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22A -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22A
KR20110000822A KR1020090058105A KR20090058105A KR20110000822A KR 20110000822 A KR20110000822 A KR 20110000822A KR 1020090058105 A KR1020090058105 A KR 1020090058105A KR 20090058105 A KR20090058105 A KR 20090058105A KR 20110000822 A KR20110000822 A KR 2011000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ersonal information
address book
mobile communication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왕
Original Assignee
(주)아이러브 캠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러브 캠퍼스 filed Critical (주)아이러브 캠퍼스
Priority to KR102009005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822A/ko
Publication of KR2011000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09Personal information, e.g. profiles or personal directories being only provided to authoris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타 사용자에게 주소록 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인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무실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주소, 집 주소, 생일, 기념일, 일정 등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된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들에게도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소록, 고객 관리 서버, 개인정보, 인증번호

Description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update service of address book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로 주소록 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공학, 통신 공학, 단말기 기술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이 출시되고 있다. 즉, 무선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더불어,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연락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에 주소록 저장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수의 전화번호와 이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인명(또는 상호 명이나 기타 사용자의 인식명)을 이동통신단말에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여 타인과 연락한다. 더불어, 사용자 들은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새롭게 알게 된 타인의 성명,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다.
이렇게 지인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분실을 대비하여, 주소록 보관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즉,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주소록을 특정 서버에서 동기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분실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새로운 이동통신단말로 저장된 사용자의 주소록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분실하더라도 상기 서버로부터 지인들의 정보가 저장된 주소록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주소록 보관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을 동기화시킬 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의 개인정보(예컨대, 집 전화번호, 사무실 주소 등)가 변경되면 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가 변경되면, 지인들에게 일일이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등의 연락 수단을 통하여 변경된 자신의 정보를 알린다.
이런 문제점에 착안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8-32548호(발명의 명칭 :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는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변경한 경우, 사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를 추출하여, 그 주소록에 등록된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단지 사용자가 지정한(즉, 사용자의 주소록에 저장된) 타 사용자들에게만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할 뿐,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되 지 않은 또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상기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들은 예전의 연락처(예컨대, 이메일 주소,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등)로 상기 사용자와 연락을 시도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된 타 사용자들 외에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또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상기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하여 타 사용자들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들에게 상기 사용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통보하여,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를 상기 타 사용자들의 주소록에 반영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타 사용자에게 주소록 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제 1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타 사용자에게 주소록 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사용자별 개인정보 변경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장치는, 상기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그 개인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사용자별 개인정보 변경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인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무실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주소, 집 주소, 생일, 기념일, 일정 등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된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들에게도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가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한 경우, 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들에게 손쉽게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통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에 따라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 시스템은 고객 관리 서버(400), 주소록 서버(500) 및 주소록 데이터베이스(600, 이하 '주소록 DB'라고 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주소록 갱신 시스템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 및 범용 컴퓨터(300)와 통신한다. 상기 네트워크(200)는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지의 관용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은 주소록 서버(5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주소록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런 이동통신단말(100, 120, 130)은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폰, Wibro폰, Wifi폰 등을 포함한다.
범용 컴퓨터(300)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이동중 컴퓨터(예컨대, Wibro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주소록 서버(500)에 접속하여 주소록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다.
고객 관리 서버(400)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즉, 고객 관리 서버(400)는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사용자 성명, 주민등록번호, 집 주소,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을 저장한다. 특히, 고객 관리 서버(400)는 이동통신 대리점 또는 서비스 센터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변경을 요청받아,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한다. 이때, 고객 관리 서버(400)는 상기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와 변경 전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개인정보 변경 정보를 주소록 서버(500)로 전송한다.
주소록 DB(600)는 사용자별 주소록 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주소록 DB(600)는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에 저장된 주소록 및 개인정보와 동기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사용자별 개인정보 및 주소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소록 DB(600)는 도 2의 (a), (c), (e)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정보로서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생일, 이메일 주소, 집 주소, 회사 주소, 메모, 일정, 시간표 등을 저장한다. 또한, 주소록 DB(600)는 도 2의 (b), (d), (f)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가 등록한 주소록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주소록 DB(600)는 홍길동 사용자의 주소록으로 AAA, BBB, CCC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주소록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는 성명, 그룹명,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생일, 통화 연결음, 집 주소, 회사 주소, 이메일 주소, 단축번호, 메모, 일정, 시간표 등이 포함된다.
주소록 서버(500)는 사용자의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 저장하고, 주소록 정보를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범용 컴퓨터(300) 또는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부터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아울러,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 또는 범용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또한, 주소록 서버(500)는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주소록 DB(600)에서 변경되면, 그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된 타 사용자 정보를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타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들에게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개인정보 변경된 사용자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 정보를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하여, 상기 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고객 관리 서버(4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와 변경 전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개인정보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개인정보를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된 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개인정보 변경된 사용자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에게도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소록 서버(500)는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주소록 갱신 서비스 등록을 요청받는다(S301).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사용자의 성명,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생일, 이메일 주소, 메모, 일정, 시간표 등이 포함되는 개인정보를 범용 컴퓨터(3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S303, S305). 바람직하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에게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회원 가입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번호를 생성한다(S307).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인증번호가 기록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S305 단계에서 수신한 개인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설정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S309). 즉,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가 개인정보로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제대로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번호를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번호를 이동통신단말(100, 120, 130)로 수신한 사용자는 범용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주소록 서버(500)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한다(S311).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S307 단계에 생성한 인증번호와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범용 컴퓨터(300)로 주소록 데이터를 요청한다(S313, S315). 반면에,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두 인증번호가 불일치하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범용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사용자의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주소록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S317, S319).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주소록 DB(600)에 저장한 주소록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하여 상기 주소록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에 저장시킴으로써,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주소록 데이터와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의 주소록 데이터를 일치시킨다(S321). 바람직하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의 기종을 확인하고, 그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에 사용 가능한 형태로 상기 주소록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한다.
도 2의 (a)와 (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주소록 서버(500)는 홍길동으로부터 주소록 등록을 요청받으면, 개인정보를 홍길동의 범용 컴퓨터(300)로 요청하여 도 2의 (a)와 같은 홍길동의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인증번호의 인증에 성공한 홍길동의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주소록 데이터를 요청하여, 도 2의 (b)와 같은 홍길동의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주소록 서 버(500)는 수신한 홍길동의 개인정보인 도 2의 (a)와 홍길동의 주소록 데이터인 도 2의 (b)를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주소록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부터 직접적으로 주소록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에 구현된 개인정보 설정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더불어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의 주소록 저장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에 저장된 주소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가입되고 개인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가 소유한 이동통신단말을 도 1의 110이며 이동통신단말#1(110)로,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을 도 1의 120, 130이고 각각 이동통신단말#2(120),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110), 이동통신단말#2(120), 이동통신단말#3(130)의 사용자를 각각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제 3 사용자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1(110)에 구현된 개인정보 설정 메뉴를 통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변경한다(S401). 즉, 제 1 사용자는 상기 개인정보로서 저장된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생일, 이메일 주소, 집 주소, 회사 주소, 메모, 일정, 시간표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변경한다.
그러면, 이동통신단말#1(110)은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주소록 서버(500)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한다(S403).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주소록 DB(600)에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변경하고, 변경 전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으로 등록한 타 사용자(즉, 제2, 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한다(S405, S407).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에서 최소한 이동통신단말#1(110)의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즉, 제2, 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에서 최소한 이동통신 전화번호와 성명 모두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주소록 서버(150)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모두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개인정보 중 일부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추출한 제 2, 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이동통신단말#2(120)와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S409, S411). 상기 문자 메시지는 주소록 서버(500)에 바로 접근하여, 상기 변경된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단말(120, 130)의 주소록에 바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3(130)으로부터 주소록 갱신을 요청받으면, 주소록 DB(600)에서 제 3 사용자의 주소록을 업데이트한다(S413, S415). 즉, 주소록 서버(500)는 제 3 사용자 주소록에 포함된 제 1 사용자 개인정보를 변경 전 정보에서 변경 후 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변경된 제 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3(130)의 주소록을 갱신한다(S417).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제 1 사용자의 주소록을 변경시키는 주체가 도 4와 다르고 변경된 주소록을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절차는 동일하므로, 도 5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4와 중복되는 부분은 요약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소록 서버(500)는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변경을 요청받는다(S501). 즉, 주소록 서버(500)는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인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집 주소, 회사 주소, 생일, 일정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변경을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요청받는다.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변경된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 DB(600)에 반영하고, 이동통신단말#1(110)로 변경된 개인정보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1(110)의 개인정보와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일치시킨다(S503, S505).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주소록 DB(600)에서 변경되기 전의 제 1 사용자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즉, 제 2, 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개인정보를 토대로 이동통신단말#2(120)와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S507, S509, S511).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3(130)으로부터 주소록 업데이트를 요청받으면, 주소록 DB(600)에서 제 3 사용자의 주소록을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 전 개인정보에서 변경된 개인정보로 갱신한다(S513, S515).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송한다(S517).
그럼, 도 2의 도면을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5의 절차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사용자는 홍길동, 제 2 사용자는 이철수, 제 3 사용자는 김영희라고 가정한다.
홍길동은 주소록 서버(500)에 직접 접속하여 자신의 회사 전화번호를 02-XXX-9823에서 02-XXX-1111로 변경하거나, 이동통신단말#1(110)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포함된 회사 전화번호를 02-XXX-9823에서 02-XXX-1111로 변경한다.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홍길동 사용자의 변경된 회사 전화번호(02-XXX-1111)를 주소록 DB(600)에 반영하여 홍길동의 개인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홍길동의 회사 전화번호가 02-XXX-9823에서 02-XXX-1111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홍길동의 주소록에 등록된 AAA, BBB, CCC의 사용자에게 상기 홍길동의 회사 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한다. 또한, 주소록 서 버(500)는 홍길동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가 이철수와 김영희임을 확인하여, 상기 이철수와 김영희에게 상기 홍길동의 회사 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한다. 예컨대, 주소록 서버(500)에서 발송되는 메시지의 일례는 "홍길동 고객님의 회사 전화번호가 02-XXX-9823에서 02-XXX-1111로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정보를 주소록에 반영하기 원하시면 통화 버튼을 입력하여 주십시오."와 같다.
이에 따라, 상기 홍길동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이철수와 김영희는 홍길동의 회사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단말(120, 130)의 주소록에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면, 주소록 서버(500)로 주소록 갱신을 요청하여 자동으로 변경된 홍길동의 회사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김영희의 이동통신단말#3(130)으로부터 주소록 갱신을 요청받으면,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상기 김영희 주소록(도 2의 (f))의 홍길동 회사 전화번호를 02-XXX-9823에서 02-XXX-1111로 변경한다.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변경된 홍길동 회사 전화번호(02-XXX-1111)를 김영희의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3(130)에 저장된 주소록에 상기 변경된 홍길동의 회사 전화번호를 반영시킨다.
한편,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 또는 이동통신 대리점을 방문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하면, 고객 관리 서버(400)는 상기 서비스 센터 또는 이동통신 대리점으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변경을 요청받아 번호변경 절차를 진행한다(S601). 그리고 고객 관리 서버(400)는 제 1 사용자의 전화번호 변경이 완료되면,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와 변경 전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개인정보 변경 정보를 주소록 서버(500)로 전송한다(S603).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주소록 DB(600)에서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그 개인정보에 기록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로 갱신한다(S605).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제 1 사용자의 변경 전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고 있는 타 사용자(즉, 제 2,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한다(S607).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즉, 제 2,3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이동통신단말#2(120)와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S609, S611). 이때, 상기 문자 메시지는 주소록 서버(500)에 바로 접근하여 주소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콜백 URL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3(130)으로부터 주소록 업데이트를 요청받아, 변경된 제 1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반영되도록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제 3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한다(S613, S615).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 번호를 이동통신단말#3(130)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3(130)의 주소록을 업데이트시킨다(S617).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대신에 이메일, 쪽지, 메모 등을 이용하여 제 2,3 사용자에게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제 2,3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주소록 서버(500)는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제 2,3 사용자에게 쪽지 또는 메모 형태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쪽지 또는 메모는 제 2,3 사용자의 쪽지 보관함 또는 메모 보관함에 각각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인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무실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주소, 집 주소, 생일, 기념일, 일정 등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된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들에게도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가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한 경우, 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에게 손쉽게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통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500)는 데이터 관리부(510), 인증부(520), 데이터 감시부(530) 및 주소록 제공부(540)를 포함한다.
데이터 관리부(510)는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사용자별 주소록 데이터 및 개인정보를 생성, 변경 및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관리부(510)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 또는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사용자의 성명,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생일, 이메일 주소, 메모, 일정, 시간표 등의 개인정보 및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관리부(510)는 인증부(520)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성공한 경우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300) 또는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 및 주소록 데이터를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51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 또는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주소록 변경을 요청받아, 주소록 DB(6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한다. 한편, 데이터 관리부(510)는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 또는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주소록 DB(600)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변경한다. 이때, 데이터 관리부(510)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하여, 그 추출한 주소록에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변경되기 전에서 변경된 후로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감시부(530)는 주소록 DB(600)의 개인정보를 감시하고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그 사용자의 연관된 타 사용자에게 변경된 개인정보를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감시부(530)는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변경 여부를 감시하고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아울러, 데이터 감시부(530)는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타 사용자의 이메일, 메모함 또는 쪽지함으로 상기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데이터 감시부(530)는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상기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인증부(520)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인증부(520)는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개인정보 수신하면,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인증번호가 기록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한 후, 상기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설정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 또한, 인증부(520)는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300)로부터 인증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한 인증번호와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주소록 제공부(540)는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한다. 특히, 주소록 제공부(540)는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부터 주소록 갱신을 요청받아, 상기 주소록의 업데이트에 필요한 주소록 데이터 를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의 기종을 확인하고, 그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에 사용 가능한 형태로 상기 주소록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110, 120, 130)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 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에 따라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DB에 저장된 사용자별 개인정보 및 주소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시스템에서 변경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4)

  1.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타 사용자에게 주소록 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 상기 갱신된 주소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주소록 갱신 서비스 등록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한 사용자에게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문자 메시지, 메모, 쪽지 또는 이메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5.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주소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타 사용자에게 주소록 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반영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 상기 갱신된 주소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7.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사용자별 개인정보 변경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하는 주소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주소록을 상기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주소록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주소록 갱신 서비스 등록을 요청받으면,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한 사용자에게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감시부는,
    문자 메시지, 메모, 쪽지 또는 이메일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장치.
  12.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개인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장치로서,
    상기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그 개인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사용자별 개인정보 변경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한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상기 타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하는 주소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변경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반영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주소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주소록을 상기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주소록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장치.
KR1020090058105A 2009-06-29 2009-06-29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00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05A KR20110000822A (ko) 2009-06-29 2009-06-29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05A KR20110000822A (ko) 2009-06-29 2009-06-29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22A true KR20110000822A (ko) 2011-01-06

Family

ID=4360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05A KR20110000822A (ko) 2009-06-29 2009-06-29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8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29B1 (ko) * 2012-06-11 2014-06-27 (주)레프네트웍스 고객 전화번호 업데이트 장비 및 방법
WO2017034098A1 (ko) *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지앤톡 정보 변경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29B1 (ko) * 2012-06-11 2014-06-27 (주)레프네트웍스 고객 전화번호 업데이트 장비 및 방법
WO2017034098A1 (ko) *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지앤톡 정보 변경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0692A (ko)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67478A (zh) 一种传输联系人信息的方法及装置、系统
CN104854852A (zh) 用于为电话通话的语音到文本转录确定语言的方法和设备
JP5675662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決済システム
JP2010268178A (ja) 電話帳管理システム及び電話帳管理方法
KR101116534B1 (ko) 원거리 데이타 베이스에서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하는 방법
US82442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a plurality of identities
US8437746B1 (en) Contact information rights management
KR1010952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KR20110000822A (ko)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113936B1 (ko)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0558188C (zh) 消息处理设备、系统及方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2005167700A (ja) ユーザ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2268970A (ja) アクセス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US8954036B2 (en) Data arrival control server and method for notifying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of data arrival at a certain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40954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2162939A1 (zh) 基于校验信息来提供联系人信息的方法
KR101525163B1 (ko) 통화 연결음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20125698A (ko) 비밀 번호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30139451A (ko) 법인 명의 이동 단말 사용자의 부가 서비스 가입을 위한 방법, 서버, 및 기록 매체
EP2741477B1 (en) Method Of Identifying Contacts For Initiating A Commun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CN102333147A (zh) 基于id信息及校验信息来互换个人相关信息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