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878A -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878A
KR20100137878A KR1020090056127A KR20090056127A KR20100137878A KR 20100137878 A KR20100137878 A KR 20100137878A KR 1020090056127 A KR1020090056127 A KR 1020090056127A KR 20090056127 A KR20090056127 A KR 20090056127A KR 20100137878 A KR20100137878 A KR 20100137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dor
smell
support
adsorption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혜
Original Assignee
조선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혜 filed Critical 조선혜
Priority to KR102009005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878A/ko
Publication of KR2010013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친환경적으로 악취 냄새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제1 내지 제3 공간부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흡입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안쪽 프레임과 상부코너에 일체화로 형성된 흡입파이프는 중앙 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복수 개의 흡입구를 갖는 냄새 흡입장치와, 흡입 통기공 통로로 냄새를 흡입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냄새흡입관과 연통하여 있는 송풍로을 통하여 냄새흡입관연결공과 결합하여 있는 송풍팬 뒤에,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 통기공 통로와 결합하여 있고 흡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태우는 냄새 연소장치와, 냄새 연소장치의 후단에 결합하여, 태워진 이후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냉각 장치를 통과하여 냉각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분자를 흡입하기위한 흡입탑과, 완전히 걸러진 공기를 배기구로 시원한 바람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흡입탑을 통과하면서 필터링한 이후 2차로 필터링 하는 배기통을 포함한다. 이 처리기에 의하면, 도심에서의 음식물처리기의 가장 핵심사항인, 악취를 완전히 제거할수 있는 기능과 효과를 가진 획기적인 발명이다.
음식물 처리, 냄새 흡입 처리, 음식물 쓰레기

Description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GARB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LIMINATE BAD SMELL}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면서, 동시에 친환경적으로 악취 냄새를 보다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냄새 분자의 연소 및 흡착이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방에서 발생하는 각종 음식 찌꺼기는 그대로 비닐 봉지에 담아져 일반 쓰레기와 같이 수거되는바, 음식의 물기가 유출되는 쓰레기장 주변을 오염시켰고, 특히 여름철에는 심한 악취의 발생과 각종 해충의 번식을 가속시켰던 것으로 위생상 매우 불결한 것이며, 음식물 찌꺼기가 원형 그대로 수거되므로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고 싱크대의 하수구에 투입될 경우에 종종 배수관을 막혀 버리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내부로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히터 장치를 구비하여, 그 내에 투입되는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장기간 동안에 가열 및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그 전체 부피를 줄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처리기는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기간 동안 계속 히터 장치를 작동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열과 함께 발생하는 쓰레기의 악취는 더욱이 고열로 수분 제거시 처리실 내부에 대량의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 수증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작업이 지연되어 그 처리기간이 매우 길어짐은 물론, 그로 인한 쓰레기의 악취는 진동하여 도심에서는 사용할수 없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 처리기는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만을 제거하는 것이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후에, 발생하게 되는 잔재물의 량이 많은 문제점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들 중에서 또 다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들로는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직접 가하여 연소 및 소멸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수분 제거 방법에 비해 그 처리기간이 짧음과 동시에, 잔재물의 량이 적은 이점은 가지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태울 때에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다이옥신 등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고 또 음식물 쓰레기에 직접 열을 가해 태우는 방식이어서 그 처리 시에 연료의 낭비 및 소각시 발생하는 악취의 역겨운 냄새는 도심에서는 사용할수 없는 매우 심각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에, 음 식물 쓰레기를 태우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만을 연소한 이후 남은 잔량의 분자를 흡착할수 있도록 하는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여 주는 수직 지지대와,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받침 프레임을 갖는 지지대와, 양 받침 프레임 상에 고정 및 지지하여 있는 한 쌍의 역 삼각형의 지지 연결대와, 역 삼각형의 지지 연결대 사이에 삽입되고 용접에 의하여 역 삼각형의 지지 연결대의 배면의 일부 부위에 각각 고정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과, 여기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내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제1 및 제2 격벽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공간부로 분할되고 제1 및 제2 격벽에는 각각 그들의 상부일측에 넘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수용하는 중공부과, 축 베어링부을 지닌 축 받이지지부와, 체인 수용부와, 지지대가 브라켓과 브라켓 지지대로 일체화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역 삼각형의 지지 연결대 상에서 그의 고정구 안에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한 쌍의 역 삼각형의 지지 연결대에 각각 고정되는 축받이 지지장치와, 제1 및 제2 격벽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축 받이통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제1, 제2, 제3 공간부에서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면에 삽입 및 고정되는 회전 장치에 착설된 다수 개의 교반 부재와, 여기에서 회전 부재는 중공 형태로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심 부재와, 중심 부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 개의 연결 부재들 과, 연결 부재와 교차 연결되는 원 형태의 회전 부재와, 음식물 쓰레기를 위로 퍼 올리기 위하여 설치된 다수 개의 연결 돌기 부재들과 회전 부재의 원 둘레에 용접에 의하여 균일하게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부재로 일체화로 이루어졌고,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에는 내장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 제 1, 2, 3의 공간부를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공간부 외벽에 설치 부착된 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제1, 제2, 제3 공간부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흡착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안쪽 상부 일측에 제1 격벽, 제2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냄새 흡입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 개의 흡입구를 갖는 냄새 흡입장치와, 흡입관 통기공 통로로 공기를 불어주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의 흡입관과 연통하여 있는 송풍로를 통하여 송풍구와 결합하여 있는 송풍장치와,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 통기공 통로와 결합하여 있고 흡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태우는 냄새 가열장치와, 냄새 가열장치의 후단에 결합하여 태워진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 냄새분자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냉각 장치를 통과하여 냉각된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냄새를 제거 하기 위한 흡착탑과, 제2 흡착탑의 기능을 갖는 배기통으로 구성하여, 신선한 바람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흡착탑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2차로 필터링하는 배기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는 흡착탑과 배기통의 내부에는 5 m/m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친환경적이고 도심에서 악취가 전혀 없는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음식물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구성 및 그에 의하여 발휘되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뚜껑이 개방된 상태인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개방된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우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뚜껑이 닫힌 상태인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좌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뚜껑이 닫힌 상태인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우측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냉각장치의 내부 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 7은 도 3의 냄새 연소 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지지대(10)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대(10)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연결하여 주는 수직 지지대(13)와, 하부 프레임(12)에 연결되는 받침 프레임(16)을 갖는다. 그리고 브라켓 지지대(15-1), (15-1')가 양 받침 프레임(16) 상에 고정 및 지지하여 있다.
또한, 한 쌍의 브라켓 지지대(15-1), (15-1')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이 삽입되고 용접에 의하여 역삼각형의 지지 연결대(15), (15')의 배면의 일부 부위에 각각 고정된다.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 외측 중간 하단에는 고정판(42)와 고정볼트(43)에 의하여 부착된 열판이 내장되어 있어서 3.3kW의 열 히터 다수개의 가동으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은 항상 35℃ ~ 40℃의 온도로 유지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내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제1 및 제2 격벽(21), (22)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공간부(23), (24), (25)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및 제2 격벽(21), (22)에서 그들의 중앙에는 회전부재(28-3)이 관통된 관통공(참조번호 없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좌측 상부에는 넘김 통공(21-1), (22-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 기능인 중심의 회전축(26)은 모터(100)의 구동력을 체인(61)에 의하여 체 인수용부(62)로 전달되어 구동된다.
회전축(26)은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관통공들과 제1 및 제2 격벽(21), (22)의 관통공들 안으로 삽입되어, 반대편 외벽 중앙에 설치된 축받이 링(60)에 의하여 지지 구동된다.
제1 및 제2 공간부(23), (24)에는 각각 회전축(26)에는 회전 장치(28) 및 교반 부재(27)가 에 삽입 및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3 공간부(25)에는 회전 장치(28)가 삽입 및 고정되어 있다. 이때에 다수 개의 교반 부재(27)들은 회전축(26)의 원주 면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삽입 및 고정된다.
또한 회전 장치(28)는 중공 형태로 회전축(26)이 삽입되는 중심 부재(28-1)와, 중심 부재(28-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 개의 연결 부재(28-2)들과, 연결 부재(28-2)와 교차 연결되는 원 형태의 회전 부재(28-3)와, 음식물 쓰레기를 위로 퍼 올리기 위하여 다수 개의 연결 부재(28-2)들과 회전 부재(28-3)의 원 둘레에 용접에 의하여 균일하게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 혹은 긴 돌기부재(28-5)로 일체화로 이루어졌다. 이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 장치(28)는 제1 내지 제3 공간부(23), (24), (25)에서 회전축(26)에 삽입되는 중심 부재(28-1) 에 의하여 회전축(26)에 고정된다.
또한 본 중심 회전축(26)에는 회전부재(28)을 제외한 제1, 제2 (23),(24)공간부에는 다수개의 교반 부재(27)가 각각 360°전방위로 산개되어 접합되어 있다.
회전 장치(28)의 원주 면은 물레방아의 원주 면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다. 회전 장치(28)의 원주 면에는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의 회전에 의 하여 위로 퍼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가 제1 및 제2 격벽(21), (22)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넘김 통공(21'-1), (22'-1)을 통하여 다음 공간으로 옮겨진다.
제 3 공간부(25)로 옮겨진 쓰레기는 교반 부재(27)가 없는 상태에서 회전부(28--3)에 부착된 돌기부재(28-4),긴 돌기부재(28-5)에 의하여 제1 공간부(23)에서 음식물 쓰레기통(20)의 후면 상부 프레임코너의 하측에 냄새 흡입구(29-1)가 있는 냄새 흡입관(29)가, 제 1, 제 2, 제 3 공간부(23),(24),(25)를 구획하고 있는 격벽(21),(22)후면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3 공간부(25)에 대응하는 정면 좌측 중간에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70)가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4는 온도 센서이다. 온도 센서(14)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3.3kW의 열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음식물 쓰레기통(20)의 후면 상부 프레임 코너 아래에 마련된 냄새흡입관(29)은 도 1의 중앙 통공(30)을 통하여 엘보 연결구(31)와 연통되어 있다. 이때에 냄새흡입관(29)은 다수개의 냄새 흡입구(29-1)가 있으며 엘보 연결부(31)와 연통할 때에 패킹 처리하였다. 엘보연결부(31)는 다수 개의 송풍로(32), (32-1), (32-2)들과 연통하여 있다. 송풍로(32),(32-1)들은 연결 플랜지(35)에 의하여 결합된다. 엘보 연결부(31) 다음에는 송풍로(32)가 연결된 다음에, 연이어 연결 송풍로 엘보(33)과 그 끝에 송풍팬(34)가 위치한다. 송풍팬(34) 다음에 연결플랜지(35)로 송풍로(32-2)가 위치한다. 엘보 연결부(31) 그 아래에 열히터 좌측 지지 브라켓(15') 상에는 체결 부재(68)에 의하여 축받이 지지장치(69)가 설치된다.
축 받이 지지장치(69)에는 내면에 축 베어링부를 지닌 축받이 링(60)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받이 링(60) 안에는 회전축(26)이 삽입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뚜껑(93)이 닫혀 있는 상태이다. 뚜껑(93)은 2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뚜껑(93)은 스테인레스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처리된 외측 층과 보온재로 보온 처리되는 내측 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 층에 처리된 보온재는 KCC에서 생산하는 세라크 울이다. 쓰레기 투입구 뚜껑(94')은 뚜껑(93)의 제 1공간부(23) 위에 쓰레기 투입구(94)를 덮기 위함이고, 관찰구 뚜껑(92')은 제 2공간부와 제 3공간부(24),(25)의 격벽 상부에 관찰구(92)를 덮기 위함이다.
도 1에 도시된 후측 상부에 각 쓰레기 수납 공간부(23),(24),(25)위에 설치된 냄새 흡입관(29)에는 다수 개의 냄새 흡입구(29-1)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냄새 흡착관(29)은 다수 개의 송풍로(32),(32-1),(32-2)와 연통하여 있는 중앙 통공(30)를 가지고 있다. 그 냄새 흡입관(29)의 중앙 통공(30)는 도 2의 엘보 연결부(31)과 연통되어 있다.
냄새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바깥쪽 프레임에는 송풍 팬(34)이 송풍로(32)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송풍로(32)는 제1 공간부(23)에서 음식물 쓰레기통(20)의 후면 프레임에 마련된 엘보 연결부(31)와 연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1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 제거하기 위하여 냄새 연소장치(40)가 그의 일 단을 통하여 송풍로(32)와 결합하고 냄새 연소장치(40)는 그의 타 단을 통하여 송풍로(32-1)와 결합한다. 냄새 연소장치(40)는 두개의 봉(Φ10×ℓ=90(m))(36)으로 구성되어있다. 4kW 열 히터로 구성된다.
다수 개의 송풍로(32),(32-1),(32-2)는 연결 플랜지(35)에 의하여 결합한다. 연결 플랜지(35)를 거친 송풍로(32-2)는 냉각 장치(80)를 통과한다.
냄새 연소장치(40)의 후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장치(80)가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냄새 연소장치(40)에 의하여 태워진 고온의 음식물 쓰레기의 공기가 냉각 장치(80)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냄새 연소장치(40)로부터 냉각 장치(80)로 흡입되어 냉각된다. 냉각 장치(80)의 후단 부위에는 열 센서(80-1)가 부착되어 있다. 냉각 장치(80)의 후단에는 흡입 연결 플랜지(83) 및 흡입 통기 연결로(84)를 통하여 흡착탑(85)이 연이어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냉각된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냄새가 섞인 공기는 냉각 장치(80)를 통과하여 흡착탑(85) 상부 뚜껑플랜지(85-1)로 유입되어 안에 있는 활성탄 조각들에 흡착되어 누적된다. 흡착탑(85)의 내부는 5m/m크기의 활성탄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흡착탑(85)의 하부한쪽에는 흡 착탑(85)의 출구 연결로(86)와 배출 통(90)의 입구 연결로(88)를 결합시키는 연결 플랜지(87)를 통하여 배출통(90)과 연통한다. 배출 통(90)의 내부에는 5 m/m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내장되어 있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91)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74는 송풍팬(34)에 의하여 냉각을 위한 열 방출파이프(75)가 감긴 송풍파이프(74)이다. 열 센서(80-1)는 냉각장치(80)의 냉각상태를 알려주는 센서이다.
냄새 연소장치(40)의 A-A'선 단면을 보인 도 7은 냄새 연소장치(40)는 철재 원형 관으로써, 그 중심에는 열 히터 봉(36)이 있고 냄새 연소장치(40) 외측에는 단열 세라크울이(36-3)이 금박지(36-2)에 둘러 쌍인채 2중으로 중복 단열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제 1공간부(23) 내부에서부터 외부의 열판(41) 상부에 보온된 세라크울(121)과 보온재를 고정하는 고정핀(121-1)이다.
도 5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통(20)의 우측 프레임 부분에서 모터(100)에 연결된 연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우측 프레임의 일부에는 관통부(101)이 형성되고 이 통공 안으로 회전축(26)이 삽입되고 회전축 고정키(29)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축(26)은 축받이 지지장치(69)에 의하여 지지된다.
축받이 지지장치(69)는 회전축(26)이 삽입되는 중공부(101)와, 축 베어링부을 지닌 축 받이통(60), 체인 수용부(62), 및 지지대가 일체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 지대에 형성된 좌우 고정구 안으로 체결 부재(68)를 집어넣고 볼트 체결함으로써 지지 연결대(15) 상에 축받이 지지장치(69)를 고정한다. 체인 수용부(62)의 외부 원주 면에는 체인(61)이 걸어지도록 톱니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 지지장치(6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좌측 프레임에서 지지 연결대(15')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지지브라켓(15-1),(15-1')이 있으며 또한 모터(100)도 그의 회전축(6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67)을 감싸고 있는 축받이 링(66)과, 체인 수용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100)의 회전축(67)이 회전하게 되면 체인(61)을 통하여 축받이 지지장치(69)의 회전축(26)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터(100)는 2마력의 모터로서 분당 6 ~ 7회전의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축받이 링(60)과 회전축(26)도 분당 6 ~ 7회전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르게 되면 모터(10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인(61)을 통하여 축받이 링(60)과 함께 축받이 링(60) 내의 회전축(26)도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2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6)에 삽입 및 고정된 교반 부재(27)와 회전 장치(28)가 회전하게 되면서 중심부재(28-1), 연결부재(28- 2), 회전부재(28-2), 돌기부재(28-4), 긴 돌기부재(28-5), 교반부재(27)이 함께 회전한다.
교반 부재(27)와 회전 장치(28)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공간부(23)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된다. 제1 공간부(23)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은 통상 130kg / 1일이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은 열 히터 가동장치(19)의 가동으로 인하여 항상 35℃ ~ 40℃의 온도로 유지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고열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시에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내부에 대량의 냄새 분자가 발생하게 되는데, 발생한 냄새 분자는 냄새 연소장치(40)의 냄새 흡입구(29-1)로 유입된다.
한편, 제1 공간부(23)에서 회전 장치(28)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장치(28)에 일체화로 구성된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위로 퍼 올려지고 퍼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격벽(21)의 넘김 통공(21'-1)을 통하여 제1 공간부(23)로부터 제2 공간부(24)로 옮겨진다. 제2 공간부(24)로 옮겨진 음식물 쓰레기는 제2 공간부(24)에서 교반되면서,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음식물 쓰레기로 된다.
마찬가지로 제1 공간부(23)에서 회전 장치(28)의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위로 퍼 올려지고 퍼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제2 격벽(22)의 넘김 통공(22'-1)을 통하여 제2 공간부(24)로부터 제3 공간부(25)으로 옮 겨진다. 제3 공간부(25)으로 옮겨진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되면서 건조하고 분말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로 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외부면 33kW의 열판(41) 다수 개가 내장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내부는 항상 35℃ ~ 40℃의 온도로 유지하고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 건조 상태가 되며, 회전 장치(28)의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부스러지기 때문이다. 제3 공간부(25)에서 분말 상태로 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 장치(28)의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의 회전에 의하여 위로 퍼 올려져 음식물 쓰레기 통(20)의 정면 중간에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70)를 통하여 배출되어져 저장통(73)에 저장된 후, 적절한 양이 저장된 후, 잠김클립(72)을 해제한 후, 잠김클립 하부에 매달린 저장통(73) 속에든 소량의 찌꺼기를 처리 한 후에, 다시 잠금 클립(72)으로 채워둔다. 이때에 저장통(73)에 저장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의 함수율은 5%미만이다.
한편, 교반 부재(27)와 회전 장치(28)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공간부(23)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는 동안에 음식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는 냄새 흡입관(29)의 냄새 흡입구(29-1)를 통하여 흡입이 되어 냄새흡입구(29-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냄새 흡입관(29)를 통하여 중앙 통공(30)을 통하여 송풍로(32)으로 흘러간다. 이때에 흡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는 송풍 팬(34)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송풍로(32-1)을 향하여 흘러간다. 다시 말하자면 송풍팬(34)는 그의 송풍로(32-1)를 통하여 흡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송풍 로(32-1)로 흐르도록 음식물 쓰레기 통(20)의 송풍로(32-1)로 공기를 흡입하여 준다.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는 송풍로(32-1)을 통하여 냄새 연소장치(40) 속으로 유입된다.
냄새 연소장치(40) 안으로 유입되는 흡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분자는 냄새 연소장치(40)에 의하여 태워진다. 이때 미량이나마 남은 냄새분자는 냉각 장치(80)에 내장된 냉각 송풍팬(50)에 의하여 밀려져서 냄새 연소장치(40)로부터 냉각 장치(80)로 흡입되어서 거기에서 냉각된다. 냉각된 잔유 냄새 분자는 냉각 장치(80)를 통과하면서 흡착탑(85)의 활성탄에 흡착되어 흡착탑(85) 안에 1차 흡착되고, 잔존하는 냄새 분자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흡착탑(85)에서 흡착후 2차 흡착을 위하여 흡착탑 출구 연결로(86)을 통하여 배기통(90)속에 내장된 활성탄을 거치면서 냄새가 전혀 없는 신선한 공기로 만들어진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가동이 완료되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말이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70)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시킬 때는 저장통(73) 뚜껑(71)의 사면에 위치한 잠김클립(72)을 열고 저장통(73)을 비운 후에 다시 부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흡착탑(85)와 배기통(90)속의 활성탄에 흡착된 음식물 쓰레기 분말은 적절한 시기에 한번 씩 털어낸 후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이다.
도 1은 뚜껑이 개방된 상태인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개방된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우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뚜껑이 닫힌 상태인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좌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뚜껑이 닫힌 상태인 본 발명의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우측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냉각장치의 내부 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 7은 도 3의 냄새 연소 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지지대 11 : 상부 프레임
12 : 하부 프레임 13 : 수직 지지대
14 : 온도센서. 15 : 브라켓
15-1, 15-1' : 브라켓 지지대 16 : 받침 프레임
19 : 열판 20 : 음식물쓰레기 수용통 21 : 제1 격벽. 22 : 제2 격벽.
21-1, 22-2' : 넘김 통공 23 : 제1 공간부.
24 : 제2 공간부. 25 : 제3 공간부.
26 : 회전축 27 : 교반 부재
28 : 회전 장치 28-1 : 중심 부재
28-2 : 연결 부재 28-3 : 회전 부재
28-4 : 돌기 부재 28-5 : 긴 돌기 부재
29 : 냄새 흡입관. 29-1: 냄새흡입구.
30 : 중앙 통공 31 : 엘보 연결부
32, 32-1, 32-2 : 송풍로 33 : 연결 송풍로 엘보
34 : 송풍팬. 35 : 연결 플랜지.
36 : 열히터 봉 36-2 : 금박지
36-3 : 단열재 새라크울 37 : 열히터 고정 그립.
40 : 냄새 연소장치 41 : 열판
42 : 고정판 43 : 고정 볼트
50 : 냉각 장치 송풍팬 60, 66 : 축받이 링
61 : 체인 62, 62' : 체인 수용부
68 : 체결 부재 69 : 축받이 지지장치
70 :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 71 : 저장통 뚜껑
72 : 잠김 클립
73 : 저장통 74 : 송풍파이프
75 : 열방출 파이프 80 : 냉각 장치
80-1 : 열 센서 83 : 흡입 연결 플랜지. 84 : 흡착탑의 흡입통기연결로. 85 : 흡착탑
85-1 : 흡입 탑 뚜껑 플랜지 86 : 흡착탑출구연결로
87 : 배출탑 입구연결로연결플랜지. 88 : 배기통입구연결로.
90 : 배기통 91 : 배기구.
92 : 관찰구 92' : 관찰구 뚜껑
93 : 뚜껑 94 :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94' : 쓰레기 투입구 뚜껑 95 : 손잡이
100 : 모터 101 : 관통공 121 : 보온재 121-1 : 고정핀

Claims (3)

  1.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연결하여 주는 수직 지지대(13)와, 하부 프레임(12)에 연결되는 받침 프레임(16)을 갖는 지지대(10)와,
    양 받침 프레임(16) 상에 고정 및 지지하여 있는 양쪽의 한 쌍의 브라켓(15), (15')을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 지지대(15-1),(15-1')와,
    브라켓 지지대(15-1),(15-1') 사이에 삽입되고 용접에 의하여 브라켓 지지대(15-1),(15-1')의 배면의 일부 부위에 각각 고정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과, 여기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내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제1 및 제2 격벽(21), (22)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공간부(23), (24), (25)로 분할되고 제1 및 제2 격벽(21), (22)에는 각각 넘김 통공(21'-1), (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6)을 수용하는 중공부과, 축 베어링부을 지닌 축받이 링(60)과, 체인 수용부(62)와, 지지대가 일체화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브라켓(15)와 브라켓 지지대(15-1),(15-1')의 지지 연결대(15-1),(15-1') 상에서 그의 고정구 안에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체결 부재(68)에 의하여 한 쌍의 브라켓(15)와 브라켓 지지대(15-1),(15-1')에 각각 고정되는 축받이 지지장치(69)와,
    제1 및 제2 격벽(21), (22)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축받이 링(60)의 관통공(101)에 삽입되는 회전축(26)과,
    제1 및 제2 공간부(23), (24)에서 각각 회전축(26)의 원주 면에 삽입 및 고정되는 회전 장치(28) 및 다수 개의 교반 부재(27)와, 여기에서 회전 장치(28)는 중공 형태로 회전축(26)이 삽입되는 중심 부재(28-1)와, 중심 부재(28-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 개의 연결 부재(28-2)들과, 연결 부재(28-2)와 교차 연결되는 원 형태의 회전 부재(28-3)와, 음식물 쓰레기를 위로 퍼 올리기 위하여 다수 개의 연결 부재(28-2)들과 회전 부재(28-3)의 원 둘레에 용접에 의하여 균일하게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기 부재(28-4)와 긴 돌기부재(28-5)로 일체화로 이루어졌고, 제3 공간부(25)에서는 회전축(26)의 원주 면에 회전 장치(28)가 삽입 및 고정되며,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에는 통(20) 외부면에 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을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열판(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제1 내지 제3 공간부(23), (24), (25)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흡착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후면 내부의 상부 프레임(10)코너 아래에 냄새흡입관(29)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통공(30)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 개의 냄새 흡입구(29-1)를 갖는 냄새 흡입관(29)와,
    음식물 쓰레기 통(20)의 엘보 연결부(31) 및 송풍로(32)로 공기를 흡입하여 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 통(20)의 중앙 통공(30)과 연통하여 있는 송풍 로(32)을 통하여 결합하여 있는 송풍팬(34)과,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송풍로(32-1)과 결합하여 있고 흡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태우는 냄새 연소장치(40)와,
    냄새 연소장치(40)의 후단에 결합하여 태워진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80)와,
    냉각 장치(80)를 통과하여 냉각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흡착하는 위한 흡착탑(85)과, 여기에서 흡착탑(85)에는 열 센서(80-1)가 있고 흡착탑(85)의 흡입 통로 연결로(84)는 흡착탑(85)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연결하여 있으며,
    배기구(91)로 시원한 바람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흡착탑(85)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통(90)과, 여기에서 배기통(90)의 하부에는 배기통입구연결로(88)가 부착되어 있고 배기구(91)는 배기통(9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흡착탑(85) 및 배기통(90)의 내부에는 5 m/m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090056127A 2009-06-23 2009-06-23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00137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27A KR20100137878A (ko) 2009-06-23 2009-06-23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27A KR20100137878A (ko) 2009-06-23 2009-06-23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78A true KR20100137878A (ko) 2010-12-31

Family

ID=4351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27A KR20100137878A (ko) 2009-06-23 2009-06-23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8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92B1 (ko) * 2020-09-08 2021-03-17 김유성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KR102252707B1 (ko) * 2021-03-10 2021-05-14 김유성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WO2022055214A1 (ko) * 2020-09-08 2022-03-17 김유성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CN117983011A (zh) * 2024-04-03 2024-05-07 佛山市顺德区诚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高效环保的机械加工废气处理设备
CN117983011B (zh) * 2024-04-03 2024-05-31 佛山市顺德区诚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高效环保的机械加工废气处理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92B1 (ko) * 2020-09-08 2021-03-17 김유성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WO2022055214A1 (ko) * 2020-09-08 2022-03-17 김유성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KR102252707B1 (ko) * 2021-03-10 2021-05-14 김유성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CN117983011A (zh) * 2024-04-03 2024-05-07 佛山市顺德区诚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高效环保的机械加工废气处理设备
CN117983011B (zh) * 2024-04-03 2024-05-31 佛山市顺德区诚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高效环保的机械加工废气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686B1 (ko) 밀폐 순환 건조장치
KR101073305B1 (ko)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7265820A (zh) 一种智能环保厕所用的模块化污物分离干燥处理系统
KR202000064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37878A (ko) 냄새 흡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93417B1 (ko) 음식물 자원화 처리장치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4099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의 냄새 제거방법
CN211424405U (zh) 一种环保型垃圾焚烧炉
KR102004032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95219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KR100430073B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200265980Y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100336639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10255133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KR10157220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3787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의 냄새 제거 방법
JP3182728B2 (ja) 飲食ごみの処理装置
JPH07171546A (ja) コンポスター
KR101342927B1 (ko) 가스 및 기름 연료를 사용하는 건조장치
KR200356444Y1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JPH09287875A (ja) 乾燥装置
SU163962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сжигани фекальных отходов
KR200240506Y1 (ko) 수분제거장치
JP3400599B2 (ja) 厨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