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67A -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67A
KR20110000867A KR1020090058173A KR20090058173A KR20110000867A KR 20110000867 A KR20110000867 A KR 20110000867A KR 1020090058173 A KR1020090058173 A KR 1020090058173A KR 20090058173 A KR20090058173 A KR 20090058173A KR 20110000867 A KR20110000867 A KR 20110000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module
carrier
elastic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680B1 (ko
Inventor
공태윤
김재용
소원섭
박성욱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6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쿨링 모듈을 결합하는 마운트에 탄성 부재가 연결되어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때 쿨링 모듈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패널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 또는 상기 하부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쿨링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마운팅 홀이 형성된 러버 부재를 구비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마운트의 둘레면을 감싸는 마운트 프레임, 상기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 프레임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마운팅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캐리어(Carrier), 마운트(Mount), FEM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A carrier of Front end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쿨링 모듈을 결합하는 마운트에 탄성 부재가 연결되어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때 쿨링 모듈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의 쿨링 모듈(cooling module) 마운팅(mounting)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1) 및 하부 패널(13), 상기 상부 패널(11)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패널(13)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12)을 포함한다. 한 쌍의 고무 재질의 로우어 마운트(20)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 패널(1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10)는 쿨링 모듈(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는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경미한 손상에도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와 쿨링 모듈(30)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부품 교체에 따른 비용, 시간 및 노동력의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충돌시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FEM)와 쿨링 모듈(cooling module)의 파손을 방지하여 부품 교체에 따른 비용,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와 쿨링 모듈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30), 상기 상부 패널(110)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패널(130)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120)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110) 또는 상기 하부 패널(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쿨링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마운팅 홀(211-1)이 형성된 러버 부재(211)를 구비하는 마운트(210), 상기 마운트(210)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마운트(210)의 둘레면을 감싸는 마운트 프레임(230), 상기 마운트(210)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220)를 포함하는 마운팅 모듈(2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양 측단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홈(231-1), 상기 마운트(210)의 양 측단의 외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돌기(231-2)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에 구비된 상기 마운트(210)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시 이탈하지 않 도록 방지하는 가이드 레일(2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에는 전방으로 이동한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탄성 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재(2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탄성 부재(220)는 상기 마운트(210)에서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전방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탄성 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마운트(210)에서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으로 결합되는 보조 탄성 부재(250)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는 상기 탄성 부재(220)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는,
첫째, 탄성 부재를 포함한 마운팅 모듈을 장착되므로 자동차의 충격시 탄성 부재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와 쿨링 모듈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둘째, 탄성 부재와 연결된 마운트가 마운팅 모듈을 전후 방향으로 유동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충격 흡수재와 보조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충격에 의해 이동한 마운트가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돌아올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전방에는 차량 내부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의 후방에 위치하여 엔진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상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팬/슈라우드가 설치되어 쿨링 모듈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쿨링 모듈은 상기 라디에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컨덴서가 위치하고 후방으로 팬 슈라우드가 위치하여 결합되고 상기 쿨링 모듈은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에 결합되게 된다.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이란 자동차의 앞 부분에 결합되는 조립체의 총칭으로서 캐리어에 헤드램프, 공조 장치, 범퍼 등의 여러 부품이 설치된 구조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측 헤드램프 써포트 패널, 쿨링 모듈 상부 패널, 쿨링 모듈 하부 패널, 범퍼 써포트 등에 헤드램프, 공조 장치 모듈 및 범퍼 등이 함께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은 별도의 부품을 각각 자동차에 결합하지 않고 조립체를 활용하여 자동차 제작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자동차의 충돌시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과 캐리어에 장착되는 쿨링 모듈이 함께 파손될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의 쿨링 모듈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모듈이 결합된 상태와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5 는 도 4 에 도시한 마운팅 모듈의 A-A' 방향 단면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모듈을 장착한 자동차가 충돌시 마운팅 모듈이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를 참조하면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는 상부 패널(110), 하부 패널(130), 사이드 패널(120), 마운팅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에 쿨링 모듈(30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30)과 상기 상부 패널(110)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패널(130)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12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패널(110)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 패널(130)의 중앙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센터 패널(도면 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FEM)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모듈(200)은 상기 상부 패널(110) 또는 상기 하부 패널(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모듈(200)은 설계에 따라 상기 하부 패널(130)에 상기 쿨링 모듈(300)의 하단이 장착되는 부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30)에 상기 쿨링 모듈(300)의 상단 및 하단이 장착되는 부위 모두에 구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마운팅 모듈(200)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에 장착될 때 상기 쿨링 모듈(300)이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모듈(200)은 마운트(210), 마운트 프레임(230), 탄성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은 가이드 레일(231)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모듈(200)은 별도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량이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 모듈(200)은 상단에 러버 부재(211)가 구비되는 상기 마운트(210), 상기 마운트(210)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트(210)의 둘레면을 감싸는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 상기 마운트(210)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을 연결하는 상기 탄성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210)에는 마운팅 홀(211- 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홀(211-1)은 상기 쿨링 모듈(300)과 끼움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20)는 일측단이 상기 마운트(210)의 전방 방향 측면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면에서 상기 마운트(210)가 구비된 측과 대향되는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220)는 스프링이 대표적이나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 부재(220)는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와 상기 쿨링 모듈(300)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해야 하므로 설계에 따라 적절한 탄성 계수를 갖는 부재를 이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충돌 사고에서 충격이 전달될 때 상기 마운트(210)는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면에서 전후 방향 양단에 부딪히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하고,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와 상기 쿨링 모듈(300)에는 충격이 최소한으로 전달될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탄성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220)는 이러한 요구 조건에 부합하도록 적절한 탄성 계수를 갖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 4 에서는 상기 마운팅 모듈(200)의 유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상기 탄성 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마운팅 모듈(200)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도 7 에서는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에 구비된 상기 마운팅 모듈(200)의 유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 는 자동차의 충돌 전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를 나타내고 도 7b 는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에 구비된 상기 마운팅 모듈(200)이 유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을 참고 하면 상기 마운트(210)에 결합된 상기 쿨링 모듈(300)도 함께 소정의 범위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쿨링 모듈(300)과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0)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231)은 레일 홈(231-1)과 레일 돌기(231-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홈(231-1)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양 측단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일 돌기(231-2)는 상기 레일 홈(231-1)에 결합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트(210) 양 측단의 외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31)은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210)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는데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 돌기(231-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마운트(210)의 유동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일 홈(231-1)은 상기 레일 돌기(231-2)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결합되어 유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과 차이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에는 충격 흡수 재(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재(232)는 천연고무(Rubber), 발포고무(foamed rubber),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발포 폴리머, 실리콘계 고무, 플라스틱계 고무(PRK) 등 탄성력이 있는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220)에 연결된 상기 마운트(21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동한 상기 마운트(210)는 상기 탄성 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과 상기 마운트(210)가 충돌하여 2차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충격에 의해 상기 쿨링 모듈(300)이 파손될 위험이 존재하며 상기 충격 흡수재(232)는 이러한 2차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 의 마운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와 차이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모듈(200)에는 보조 탄성 부재(2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의 일측단은 상기 마운트(210)에서 상기 탄성 부재(220)가 결합된 측과 대향되는 측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는 실시예 2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탄성 부재(220) 에 연결된 상기 마운트(210)가 전방으로 유동되었다가 상기 탄성 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에 비해 상기 탄성 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운트(210)가 후방으로 유동될 때 발생하는 2차 충격에너지는 마찰 등에 의한 에너지 손실로 인해 충돌시 충격에너지보다 더 작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220)와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마운팅 모듈(200)의 내측의 전방과 후방 어느 쪽으로도 충돌하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는 상기 탄성 부재(220)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힘이 작용할 때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가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해야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10)는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경미한 손상에도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10)와 쿨링 모듈(30) 전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어 이들을 교체하기 위한 부품 비용과 교체 시간 및 노동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100)는 상기 탄성 부재(220)에서 충돌 사고시 발생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231)에서 상기 마운트(21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재(232)와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탄성 부재(220)의 복원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2차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의 쿨링 모듈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FEM) 캐리어의 쿨링 모듈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모듈이 결합된 상태와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도시한 마운팅 모듈의 A-A' 방향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 의 마운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모듈을 장착한 자동차가 충돌시 마운팅 모듈이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
11 : 상부 패널 12 : 사이드 패널
13 : 하부 패널 20 : 로우어 마운트
30 : 쿨링 모듈
100 :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
110 : 상부 패널 120 : 사이드 패널
130 : 하부 패널
200 : 마운팅 모듈
210 : 마운트 211 : 러버 부재
211-1 : 마운팅 홀 220 : 탄성 부재
230 : 마운트 프레임 231 : 가이드 레일
231-1 : 레일 홈 231-2 : 레일 돌기
232 : 충격 흡수재 250 : 보조 탄성 부재
300 : 쿨링 모듈

Claims (4)

  1.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30), 상기 상부 패널(110)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패널(130)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120)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110) 또는 상기 하부 패널(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쿨링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마운팅 홀(211-1)이 형성된 러버 부재(211)를 구비하는 마운트(210), 상기 마운트(210)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마운트(210)의 둘레면을 감싸는 마운트 프레임(230), 상기 마운트(210)와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220)를 포함하는 마운팅 모듈(2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양 측단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홈(231-1), 상기 마운트(210)의 양 측단의 외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돌기(231-2)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에 구비된 상기 마운트(210)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가이드 레일(2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에는 전방으로 이동한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탄성 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재(2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220)는 상기 마운트(210)에서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전방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운트(210)가 상기 탄성 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마운트(210)에서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 프레임(230)의 내측 후방으로 결합되는 보조 탄성 부재(250)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 탄성 부재(250)는 상기 탄성 부재(220)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KR1020090058173A 2009-06-29 2009-06-29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154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73A KR101545680B1 (ko) 2009-06-29 2009-06-29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73A KR101545680B1 (ko) 2009-06-29 2009-06-29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67A true KR20110000867A (ko) 2011-01-06
KR101545680B1 KR101545680B1 (ko) 2015-08-20

Family

ID=4360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73A KR101545680B1 (ko) 2009-06-29 2009-06-29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10322A1 (it) * 2022-05-18 2023-11-18 Fca Italy Spa Estremita' frontale di autoveicol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9133B2 (ja) * 2006-11-01 2010-07-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の支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10322A1 (it) * 2022-05-18 2023-11-18 Fca Italy Spa Estremita' frontale di autoveicolo
WO2023223222A1 (en) * 2022-05-18 2023-11-23 Stellantis Europe S.P.A. Motor vehicle front-e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680B1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3197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0847157B1 (ko) 철도 차량 단부용 에너지 흡수 장치
KR20090078957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551542B1 (ko) 차량의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의 범퍼레일 마운팅구조
KR10149731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1518514B1 (ko) 쿨링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588849B1 (ko) 하이브리드 타입 프론트 범퍼 빔의 구조
KR20110000867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JP2019043419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10518730B2 (en) Vehicular shock absorber
KR20090079131A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40064045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구조
KR101353316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7354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527897B1 (ko) 쿨링 모듈의 파손 방지를 위한 프론트 엔드 모듈
JP5966540B2 (ja) 車両用熱交換器
KR101518513B1 (ko) 쿨링모듈 파손 방지용 완충장치
CN108791143A (zh) 一种缓冲减震组合式保险杠
KR101543396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CN211809471U (zh) 一种保险杠
KR20130033765A (ko)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KR102405632B1 (ko) 차량용 범퍼 지지구조
KR102052441B1 (ko) 차량용 레일 형 스티프너
KR20110035180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2083414B1 (ko) 차량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