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954A -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 Google Patents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954A
KR20100136954A KR1020100121759A KR20100121759A KR20100136954A KR 20100136954 A KR20100136954 A KR 20100136954A KR 1020100121759 A KR1020100121759 A KR 1020100121759A KR 20100121759 A KR20100121759 A KR 20100121759A KR 20100136954 A KR20100136954 A KR 2010013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ing
bicycle
gliding
leap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10012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6954A/ko
Publication of KR2010013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Launching or tow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하늘을 나는 자전거를 하늘로 이륙시키기 위한, 전용 활공유도수단으로써, 철탑 구조의 활공도약대를 마련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한 이륙관계를 갖도록 하고, 그와 같은, 안정적이고 용이한 이륙관계에 의해, 불필요한 동력에너지원의 낭비를 예방토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확보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를 갖도록 한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며, 직립 설치되는 철탑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철탑 본체 내측 중앙부에 승,하강 작동되는 전동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며;
재차, 상기 철탑 본체 상부 전방면에 활공유도레일을 더 구비시킨, 활공도약대를 마련토록 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Volplane Leaping board}
본 발명은, 활공도약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늘을 나는 자전거를 이륙시키기 위한 유도수단으로써, 활공유도레일에 의한 미끄럼 작용과, 그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여, 하늘을 나는 자전거를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하늘로 이륙시킬수 있도록 한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발전에 따른 소득향상과, 그로 인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에 따라 여가 및 레저 스포츠 산업의 특수와 내수 소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고된 직장업무와, 바쁜 일상 생활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을 재충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떠나거나, 야외 레저활동을 즐기는 경우가 그 일예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단순한 휴식차원의 여가활동을 벗어나, 보다 짜릿한 경험과 쾌감을 맛보기 위한 새로운 레저분야, 예컨데, 하늘을 날고 싶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을 스포츠 활동의 한 분야로 발전시킨 항공레포츠가 널리 개발되어 점차 대중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이에, 이와 같은, 레저활동의 한 분야로서, 일반인에게 대중화된 항공레포츠의 이용 종류별 물품형태를 살펴보면, 이는 고정날개에 의해 기류(氣流)를 타고 공중을 날수 있게 한 행글라이더와, 낙하산을 개조하여 구성한 패러글라이더, 그리고, 엔진동력을 이용한 경비행기 등이 그 대표적인 사용 기구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항공레포츠를 즐김에 있어, 먼저, 종래 이용되고 있는, 행글라이더와, 패러글라이더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사용기능을 살펴보면, 이는, 고정날개 또는 캐노피를 기류(氣流) 유도수단으로 하여, 여기에, 사용자의 신체를 단순히 매달아 놓은 상태로 공중을 날개 한 구성인 바, 따라서, 신체가 매달린 채로 공중을 비행하는 사용자는, 심리적 안정감이 결여된 상태로서, 심한 공포감을 갖게 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아울러, 이러한, 행글라이더 및 패러글라이더는 단순히 하늘을 나는 인력활공(人力滑空機)수단에 불과할 뿐, 이를 또 다른 레저용도로 사용을 변경하거나, 또는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은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매우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사용상의 폐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행글라이더와, 패러글라이더 등은, 하늘로 이륙함에 있어, 별도의 활공대를 구비하지 못한체, 산등성이나, 언덕 등지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구름 동작에 의해 이륙관계를 갖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이에, 그 이용관계가 매우 번거롭고, 위험성을 갖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다.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행글라이더 내지 패러글라이더의 문제점을 일부해결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경비행기(실용신안등록 제0402594호)가 창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 기술로서의 경비행기 또한, 종래 행글라이더 내지 패러글라이더 등과 같은 이륙관계로서, 별도의 활공대를 구비하지 못한체, 단순히, 사용자에 의한 페달동력 내지 엔진동력을 이용하여, 비행 동체를, 지면으로부터 직접 이륙 되게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이 또한, 불필요한 동력의 낭비와 함께, 이륙관계를 매우 불안정하고, 위험하게 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항공레포츠 수단으로써,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구비토록 하고, 이와 같이, 구비된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안전하게 이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활공도약대를 마련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늘을 나는 자전거를 하늘로 이륙시키기 위한, 전용 활공유도수단으로써, 철탑 구조의 활공도약대를 마련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한 이륙관계를 갖도록 하고, 그와 같은, 안정적이고 용이한 이륙관계에 의해, 불필요한 동력에너지원의 낭비를 예방토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확보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를 갖도록 한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탑 구조를 취하는 활공도약대에, 전동엘리베이터를 더 구비되게 하여, 하늘을 나는 자전거의 운반관계를 보다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에, 더하여, 활공유도레일에 의한 미끄럼유도작용과, 그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여, 하늘을 나는 자전거의 이륙 성공률을 극히 향상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만족도 또한 증대되도록 한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며, 직립 설치되는 철탑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철탑 본체 내측 중앙부에 승,하강 작동되는 전동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며;
재차, 상기 철탑 본체 상부 전방면에 활공유도레일을 더 구비시킨, 활공도약대를 마련토록 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는, 하늘을 나는 자전거를 하늘로 이륙시키기 위한, 전용 구성을 취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한 이륙관계를 갖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은, 안정적이고 용이한 이륙 유도관계에 의해, 불필요한 동력에너지원의 낭비를 예방하고, 사용자의 안전성 또한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또 다르게, 철탑 구조를 취하는 활공도약대에, 전동엘리베이터와, 활공유도레일을 더 구비되게 하여, 하늘을 나는 자전거의 운반관계를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늘을 나는 자전거의 이륙 성공률을 극히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공도약대를 전용수단으로 하는 하늘을 나는 비행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공도약대를 전용수단으로 하는 하늘을 나는 비행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통상의 자전거(1)를 기초로 하여, 여기에, 전동 프로펠러(2)와, 전방비행유도날개(3), 그리고, 후방 비행유도날개(4)를 탈,부착 가능한 조립구조로, 결합시켜, 형성한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를 마련하고, 재차, 이와 같이, 마련된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를 이륙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 요지구성, 예컨대, 활공도약대(5)를 구비되게 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에 있어, 자전거(1)는, 도로주행 및 레저용으로 이용되는 통상의 자전거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통상의 자전거를 사용자 신체를 안착 되게 하는, 일종의 비행 동체로 활용 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자전거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프레임(11)을 기초 골격구성으로 하여, 상기 삼각프레임(11)의 전방과, 후방면에 주행페달(12)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휠(13)과, 후륜 휠(14)을 장착하고, 상기 전륜 휠(13) 상부면에 주행핸들(15)을 형성하며, 상기 삼각프레임(11) 상부 중앙면에, 탑승안장(16)을 설치하고, 재차, 상기 후륜 휠(14) 상부면에 보조안장(17)을 구비시켜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자전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자전거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에 있어, 전동 프로펠러(2)는, 전술한 자전거를 하늘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륙 유도함과 동시에, 비행시간을 일정시간 유지하며, 원거리를 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자전거(1)에 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전동 프로펠러(2)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연결체, 예컨대, 날개 연결봉(21)과 연계 결합 되는 구성형태로 하여, 그 날개 연결봉(21) 전방면에 축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프로펠러(2)를 일체로 결합,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에 있어, 전방비행유도날개(3)는, 비행 동체로 활용되는 자전거(1)를, 활공(滑空) 가능하게 유도하는 수단으로써, 이와 같은, 전방비행유도날개(3)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는, 통상의 항공 날개구조, 예컨대, 익형 날개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에 있어, 후방비행유도날개(4)는, 전술한 전방비행유도날개(3)를 보조하여, 비행 동체로 활용되는 자전거(1)를, 활공(滑空)가능하게 유도하는 비행수단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후방비행유도날개(4)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는, 통상의 항공 날개구조, 예컨대, 전술한 전방비행유도날개(3)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도록 구성하되, 그 크기는 전방비행유도날개(3)보다 작은 익형 날개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활공도약대(5)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활공도약대(5)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며, 지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소정 높이로 직립 설치되는 철탑 본체(51)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철탑 본체(51) 내측 중앙부에 통상의 모터구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 작동되는 전동엘리베이터(52)를 설치하며, 재차, 상기 철탑 본체(51) 상부 전방면에,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구조를 이루며, 미끄럼틀 형태로 돌출된 활공유도레일(53)을 더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활공유도레일(53)을 끝단부는 지면과 일정한 높이차이, 예컨대, 낙차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에 있어, 먼저,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행 동체 구성으로 구비된 자전거(1)에 있어, 주행핸들(15) 전방 하부면에, 커플링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프로펠러(2)가 결합된 날개 연결봉(21)을 수평 연장구조로 설치한다.
이어, 상기 날개 연결봉(21) 장착수단으로 하여, 그 날개 연결봉(21) 상부에 커플링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전방비행유도날개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 구비시키고, 재차, 자전거에 있어, 보조안장(17) 상부면에 후방비행유도날개(4)를,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 구비되게 함으로써, 하늘을 나는 자전거를 구현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늘을 나는 자전거는, 본 발명에 따른 활공도약대(5)를, 전용 이륙수단으로 하여, 그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인바, 따라서, 그에 따른 사용관계 및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원이나 들판, 또는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안전지대를 이용장소로 하여, 그 해당 장소의 지면위에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활공도약대(5)를 직립설치되도록 한다.
이어,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활공도약대(5) 내측면으로 설치된, 전동엘리베이터(52)에,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를 탑승시켜, 철탑 본체(51) 상부측으로 상기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를 운반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운반된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에, 사용자를 탑승되도록 하며, 재차, 사용자가 탑승한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를,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활공유도레일(53)을 따라 미끄럼 도약 되게 하여, 지면과의 낙차를 이용해 자전거를 하늘로 이륙 되게 함으로써, 일련의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1 : 자전거 2 : 전동 프로펠러 3 : 전방비행유도날개
4 : 후방비행유도날개 5 : 활공도약대 51 : 철탑 본체
52 : 전동엘리베이터 53 : 활공유도레일

Claims (1)

  1. 하늘을 나는 자전거(100)의 이륙을 유도하는 전용 활공도약대(5)를 구비하되;
    상기 활공도약대(5)는,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며, 직립 설치되는 철탑 본체(51)와;
    상기 철탑 본체(51)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전동엘리베이터(52)와;
    상기 철탑 본체(51) 상부 전방면에 하향 경사구조로 돌출된 활공유도레일(5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KR1020100121759A 2010-12-02 2010-12-02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KR20100136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59A KR20100136954A (ko) 2010-12-02 2010-12-02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59A KR20100136954A (ko) 2010-12-02 2010-12-02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188A Division KR20090064305A (ko) 2007-12-14 2008-12-05 하늘을 나는 자전거/오토바이와 그 비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954A true KR20100136954A (ko) 2010-12-29

Family

ID=4351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759A KR20100136954A (ko) 2010-12-02 2010-12-02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69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856B1 (ko) 2019-07-25 2020-02-12 이승엽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KR102094708B1 (ko) 2019-07-25 2020-03-30 이승엽 복합악취 제거 다기능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117663B1 (ko) 2019-07-25 2020-06-01 이승엽 압축공기를 이용한 화학제 탈취제 미세 분무 분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856B1 (ko) 2019-07-25 2020-02-12 이승엽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KR102094708B1 (ko) 2019-07-25 2020-03-30 이승엽 복합악취 제거 다기능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117663B1 (ko) 2019-07-25 2020-06-01 이승엽 압축공기를 이용한 화학제 탈취제 미세 분무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5466B (zh) 一种拆装式小型无人机弹射架
CN202686760U (zh) 带安全保护装置的自由滑翔系统
CN203921072U (zh) 一种电动滑板车
CN103401185B (zh) 一种双分裂导线飞车
KR20100136954A (ko) 하늘을 나는 자전거용 활공도약대
CN103522859A (zh) 会飞的电动车
KR20120004402U (ko) 날으는 자전거 또는 페러글라이더의 이륙을 위한 활공도약대
CN205801542U (zh) 一种拆装式小型无人机弹射架
CN204073351U (zh) 一种多功能滑雪板
CN104842727A (zh) 电动自行车(摩托车)飞行器
US9682326B2 (en) Human flying apparatus
US20060208133A1 (en) Personal aircraft vehicle
CN205273868U (zh) 一种无人机弹射架
CN202728513U (zh) 座驾式雪地车
JPH11347174A (ja) 競技用滑走機
CN202593720U (zh) 休闲趣味运动三轮车
CN102673694B (zh) 休闲趣味运动三轮车
CN207466970U (zh) 一种飞行体验/初级训练滑翔机
KR100833543B1 (ko) 모터패러글라이더와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용 트라이크
CN205168914U (zh) 无人动力伞植保机
JP2011225137A (ja) 身体装着型噴射推進パワースーツ
CN111361733A (zh) 一种超轻型竞技用钛合金伞翼机
CN1730352A (zh) 人力升空伞
CN203832662U (zh) 叠式轻便博览代步健身器
CN202848030U (zh) 一种纯人力的或动力辅助的扑翼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