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392A -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 Google Patents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392A
KR20110001392A KR1020090058910A KR20090058910A KR20110001392A KR 20110001392 A KR20110001392 A KR 20110001392A KR 1020090058910 A KR1020090058910 A KR 1020090058910A KR 20090058910 A KR20090058910 A KR 20090058910A KR 20110001392 A KR20110001392 A KR 2011000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hear
reinforcing
vertical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330B1 (ko
Inventor
윤장근
강수민
김욱종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3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벽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기 위하여 벽체 내에 전단보강철근을 설치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단보강철근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정밀도와, 전단강도의 향상, 및 시공성 개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수직지지철근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수직지지철근을 일측에서 감싸는 전단보강근으로 구성되어, 전단력에 대해 저항력을 발휘하는 전단철근부가 복수개로 일괄되게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Shear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Wall and Reinforcing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본 발명은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벽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기 위하여 벽체 내에 전단보강철근을 설치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단보강철근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정밀도와, 전단강도의 향상, 및 시공성 개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의 벽체에는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전단력에 벽체가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건물의 지하외벽과 같이 지중에 설치되는 벽체의 경우, 토압에 의하여 상당히 큰 전단력에 벽체에 작용하게 되며, 지하에 설치되는 깊이가 증가할수록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도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벽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벽체 내에 전단보강철근을 배근하여야 한다. 그러나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벽체 시공을 위한 골조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고, 벽체 내의 공간 활용에 불리하게 되므로, 전단보강철근을 벽체 내에 배근하여 저항력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종래에는 개별적인 형태의 전단보강철근을 내외측 수직철근 사이에 일일이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벽체의 전단보강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내측 휨보강철근(10) 및 외측 휨보강철근(20) 사이에 개별적인 전단보강철근(30)을 각각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편의상 수평철근(12, 22)을 생략하고 수직철근(11, 21)과 전단보강철근(30)만을 도시한 상태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도 1에 도시된 서로 수직한 x, y, z 방향을 각각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두께방향"이라고 표기한다. 수평방향은 벽체(100)의 넓이 방향(x축 방향)이며, 수직방향은 벽체(100)가 세워진 방향(y축 방향)이고, 두께방향은 벽체(1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벽체(100)가 세워졌을 때 실내가 되는 측면을 "내면"이라고 표기하며 내면 방향의 측면을 "내측"이라고 표기한다. 또한 벽체가 세워졌을 때 실외가 되는 측면(예를 들어, 지하에 설치되는 벽체의 경우에는 토압이 직접 작용하는 측면)을 "외면"이라고 표기하며 외면 방향의 측면을 "외측"이라고 표기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전단보강철근(30)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100)에는 내측으로 내측 휨보강철근(10)이 배근되며, 상기 내측 휨보강철근(10)과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는 외측 휨보강철근(20)이 배치된다. 상기 내측 휨보강철근(10) 및 외측 휨보강철근(20)은 각각 수직철근(11, 21)과 수평철근(12, 22)이 격자 형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단보강철근(30)은 상기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 사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데, 상기 전단보강철근(30)의 내측 방향의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11)을 감싸게 되고, 상기 전단보강철근(30)의 외측 방향의 단부는 수평방향을 지나서 두께방향으로 더 절곡되는데, 전단보강철근(30)의 두께방향의 직선부와 절곡된 단부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외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21)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단보강철근(30)이 위와 같이 직선부와 절곡된 양단부로 이루어진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전단보강철근(30)이 복수개로 각각 개별적으로 내,외측 휨보강철근(10, 20)에 결합된다. 즉, 내,외측 휨보강철근(10, 20) 사이에서 전단보강철근(30)을 개별적으로 묶어서 설치해야 하고, 이러한 작업을 벽체(100)에 필요한 개수로 여러 번 반복하여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전단보강철근(30)의 설치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단보강철근(30)을 희망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전단보강철근(30)의 설치위치와 설치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어, 전단력의 작용방향으로 전단보강철 근(30)이 설치되지 못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단보강철근(30)에 의한 전단력 보강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전단보강철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계된 위치와 간격으로 전단보강철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단보강철근의 설치에 의한 벽체의 전단력 보강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수직지지철근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수직지지철근을 일측에서 감싸는 전단보강근으로 구성되어, 전단력에 대해 저항력을 발휘하는 전단철근부가 복수개로 일괄되게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단철근부가 원하는 위치에 일괄되게 동시에 설치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체는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전단철근부가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되며 벽체에 작용 하는 전단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전단력에 저항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지하층에 설치되는 지하외벽에 대해 높은 전단강도를 가지도록 시공할 수 있으며, 초고층 빌딩 등과 같은 일반 건축물에서는 전단강도의 향상에 따른 벽체 두께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수직지지철근(2)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수직지지철근(2)을 일측에서 감싸는 전단보강근(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곡 전단보강근(3)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지지철근(2)과 결합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수직지지철근(2) 중에서 부재번호 2-1로 표시된 도면에서 우측의 수직지지철근을 제1수 직지지철근(2-1)이라고 표기하며, 부재번호 2-2로 표시된 도면에서 좌측의 수직지지철근을 제2수직지지철근(2-2)이라고 표기한다.
절곡 전단보강근(3)에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 사이에서 수직지지철근과 직각으로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지지철근부(4)가 존재한다.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을 감싸면서 외측을 향하여 두께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에는 각각 두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전단철근부(5-1)와 제2전단철근부(5-2)가 수평지지철근부(4)와 직각을 이루어 연속된다. 따라서 수평지지철근부(4) 및 그 양단에서 연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는 ㄷ자 형태의 ㄷ 철근부를 이루게 된다.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의 개방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ㄷ 철근부는, 복수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을 감싸면서 제1수직지지철근(2-1) 및 제2수직지지철근(2-2)과 결합되어 있다. 즉, ㄷ자 철근부에서, 제1전단철근부(5-1)와 제2전단철근부(5-2)가 수평지지철근부(4)와 만나는 모서리에 각각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편의상 이와 같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된 ㄷ 철근부를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1단계 ㄷ 철근부(S1), 2단계 ㄷ 철근부(S2) 및 3단계 ㄷ 철근부(S3)라고 각각 명명한다.
이와 같이 1, 2 및 3단계 ㄷ 철근부(S1, S2, S3)가 제1수직지지철근(2-1) 및 제2수직지지철근(2-2)과 결합된 상태에서, 2단계 ㄷ 철근부(S2)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높이철근부(6-1)가 직각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높이철근부(6-1)의 위쪽 단부는 3단계 ㄷ 철근부(S3)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의 아래에 결합된다. 즉, 2단계 ㄷ 철근부(S2)의 제1전단철근부(5-1)와, 그 위쪽에 위치한 3단계 ㄷ 철근부(S3)의 제1전단철근부(5-1)는,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높이철근부(6-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2단계 ㄷ 철근부(S2)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제2수직높이철근부(6-2)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높이철근부(6-2)의 아래쪽 단부는 1단계 ㄷ 철근부(S1)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의 위쪽으로 결합된다. 즉, 2단계 ㄷ 철근부(S2)의 제2전단철근부(5-2)와, 그 아래쪽에 위치한 3단계 ㄷ 철근부(S3)의 제2전단철근부(5-2)는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배치되는 제2수직높이철근부(6-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관계로 복수개의 ㄷ 철근부가 필요한 높이만큼 반복하여 연결됨으로써 수직지지철근(2)과 절곡 전단보강근(3)이 결합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는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벽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벽체 내에 설치 하여 벽체의 전단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인데, 다음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벽체에는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이 배치되는데 도 4에는 내측 휨보강철근(10) 및 외측 휨보강철근(20)을 위한 수직철근(11, 21)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내측 휨보강철근(10) 및 외측 휨보강철근(20)을 위한 수직철근(11, 21)을 각각 설치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51, 61은 각각 아래층의 벽체 또는 기초에서부터 연장되어 오는 겹침 수직철근(51, 61)이다.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11)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의 수직철근(21)은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수직철근(11)은 수평방향으로도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때, 전단보강을 위한 철근을 배치할 위치에서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11)은 아직 배치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수직지지철근 즉,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을 가진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11)을 설치함에 있어서,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설치할 위치에서 2개의 수직철근을 배치하지 않는 것이다.
도 5에는 수직철근(11, 21)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원래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 2개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전 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이 놓이도록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설치한다. 이 때 전단철근부(5-1, 5-2)가 외측 휨보강철근(20)을 향하도록,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배치된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외측 휨보강철근(20)에 수평철근(22)이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내측 휨보강철근(10)에도 수평철근(12)이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설치한 후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휨보강철근(20)과 내측 휨보강철근(10)에 각각 수평철근(22, 12)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외측 휨보강철근(20)의 수직철근(21)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철근(22)을 배치하여 수직철근(21)과 결합한다. 이 때,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직높이철근부(6-1, 6-2)가 위치하는 곳에 배치되는 수평철근(22)의 경우는 수평철근(22)이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의 앞쪽으로 배치되어 수직높이철근부(6-1, 6-2)를 가로지르게 된다. 따라서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수직높이철근부(6-1, 6-2)가 수평철근(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내측 휨보강철근(10)에 배치되는 수평철근(12)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직철근(11)과 수직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외측 휨보강철근(20)의 수평철근(22)을 먼저 설치하고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평철근(12)을 나중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평철근(12, 22)의 설치시 이러한 순서는 임의적 인 것으로서,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평철근(12)을 먼저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절곡 전단보강근(3)의 내측 방향은 수직지지철근(2-1, 2-2)에 의해 고정되고, 절곡 전단보강근(3)의 외측 방향은 외측 휨보강철근(20)의 수평철근(22)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절곡 전단보강근(3)의 전단철근부(5-1, 5-2)는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두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면 양단이 고정된 전단철근부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철근간의 결합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철사를 이용하여 엮어서 결합하거나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벽체 내에 설치하여 벽체의 전단보강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벽체의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을 각각 제작한 뒤,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와 조립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살펴본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설치한 후에 수직철근(11, 21)에 수평철근(12, 22)을 조립하여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을 완성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수직철근(11, 21)에 수평철근(12, 22)을 조립하여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을 조립한 후, 이를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와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는 수직철근(21)과 수평철근(22)을 조립하여 외측 휨보강 철근(20)이 제작된 후, 이를 본 발명의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평방향 양측으로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미리 수직철근(21)과 수평철근(22)을 조립하여 외측 휨보강철근(20)을 제작하고,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평방향 양측에서 상기 외측 휨보강철근(20)을 조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평방향 양측에서 조립되는 상기 외측 휨보강철근(20)에서 수평철근(22)은,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로의 조립방향의 가장자리 수직철근(2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즉, 가장자리 수직철근(21-1)의 수평방향 측면으로 수평철근(22)이 더 돌출되어 있는 수평철근돌출부(222)가 존재하는 것이다.
도 9에는 외측 휨보강철근(20)이 본 발명의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평방향 양측으로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평방향 양측으로 외측 휨보강철근(20)이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평철근돌출부(222)가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의 앞쪽에 배치되어 수직높이철근부(6-1, 6-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평지지봉(70)이 더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의 외측 휨보강철근(20)의 가장자리 수직철근(21-1)과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 앞쪽으로는, 가장자리 수직철근(21-1)과 수직높이철근부(6-1, 6-2)를 가로지르도록 추가적인 수평지지봉(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철근돌출부(222)가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의 앞쪽에 배치되므로, 절곡 전단보강근(3)의 외측 방향은 상기 수평철근돌출부(222) 및 이와 연속된 수평철근(22), 그리고 수평철근(22)과 결속된 수직철근(21)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수평지지봉(70)이 더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지지봉(70)에 의해서도 절곡 전단보강근(3)의 외측 방향이 고정된다.
한편, 내측 휨보강철근(10) 역시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데, 외측 휨보강철근(20)과 마찬가지로 수평철근(12)이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로의 조립방향의 가장자리 수직철근(1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수평철근돌출부(122)를 가지고 있어, 상기 수평철근돌출부(122)가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는 내측 휨보강철근(10)도 결합된 상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전단철근부(5-1, 5-2)가 절곡 전단보강근(3)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체로 된 절곡 전단보강근(3)이 수직지지철근(2)과 결합되어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로 사전 제작된 후, 내측 및 외측 휨보강철근(10, 2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단철근부가 일괄되게 동시에 설치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절곡 전단보강근(3)은 공장에서 사전제작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전단철근부가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되며 벽체에 작용하 는 전단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전단력에 저항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지하층에 설치되는 지하외벽에 대해 높은 전단강도를 가지도록 시공할 수 있으며, 초고층 빌딩 등과 같은 일반 건축물에서는 전단강도의 향상에 따른 벽체 두께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벽체에서 내측 휨보강철근 및 외측 휨보강철근 사이에 개별적인 전단보강철근을 각각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평철근의 도시를 생략하고 수직철근과 전단보강철근만을 도시한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 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 체를 벽체 내에 설치하여 벽체의 전단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철근 조립 체를 벽체 내에 설치하여 벽체의 전단보강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벽체의 내측 휨보강철근과 외측 휨보강철근을 각각 제작한 뒤, 전단보강철근 조립체와 조립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3 : 절곡 전단보강근

Claims (4)

  1. 벽체 내에 배치되어 벽체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벽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로서,
    벽체에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으로 이루어진 수직지지철근(2)과; 상기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을 내측에서 감싸며, 벽체의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철근부를 구비한 절곡 전단보강근(3)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절곡 전단보강근(3)은 연속된 철근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과 직각으로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수평지지철근부(4)가 배치되고, 각각 두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전단철근부(5-1)와 제2전단철근부(5-2)가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에서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와 직각을 이루어 연속되도록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을 감싸도록 외측을 향하여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 및 그 양단에서 연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에 의해 ㄷ자 형태의 ㄷ 철근부가 형성되고,
    상기 ㄷ 철근부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의 개방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로 상하 간격을 제1수직지지철근(2-1) 및 제2수직지지철근(2-2)과 결합되어 있고,
    ㄷ 철근부(S2)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높이철근부(6-1)가 직각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높이철근부(6-1)의 위쪽 단부는 위층에 놓인 ㄷ 철근부(S3)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의 아래에 결합되며,
    ㄷ 철근부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제2수직높이철근부(6-2)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높이철근부(6-2)의 아래쪽 단부는 아래층에 놓인 ㄷ 철근부(S1)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의 위쪽으로 결합되고,
    상기한 ㄷ 철근부 간의 연결구조가 복수개의 ㄷ 철근부에 대해 반복됨으로써, 절곡 전단보강근(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2. 벽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벽체 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로서,
    벽체내의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수직철근(11, 21)과 수평철근(12, 22)이 격자 형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이 배치되며;
    전단 보강이 필요한 위치에는 벽체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벽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배치되는데;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는, 벽체에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으로 이루어진 수직지지철근(2)과; 상기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을 내측에 서 감싸며, 벽체의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철근부를 구비한 절곡 전단보강근(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 전단보강근(3)은 연속된 철근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과 직각으로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수평지지철근부(4)가 배치되고, 각각 두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전단철근부(5-1)와 제2전단철근부(5-2)가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에서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와 직각을 이루어 연속되도록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을 감싸도록 외측을 향하여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 및 그 양단에서 연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에 의해 ㄷ자 형태의 ㄷ 철근부가 형성되고,
    상기 ㄷ 철근부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의 개방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로 상하 간격을 제1수직지지철근(2-1) 및 제2수직지지철근(2-2)과 결합되어 있고,
    ㄷ 철근부(S2)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높이철근부(6-1)가 직각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높이철근부(6-1)의 위쪽 단부는 위층에 놓인 ㄷ 철근부(S3)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의 아래에 결합되며,
    ㄷ 철근부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제2수직높이철근부(6-2)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높이철근부(6-2)의 아래쪽 단부는 아래층에 놓인 ㄷ 철근부(S1)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의 위쪽으 로 결합되고,
    상기한 ㄷ 철근부 간의 연결구조가 복수개의 ㄷ 철근부에 대해 반복됨으로써, 절곡 전단보강근(3)이 형성되며;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내측 휨보강철근(10)의 수직철근(11)은,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으로 대체되며;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직높이철근부(6-1, 6-2)가 위치하는 곳에 배치되는 수평철근(22)은,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의 앞쪽으로 수직높이철근부(6-1, 6-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3. 벽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벽체 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로서,
    전단 보강이 필요한 위치에는 벽체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벽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배치되는데;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는, 벽체에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으로 이루어진 수직지지철근(2)과; 상기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을 내측에서 감싸며, 벽체의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철근부를 구비한 절곡 전단보강근(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 전단보강근(3)은 연속된 철근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과 직각으로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수평지지철근부(4)가 배치되고, 각각 두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전단철근부(5-1)와 제2전단철근부(5-2)가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에서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와 직각을 이루어 연속되도록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의 양단부는 제1수직지지철근(2-1)과 제2수직지지철근(2-2)을 감싸도록 외측을 향하여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지지철근부(4) 및 그 양단에서 연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에 의해 ㄷ자 형태의 ㄷ 철근부가 형성되고,
    상기 ㄷ 철근부는, 제1 및 제2전단철근부(5-1, 5-2)의 개방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로 상하 간격을 제1수직지지철근(2-1) 및 제2수직지지철근(2-2)과 결합되어 있고,
    ㄷ 철근부(S2)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높이철근부(6-1)가 직각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높이철근부(6-1)의 위쪽 단부는 위층에 놓인 ㄷ 철근부(S3)의 제1전단철근부(5-1)의 외측 방향 단부의 아래에 결합되며,
    ㄷ 철근부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제2수직높이철근부(6-2)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높이철근부(6-2)의 아래쪽 단부는 아래층에 놓인 ㄷ 철근부(S1)의 제2전단철근부(5-2)의 외측 방향 단부의 위쪽으로 결합되고,
    상기한 ㄷ 철근부 간의 연결구조가 복수개의 ㄷ 철근부에 대해 반복됨으로 써, 절곡 전단보강근(3)이 형성되며;
    벽체내의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수직철근(11, 21)과 수평철근(12, 22)이 격자 형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내측 휨보강철근(10)과 외측 휨보강철근(20)이 배치되는데;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외측 휨보강철근(20)은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평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 휨보강철근(20)에서 수평철근(22)에는, 상기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로의 조립방향의 가장자리 수직철근(2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수평철근돌출부(2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철근돌출부(222)는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의 앞쪽에 배치되어 수직높이철근부(6-1, 6-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측 휨보강철근(10)은, 수직철근(11)이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제1 및 제2수직지지철근(2-1, 2-2)과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외측 휨보강철근(20)의 전단보강철근 조립체(1) 방향의 가장자리 수직철근(21-1)과 수직높이철근부(6-1, 6-2)의 내측 방향 앞쪽으로는, 가장자리 수직철근(21-1)과 수직높이철근부(6-1, 6-2) 를 가로지르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추가적인 수평지지봉(7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KR1020090058910A 2009-06-30 2009-06-30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KR10105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10A KR101056330B1 (ko) 2009-06-30 2009-06-30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10A KR101056330B1 (ko) 2009-06-30 2009-06-30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92A true KR20110001392A (ko) 2011-01-06
KR101056330B1 KR101056330B1 (ko) 2011-08-11

Family

ID=4360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910A KR101056330B1 (ko) 2009-06-30 2009-06-30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3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66B1 (ko) * 2011-01-21 2012-03-26 (주)유송엔지니어링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CN108547631A (zh) * 2018-05-22 2018-09-18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洞
CN108896413A (zh) * 2018-06-12 2018-11-27 上海交通大学 一种植物根系加固边坡土体的剪切强度增量随深度变化的预测方法
KR102093322B1 (ko) * 2019-07-15 2020-03-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내력벽을 갖는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KR102170635B1 (ko) * 2019-04-18 2020-10-28 유재천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KR20240009791A (ko) 2022-07-14 2024-01-23 (주)비케이철강 지하벽체의 배근작업 향상을 위한 철근망 선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의 철근의 배근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90B1 (ko) 2012-05-23 2013-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23211A (ko) 2014-08-21 2016-03-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근 매립 및 단부 연속화에 의한 벽체 전단보강 공법
KR101880343B1 (ko) 2015-09-11 2018-07-19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KR101778012B1 (ko) 2016-08-29 2017-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벽체 수직분할 및 수평철근 연속화에 의한 응답감소형 벽체 보강공법
KR102091436B1 (ko) 2019-11-08 2020-03-20 류승일 철근콘크리트 벽체용 전단보강 철근체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261089B1 (ko) 2021-01-07 2021-06-03 이종찬 벽체 배근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174A (ja) * 2005-01-26 2006-08-10 Daiho Constr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66B1 (ko) * 2011-01-21 2012-03-26 (주)유송엔지니어링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CN108547631A (zh) * 2018-05-22 2018-09-18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洞
CN108896413A (zh) * 2018-06-12 2018-11-27 上海交通大学 一种植物根系加固边坡土体的剪切强度增量随深度变化的预测方法
CN108896413B (zh) * 2018-06-12 2020-11-10 上海交通大学 一种植物根系加固边坡土体的剪切强度增量随深度变化的预测方法
KR102170635B1 (ko) * 2019-04-18 2020-10-28 유재천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KR102093322B1 (ko) * 2019-07-15 2020-03-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내력벽을 갖는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US11105111B2 (en) 2019-07-15 2021-08-3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Buttress assembly for seismic reinforcing of building having non-bearing walls
KR20240009791A (ko) 2022-07-14 2024-01-23 (주)비케이철강 지하벽체의 배근작업 향상을 위한 철근망 선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의 철근의 배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330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330B1 (ko)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KR101346814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100991851B1 (ko)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2449247B (zh) 半预制楼板及使用该半预制楼板的板材的构筑方法
KR102177360B1 (ko)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KR101128866B1 (ko)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RU2006126338A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JP6633362B2 (ja) 鉄骨コンクリート架構の補強構造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TWI570308B (zh) 鋼筋混凝土牆版之鋼筋結構及其工法
KR102163271B1 (ko)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적벽체패널모듈을 이용한 건축 공법
JP5382872B2 (ja) 建物
KR20100037285A (ko) 일체형 전단보강근이 구비된 전이슬래브의 철근배근구조
KR200413995Y1 (ko) 철판을 이용한 커플링 보의 보강구조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KR20220027411A (ko) U바 선조립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벽체의 시공방법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JP2010156177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工法
KR101109244B1 (ko) 섬유보강 콘크리트로 소성힌지부를 보강한 구조벽체
JP3213023U (ja) 地中梁用配筋構造
RU2374401C1 (ru) Здание
JP4898317B2 (ja) 耐震壁設置構造
KR101327919B1 (ko) 수평확장프레임을 이용한 복합 벽체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302442B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JP7183965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を用いた基礎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