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23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232B1
KR101095232B1 KR1020100089854A KR20100089854A KR101095232B1 KR 101095232 B1 KR101095232 B1 KR 101095232B1 KR 1020100089854 A KR1020100089854 A KR 1020100089854A KR 20100089854 A KR20100089854 A KR 20100089854A KR 101095232 B1 KR101095232 B1 KR 10109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m
caller
telephone number
registered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텔코웨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코웨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코웨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신자가 스팸 전화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하여 거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팸으로 분류된 모든 목록들이 일괄적으로 스팸 처리되는 것을 막아 자신이 원하는 목록은 별도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METHOD OF SELECTIVELY PREVENTING SPAM CALL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신자가 스팸 전화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하여 거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팸으로 분류된 모든 목록들이 일괄적으로 스팸 처리되는 것을 막아 자신이 원하는 목록은 별도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팸 전화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보내는 광고, 사기 또는 음란성 전화들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모바일 폰(Mobile Phone),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가 대중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스팸 전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작위로 스팸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는 수신자가 이를 알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의 스팸 전화 처리 방법에는, 발신번호가 단말기에 생성된 스팸 리스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번호를 스팸 전화로 간주하여 차단하는 방법, 통신사 서버에 스팸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스팸을 차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가 스팸 전화번호를 하나씩 등록해 나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자들 사이에 어떠한 정보 공유도 할 수 없어 각 사용자가 경험한 스팸에 한해 대응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사용자들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스팸 차단방법에 대한 서비스가 소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스팸 여부가 사용자 개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어 사용자 개인이 원하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수신자는 발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스팸 여부를 확인하여 발신 전화를 거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스팸으로 분류된 경우에 개인의 선택에 따라 서버에 저장된 스팸을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 목록으로 별도 저장하여 스팸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전화번호를 각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수신하는 1 단계,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3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요청하는 4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인 경우에는 상기 스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는 5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주소록은 상기 스팸 필터 서버의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전화번호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는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스팸 키워드, 스팸 키워드 레벨 및 스팸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팸 키워드는 상기 스팸 필터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고,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 키워드가 동일하게 등록되는 경우, 등록된 횟수가 높은 순으로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스팸 키워드 레벨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다수의 스팸 키워드 중에서 상기 스팸 키워드가 중복하여 등록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상기 스팸 지수는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다수의 사용자의 스팸 등록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스팸 지수는 상기 사용자들의 스팸 레벨 업 또는 스팸 레벨 다운 입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수신하는 1 단계,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요청하는 3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4 단계 및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주소록은 상기 스팸 필터 서버의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전화번호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수신하는 1 단계,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3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요청하는 4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호의 연결을 차단하는 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스팸 필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스팸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스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스팸 전화번호 DB;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스팸 여부 요청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상기 스팸 전화번호 DB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팸 필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팸 전화번호 D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스팸 키워드, 스팸 키워드 레벨 및 스팸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스팸으로 관리되는 전화번호를 서버를 통해 착신시에 검색하여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스팸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스팸으로 관리되는 전화번호 목록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를 별도로 관리하여 스팸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저장부에 의해 웹 서버로부터 스팸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해주고, 수신자는 발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전화를 수신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및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키 입력부(120), 제어부(230), 오디오 처리부(140), 저장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그 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에 의한 전화의 착신 및 발신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선접속장치(미도시)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10)는 착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물론 스팸 필터 서버에 접속하거나 외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키 입력부(12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호 착신 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저장부(150)의 제 1 주소록(152)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152)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152)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제어부(130)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발신자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152)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제 2 주소록(154)을 다시 검색한다.
여기서, 제 2 주소록(154)은 제 1 주소록(152)과 구별되는 것으로, 스팸 필터 서버(180)에서 스팸으로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혹은 스팸 처리될 수 있는 전화번호에 대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스팸으로 처리되지 않고 수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로 별도로 저장한 리스트를 나타낸다.
특히, 제 2 주소록(154)은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을 이용해 스팸 필터 서버(180)에서 검색하여 작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2 주소록(154)을 검색한 결과, 발신자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발신자의 정보를 출력한다.
하지만, 제어부(130)는 제 2 주소록(154)에도 발신자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할 스팸 필터 서버(180)에 접속하여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 요청을 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인 경우에는 스팸에 관한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고, 스팸이 아닌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출력한다.
다만, 제어부(130)는 제 1 주소록(152)을 검색한 후에 스팸 필터 서버(180)에 스팸 여부를 요청한 후에 제 2 주소록(154)을 검색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및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OS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 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수신자에 의해 생성된 주소록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단말기(100)의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150)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 1 주소록(152),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 그리고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에 의해 사용자가 스팸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전화번호 중에서 수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별도로 관리하는 제 2 주소록(15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50)는 OS(Operating System,151),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스팸 필터 어플리케이션이라 함,153)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55, 155', 155'')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에는 제 2 주소록(154)이 연동되어 필요한 경우에 제 2 주소록(154)을 검색한다.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미리 탑재되어 판매되거나, 혹은 프로그램 다운로드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은 상기 단말기(100)로 착신호가 시도될 때, 제어부(130)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어, 미리 정해진 일련의 단계들(예컨대, 후술되는 도 4 또는 도 5 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신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착신호가 수신되면, 먼저, 단말기(100) 내의 제 1 주소록(152)에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하고, 제 1 주소록(152)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다시 제 2 주소록(154)을 검색한다.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152) 혹은 제 2 주소록(154)에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 발신 정보를 출력하고,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 2 주소록(154)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자동으로 스팸 필터 서버(170)에 접속하여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팸 필터 서버(170)는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스팸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3G 이동 통신망(310) 또는 무선접속장치(미 도시)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인 WiFi(Wireless Fidelity, 무선데이터 전송 시스템, 320)에 의해 상기 스팸 필터 서버(170)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은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된 스팸 전화번호인 경우 스팸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은 그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은 외부의 웹 서버(171)에 접속하여 외부에 별도로 구성된 외부 데이터베이스(190)를 검색할 수 있다.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스팸 필터애플리케이션(153)은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의 어디에도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발신자 전화번호만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스팸 데이터베이스(180)는 스팸 전화번호, 스팸 키워드, 스팸 키워드 레벨 및 스팸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데이터베이스(190)는 일반전화번호 DB(191) 및 휴대폰번호 DB(19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전화번호 DB(191)는 예컨대, 유선 전화번호 및 상기 유선 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름 또는 상호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폰 번호 DB(193)는 휴대폰 전화번호 및 상기 휴대폰 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전화번호 DB(183) 및 휴대폰번호 DB(185)는 정보 공개를 수락한 사용자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 인터넷 상에서 검색 또는 이용 가능한 오픈된 DB 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는 스팸 키워드, 스팸 키워드 레벨 및 스팸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팸 키워드는 수신자 및/또는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접속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으며, 스팸 키워드는 스팸 전화번호와 관련된 키워드(예컨대, 사기, 피싱, 광고 등)가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팸 키워드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팸 키워드가 중복하여 등록되는 경우 등록된 횟수를 합산하여 합산된 횟수가 높은 순으로 저장될 수 있다.
스팸 키워드 레벨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상기 다수의 스팸 키워드 중에서 상기 스팸 키워드가 중복하여 등록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스팸 키워드 레벨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실제 수치일 수 있으며, 등록된 횟수에 비례하여 정규화된 수치일 수도 있다.
또한, 스팸 지수는 스팸 전화번호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의 스팸 등록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스팸 지수는 사용자들의 단말기에서 스팸 레벨 업 또는 스팸 레벨 다운 입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30)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처리를 위한 서버는 스팸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80)와 스팸처리부(182)로 구성된다.
스팸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8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스팸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스팸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스팸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80)를 구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스팸 필터 처리부(18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스팸 여부 요청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상기 스팸 전화번호 DB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자의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스팸 필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서버(400)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3G 이동 통신망(310), WiFi(320) 및 인터넷망(3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3세대 CDMA 이동통신망으로 기술하지만, 2세대, 4세대 이동통신망에서도 쉽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200)는 3G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인터넷망과 연동되는 스팸 필터 서버(17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20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와이브로(Wibro)폰 등이 포함될 수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서버(400)는 제 1 서버(401) 및 제 2 서버(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버(401)는 상술한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고, 상기 제2 서버(402)는 외부에 구성되어 있는 서버 또는 별도로 구축 가능한 서버이며, 상술한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팸 전화를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과,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발신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착신 호가 발생하면(S400), 단말기(100)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 1 주소록에서 검색한다(S4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S402),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발신자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한다(S406).
이 경우,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지인임을 판단하고 즉시 통화를 승낙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스팸 필터 애플리케이션(153)에 의해 구성된 제 2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S403),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2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발신자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한다.(S406)
하지만,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팸 필터 서버(17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한다(S404).
여기서,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의 검색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스팸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스팸 필터 서버(170)에 전달하고, 스팸 필터 서버(170)가 스팸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단계(S404)는 착신호에 대하여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전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G 이동 통신 프로토콜 또는 WiFi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인에이블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상기 스팸 필터 서버(170)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17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자 전화 번호가 스팸 필터 서버(170)에 전송되어, 발신자 전화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된 스팸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S405),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된 스팸 전화번호인 경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한다(S406).
이 단계들(S404, S405)에서, 스팸 필터 서버(170)는 발신자 전화 번호를 키워드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팸 키워드, 스팸 키워드 레벨 및 스팸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스팸 필터 서버(170)로부터 받은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경우, 가입자는 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스팸 전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즉시 통화를 승낙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서 검색한다(S407).
검색 결과,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S407),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한다(S406).
그러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도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출력한다(S409).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된 스팸 전화번호인 경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지 않고, 해당 스팸 전화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은 도 4의 흐름과 그의 흡사하나, 제 2 주소록을 검색하는 시점이 제 1 주소록을 검색한 시점이 아니라 스팸 필터 서버(180)에 의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에 해당하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에, 스팸에 대한 정보를 바로 출력하여 발신자의 전화를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주소록을 검색하여 수신자가 원하는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 후에 제 2 주소록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여 수신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제외하고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수신하는 1 단계;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의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스팸으로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스팸으로 처리되지 않고 수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2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3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요청하는 4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인 경우에는 상기 스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신호를 수신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는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스팸 키워드, 스팸 키워드 레벨 및 스팸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키워드는
    상기 스팸 필터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고,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 키워드가 동일하게 등록되는 경우, 등록된 횟수가 높은 순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키워드 레벨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다수의 스팸 키워드 중에서 상기 스팸 키워드가 중복하여 등록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는
    상기 스팸 전화번호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의 스팸 등록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스팸 지수는 상기 사용자들의 스팸 레벨 업 또는 스팸 레벨 다운 입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수신하는 1 단계;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요청하는 3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스팸 필터 서버의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스팸으로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스팸으로 처리되지 않고 수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4 단계; 및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신호를 수신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기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전화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수신하는 1 단계;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의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스팸으로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스팸으로 처리되지 않고 수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2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3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 2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팸 필터 서버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요청하는 4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스팸 필터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가 스팸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호의 연결을 차단하는 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89854A 2010-09-14 2010-09-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KR10109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854A KR101095232B1 (ko) 2010-09-14 2010-09-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854A KR101095232B1 (ko) 2010-09-14 2010-09-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232B1 true KR101095232B1 (ko) 2011-12-22

Family

ID=4550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854A KR101095232B1 (ko) 2010-09-14 2010-09-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2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51B1 (ko) * 2013-09-05 2013-11-25 주식회사 서원이엔씨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 설정 및 해제 방법
CN104869550A (zh) * 2014-02-24 2015-08-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事件的处理方法和装置
WO2016002995A1 (ko) * 2014-07-02 2016-01-07 주식회사 에바인 발신자정보 제공 및 수신자 통화유도방법
WO2017082433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스팸 전화의 정보를 제공하는 스팸 전화 차단 장치 및 스팸 전화 차단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51B1 (ko) * 2013-09-05 2013-11-25 주식회사 서원이엔씨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 설정 및 해제 방법
CN104869550A (zh) * 2014-02-24 2015-08-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事件的处理方法和装置
WO2016002995A1 (ko) * 2014-07-02 2016-01-07 주식회사 에바인 발신자정보 제공 및 수신자 통화유도방법
WO2017082433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스팸 전화의 정보를 제공하는 스팸 전화 차단 장치 및 스팸 전화 차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440B1 (ko) 스팸 전화를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9516163B2 (en) Analyzing telephone calls
CN102714681B (zh) 用于使用语音信箱提供消息传送的方法和装置
KR101512109B1 (ko)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 방법들,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
JP5351787B2 (ja) 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0556052C (zh) 电话号码改变通知方法以及电话号码改变通知系统
US8750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eaving an outgoing caller message
CN101702795A (zh) 共享权限使能的移动简档的系统和方法
US20150024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Outgoing Caller Messages
CN101631311A (zh) 用于共享权限启用的移动简档的简档服务
CN1305258C (zh) 用于通信网的数据库维护方法和系统
US20190258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Mask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s
JP6224927B2 (ja) 着信管理装置及び着信管理システム
CA2782005C (en) System and method for a global directory service
US8385531B2 (en) Performing routing of a phone call based on mutual contacts of a contact list
JP2013005205A (ja) 悪質電話防止装置、悪質電話防止システム
JP3902574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0952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JP2008109223A (ja) 携帯端末装置、リクエスト送受信制御方法およびリクエスト送受信制御プログラム
JP5823185B2 (ja) 発信者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06074B1 (ko) 피싱방지방법 및 피싱방지시스템
CN102238009A (zh) 提高通信安全性的方法和系统
CN102164354A (zh) 用于移动设备的本地语音邮件
US20130260716A1 (en) Phone Number Encapsulation Using Token Based Framework
US7929677B2 (en) Methods of emulating remote telephones at a client device using profiles of the remote telephone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