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874A -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874A
KR20100137874A KR1020090056121A KR20090056121A KR20100137874A KR 20100137874 A KR20100137874 A KR 20100137874A KR 1020090056121 A KR1020090056121 A KR 1020090056121A KR 20090056121 A KR20090056121 A KR 20090056121A KR 20100137874 A KR20100137874 A KR 2010013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ir
housing
intake door
coll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원
양정모
배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호
세존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호, 세존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to KR102009005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874A/ko
Publication of KR2010013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Landscapes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에 갖추어지는 흡기 도어장치로서, 공기 흡인통로 상으로 배치되는 흡음재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대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흡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고, 공기 흡인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구동기구를 상기 공기 흡인통로와는 격리된 공간에 수납하여 흡인되는 공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먼지 등으로부터 오염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보수 유지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쓰레기가 투기 되는 수집관로의 한쪽 끝으로 플랜지 이음 되는 연통부를 하측에 구비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방으로 위치하고 내부 중심에는 워엄휘일이 설치된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상부커버 사이로 배치되어서 공기 흡인통로를 은폐하는 실드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부공간 및 실드의 내주면에는 흡음재가 부착되어 고정상의 외부 흡음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워엄휘일의 중심을 관통하여 치차 연결된 스크루에 승강체를 현수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외주면에는 흡음재를 부착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내부 흡음관이 형성되게 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거 시스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흡기 도어,

Description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Intake door apparatus for refuse in suction operated refuse in gathering system}
본 발명은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집관로에 투기 되는 쓰레기를 관내의 공기 흐름에 실어 원거리의 집하장으로 이송시켜 수거하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집관로의 내부로 공기 흐름을 일으켜 이송방식을 채택하게 되는 공기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경우에, 상기 수집관로의 한쪽은 지상에 비치된 흡기 도어장치에 연통 되고 말단부는 흡기 팬에 연통 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흡기 도어장치에는 내측의 흡기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와, 공기 흡인 시에 발생하는 파공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재가 구비된다.
예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10-0839468호에 개시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공기 흡입장치는 큰 지름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중공상 제1 흡음부의 내측 하단으로 수집관로의 한쪽 끝이 연통 됨과 동시에 그 수집관로의 한쪽 끝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중공상 제1 흡음부의 내측 상단에는 그보다 작은 지름의 제2 흡음부를 설치하되, 제1 흡음부의 상단과 제2 흡음부의 하단이 상 호 엇갈리게 되도록 충분히 연장된 길이로 배치되고, 상기 수집관로의 한쪽 끝을 개폐하는 밸브는 그 상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배치된 모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연동하는 이송바에 견인되면서 개폐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기 흡입장치는 흔히 외측으로 놓이는 제1 흡음부와 내측으로 놓이는 제2 흡음부가 상호 일정 위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흡기시의 소음효과는 흡인되는 공기가 접하게 되는 흡음재의 길이가 길수록 높아진다. 그러나 종래의 공지된 흡기장치는 흡음재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소음 효과도 일정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밸브를 개폐 구동하는 모터와 이송 바 등의 부재가 공기 흡인통로의 깊숙한 곳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공기 흡인시에는 먼지 등이 퇴적하기 쉽게 되고, 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높으며, 또 고장 발생 시에는 위치적으로 모터, 이송 바 등을 분해하기도 쉽지 않다.
본 발명은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에 갖추어지는 흡기 도어장치로서,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외부 흡음관의 내측 상방으로 비치되는 내부 흡음재가 통로 개방시에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흡음통로의 길이를 증대시켜 흡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흡인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구동기구로서 모터, 스크루 등의 구동부재를 공기 흡인통로와는 별도로 격리 수납하여 흡인되는 공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먼지 등으로부터 오염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보수 유지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은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는 투입된 쓰레기를 공기 흐름으로 수거하기 위하여 한쪽에 송풍 팬이 배치되고 반대쪽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흡기 도어장치가 설치된 수거관로를 갖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집관로의 한쪽 끝으로 플랜지 이음 되는 연통부를 하측에 구비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방으로 위치하고 내부 중심에는 워엄휘일이 설치된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상부커버 사이로 배치되어서 공기 흡인통로를 은폐하는 실드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부공간 및 실드 의 내주면에는 흡음재가 부착되어 고정상의 외부 흡음관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워엄휘일의 중심을 관통하여 치차 연결된 스크루에 승강체를 현수함으로써 상기 승강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흡음재가 상하로 이동되는 내부 흡음관이 되게 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는,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커버의 내부 공간, 또는 승강체의 내부 공간을 리조네이터로 활용하여 소음 감쇠 작용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조네이터는 상부커버나 승강체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 모두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과 효과를 나타낸다.
외부 흡음관의 내측에서 내부 흡음재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통로를 개폐하는 구조이므로 통로 개방시에는 흡인되는 공기가 흡음재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양호한 흡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인통로를 개폐하는 구동기구로 갖추어지는 모터, 스크루 등의 구동부재가 상기 공기 흡인통로와는 별도로 하우징의 상측으로 격리 수납되는 것이므로 흡인되는 공기 중에 혼입된 먼지 등과 오염될 염려가 없고, 상부커버를 벗겨내는 것만으로 보수 유지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부커버의 내부 공간과 내부 흡음재가 부착된 승강체의 내부 공간을 리조네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으므로 종래 장치에 비하여 월등한 소음 감 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일 실시 예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통상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에 구비되는 수집관로(2)의 한쪽 끝으로 플랜지 이음 되는 연통부(4)를 하측에 구비하고, 그 상방에는 다수의 가이드 바(6)를 타고 승 하강 안내되도록 승강체(8)가 설치된 하우징(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 승강체(8)는 하우징(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커버(12)의 중심으로 현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승강체(8)는 중심 내부에 형성된 구멍(14)으로 한쪽 끝부분이 일체로 수직 연결된 스크루(16)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크루(16)의 상단은 상부커버(12)의 내부에 설치된 워엄휘일(18)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편, 상기 워엄휘일(18)에는 정역회전모터(20)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기어(22)가 치차 연결된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12)의 내부에서 스크루(16)의 주변에는 승강체(8)의 상사점과 하사점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상측 리미트스위치(24)와 하측 리미트스위치(26)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들 리미트스위치(24)(26)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는 컨트롤러(28)의 입력단으로 인가되어서 상기 정역회전모터(20)의 구동과 정지 및 구동방향을 제어하는 신호로 활용된다.
상기 하우징(10)과 상부커버(12) 사이의 간격은 공기 흡인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것의 외측은 실드(30)에 의해 은폐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하우징(10)과 상부커버(12), 실드(30)의 내주면, 그리고 승강체(8)의 외주면에는 흡음재를 부착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상부커버(12) 및 실드(30)의 흡음재는 고정된 외부 흡음관(32)으로, 그리고 승강체(8)의 흡음재는 상하로 이동되는 내부 흡음관(34)으로 배치하여 둔다.
흡음재로 바람직한 재질은 부직포, 미네랄 울, 암면, 스펀지 등이 있다.
도 1의 도시는 스크루(16)가 워엄휘일(18)의 정회전에 의해 상승 위치하여 그 상단이 상측 리미트스위치(24)를 터치 온 한 채로 상기 승강체(8)가 상사점에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체(8)는 연통부(4)를 개방하고 있고, 내부 흡음관(34)은 상기 외부 흡음관(32)과 함께 공기 흡인통로를 형성하고 있게 되므로 흡인되는 공기가 흡음재와 접하게 되는 면적이 최대로 된다.
이때, 컨트롤러(28)로부터 정역회전모터(20)로 역방향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정역회전모터(20)에 구비된 워엄기어(22)가 워엄휘일(18)을 역방향으로 종동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루(16)는 하강하게 되어 승강체(8)가 가이드 바(6)를 타고 수집관로(2)를 폐쇄시키게 된다.
승강체(8)가 수집관로(2)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16)의 상단은 상측 리미트스위치(24)에서 떨어지고 하측 리미트스위치(26)를 터치 온 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신호는 폐쇄신호로써 컨트롤러(28)에 입력되어 정역회전모터(20)의 역방향 구동은 정지된다.
상측 리미트스위치(24)나 하측 리미트스위치(26)가 터치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8)로부터 출력되는 정역회전모터(20)의 구동신호는 2종류로 구분 출력된다. 즉, 상측 리미트스위치(24)가 터치 온 된 상태에서의 구동신호는 역방향 회전신호로, 또 하측 리미트스위치(26)가 터치 온 된 상태에서의 구동신호는 정방향 회전신호로 되는 것이다.
또, 승강체(8)가 하강하여 연통부(4)를 폐쇄시켰을 때는 내부 흡음관(34)의 위치도 변화되어 공기 흡인통로 상에 흡음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되지만, 이때는 공기를 흡인하지 않는 때이므로 흡음작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체(8)의 승 하강 이동에 의해 수집관로(2)가 개폐되는 것이고, 특히 개방상태에서는 승강체(8)의 외주에 부착된 내부 흡음관(34)이 하우징(10)과 상부커버(12), 그리고 실드(30)에 부착된 흡음재로 인하여 형성되는 외부 흡음관(32)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공기 흡인통로의 내주면 전체가 흡음재로 피복된 상태를 조성하게 되므로 흡음효과가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 예에서의 특징은 상부커버(12)의 내부에서 스크루(16)의 주변 공간으로 리조네이터(36)를 배치하고 그 입구를 상부커버(12)의 하측방으로 열어두어 소음 감쇠 작용을 나타내게 하거나, 또는 승강체(8)의 내부 공간을 리조네이터(38)로 형성하고 그 입구를 공기 흡인통로 상으로 열어둠으로써 흡인 시의 소음 감쇠 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구성에 있다.
여기서 리조네이터(36)(38)는 원하는 소음 감쇠 작용을 얻기 위한 것이라면 승강체(8)나 상부커버(12)의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양쪽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단지, 리조네이터(36)(38)는 흡기통로 상에 설치되어야만 흡인되는 공기에 공명할 수 있고 공명에 의한 주파수 간섭 작용으로 소음을 감쇠시키게 된다.
또, 리조네이터(36)(38)에서 공명현상으로 일어나는 주파수는 흡기 통로 상으로 열린 리조네이터(36)(38)의 입구 단면적과 길이, 그리고 리조네이터(36)(38)의 체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므로 다음 식에 따라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
Figure 112009038080619-PAT00001
(위 식에서 f: 공명주파수 C/2π: 리조네이터 체적 S: 입구 단면적 l: 입구 길이
Figure 112009038080619-PAT00002
:입구의 형상 보정치 임)
그리고 정역회전모터(20)나 워엄휘일(18) 등의 구동부재를 상부커버(12)의 내부로 수납 배치한 구성에 의해, 보수 점검 시에는 다만 상부커버(12)만 개봉하면 되고, 또 상기 구동부재는 공기 흡인통로와는 관계없는 격리된 공간에 비치되는 것이므로 흡인되는 공기 중의 먼지에 오염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할 염려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일 실시 예를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수집관로 4: 연통부
6: 가이드 바 8: 승강체
10: 하우징 12: 상부커버
14: 베어링 16: 스크루
18: 워엄 휘일 20: 모터
22: 워엄기어 24: 상측 리미트스위치
26: 하측 리미트스위치 28: 컨트롤러
30: 실드 32: 외부 흡음관
34: 내부 흡음관 36, 38: 리조네이터

Claims (3)

  1. 투입된 쓰레기를 공기 흐름으로 수거하기 위하여 한쪽에 송풍 팬이 배치되고 반대쪽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흡기 도어장치가 설치된 수거관로를 갖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집관로(2)의 한쪽 끝으로 플랜지 이음 되는 연통부(4)를 하측에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상방으로 위치하고 내부 중심에는 워엄휘일(18)이 설치된 상부커버(12), 그리고 상기 하우징(10)과 상부커버(12) 사이로 배치되어서 공기 흡인통로를 은폐하는 실드(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과 상부커버(12) 및 실드(30)의 내주면은 흡음재로 피복되어 고정상의 외부 흡음관(3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워엄휘일(18)의 중심을 관통하여 치차 연결된 스크루(16)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승강체(8)가 배치되고, 이 승강체(8)의 외주면으로 피복되는 흡음재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내부 흡음관(34)으로 형성되는 구성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2)의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는 리조네이터(36), 또는 상기 승강체(8)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는 리조네이터(38)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2)의 내부 공간과 상기 승강체(8)의 내부 공간에 각각 리조네이터(36)(38)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KR1020090056121A 2009-06-23 2009-06-23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KR20100137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21A KR20100137874A (ko) 2009-06-23 2009-06-23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21A KR20100137874A (ko) 2009-06-23 2009-06-23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74A true KR20100137874A (ko) 2010-12-31

Family

ID=4351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21A KR20100137874A (ko) 2009-06-23 2009-06-23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8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6094A (zh) * 2017-08-26 2018-07-20 贵州义龙万丰生态肥业有限公司 一种尿素生产实验喷灌装置
KR20200139879A (ko) * 2019-06-04 2020-12-15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내장형 소음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6094A (zh) * 2017-08-26 2018-07-20 贵州义龙万丰生态肥业有限公司 一种尿素生产实验喷灌装置
KR20200139879A (ko) * 2019-06-04 2020-12-15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내장형 소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4160B1 (en) Filt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N102421503B (zh) 对清洁用抽吸装置的两个过滤器进行清理的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抽吸装置
KR100916033B1 (ko)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구 개폐 방법
RU2005104021A (ru) Узел всасывающей щетки (варианты) и пылесос с такой щеткой
WO2018120415A1 (zh) 家用机器人
KR20100137874A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 시스템의 흡기 도어장치
JP4858830B2 (ja) 排水栓の遠隔操作開閉装置
CN106345784A (zh) 可调式伸缩集尘罩
KR200480231Y1 (ko)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게이트밸브
CN110409602A (zh) 一种人防地下排水系统
CN106618367A (zh) 一种自动控制墙体清洗装置
KR100845545B1 (ko) 듀얼 흡입 시스템을 구비한 집진기
CN109237558A (zh) 一种吸油烟机
CN209538317U (zh) 一种电磁落水器
CN108554083A (zh) 一种工厂车间用除尘设备
CN100504188C (zh) 多功能家用厨房空气净化器
CN114424904A (zh) 一种集尘盒、吸尘设备及组合式清洁系统
CN206510043U (zh) 一种新型家用机器人
CN212411091U (zh) 一种多媒体触摸一体机的内部消尘结构
CN110984789A (zh) 一种对拉式厨房滑门
CN205392009U (zh) 一种移动式滤筒除尘器
CN211172326U (zh) 一种地下工程积水综合排放装置
CN219080558U (zh) 清污分流智能截流井
CN215523825U (zh)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空气源热泵
CN215574498U (zh) 一种高精度现场粉尘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