화된 스트림에 포함된 방송콘텐츠의 종류, 구성 정보 및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및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등을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920)로 전달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920)는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서비스 관리부(96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92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또는 상기 기본콘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 정보를 서비스 관리부(960)에 더 전달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92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동기화부(970)에 전달한다. 또는 수신 처리부(900)에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동기화부(970)로 바로 전달할 수도 있다.
서비스 관리부(96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상기 부가콘텐츠를 얻기 위하여 프로토콜 처리부(960)가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부가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및 수신 신호를 보낸다. 이 경우, 서비스 관리부(960)는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를 지정하여 프로토콜 처리부(96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프로토콜 처리부(930)는 서비스 관리부(960)로부터 받은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부가콘텐츠 요청 신호를 패킷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송신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930)는 상기 부가콘텐츠를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비록 여기서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수신된 상기 다중화된 스트림(기본콘텐츠 스트림을 포함한다)으로부터 얻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상기 부가콘텐츠 접근 정보는 독립적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나 미리 아는 서버 IP 어드레스/포트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근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타파일(예를 들면 다수의 연결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파일을 포함한다.)을 통해 상기 부가콘텐츠의 스트리밍 URL 인코딩 타입 등의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프로토콜 처리부(93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 및 메타 정보를 패킷으로 수신한다. 상기 수신한 패킷이 오류가 있을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오류가 없는 패킷의 페이로드는 스트리밍 복원부(940)로 전달된다.
스트리밍 복원부(940)는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동기화부(970)로 전달한다. 스트리밍 복원부(940)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부가콘텐츠 디코더(950)로 전달한다. 한편, 만약, 상기 단말이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포함한 메타 정보와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보다 먼저 수신하는 경우, 스트리밍 복원부(94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서비스 관리부(9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복원부(940)는 상기 통신망 트래픽 변화로 인해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의 수신이 늦어지거나 너무 낮은 레이트로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상기 통신망 트래픽에 맞춰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버퍼의 인풋 레이트(input rate)와 플레이백 레이트(playback rate)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부가콘텐츠 디코더(950)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상기 부가콘텐츠를 획득한다.
동기화부(970)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와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를 기반으로,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시점을 알아내어 상기 부가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트리거(trigger)한다. 이 경우 ATSC A/93에 따라 연동 정보가 전달되면 동기화부(970)는 그 정보를 해석하여 부가콘텐츠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부(970)는 상기 부가콘텐츠를 상기 기본콘텐츠와 프레임 단위로 동기를 맞추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프레임 넘버를 계산해야 한다. 상기 연동 재생 정보로 상기 기본콘텐츠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와 상기 기본콘텐츠의 FPS(frame per second) 정보로부터 현재 상기 기본콘텐츠가 몇번째 프레임을 재생하는지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부가콘텐츠의 프레임을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프레임에 맞출 수 있다. 만약 상기 두 콘텐츠의 재생 위치가 다를 경우는 버퍼링(buffering)을 통하여 상기 기본콘텐츠의 재생 위치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부가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조절한다.
렌더링부(980)는 동기화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연동하여 상기 방송콘텐츠를 재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가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함으로써 다운로드 방식에 비해 다운로드 시간으로 인한 지연을 피할 수 있어 AV 서비스와 같은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부가콘텐츠를 다운로드하지 않으므로 대용량 저장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방송 전 상기 부가콘텐츠 유출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방향 방송망에 비해 양방향 통신망의 장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예약하지 못한 방송의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근한 시간 이후부터의 상기 부가콘텐츠 부분에 대해서만 스트리밍 받아 재생함으로써, 상기 부가콘텐츠 전체를 다운받을 필요가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에서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으로,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프레임 인덱스, 타임스탬프, 및 PT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URL 및 UR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에 포함되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프레임 인덱스, 타임스탬프, 및 PT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채널 ID, 프로그램 넘버, 및 ES_P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복수이고, 다른 인코딩률(encoding rate)로 인코딩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방법.
  7.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에서 방송콘텐츠 수신 방법으로,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기반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에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방법.
  11.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으로,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방송스트림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하여 단말로 송신하는 방송망송신부; 및
    상기 기본콘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망 송신부 또는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 송신부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상기 기본콘텐츠 스트림에 포함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프레임 인덱스, 타임스탬프, 및 PT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URL 및 UR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는 프레임 인덱스, 타임스탬프, 및 PT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는 채널 ID, 프로그램 넘버, 및 ES_P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서 생성하는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은 복수이고, 다른 인코딩률로 인코딩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송신 시스템.
  17.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로서,
    기본콘텐츠에 관한 기본콘텐츠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방송망 수신부;
    상기 기본콘텐츠에 연동되는 부가콘텐츠에 관한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망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기본콘텐츠 스트림 및 부가콘텐츠 스트림을 기반으로 방송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콘텐츠 재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망 수신부 또는 상기 통신망 수신부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콘텐츠 재생부가 상기 기본콘텐츠와 상기 부가콘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 수신부는 상기 기본콘텐츠에 관한 연동 재생 정보 및 상기 부가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수신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에 상기 부가콘텐츠의 특정 재생 위치부터 상기 부가콘텐츠의 송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수신부는 상기 통신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 특정 인코딩률로 인코딩된 상기 부가콘텐츠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시스템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 수신 단말.
KR1020120029158A 2011-03-22 2012-03-22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107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05,077 US20130346566A1 (en) 2011-03-22 2012-03-22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ssociated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heterogeneous network
EP12760647.3A EP2690876A4 (en) 2011-03-22 2012-03-22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BROADCAST CONTENT LINKED THROUGH A HETEROGENEOUS NETWORK
PCT/KR2012/002057 WO2012128563A2 (ko) 2011-03-22 2012-03-22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62 2011-03-22
KR20110025162 2011-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882A true KR20120107882A (ko) 2012-10-04

Family

ID=4727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158A KR20120107882A (ko) 2011-03-22 2012-03-22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46566A1 (ko)
EP (1) EP2690876A4 (ko)
KR (1) KR20120107882A (ko)
WO (1) WO2012128563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638B1 (ko) * 2012-11-15 2015-02-09 (주)씨디네트웍스 통신망의 종류를 구분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65104A1 (en) * 2013-11-01 2015-05-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WO2016027979A1 (ko) * 2014-08-20 2016-02-25 전자부품연구원 Shvc 기반의 uhd 영상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60094000A (ko) * 2015-01-30 2016-08-09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수신 장치 및 융합방송 출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
US10080055B2 (en) 2013-12-23 2018-09-1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broadcast content via one or more networ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57B1 (ko) * 2012-03-09 2018-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액세스 오버레이 방송망 구성 장치
KR102130733B1 (ko) * 2012-08-22 2020-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증강 서비스 제공장치 및 수신장치
US9426506B2 (en) * 2012-08-22 2016-08-23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Apparatuse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in hybrid broadcasting environment
US10013804B2 (en) 2012-10-31 2018-07-03 Outward, Inc. Delivering virtualized content
US10462499B2 (en) * 2012-10-31 2019-10-29 Outward, Inc. Rendering a modeled scene
KR101733504B1 (ko) * 2013-09-09 201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고화질 uhd 방송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7149A (ko) * 2013-11-18 2015-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전송망에 기초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609372B2 (en) * 2013-12-20 2017-03-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gram support service based on secondary network and connection
KR101788066B1 (ko) 2014-01-13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10743082B2 (en) * 2014-04-11 2020-08-11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102202597B1 (ko) 2014-06-20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 기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WO2016013147A1 (ja) * 2014-07-22 2017-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
KR20160146022A (ko) * 2015-06-11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559698A (zh) * 2015-09-28 2017-04-05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7231698B (zh) * 2016-03-25 2020-04-0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无线蜂窝网中数据的传输方法、终端及基站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1719A (en) * 1997-11-06 2000-05-09 Lucent Technologies Inc. Synchronized present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and web content
GB0105588D0 (en) * 2001-03-06 2001-04-25 Sony Uk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sing internet and television services
FR2859859A1 (fr) * 2003-09-16 2005-03-18 France Telecom Procede et module de reception de signaux de television
US8856118B2 (en) * 2005-10-31 2014-10-0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rich content media
KR100763753B1 (ko) * 2006-09-21 2007-10-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 기반의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05723B1 (ko) 2006-12-08 2009-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실시간 기반의 디지털 실감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US9847845B2 (en) * 2007-10-09 2017-12-19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content to a program stream
KR100938283B1 (ko) * 2007-12-18 2010-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83207A1 (en) * 2008-01-10 2009-07-16 Neil Patel Integrated Content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Media Player
KR101436887B1 (ko) * 2008-02-26 2014-09-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N102483777A (zh) * 2008-10-10 2012-05-30 S·E·特纳 到达远程用户的内容数据流的受控传递
US9049430B2 (en) *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789631B1 (ko) * 2009-11-17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US9247286B2 (en) * 2009-12-31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ting supporting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video data communication
US20120050462A1 (en) * 2010-08-25 2012-03-01 Zhibing Liu 3d display control through aux channel in video display devices
US9172943B2 (en) * 2010-12-07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modification of video content at a set-top box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638B1 (ko) * 2012-11-15 2015-02-09 (주)씨디네트웍스 통신망의 종류를 구분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65104A1 (en) * 2013-11-01 2015-05-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313716B2 (en) 2013-11-01 2019-06-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652598B2 (en) 2013-11-01 2020-05-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1070858B2 (en) 2013-11-01 2021-07-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080055B2 (en) 2013-12-23 2018-09-1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broadcast content via one or more networks
WO2016027979A1 (ko) * 2014-08-20 2016-02-25 전자부품연구원 Shvc 기반의 uhd 영상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60022661A (ko) * 2014-08-20 2016-03-02 전자부품연구원 Shvc 기반의 uhd 영상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US10284890B2 (en) 2014-08-20 2019-05-07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HVC-based UHD ima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KR20160094000A (ko) * 2015-01-30 2016-08-09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수신 장치 및 융합방송 출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8563A3 (ko) 2013-01-03
EP2690876A4 (en) 2014-10-15
US20130346566A1 (en) 2013-12-26
WO2012128563A2 (ko) 2012-09-27
EP2690876A2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7882A (ko)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7280408B2 (ja)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US10454985B2 (en) File format based streaming with dash formats based on LCT
KR101927145B1 (ko)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의 렌더링을 동기화하기 위한 디코더 및 이러한 디코더에서의 방법
KR101759959B1 (ko) 미디어 컴포넌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101797507B1 (ko) 미디어 컨텐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70089863A (ko) 멀티미디어 및 파일 전송을 위한 전송 인터페이스
KR20170074866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20033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KR20120084252A (ko) 복수의 실시간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그 송신 장치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US20130271568A1 (e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apparatus for providing hybrid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200021867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Concolato et al. Synchronized delivery of multimedia content over uncoordinated broadcast broadband networks
US20110088069A1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ream switch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Veenhuizen et al. Frame accurate media synchronization of heterogeneous media sources in an HBB context
KR20130056829A (ko) 3dtv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16894A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