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990B1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2990B1 KR101312990B1 KR1020120055047A KR20120055047A KR101312990B1 KR 101312990 B1 KR101312990 B1 KR 101312990B1 KR 1020120055047 A KR1020120055047 A KR 1020120055047A KR 20120055047 A KR20120055047 A KR 20120055047A KR 101312990 B1 KR101312990 B1 KR 101312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reinforcing bar
- heat insulating
- insulating materi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64—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concrete
- E04B2/6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concrete made by filling-up wall cav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6—Strutting means for wall parts; Supports or the like, e.g. for holding in position prefabricate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와 같이 좁은 공간에 철근조립체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타설된 콘크리트 다짐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철근조립체의 형태를 변형시킨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철근조립체는 수직철근에 수평절곡부가 상하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절곡부는 수평방향으로 180도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단부들(A1,A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단부들이 수직철근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와 같이 좁은 공간에 철근조립체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타설된 콘크리트 다짐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철근조립체의 형태를 변형시킨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를 기준으로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기존의 콘크리트벽체 구조에서는 예컨대 도 1a와 같이 건물의 외측벽체(40)의 내측에 단열재(10)를 설치하는 내단열(內斷熱)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바닥 난방(20)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에서는 특히 바닥슬래브(30)를 통하여 외측벽체(40)로 유출되는 난방 에너지의 손실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지구온난화 방지를 목적으로 범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제로에너지제로카본 빌딩구조물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의 하나인 외단열(外斷熱) 구조는 도 1b와 같이 바닥슬래브(30)를 통하여 외측벽체(40)까지 전달된 난방에너지가 상기 외측벽체(40)의 외측에 설치된 단열재(10)에 의해 차단되므로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외단열 구조의 경우 단열재(10)를 외측벽체의 외측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부작업을 위한 비계설치, 보호마감재(50) 추가시공 등의 시공 상의 어려움 및 외기환경에 노출된 단열재의 내구성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본격적인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단열 구조의 단점과 외단열 구조의 장단점을 선택적으로 취합하기 위하여 도 1c와 같이 내측 및 외측 콘크리트벽체(A, B)의 중간에 단열재(10)를 삽입하는 소위 중단열(中斷熱) 구조의 벽체에 대한 개념이 소개된 바 있다.
말하자면 단열재를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형성시킨 샌드위치 패널 형태의 벽체들을 외측벽체로써 부착 시공하는 방식을 따른 것이다.
도 1d는 종래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를 갱폼(2)과 유로폼(1)을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내측 및 외측 콘크리트벽체(A, B)의 중간에 단열재(10)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내측 및 외측 콘크리트벽체(A, B)를 관통하도록 폼타이(8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콘크리트벽체(A, B)에는 각각 내측 및 외측 철근조립체(60,70)가 배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철근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균열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및 외측 철근조립체(60,70)는 가로철근, 세로철근을 이용하여 격자형으로 철근을 조립시킨 것인데 통상은 미리 격자형으로 제작된 와이어메쉬를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콘크리트벽체(A, B)의 두께는 중단열 벽체마다 조금씩은 차이가 있지만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특히 외측 콘크리트벽체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되나, 동시에 콘크리트 균열방지 등을 위해서 외측 철근조립체(70)를 반드시 배근해야 한다.
하지만 단열재와 갱폼 사이와 같이 좁은 공간에 외측 철근조립체(70)를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밀실한 충진을 위해 봉 다짐 등의 작업이 필요한 데 이러한 봉 다짐을 위해서는 도 1e와 같이 다짐봉(90) 삽입을 위한 이격공간으로서 최소 60mm 정도는 확보해야 한다.
이에 상기 다짐봉(90) 삽입 공간을 확보하려다 보면 중단열 벽체에 있어서 외측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가 120mm 까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현장 타설형 중단열구조의 콘크리트 벽체 경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메쉬와 같은 철근조립체에 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다짐이 어려운 경우라도 상기 철근조립체의 형태를 달리함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철근조립체에 있어서 수직철근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수평절곡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수평절곡부는 양 수평방향 또는 일측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180도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단부들(A1,A2)로 형성시킴으로서 철근조립체의 중심선으로부터 수평절곡부의 수평방향 연장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철근조립체의 중심선(C1)이 일측으로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상기 철근조립체의 중심선으로부터 돌출되는 수평절곡부의 수평단부들이 철근조립체 양 측방으로 배치되는 갱폼과 단열재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시 타설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열재가 변형, 이동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효과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조립체는 수직철근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수평절곡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평절곡부는 일측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180도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단부들(A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수평절곡부의 연장길이에 따라 철근조립체의 중심선(C1)이 일측으로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평절곡부에 의하여 편심 배치된 철근조립체에 있어 편심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자 형태의 절곡 철근을 부착시켜 역시 철근조립체의 중심선으로부터 돌출되는 수평절곡부의 수평단부와 자 형태의 절곡 철근의 단부가 철근조립체 양 측방으로 배치되는 갱폼과 단열재에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타설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열재가 변형, 이동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추가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자 형태의 절곡 철근의 단부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캡을 씌워 완성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균열 등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될 때 발생하는 녹발생 및 녹물유출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되는 철근조립체로서,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에서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철근에 수평절곡부(A)가 상하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절곡부(A)는 수직철근을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다음 180도 절곡시켜 수직철근의 중심선(C1)을 경유하여 타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서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 수평방향으로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A1,A2)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절곡부의 일측 수평단부(A1)가 타측 수평단부(A2) 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되도록 하여 철근조립체가 편심배치되도록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되는 철근조립체로서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에서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철근에 수평절곡부(A)가 상하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절곡부(A)는 수직철근을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다음 180도 절곡시켜 수직철근의 중심선(C1)까지 연장시켜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방향으로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A1)가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 수평방향으로는 수직철근에 자 형태의 절곡철근을 부착시켜 자 형태의 절곡철근의 단부가 타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절곡부(A)의 수평방향 연장길이 또는 자 형태의 절곡철근의 수평방향 연장길이를 조정하여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되도록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조립체(와이어메쉬)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당초 원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과 거푸집 또는 거푸집(갱폼)과 단열재 사이와 같이 철근조립체가 배치되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철근조립체의 편중 배치가 가능하므로 상기 타설 공간을 확장시키지 않아도 철근콘크리트 다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조립체( 및 자 형태의 절곡 철근)의 단부는 거푸집(갱폼)과 단열재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열재의 변형, 이동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의 품질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편중 배치되는 철근조립체의 단부는 거푸집 탈형 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므로 콘크리트에 균열 등이 미세하게 발생할 경우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에는 캡을 씌워 품질 및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내단열 구조의 난방 에너지 손실의 개념도,
도 1b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외단열 구조에 의한 난방 에너지 손실방지의 개념도,
도 1c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중단열 구조에 의한 난방 에너지 손실방지의 개념도,
도 1d는 종래 완성된 현장 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정면도,
도 1e는 종래 다짐봉의 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설치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다른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설치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구성 사시도 및 완성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시공 순서도이다.
도 1b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외단열 구조에 의한 난방 에너지 손실방지의 개념도,
도 1c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중단열 구조에 의한 난방 에너지 손실방지의 개념도,
도 1d는 종래 완성된 현장 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정면도,
도 1e는 종래 다짐봉의 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설치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다른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설치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구성 사시도 및 완성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시공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 ]
[ 실시예 1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도시한 것이 도 2a 및 도 2b이다.
이러한 실시예 1에 의한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는 슬래브,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외측 철근조립체 등으로 이용 가능한데, 본 발명은 특히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의 외측 철근조립체로 이용할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는 종래 수평 및 수직철근을 서로 격자형태로 배치한 철근조립체에 있어 수직철근(510)의 형태를 변경시킨 것이 이용된다.
먼저 도 2a를 기준으로 하면 단열재(110)와 갱폼(220, 거푸집) 사이 공간은 철근조립체가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서 외측 콘크리트벽체(130)가 형성되는 공간인데 종래 격자형태의 철근조립체를 그대로 배치하게 되면 상기 갱폼(220)과 단열재(110) 사이의 공간이 좁아 도 1e와 같이 다짐봉(90)의 삽입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외측 콘크리트벽체(130)의 경우 비구조적 벽체로서 달리 두께를 크게 형성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다짐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조립체를 편심 배치 즉 단열재(110)와 갱폼(220) 사이 공간에 있어 일측 방향으로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편심 배치에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은 철근조립체의 위치 세팅이다.
말하자면 철근조립체를 일측으로 편심 배치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려면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스페이서(철근조립체와 갱폼 및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가 필요한 데 이러한 스페이서를 일일이 제작하려다 보면 매우 번거롭고 범용적인 사용에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철근조립체에 있어 수직철근(510)의 형태를 변경시켜 상기 편심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수직철근의 형태 변형은 수평절곡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수평절곡부(A)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수직철근(510)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수평절곡부는 양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들(A1,A2,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을 형성시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즉 예컨대 수직철근(510)의 중간부분을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다음 180도 절곡시켜 수직철근의 중심선(C1)을 경유하여 타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서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 수평방향으로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A1,A2)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수직철근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도 2a의 경우에는 일측 수평단부(A1)가 타측 수평단부(A2) 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되어 있고, 도 2b의 경우에는 타측 수평단부(A2)가 일측 수평단부(A1) 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갱폼과 단열재 사이와 같이 수평방향 폭이 일정한 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절곡부가 형성된 철근조립체(500)를 삽입하게 되면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된 일측 수평단부(A1) 또는 타측 수평단부(A2) 쪽으로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된 일측,타측 수평단부(A1,A2)의 배치위치 및 연장길이에 따라 다양한 수평방향 폭을 가진 공간에 본 발명의 철근조립체를 편심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 수평단부(A1)와 타측 수평단부(A2)는 본 발명의 철근조립체가 설치되는 양 측방에 설치되는 갱폼(220)과 단열재(1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의하여 단열재(110)가 변형, 이동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어 단열재 시공의 품질관리에 매우 유리하게 된다.
[ 실시예 2 ]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도시한 것이 도 3a 및 도 3b인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수평절곡부(A)의 형태에 차이가 있고 이에 자 형태의 절곡철근(530)을 더 설치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수평절곡부(A)가 형성된 철근조립체(500)에 있어 수평철근(520)은 수직철근(510)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도록 하되 상기 수직철근(510)에는 역시 일측 수평방향으로만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들(A1)을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수직철근(510)을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다음 180도 절곡시켜 수직철근의 중심선(C1)까지 연장시켜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 수평방향으로 만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A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도 3a에 의한 철근조립체는 상기 수평단부들(A1)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도면상 죄측)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수평단부들은 중단열 벽체의 단열재 외측면에 접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도 3b의 경우에는 후술되는 자 형태의 절곡철근(53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도면상으로 우측)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2는 수평단부(A1)와 자 형태의 절곡철근(530)의 수평방향 연장길이를 조정하여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자 형태의 절곡 철근(530)은 수직철근에 부착되는 수직부(531)와 상기 수직부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32)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자 형태의 절곡 철근(530)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캡(540)을 씌워 중단열 벽체의 완성된 상태에서 외측 콘크리트벽체의 균열에 의하여 외기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녹발생 및 녹물유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자 형태의 절곡철근(530)의 단부가 갱폼(220)과 접하도록 함으로서 철근조립체가 갱폼과 단열재 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자 형태의 절곡 철근(530)은 모두 수평부(532)가 수평단부(A1)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상기 수평절곡부(A1)의 수평방향 연장길이를 길거나 짧게 형성시켜 철근조립체의 편심위치를 결정하되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자 형태의 절곡 철근의 수평연장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자 형태의 절곡 철근과 수평절곡부가 갱폼과 단열재에 접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이용한 중단열 벽체 ]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이용한 중단열 벽체(100)는 도 4a와 같이 건축물 외벽체에 설치되는 유로폼(210,내측 거푸집) 및 갱폼(220,외측 거푸집)사이에 단열재(110)와 합성 연결재(120)를 미리 조립 설치한 후, 갱폼(220)과 유로폼(210)을 합성 폼타이(400)에 의하여 서로 연결시키되 상기 합성 폼타이(400)가 단열재(110)를 관통하도록 한 후, 상기 유로폼(210) 및 갱폼(220)과 단열재(11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현장타설)하여 외측 및 내측 콘크리트벽체(130,140)가 형성되도록 시공된다.
최종 상기 유로폼과 갱폼(210,220)은 해체되어 최종 완성되는 중단열 벽체는 도 4b와 같이 최종 양 콘크리트벽체(130,140) 사이에 형성된 단열재(110) 및 외측 콘크리트벽체(130) 내부로부터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내측 콘크리트벽체(140) 내부로 연장 형성된 합성 연결재(12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합성 폼타이(400)는 갱폼(220)에 설치되는 일측 강재 폼타이(420)만 해체되고 FRP 폼타이(410)는 단열재(110) 내부에 매립되며, 내측 콘크리트벽체(140)에는 타측 강재 폼타이(430)가 매립되게 된다.
이때 갱폼(220)과 단열재(110) 사이에는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는 도 2a에 의한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 2b, 도 3a 및 도 3b에 의한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와 이격되어 단열재(110)가 설치되는데 미리 합성 연결재(120) 및 단열재(110) 다수를 갱폼과 유로폼의 크기에 맞추어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110) 측면에는 홈(111)을 형성시키되 상하 방향으로 파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파형 형태의 홈에 본 발명의 합성 연결재(120)가 파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합성 연결재(120)의 전단(A1) 및 후단(B1)이 단열재(110)의 전면부와 후면부(A2,B2)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합성 연결재(120)가 단열재(110)의 전면부(A2)와 후면부(B2)로 돌출되어 타설된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외측 및 내측 콘크리트벽체(130,140)를 서로 합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 연결재(120)는 FRP 재질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합성 연결재(120)가 측면에 부착된 단열재(110)의 조립 설치가 완료되면 이때 후술되는 유로폼(210)으로부터 일정한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내측 철근조립체(17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내측 철근조립체(170)는 종래 격자 형태의 와이어메쉬를 이용함을 알 수 있는데 단열재(110)와 유로폼(210) 사이의 두께는 봉 다짐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는 되기 때문에 굳이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내측 철근조립체(170)와 이격되어 건축물에 유로폼(21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유로폼과 갱폼(210,220)과 단열재(11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현장타설)하게 되면 최종 외측 및 내측 콘크리트벽체를 완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단열 벽체에 있어 이용되는 갱폼(220)과 유로폼(210)을 연결하는 본 발명의 합성 폼타이(400)는 단열재(110)를 관통하는 FRP 폼타이(410)와 FRP 폼타이(410) 양 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갱폼(220)과 유로폼(210)에 연장 되어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420,430)로 구분되어 설치됨은 살펴본 바와 같으며 상기 합성 폼타이(400)는 기본적으로 갱폼(220)과 유로폼(210)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매립되는 FRP 폼타이(410)에 의하여 중단열 벽체의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설치된 구속수단(440)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단열재(110)의 위치가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일종의 간격재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도 갱폼과 단열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단열재(110)의 위치가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이용한 중단열 벽체의 시공방법 ]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시공방법은 조립 설치된 단열재(110)와 합성 연결재(120)는 갱폼(220)과 유로폼(210) 사이에 배치하고 갱폼(220)과 유로폼(21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중단열 벽체를 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갱폼(220)과 유로폼(21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갱폼(220)과 유로폼(210)은 본 발명의 합성 폼타이(400)에 의하여 서로 구속되어 있게 된다.
이때 미리 준비한 조립 설치된 단열재(110)와 합성 연결재(120)는 갱폼(220)과 유로폼(210) 사이에 미리 배치되도록 하여 갱폼(220)과 유로폼(210)의 설치면적에 따라 다수를 서로 병렬로 조립설치하게된다.
이에 합성 폼타이(400)에 있어 유로폼(210)에 설치되는 타측 강재 폼타이(430)는 유로폼(210)을 관통하여 단열재(110) 후면부(B2)까지 연장되도록 하되 단열재(110)의 후면부(B2)에 접하도록 타측 강재 폼타이(430)에는 원판 형태의 구속수단(440)이 설치된다.
또한 합성 폼타이(400)에 있어 갱폼(220)에 설치되는 일측 강재 폼타이(420)는 갱폼(220)을 관통하여 갱폼 후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며,
합성 폼타이(400)에 있어 FRP 폼타이(410)는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강재 폼타이(420,430)에 서로 연결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단열재(110)에 접하도록 FRP 폼타이(410)에는 원판 형태의 구속수단(440)이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갱폼(220)과 유로폼(210) 사이에 조립 설치된 단열재(110)와 합성 연결재(120)가 배치되고, FRP 폼타이(410)가 단열재(110)를 관통하도록 하고,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420,430)들이 상기 FRP 폼타이(410)의 양 단부와 연결되어 갱폼과 유로폼에 고정된 상태에서 단열재(110) 양측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함으로서 최종 외측 콘크리트벽체(130)와 내측 콘크리트벽체(140)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로서 상기 외측 콘크리트벽체(130)와 내측 콘크리트벽체(140)는 기본적으로 합성 연결재(120)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고, 역시 합성 폼타이(400)에 의해서도 서로 완전히 일체화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콘크리트벽체(140)에 매립되는 타측 강재 폼타이(430)의 표면은 거칠면으로 처리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단열재(110) 전면과 갱폼(2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외측 콘크리트벽체(130)는 내부에 본 발명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가 배치되어 있고, 단열재(110) 배면과 유로폼(21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내측 콘크리트벽체(130)는 내부에 종래 격자형태의 와이어메쉬인 내측 철근조립체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역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외측 콘크리트벽체(130)과 대비하여 두께가 좀 두껍게 형성되어 구조체로 기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외측 및 내측 콘크리트벽체(130,140)가 양생되면, 갱폼(220)과 유로폼(210)을 해체하게 되는데,
상기 갱폼(220)은 일측 강재 폼타이(420)를 FRP 폼타이(410)로부터 분리하면서 갱폼(220)과 일측 강재 폼타이(420)를 한꺼번에 해체되도록 하고,
FRP 폼타이(410)는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매립되도록 하고,
타측 강재 폼타이(430)는 내측 콘크리트벽체(140) 내부에 매립되면서 머리부(430a)를 타격하여 머리부와 유로폼(210)과 함께 해체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최종 완성된 중단열 벽체에 있어 폼타이에 의하여 형성된 홀들은 별도로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마감시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게 된다.
100: 본 발명에 의한 중단열 벽체
110: 단열재
111: 홈
120: 합성 연결재
130: 외측 콘크리트벽체
140: 내측 콘크리트벽체
210: 유로폼 220: 갱폼
400: 합성 폼타이 410: FRP 폼타이
420,430: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
440: 구속수단 500: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
510: 수직철근 520: 수평철근
530: 자 형태의 절곡철근
540: 캡
110: 단열재
111: 홈
120: 합성 연결재
130: 외측 콘크리트벽체
140: 내측 콘크리트벽체
210: 유로폼 220: 갱폼
400: 합성 폼타이 410: FRP 폼타이
420,430: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
440: 구속수단 500: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
510: 수직철근 520: 수평철근
530: 자 형태의 절곡철근
540: 캡
Claims (8)
-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되는 철근조립체로서,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에서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철근(510)에 수평절곡부(A)가 상하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절곡부(A)는 수직철근(510)을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다음 180도 절곡시켜 수직철근의 중심선(C1)을 경유하여 타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서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 수평방향으로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A1,A2)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절곡부의 일측 수평단부(A1)가 타측 수평단부(A2) 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되도록 하여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 -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되는 철근조립체로서,
타설된 콘크리트에 내부에서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철근(510)에 수평절곡부(A)가 상하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절곡부(A)는 수직철근(510)을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다음 180도 절곡시켜 수직철근의 중심선(C1)까지 연장시켜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방향으로만 180도 절곡된 수평단부(A1)가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 수평방향으로는 수직철근에 자 형태의 절곡철근(430)을 부착시켜 자 형태의 절곡철근(430)의 단부가 타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절곡부(A)의 수평방향 연장길이 또는 자 형태의 절곡철근의 수평방향 연장길이를 조정하여 철근조립체가 편심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 - 갱폼(220)과 유로폼(210) 사이에 단열재(110)를 배치하고 상기 단열재와 갱폼 및 유로폼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100)에 있어서,
상기 갱폼(220)과 단열재(110) 사이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설치하여 상기 수평절곡부(A)를 가진 철근조립체가 단열재(110)와 갱폼(22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서 다짐봉 삽입을 위한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측압에 의하여 서로 조립 설치된 단열재(110)의 변형, 이동 또는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10)는 갱폼(220)과 유로폼(210)에 양 단부가 설치되는 합성 폼타이(400)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합성 폼타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측압에 의해 서로 조립 설치된 단열재의 변형, 이동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합성 폼타이(400)는 FRP 폼타이(410)와 FRP 폼타이(410)의 양 단부에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420,430)가 서로 연결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FRP 폼타이(410)는 단열재(11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강재 폼타이(420,430)들은 FRP 폼타이(410) 양 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갱폼(220)과 유로폼(210)에 연장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10)는 측면에 단열재의 전면부(A2) 및 후면부(B2)로부터 연장 돌출되도록 합성 연결재(120)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합성 연결재(120)는 FRP 재질로서 파형으로 형성시킨 것을 단열재(110) 측면에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110) 측면에는 파형 형태의 합성 연결재(120)가 삽입되도록 파형으로 형성된 홈(111)을 형성시키고, 상기 홈에 합성 연결재(12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 갱폼(220)과 유로폼(210)을 합성 폼타이(400)를 이용하여 이격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갱폼(220)과 유로폼(21) 사이에 단열재(110)를 설치하되, 상기 단열재(110)는 다수의 단열재를 서로 부착시켜 조립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갱폼(220)과 유로폼(210) 사이에 단열재(11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갱폼과 단열재 사이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500)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시공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폼타이(400)는 FRP 폼타이(410)와 FRP 폼타이(410)의 양 단부에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420,430)가 서로 연결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FRP 폼타이(410)는 단열재(11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강재 폼타이(420,430)들은 FRP 폼타이(410) 양 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갱폼(220)과 유로폼(210)에 연장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시공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10)는 측면에 단열재의 전면부(A2) 및 후면부(B2)로부터 연장 돌출되도록 합성 연결재(120)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합성 연결재(120)가 측면에 부착된 단열재(110)를 서로 부착시켜 조립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합성 연결재(120)는 FRP 재질로서 파형으로 형성시킨 것을 보강판이 형성된 단열재(110) 측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5047A KR101312990B1 (ko) | 2012-05-23 | 2012-05-23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5047A KR101312990B1 (ko) | 2012-05-23 | 2012-05-23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2990B1 true KR101312990B1 (ko) | 2013-10-01 |
Family
ID=4963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5047A KR101312990B1 (ko) | 2012-05-23 | 2012-05-23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299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40419A1 (de) * | 2014-04-29 | 2015-11-04 | THIEM Security Solutions GmbH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gebäudeteil |
CN109868920A (zh) * | 2019-02-26 | 2019-06-11 | 武汉理工大学 | 一种t形叠合剪力墙边缘构件的连接构造 |
CN111379354A (zh) * | 2020-04-03 | 2020-07-07 | 金国洪 | 一种轻质钢网墙体及其建造的建筑房体 |
CN115306058A (zh) * | 2022-09-13 | 2022-11-08 |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免拆保温模板以及安装方法 |
KR102694232B1 (ko) * | 2024-04-08 | 2024-08-12 | 주식회사 쿠움 |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617Y1 (ko) * | 1989-08-09 | 1995-03-10 | 다께나까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 건축용 외장재 |
JP2002339451A (ja) | 2001-05-21 | 2002-11-27 | Nippon Kaiser Kk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ルコニー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外断熱構造物 |
KR101056330B1 (ko) | 2009-06-30 | 2011-08-1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
KR101214980B1 (ko) | 2011-08-16 | 2013-01-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
2012
- 2012-05-23 KR KR1020120055047A patent/KR1013129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617Y1 (ko) * | 1989-08-09 | 1995-03-10 | 다께나까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 건축용 외장재 |
JP2002339451A (ja) | 2001-05-21 | 2002-11-27 | Nippon Kaiser Kk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ルコニー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外断熱構造物 |
KR101056330B1 (ko) | 2009-06-30 | 2011-08-1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
KR101214980B1 (ko) | 2011-08-16 | 2013-01-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40419A1 (de) * | 2014-04-29 | 2015-11-04 | THIEM Security Solutions GmbH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gebäudeteil |
CN109868920A (zh) * | 2019-02-26 | 2019-06-11 | 武汉理工大学 | 一种t形叠合剪力墙边缘构件的连接构造 |
CN111379354A (zh) * | 2020-04-03 | 2020-07-07 | 金国洪 | 一种轻质钢网墙体及其建造的建筑房体 |
CN115306058A (zh) * | 2022-09-13 | 2022-11-08 |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免拆保温模板以及安装方法 |
KR102694232B1 (ko) * | 2024-04-08 | 2024-08-12 | 주식회사 쿠움 |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2990B1 (ko)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14980B1 (ko) |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
KR101556545B1 (ko) |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 |
US20020043045A1 (en) | Modular panels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1301081B1 (ko) |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6418524B2 (ja) | 断熱型枠を用いた基礎構造、施工方法及び耐圧版式グリッドポスト基礎の形成方法 | |
KR101253253B1 (ko) | 프리캐스트 벽체와 갱폼을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
WO2014045244A2 (en) | Method for making buildings structures and reinforcement panel | |
KR101312992B1 (ko) | 소프트 갱폼과 폼타이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
KR101027973B1 (ko) |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 |
JP5865567B2 (ja) |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1292523B1 (ko) | 합성 폼타이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
JP5750246B2 (ja) |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 |
KR101041363B1 (ko) |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TR201808337T4 (tr) | Duvar elemanı, bir duvar elemanının üretilmesine yönelik yöntem ve bir duvar elemanına yönelik bir ankraj elemanı. | |
KR101366503B1 (ko) | 콘크리트 측압 저항성능이 증진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58596B1 (ko) | 단열 하프피씨 슬래브 | |
KR20130015286A (ko) | 중단열 구조를 가지는 벽의 제조방법 | |
KR101286016B1 (ko) | 편심 파형 에프알피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120028198A (ko) |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 |
KR101824021B1 (ko) |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 |
KR20100113940A (ko)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43751B1 (ko) | 슬라브용 단열 데크플레이트 | |
KR100605561B1 (ko) | 조립식 터널 라이닝 블록 조립 구조 | |
KR100605559B1 (ko) |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 라이닝 조립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