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416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416A
KR20110001416A KR1020090058938A KR20090058938A KR20110001416A KR 20110001416 A KR20110001416 A KR 20110001416A KR 1020090058938 A KR1020090058938 A KR 1020090058938A KR 20090058938 A KR20090058938 A KR 20090058938A KR 20110001416 A KR20110001416 A KR 2011000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ipe
control signal
output control
en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연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5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416A/ko
Publication of KR2011000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39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using pipelining techniques, i.e. using latches between functional memory parts, e.g. row/column decoders, I/O buffers, sense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파이프 입력 신호 및 파이프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며 출력하는 제 1 파이프 래치, 제 2 파이프 래치, 제 3 파이프 래치, 및 제 4 파이프 래치,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제 1 출력 제어 신호 및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래치부,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 1 플립 플롭,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제 3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 2 플립 플롭,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 및 제 4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 상기 래치부, 상기 제 1 플립 플롭, 및 상기 제 2 플립 플롭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라이징 데이터, 및 폴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파이프 먹스를 포함한다.
파이프 래치, 파이프 출력, 파이프 입력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를 입력 받을 경우에는 직렬로 데이터를 입력 받아 병렬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병렬인 데이터를 다시 직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1~14), 제 1 및 제 2 플립 플롭(FF11,FF12) 및 파이프 먹스(MUX)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2~14)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 1파이프 래치(11)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11)는 제 1 내지 제 4 인버터(IV1~IV4),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P1, P2, N1, N2), 및 패스 게이트(PG1)를 포함하여,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ev<0>)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rdo0)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1~14)는 해당 데이터(gio_ev<0:1>, gio_od<0:1>)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4 파이프 래치(11~14) 각각은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 래치(11, 12)의 출력(rdo0, fdo0)은 파이프 먹스(MUX)로 입력된다. 하지만, 상기 제 3 및 제 4 파이프 래치(13, 14)의 각 출력은 제 1 및 제 2 플립 플롭(FF11, FF12)에 입력된다. 상기 제 1 플립 플롭(FF11)은 제 1 내지 제 4 출력 제어 신호(prout0, pfout0, prout1, pfout1) 중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인에이블되면 입력받은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13)의 출력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에 출력한다. 즉,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13)의 출력은 상기 제 1 플립 플롭(FF11)의 출력(rdo1)으로서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로 입력된다. 상기 제 2 플립 플롭(FF12)은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입력받은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14)의 출력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에 출력한다. 즉,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14)의 출력은 상기 제 2 플립 플롭(FF12)의 출력(fdo1)으로서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에 입력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출력 제어 신호(prout0, pfout0, prout1, pfout1)가 각 인에이블되면 입력 받은 데이터(rdo0, fdo0, rd01, fdo1)를 선택하여 라이징 데이터(rdo) 및 폴링 데이터(fdo)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3 파이프 래치(11, 13)가 입력 받은 데이터(gio_ev<0>, gio_ev<1>)를 상기 제 1 및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0, 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라이징 데이터(rdo 즉, ev0, ev1)로서 출력한다. 또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 2 및 제 4 파이프 래치(12, 14)가 입력 받은 데이터(gio_od<0>, gio_od<1>)를 상기 제 2 및 제 4 출력 제어 신호(gio_od<0>, gio_od<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폴링 데이터(fdo, 즉, od0, od1)로서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파이프 래치(11)는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에 응답하여 패스 게이트(PG1)가 턴온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패스 게이트(PG1)의 경우 고속동작에서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어, 고속 동작시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11)의 출력 데이터의 천이 기울기는 작아진다.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1~14)는 모두 동일한 구조이고,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 래치(11, 12)는 파이프 먹스(MUX)로 직접 출력 신호를 제공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 래치(11, 12)의 출력 데이터의 천이 기울기가 작아지는 것은 데이터 출력의 마진(margin)을 부족하게 만들고, 결국 마진 부족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속 동작에서도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파이프 입력 신호 및 파이프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며 출력하는 제 1 파이프 래치, 제 2 파이프 래치, 제 3 파이프 래치, 및 제 4 파이프 래치,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제 1 출력 제어 신호 및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래치부,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 1 플립 플롭,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제 3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 2 플립 플롭,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 및 제 4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 상기 래치부, 상기 제 1 플립 플롭, 및 상기 제 2 플립 플롭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라이징 데이터, 및 폴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파이프 먹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고속 동작에서도 데이터를 정상적으로출력할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고속 동작시에도 데이터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01~104), 래치부(201), 제 1 및 제 2 플립 플롭(FF11, FF12), 및 파이프 먹스(MUX)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01~104) 각각은 파이프 입력 신호(pin) 및 파이프 출력 신호(pout)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gio_ev<0:1>, gio_od<0:1>)를 입력 받아 저장하며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101)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ev<0>)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0)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od<0>)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래치부(201)로 출력한다.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103)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ev<1>)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플립플롭(FF1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104)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od<1>)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플립플롭(FF12)으로 출력한다.
상기 래치부(201)는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pipe2_out)을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 및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에 응답하여 입력 받아 출력하고 저장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치부(201)는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pipe_out)을 입력 받아 출력하고,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만 디스에이블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제어 신호(prout0, pfout0)가 모두 인에이블되면 출력하던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pipe2_out)을 저장하고 출력한다. 이때, 상기 래치부(201)는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pipe2_out)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0)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1 플립플롭(FF11)은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103)의 출력을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플립플롭(FF11)은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103)의 출력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1)으로서 출력하며 저장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FF12)은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104)의 출력을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플립플롭(FF12)은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104)의 출력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1)으로서 출력하며 저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0, pfout0, prout1) 및 제 4 출력 제어 신호(pfout1)에 응답하여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0, fdo0, rdo1, fdo1)을 선택적으로 라이징 데이터(rdo) 또는 폴링 데이터(fdo)로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4 출력 제어 신호(prout0, pfout0, prout1, pfout1)는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된 이후 순차적으로 지연되어 출력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0)을 상기 라이징 데이터(rdo)로서 출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0)을 상기 폴링 데이터(fdo)로서 출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1)을 상기 라이징 데이터(rdo)로서 출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4 출력 제어 신호(pf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1)을 상기 폴링 데이터(fdo)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101~104) 각각은 구성이 동일하여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101)의 구성만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101)는 입력 저장부(101-1) 및 드라이버(101-2)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저장부(101-1)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ev<0>)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
상기 입력 저장부(101-1)는 제 1 내지 제 4 인버터(IV11, IV12, IV13, IV14), 및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P11, P12, N11, N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버터(IV11)는 데이터(gio_ev<0>)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2 인버터(IV12)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1)는 게이트에 상기 제 1 인버터(IV1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소오스에 외부 전압(VDD)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P12)는 게이트에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를 입력받고 소오스에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1)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N11)는 게이트에 상기 제 2 인버터(IV12)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드레인에 상기 제 2 트랜지스터(P12)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12)는 게이트에 상기 제 1 인버터(IV11)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3 트랜지스터(N11)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접지단(VSS)이 연결된다. 상기 제 3 인버터(IV13)는 입력단에 상기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P12, N12)가 연결된 노드가 연결된다. 상기 제 4 인버터(IV14)는 입력단에 상기 제 3 인버터(IV13)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에 상기 제 3 인버터(IV13)의 입력단이 연결된다.
상기 드라이버(101-2)는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입력 저장부(10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0)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드라이버(101-2)는 제 1 낸드 게이트(ND11), 및 제 5 내지 제 7 트랜지스터(P13, N13, N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ND11)는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 및 상기 제 4 인버터(IV14)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P13)는 게이트에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ND11)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 고 소오스에 외부 전압(VDD)을 인가받는다. 상기 제 6 트랜지스터(N13)는 게이트에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를 입력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5 트랜지스터(P13)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7 트랜지스터(N14)는 게이트에 상기 제 3 인버터(IV13)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드레인에 상기 제 6 트랜지스터(N13)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접지단(VSS)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5 및 제 6 트랜지스터(P13, N13)가 연결된 노드에서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0)이 출력된다.
상기 래치부(201)는 제 5 내지 제 8 인버터(IV15~IV18), 제 2 낸드 게이트(ND12), 패스 게이트(PG11), 및 제 8 내지 제 11 트랜지스터(P14, P15, N15, N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5 인버터(IV15)는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ND12)는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 및 상기 제 5 인버터(IV15)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6 인버터(IV16)는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ND1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7 인버터(IV17)는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pipe2_out)을 입력받는다. 상기 패스 게이트(PG11)는 제 1 제어단에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ND1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고 제 2 제어단에 상기 제 6 인버터(IV16)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으며 입력단에 상기 제 7 인버터(IV17)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8 인버터(IV18)는 입력단에 상기 패스 게이트(PG1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0)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8 트랜지스터(P14)는 게이트에 상기 제 8 인버터(IV18)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으며 소오스에 외부 전압(VDD)을 입력 받는다. 상기 제 9 트랜지스터(P15)는 게이트에 상기 제 6 인버터(IV16)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제 8 트랜지스터(P14)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N15)는 게이트에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ND1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으며 드레인에 상기 제 9 트랜지스터(P15)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N16)는 게이트에 상기 제 8 인버터(IV18)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드레인에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N15)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접지단(VSS)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파이프 래치(101)는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ev<0>)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파이스 먹스(MUX)의 입력(rdo0)으로서 출력한다.
제 2 파이프 래치(102)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od<0>)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래치부(201)에 출력한다. 상기 래치부(201)는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pipe2_out)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0)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0) 레벨을 유지시킨다.
제 3 파이프 래치(103)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ev<1>)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플립플롭(FF1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플립플롭(FF11)은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103)의 출력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rdo1)으로서 출력하며 저장한다.
제 4 파이프 래치(104)는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pin)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gio_od<1>)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pout)가 인에이블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제 2 플립플롭(FF12)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FF12)은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104)의 출력을 상기 파이프 먹스(MUX)의 입력(fdo1)으로서 출력하며 저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101)의 출력(rdo0)을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가 인에이블되면 라이징 데이터(rdo)로서 출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래치부(201)의 출력(fdo0)을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가 인에이블되면 폴링 데이터(fdo)로서 출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1 플립플롭(FF11)의 출력(rdo1)을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pr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라이징 데이터(rdo)로서 출력한다. 상기 파이프 먹스(MUX)는 상기 제 2 플립플롭(FF12)의 출력(fdo1)을 상기 제 4 출력 제어 신호(pfout1)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폴링 데이터(fdo)로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7과 같이, 파이프 출력 신호(pout)의 인에이블 타이밍을(도 3에 비해)을 앞당겨 데이터 출력 마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래치부(201)가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prout0)와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pfout0)의 인에이블 타이밍 사이에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102)의 출력을 저 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인 각 파이프 래치(101~1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입력 신호(pin)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저장하는 구성(입력 저장부, 101-1)과, 파이프 출력 신호(pout)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드라이빙하여 출력하는 구성(드라이버, 101-2)을 구비하기 때문에, 각 파이프 래치(101~104)들이 고속동작을 수행하더라도 각 파이프 래치(101~104) 출력들의 천이 기울기가 커져,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 필요한 마진(margin)을 더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파이프 래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파이프 래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래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4: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 201: 래치부
FF11, FF12: 제 1 및 제 2 플립플롭 MUX: 파이프 먹스

Claims (6)

  1. 파이프 입력 신호 및 파이프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며 출력하는 제 1 파이프 래치, 제 2 파이프 래치, 제 3 파이프 래치, 및 제 4 파이프 래치;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제 1 출력 제어 신호 및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래치부;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 1 플립 플롭;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제 3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 2 플립 플롭;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 및 제 4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 상기 래치부, 상기 제 1 플립 플롭, 및 상기 제 2 플립 플롭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라이징 데이터, 및 폴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파이프 먹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출력 제어 신호는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된 이후 순차적으로 지연되어 출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 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입력 받아 출력하며,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만이 디스에이블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제어 신호가 모두 인에이블되면 출력하던 상기 제 2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저장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파이프 래치 각각은
    상기 파이프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해당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입력 저장부, 및
    상기 파이프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입력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드라이빙하여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립 플롭은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3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입력 받아 저장하고 출력하며,
    상기 제 2 플립 플롭은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4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 입력 받아 저장학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먹스는
    상기 제 1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파이프 래치의 출력을상기 라이징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 2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상기 폴링 데이터로서 출력하며,
    상기 제 3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을 상기 라이징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 4 출력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2 플립 플롭의 출력을 상기 폴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90058938A 2009-06-30 2009-06-30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10001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38A KR20110001416A (ko) 2009-06-30 2009-06-30 반도체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38A KR20110001416A (ko) 2009-06-30 2009-06-30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16A true KR20110001416A (ko) 2011-01-06

Family

ID=4360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938A KR20110001416A (ko) 2009-06-30 2009-06-30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4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0956B2 (en) 2015-12-30 2017-11-28 SK Hynix Inc. La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390964A (zh) * 2018-04-23 2019-10-29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管道锁存器、使用管道锁存器的半导体装置和半导体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0956B2 (en) 2015-12-30 2017-11-28 SK Hynix Inc. La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390964A (zh) * 2018-04-23 2019-10-29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管道锁存器、使用管道锁存器的半导体装置和半导体系统
CN110390964B (zh) * 2018-04-23 2023-04-28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管道锁存器、使用管道锁存器的半导体装置和半导体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4701A1 (en) Semiconductor device
US8854897B2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pparatus and bit-line voltage controller thereof
CN102142273A (zh) 半导体集成电路
KR10114531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회로
CN110993002B (zh) 用于改进动态随机存取存储器(dram)中组件可靠性的系统和方法
US10985738B1 (en) High-speed level shifter
KR2011000141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11435605B (zh) 半导体器件及包括半导体器件的半导体系统
KR101893182B1 (ko) 데이터 출력 회로
US9312843B2 (en) Comparison circuit and impedance calibration circuit using the same
US8223571B2 (en) Generating and amplifying differential signals
US9384808B2 (en) Address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US78729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81849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76748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10109126A (ko) 모듈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모듈 및 반도체모듈의 제어방법
US9923627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9583214B2 (en) Semiconductor circuit and leakage current test system
US20170184673A1 (en) Test mode control circuit
CN109817268B (zh) 一种熔丝信号的多路选择电路、方法及半导体存储器
US8369174B2 (en) Power up signal generation circuit
US20110026561A1 (en) Temperature information outputting circuit and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109338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generating internal address
US11227643B1 (en)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to execute a burst operation
US20170244389A1 (en) Input and output circuits and integrated circuit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