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349A -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 Google Patents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349A
KR20110001349A KR1020090058851A KR20090058851A KR20110001349A KR 20110001349 A KR20110001349 A KR 20110001349A KR 1020090058851 A KR1020090058851 A KR 1020090058851A KR 20090058851 A KR20090058851 A KR 20090058851A KR 20110001349 A KR20110001349 A KR 2011000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tube
hole
tub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597B1 (ko
Inventor
이상훈
최선미
강희정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5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는, 일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며, 내부에 외부침관홀(122)이 상기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부재(120);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에 슬라이드 되도록 내장되며, 내부에 내부침관홀(132)이 상기 외부침관홀(12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 외부침관(130); 상기 외부침관(130)의 내부침관홀(132)에 슬라이드 되도록 내장되며, 내부에 침이 슬라이드 되는 침홀(144)이 상기 내부침관홀(13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 내부침관(140); 및 상기 지지부재(120)의 침관홀(12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침관(130)의 슬라이드에 의한 타격에 일면이 누름되면 타면이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타격부재(190);를 포함하며,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상단부를 통한 누름에 의해, 상기 외부침관(130)의 하단부가 상기 타격부재(190)를 타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이 진짜침(2)보다 길이가 짧은 가짜침(2')인 경우 상기 가짜침(2')이 상기 누름에 의해 하강하더라도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와 이격된다.
이중맹검, 진짜침, 가짜침, 침관, 침홀, 타격부재, 누름부재, 표시부재

Description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Apparatus for pricking acuneedle for double blind test}
본 발명은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시술자에게 침을 시술하는 데에 있어서, 침이 진짜침인지 가짜침인지 피시술자뿐만 아니라 시술자도 구별하는 것이 어렵도록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요법의 치료효과를 조사하는 방법 중에서, 경혈 상에 침과 비슷한 자극, 즉 플라세보(placebo) 자극을 주어 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진짜침을 찔러 이를 자침군(刺鍼群)으로 하여 양자의 효과를 비교하는, 피시술자만을 마스킹하는, 즉 시각적으로 차단하는 단일맹검(single blind test)이 널리 행해지고 있으나, 이러한 단일맹검은 시술자의 침요법에 대한 기대나 열의가 피시술자에게 전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침요법의 효과를 엄밀히 확인하기 위해 피시술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 마스킹을 행할 수 있는 이중맹검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시술자에게 침을 시술하는 데에 있어서, 침이 진짜침인지 가짜침인지 피시술자뿐만 아니라 시술자도 구별하는 것이 어렵도록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는, 일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며, 내부에 외부침관홀(122)이 상기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부재(120);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에 슬라이드 되도록 내장되며, 내부에 내부침관홀(132)이 상기 외부침관홀(12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 외부침관(130); 상기 외부침관(130)의 내부침관홀(132)에 슬라이드 되도록 내장되며, 내부에 침이 슬라이드 되는 침홀(144)이 상기 내부침관홀(13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 내부침관(140); 및 상기 지지부재(120)의 침관홀(12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침관(130)의 슬라이드에 의한 타격에 일면이 누름되면 타면이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타격부재(190);를 포함하며,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상단부를 통한 누름에 의해, 상기 외부침관(130)의 하단부가 상기 타격부 재(190)를 타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이 진짜침(2)보다 길이가 짧은 가짜침(2')인 경우 상기 가짜침(2')이 상기 누름에 의해 하강하더라도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와 이격된다.
이때, 상기 내부침관(140)은, 상기 외부침관(130)에 대한 상기 내부침관(140)의 슬라이드저항이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에 대한 침의 자입저항보다 크도록 하는 표면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홀(144)은, 상기 침의 침두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며 상기 침두의 길이보다 짧은 침두홀(144a)과, 상기 침두홀(144a)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침첨의 지름보다 큰 침첨홀(144b)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타격부재(190)는, 상기 외부침관(130) 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부침관(130)의 하측에 배치되며, 누름 시 상기 외부침관(130)의 반대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취하면서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타격부재(190)는, 테두리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침이 통과가능한 통과홀(192)이 형성된 원형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격부재(19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 타격 시 상기 타격부재(190)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 사이에 전기적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피시술자 피부(1)와 접촉되는 부위가 절연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는, 상기 침홀(144)에 상기 침 내장 시, 상측으로부터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 순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외형이 단차를 이루며, 본 발명은 상기 조립체의 상부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립체를 덮으며, 상기 조립체에 체결시 상기 외부침관(130)과 대면하는 하단부가 상기 외부침관(130)의 대응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누름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침관(130)은, 상기 침이 내장 시 상기 침의 침첨(11b) 노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침의 침첨보다 하측으로 길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부침관(130)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내면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과 대응되는 표시홀(182)이 형성되며, 일면에서 피시술자의 피부(1)와 부착되고 타면에서 상기 지지부재(120)와 부착되도록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표시부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는, 피시술자에게 침을 시술하는 데에 있어서 타격부재가 피시술자의 피부를 타격하여 진짜침의 자입감보다 큰 자극을 피시술자에게 줌으로써, 피시술자가 진짜침이 자입 시 그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인지 아니면 진짜침보다 짧은 가짜침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술자도 타격부재에 의한 타격감으로 인하여, 진짜침이 자입되는 경우에 그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인지 아니면 진짜침보다 짧은 가짜침인지를 구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이중맹검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의 분해된 상태와 그 내부에 진짜침 또는 가짜침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5 및 도 6 내지 도 10은 도 1 및 도 5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으가 그 내부에 침이 내장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시술되는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는 일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는 지지부재(120)와, 지지부재(120) 내에 장착된 외부침관(130), 외부침관(130) 내에 마련되며 침이 내장되는 내부침관(140), 및 지지부재(120)에서 외부침관(130)의 하측에 배치된 타격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일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외부침관(130)이 타격부재(190)까지 슬라이드 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내부에 외부침관홀(122)이 형성된다.
즉, 지지부재(120)는 외부침관(130)이 설치되도록 그 내부에 외부침관홀(122)이 형성되며, 침이 내장되는 외부침관(130)이 외부침관홀(122)을 슬라이드 하면서 피시술자의 피부(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외부침관홀(122)은 지지부재(120)가 피시술자의 피부(1)에 안착시, 피시술자의 피부(1)와 수직인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20)는 그 형상 및 구조가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하지 않으며, 침이 내장되는 외부침관(130)이 피시술자의 피부(1) 측으로 안전하게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어떠한 형상 및 구조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침관(130)은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내부침관(140)이 슬라이드 되는 내부침관홀(132)이 외부침관홀(12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외부침관(130)은 침이 내장 시 침의 침첨 노출을 차단하도록, 침의 침첨보다 하측으로 길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외부침관(130)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침관(130)은 침의 침첨을 외부의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없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침자입장치에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가짜침(2')인지 구별할 수 없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내부침관(140)은 외부침관(130)의 내부침관홀(132)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 침이 슬라이드 되는 침홀(14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내부침관(140)은 외부침관(130)에 대한 내부침관(140)의 슬라이드저항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대한 침의 자입저항보다 크도록 하는 표면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침관(140)은 외부침관(130)의 내부침관홀(132)을 따라 슬라이드 시 내부침관홀(132)과의 마찰력이, 침이 피시술자의 피부(1)로 자입 시 피부(1)와의 마찰력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피시술자의 피부에 진짜침(2)이 자입되는 경우, 피시술자의 피부 측으로 내부침관(140)이 외부침관(130)의 내부침관홀(132)을 따라 슬라이드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느끼는 외부침관(130)의 내주면에 대한 내부침관(140)의 슬라이드 저항이 진짜침의 자입저항보다 큼으로써, 시술자는 진짜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었는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없다.
아울러, 누름부재(160)를 분리한 후 필요에 따라 추가자입에 있어서도 자입저항보다 큰 슬라이드 저항에 의해, 시술자는 진짜침(2)의 추가자입에 의해 발생하는 자입감을 느낄 수가 없기 때문에,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가짜침(2')인지를 구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일례로서, 내부침관(140)은 표면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인 거침이 심한 표면을 가진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재질의 내부침관(140)은, 외부침관(130)에 대한 고정력을 높임으로써 내장된 침이 슬라이드 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침을 자입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부침관(140)은 내부에 침이 슬라이드 되는 침홀(144)이 내부침관홀(13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다.
상기 침홀(144)은 침의 침두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며 침두의 길이보다 짧은 침두홀(144a)과, 침두홀(144a)의 지름보다 작고 침첨의 지름보다 큰 침첨홀(144b)로 이루어진다.
이때, 침두홀(144a)은 침의 침두와 대응되는 즉, 침두와 같은 지름을 가지거나 침두가 억지끼움되지만 슬라이드 가능한 약간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침두홀(144a)은 침이 침홀(144)에 내장 시 침두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피시술자의 움직임에도 침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침자입장치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침두홀(144a)은 침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침두의 일부분으로 인하여 시술자 및 피시술자 모두 침자입장치에 내장되는 침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 외부침관(130), 및 내부침관(140) 각각의 내부에 형성 된 외부침관홀(122), 내부침관홀(132), 및 침홀(144)은 각 홀의 내부에 배치된 부재가 일정높이에서 멈추어 있다가 시술자의 타격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구성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들은 상술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어떠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재질적인 측면에서도 그 내부의 부재들과 일정 정도 이상의 마찰력을 지님으로써, 상기 홀들 내부에 배치되는 각 부재들이 일정높이에서 멈춤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격부재(190)는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 내에 설치되며, 외부침관홀(122)에 장착되는 외부침관(13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외부침관홀(122)을 이루는 지지부재(20)의 내주면 하단부에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타격부재(90)는, 외부침관(130) 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며, 누름 시 외부침관(130)의 반대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취하면서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타격부재(190)는 일정 정도 휨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굴곡된 형상이 일측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힘을 받게 되면 타측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그 외형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타격부재(190)는 테두리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침이 통과가능한 통과홀(192)이 형성된 원형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190)는 원형구조에 가짜침(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진짜침(2)이 이동되는 이동경로에 진짜침(2)이 통과할 수 통과홀(192)이 형성됨으로써, 침이 진짜침(2)인 경우에는 타격부재(190)의 통과홀(192)을 통과하여 피시술자의 피부(1)에 자입된다.
물론, 타격부재(190)는 진짜침(2)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자입될 시,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되면 될 뿐 그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타격부재(190)는, 슬라이드 되어 하강하는 외부침관(130)의 타격에 의해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게 되며, 이와 같은 타격에 의한 피시술자의 피부자극은 진짜침(2)에 의한 자극보다 크다.
이와 같이, 피시술자가 침을 시술받는 과정에서,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여 진짜침(2)의 자입감보다 큰 자극을 피시술자에게 줌으로써, 진짜침(2)이 자입 시 피시술자가 그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
아울러, 시술자도 타격부재(190)에 의한 타격감으로 인하여, 진짜침(2)이 자입되는 경우에 그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물론, 침자입장치에 가짜침(2')이 내장되는 경우에도 시술자 및 피시술자는, 상기와 같은 타격부재(190)에 의한 자극 및 타격감으로 인하여 내장된 침이 진짜 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타격부재(19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피시술자의 피부(1) 타격 시 타격부재(190)와 피시술자의 피부(1) 사이에 전기적 흐름을 차단하도록, 피시술자 피부(1)와 접촉되는 부위가 절연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타격부재(190)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며, 피시술자 피부(1)와 접촉되는 부위가 코팅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더라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적인 전도를 차단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피부(1)에 자입되어 결혈점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진짜침(2)과 효과적인 측면에서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침홀(144)에 침 내장 시, 상측으로부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 순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상부 외형이 단차를 이룬다.
즉, 상기 조립체는 외부침관(13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침관(140)의 상단부가 외부침관(130)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침관(140)의 내부에 마련된 침의 침두(11a)가 내부침관(140)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침관(140)과 외부침관(130)을 덮는 누름부재(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누름부재(160)는 상기와 같은 조립체의 상부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조립체를 덮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누름부재(160)는 조립체와 대응되는 하부외형에서, 내부침관(140)과 대응되는 조립체 단차의 상하길이가 내부침관(140)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아울러, 누름부재(160)는 외부침관(130)과 대면하는 하단부가 외부침관(130)의 대응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160)는 피시술자의 타격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 내부침관(140)을 일정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외부침관(130)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된 외부침관(130)은 타격부재(190)를 타격하여 타격부재(910)가 하측으로 굴곡지도록 변형시키며 이러한 타격부재(190)는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부재(120)가 피시술자의 피부(1)에 용이하게 부착되며, 아울러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재(180)는 피시술자의 피부(1) 중 침이 자입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침을 자입하기 위해서 그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시술자가 침을 용이하게 시술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180)는 내면에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과 대응되는 표시홀(182)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홀(182)은,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시 그 이동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그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표시부재(180)의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표시부재(180)는 일면에 피시술자의 피부(1)가 부착되고 타면에 지지부재(120)가 부착되도록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물론, 표시부재(180)는 접촉제가 활용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피시술자의 피부(1)에 부착된 후, 부착된 정확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어떠한 접착물질 또는 구조도 채택되어 활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에 진짜침이 내장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시술되는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침자입장치는 시술 전에, 진짜침(2)의 침두(2a)와 침첨(2b)이 이와 대응되는 침두홀(144a)과 침첨홀(144b)에 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술자의 누름부재(160)를 통한 누름에 의해 내부침관(140)이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외부침관(13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타격부재(190)를 하측으로 타격하여, 피시술자의 피부(1)에 대한 진짜침(2)의 자입 시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진짜침(2)은 누름부재(16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침두(2a)가 침두홀(144a)의 하단까지 이르게 되는데, 이는 진짜침(2)이 침홀(144)에 처음 배치될 때 임의의 깊이까지 삽입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정해진 일정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어서, 누름부재(160)에 의해 다시 한번 하측으로 누름되면, 내부침관(140)은 누름부재(160)의 단차가 이루어진 하부형상에 의해, 일정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된 후 멈추게 되고, 내부침관(140)의 하강과 동시에 외부침관(130)도 하강하여 타격부재(190)를 타격함으로써 타격부재(190)를 하방 굴곡지게 변형시키고, 변형된 타격부재(190)는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함으로써 자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는 진짜침(2)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자입 시, 타격부재(190)의 타면, 즉 하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시술자가 침을 시술받는 과정에서,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여 진짜침(2)의 자입감보다 큰 자극을 피시술자에게 줌으로써, 진짜침(2)이 자입 시 피시술자가 그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할 수 없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술자도 타격부재(190)에 의한 타격감으로 인하여, 진짜침(2)의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도록 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에 가짜침이 내장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시술되는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침자입장치는 시술 전에, 가짜침(2')의 침두(2a')와 침첨(2b')이 이와 대응되는 침두홀(144a)과 침첨홀(144b)에 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술자의 누름부재(160)를 통한 누름에 의해 내부침관(140)이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외부침관(13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타격부재(190)를 하측으로 타격하여 하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취하게 함으로써,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진짜침(2)은 누름부재(16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침두(2a)가 침두홀의 하단까지 이르게 되는데, 이는 진짜침(2)이 침홀(144)에 처음 배치될 때 임의의 깊이까지 삽입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정해진 일정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어서, 누름부재(160)에 의해 다시 한번 하측으로 누름되면, 내부침관(140)은 누름부재(160)의 단차가 이루어진 하부형상에 의해, 일정길이만큼 하측으로 이 동된 후 멈추게 되고, 내부침관(140)의 하강과 동시에 외부침관(120)도 하강하여 타격부재(190)를 타격함으로써 타격부재(190)를 하방 굴곡지게 변형시키고, 변형된 타격부재(190)는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함으로써 자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는 가짜침(2)이 피시술자의 피부(1) 측으로 이동 시, 타격부재(190)의 타면, 즉 하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시술자가 침을 시술받는 과정에서, 타격부재(190)가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여 진짜침(2)의 자입감보다 큰 자극을 피시술자에게 줌으로써, 가짜침(2)의 활용 시 상기 자극으로 인하여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할 수 없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술자도 타격부재(190)에 의한 타격감으로 인하여, 진짜침(2)이 자입되는 경우에 그 자입감을 느낄 수 없고 나아가 내장된 침이 진짜침(2)인지 아니면 진짜침(2)보다 짧은 가짜침(2')인지를 구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여기에서, 가짜침(2')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가짜침(2')에 의한 기계적인 자극은 물론 전기적인 전도까지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진짜침(2)에 의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진짜침(2) 대비 가짜침(2')이 가지는 다른 조건을 확실하게 차별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의 분해된 상태와 진짜침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에 진짜침이 내장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시술되는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의 분해된 상태와 가짜침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에 가짜침이 내장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시술되는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진짜침 2' : 가짜침
120 : 지지부재 122 : 외부침관홀
130 : 외부침관 132 : 내부침관홀
140 : 내부침관 144 : 침홀
160 : 누름부재 180 : 표시부재

Claims (10)

  1. 일면이 피시술자의 피부(1)에 접촉되며, 내부에 외부침관홀(122)이 상기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부재(120);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에 슬라이드 되도록 내장되며, 내부에 내부침관홀(132)이 상기 외부침관홀(12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 외부침관(130);
    상기 외부침관(130)의 내부침관홀(132)에 슬라이드 되도록 내장되며, 내부에 침이 슬라이드 되는 침홀(144)이 상기 내부침관홀(132)과 동일축으로 형성된 내부침관(140); 및
    상기 지지부재(120)의 침관홀(12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침관(130)의 슬라이드에 의한 타격에 일면이 누름되면 타면이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타격부재(190);를 포함하며,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상단부를 통한 누름에 의해,
    상기 외부침관(130)의 하단부가 상기 타격부재(190)를 타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이 진짜침(2)보다 길이가 짧은 가짜침(2')인 경우 상기 가짜침(2')이 상기 누름에 의해 하강하더라도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침관(140)은,
    상기 외부침관(130)에 대한 상기 내부침관(140)의 슬라이드저항이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에 대한 침의 자입저항보다 크도록 하는 표면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홀(144)은,
    상기 침의 침두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며 상기 침두의 길이보다 짧은 침두홀(144a)과, 상기 침두홀(144a)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침첨의 지름보다 큰 침첨홀(144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90)는,
    상기 외부침관(130) 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부침관(130)의 하측에 배치되며, 누름 시 상기 외부침관(130)의 반대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취하면서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90)는,
    테두리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침이 통과가능한 통과홀(192)이 형성된 원형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9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 타격 시 상기 타격부재(190)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1) 사이에 전기적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피시술자 피부(1)와 접촉되는 부위가 절연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는, 상기 침홀(144)에 상기 침 내장 시, 상측으로부터 상기 침, 내부침관(140), 및 외부침관(130) 순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외형이 단차를 이루며,
    상기 조립체의 상부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립체를 덮으며, 상기 조립체에 체결시 상기 외부침관(130)과 대면하는 하단부가 상기 외부침관(130)의 대응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누름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침관(130)은,
    상기 침이 내장 시 상기 침의 침첨(11b) 노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침의 침첨보다 하측으로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침관(130)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내면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부침관홀(122)과 대응되는 표시홀(182)이 형성되며, 일면에서 피시술자의 피부(1)와 부착되고 타면에서 상기 지지부재(120)와 부착되도록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표시부재(1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KR1020090058851A 2009-06-30 2009-06-30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KR101031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51A KR101031597B1 (ko) 2009-06-30 2009-06-30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51A KR101031597B1 (ko) 2009-06-30 2009-06-30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49A true KR20110001349A (ko) 2011-01-06
KR101031597B1 KR101031597B1 (ko) 2011-04-27

Family

ID=4360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851A KR101031597B1 (ko) 2009-06-30 2009-06-30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59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269B1 (ko) * 2013-02-06 2014-05-22 유태우 이미지요법 침술용 패드
KR20140082847A (ko) 2011-10-26 2014-07-02 토소가부시키가이샤 4-아미노카바졸 화합물 및 그 용도
KR20150058173A (ko) 2012-09-27 2015-05-28 토소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아민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20220145069A (ko) * 2021-04-21 2022-10-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20145070A (ko) * 2021-04-21 2022-10-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탄성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77156A (ko) * 2021-11-25 2023-06-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자석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77164A (ko) * 2021-11-25 2023-06-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자석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86195A (ko) * 2021-12-08 2023-06-1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86190A (ko) * 2021-12-08 2023-06-1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90603A (ko) * 2021-12-15 2023-06-22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90609A (ko) * 2021-12-15 2023-06-22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일회용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748B1 (ko) 2014-09-05 2016-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짓 침 세트
KR101721404B1 (ko) * 2016-10-28 2017-03-31 대한민국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KR102137780B1 (ko) * 2018-04-11 2020-07-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거짓 침 세트
KR102137777B1 (ko) * 2018-04-11 2020-07-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326Y1 (ko) * 1996-03-06 1999-06-15 권도원 침시술용 침관
KR200256818Y1 (ko) * 2001-09-05 2001-12-24 김학무 의료용 침구의 침 고정구
KR100642795B1 (ko) * 2005-08-01 2006-11-10 서헌만 침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847A (ko) 2011-10-26 2014-07-02 토소가부시키가이샤 4-아미노카바졸 화합물 및 그 용도
KR20150058173A (ko) 2012-09-27 2015-05-28 토소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아민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101398269B1 (ko) * 2013-02-06 2014-05-22 유태우 이미지요법 침술용 패드
KR20220145069A (ko) * 2021-04-21 2022-10-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20145070A (ko) * 2021-04-21 2022-10-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탄성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77156A (ko) * 2021-11-25 2023-06-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자석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77164A (ko) * 2021-11-25 2023-06-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자석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86195A (ko) * 2021-12-08 2023-06-1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86190A (ko) * 2021-12-08 2023-06-1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90603A (ko) * 2021-12-15 2023-06-22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90609A (ko) * 2021-12-15 2023-06-22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일회용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597B1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597B1 (ko)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KR101031596B1 (ko)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EP1101482B1 (en) Placebo needle and needle set for double blind trial
KR101661748B1 (ko) 거짓 침 세트
CN106232162B (zh) 用于调节针头刺入深度的装置
HK1068560A1 (en) Medical needle device with winged shield for erroneous piercing prevention
US20160271341A1 (en) Medicine injection device with a pain-reduction member
KR102277465B1 (ko) 채혈기
KR102137780B1 (ko) 이중맹검용 거짓 침 세트
KR102137777B1 (ko)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KR101471275B1 (ko) 마이크로니들치료기
KR101867861B1 (ko) 근육내 자극 치료장치
KR100602556B1 (ko) 한방용 침 세트
KR102502478B1 (ko)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CN214806793U (zh) 一种评估针刺疗效的匿针式双盲实验装置
KR200391458Y1 (ko) 한방용 침 세트
KR102616014B1 (ko) 일회용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4353A (ko) 자극 제공이 가능한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90603A (ko)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60017996A (ko) 시야 확보가 용이한 캐뉼러
KR20240016503A (ko) 이중맹검용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15934B1 (ko)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CN112603821A (zh) 一种评估针刺疗效的匿针式双盲实验装置
KR20230005569A (ko) 밴딩 기능이 구비된 주사 바늘 보호캡
KR100676922B1 (ko) 혈 표시용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