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681A -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681A
KR20100136681A KR1020090054895A KR20090054895A KR20100136681A KR 20100136681 A KR20100136681 A KR 20100136681A KR 1020090054895 A KR1020090054895 A KR 1020090054895A KR 20090054895 A KR20090054895 A KR 20090054895A KR 20100136681 A KR20100136681 A KR 2010013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used
layer
organic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892B1 (ko
Inventor
김태형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9005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892B1/ko
Priority to JP2012515966A priority patent/JP5690336B2/ja
Priority to PCT/KR2010/003526 priority patent/WO2010147319A2/ko
Priority to US13/378,851 priority patent/US8597802B2/en
Publication of KR2010013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cridine or hydrogenated acridine ring systems
    • C07D21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cridine or hydrogenated acrid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cridine or hydrogenated acridine ring systems
    • C07D21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cridine or hydrogenated acrid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System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4Esters of boric ac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릴 모이어티(moiety)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에 아크리딘 모이어티와 아민 모이어티가 결합되어 있는 아크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리딘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여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수명이 향상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CRID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릴 모이어티(moiety)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에 아크리딘 모이어티와 아민 모이어티가 결합되어 있는 아크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리딘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여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수명이 향상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현상이란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시켜 주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통상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및 이들 사이에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유기물층은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며, 예컨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에서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 주면 양극에서는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에서는 전자가 유기물층으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만났을 때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며, 이 엑시톤이 바닥상태로 떨어질 때 빛이 나게 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기능에 따라, 발광 물질, 정공 주입 물질, 정공 수송 물질, 전자 수송 물질, 전자 주입 물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발광 물질은 발광색에 따라 청색, 녹색, 적색 발광 물질과 보다 나은 천연색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란색 및 주황색 발광 물질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색순도의 증가와 에너지 전이를 통한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 물질로서 호스트/도판트 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원리는 발광층을 주로 구성하는 호스트보다 에너지 대역 간극이 작고 발광 효율이 우수한 도판트를 발광층에 소량 혼합하면, 호스트에서 발생한 엑시톤이 도판트로 수송되어 효율이 높은 빛을 내는 것이다. 이때 호스트의 파장이 도판트의 파장대로 이동하므로, 이용하는 도판트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파장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전자 수송 물질은 전자에 대한 안정도와 전자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유기 금속착제들이 유기 단분자 물질로서 좋은 후보들이며,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자 친화도가 큰 Alq3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현재에도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 공지된 전자 수송 물질로는 산요(Sanyo)사에서 발표한 플라본(flavon)유도체 또는 치소(Chisso)사의 게르마늄 및 실리콘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8-017860호, 일본공개 특허공보 제1999-087067호).
또한, 종래의 전자 주입 물질 및 전자 수송 물질로는 이미다졸기, 옥사졸기, 티아졸기를 가진 유기 단분자 물질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이 전자수송용 물질로 보고되기 이전에 이러한 물질들의 금속착체 화합물들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청색 발광층 또는 청록색 발광층에 적용된 것으로 이미 보고되었다.
전술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갖는 우수한 특징들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공 주입 물질, 정공 수송 물질, 발광 물질, 전자 수송 물질, 전자 주입 물질 등의 소자내 유기물층을 이루는 물질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뒷받침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유기물층 물질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색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내열성 등이 향상된 신규 유기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여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수명이 향상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유기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융합(fused)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5~C60의 헤테로아릴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옥시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옥시기, 및 융합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5 내지 R7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융합(fused)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기, 및 융합 혹은 비융합된 C5~C6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인접하는 기와 융합된 고리를 형성 또는 비형성하며;
L은 C6~C60의 아릴렌기 또는 C5~C60의 헤테로아릴렌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i) 양극, (ii) 음극, 및 (iii)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1층 이상의 유기물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인 것이 특징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휘도, 전력효율, 내열성, 정공수송 성능 및 정공주입 성능이 우수하고 색순도 및 발광효율의 증가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 중 하나 이상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풀 칼라 유기 EL 패널에서 성능 극대화 및 수명 향상에도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릴 모이어티(moiety)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에 아크리딘 모이어티와 아민 모이어티가 결합되어 있는 아크리딘 유도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정공주입 물질, 정공수송 물질, 발광 물질, 전자수송 물질 및 전자주입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공주입 물질, 정공수송 물질 및 발광 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융합(fused)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5~C60의 헤테로아릴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옥시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옥시기, 또는 융합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아민기이며, 또한 인접하는 기와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R5 내지 R7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융합(fused)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5~C6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인접하는 기와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L은 C6~C60의 아릴렌기, 또는 C5~C60의 헤테로아릴렌기이다.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상기 L은 페닐렌, 바이페닐렌(biphenylene), 터페닐렌(terphenylene), 나프틸렌(naphthylene), 안트라센닐렌(anthracenylene), 페난트릴렌(phenanthrylene), 피레닐렌(pyrenylene), 플루오레닐렌(fluorenylene), 플루오란세닐렌(fluoranthenylene), 페릴레닐렌(perylenylene), 카바조릴렌(carbazolylene), N-카바졸페닐렌, 피리디닐렌(pyridinylene), 퀴놀리닐렌(quinolinylene) 및 이소퀴놀리닐렌(isoquinolin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C6~C60의 아릴렌기 또는 C5~C60의 헤테로아릴렌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R1 내지 R7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 할로겐,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60의 아릴기, C5~C60의 헤테로아릴기, C1~C40의 알킬옥시기, C6~C60의 아릴옥시기 및 C6~C60의 아릴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들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들이나,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아래 예시된 화합물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2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3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4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5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6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7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8
Figure 112009037231807-PAT00009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0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1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2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3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4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5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6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7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8
Figure 112009037231807-PAT00019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0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1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2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3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4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5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i) 양극, (ii) 음극, 및 (iii)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상기 1층 이상의 유기물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 이외의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구조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기판,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는 전자 주입층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극,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뿐만 아니라, 전극과 유기물층 계면에 절연층 또는 접착층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유기물층은 진공증착법이나 용액 도포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액 도포법의 예로는 스핀 코팅, 딥코팅, 닥터 블레이딩,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 전사법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유기물층 중 1층 이상을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재료 및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물층 및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으로는 실리콘 웨이퍼, 석영 또는 유리판, 금속판,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극 물질로는 바나듐, 크롬, 구리, 아연,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 금; 아연산화물, 인듐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과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조합; 폴리티오펜,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또는 카본블랙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 물질로는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타이타늄, 인듐, 이트륨, 리튬, 가돌리늄, 알루미늄, 은, 주석, 또는 납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LiF/Al 또는 LiO2/Al과 같은 다층 구조 물질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의 물질들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7
[반응식 2]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8
[반응식 3]
Figure 112009037231807-PAT00029
(합성예 1) Cpd 14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1) 반응식 1의 9,10-dihydroacridine 합성
질소 하에서 aciridine 17.19g (95.92mmol)과 THF 300ml를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0℃하에서 LiAlH4 14.56g (383.66mmol)을 두 번에 나누어 천천히 넣 었다.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하에서 sodium bicarbonate solution을 천천히 넣었다.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증류수로 층을 추출하였다. 소듐설페이트로 드라이 하여 유기용매를 여과한 후 농축한 뒤 메틸렌클로라이드와 헥산을 이용하여(n-Hexane: MC = 8:2) 컬럼함으로써 원하는 9,10-dihydroacridine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 14g (82%) 얻었다.
1H NMR : 3.8 (s, 2H), 4.0 (s, 1H), 6.3 (t, 2H), 6.5 (dd, 2H), 6.8 (m, 4H).
(합성예 1-2) 반응식 1의 10-(biphenyl-4-yl)-9,10-dihydroacridine 합성
위에서 얻어진 9,10-dihydroacridine 11.8g (65.2mmol)과 4-bromobiphenyl 18.2g (78.2mmol)을 톨루엔 500mL에 녹였다. 그리고 Pd2(dba)3 1.4g (1.3mmol)을 질소하에서 투입하였다. 그 다음 NaOBut 9.4g (97.8mmol)을 넣고, (t-Bu)3P 1.6ml (2.6mmol)을 상기 반응액에 투입하였다. 반응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었는지는 TLC로 확인하며,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식혔다. 반응액을 얇은 실리카 패드 위에 쏟아 부어 짧은 크로마토그래피를 하고, MC로 씻었다. 여액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잔유물을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 그래피 (메틸렌클로라이드/노말헥산 (1/10))로 분리 정제하여 미색 고체 형태의 10-(biphenyl-4-yl)-9,10-dihydroacridine 화합물 15.3g (수율 70%) 얻었다.
1H NMR : 3.8 (s, 2H), 6.4 (t, 2H), 6.6 (m, 4H), 6.9 (m, 4H), 7.5 (m, 5H), 7.8 (t, 2H).
(합성예 1-3) 반응식 1의 10-(biphenyl-4-yl)-2-bromo-9,10-dihydroacridine 합성
위에서 얻어진 10-(biphenyl-4-yl)-9,10-dihydroacridine 15.3g (45.9mmol)을 클로로포름 500ml에 넣고, 브로모숙신이미드 9.8g (55.1mmol)을 넣었다.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반응용액을 증류수로 씻었고, 이후 유기층을 추출하고 소듐설페이트로 드라이 하여 용매를 제거한 잔유물을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 그래피 (메틸렌클로라이드/노말헥산 (1/20))로 분리 정제하여 흰색 고체 형태의 10-(biphenyl-4-yl)-2-bromo-9,10-dihydroacridine 화합물 14.7g (수율 77%) 얻었다.
1H NMR : 3.8 (s, 2H), 6.2 (d, 1H), 6.3 (t, 1H), 6.5 (d, 2H), 6.8 (m, 2H), 6.9 (m, 2H), 7.6 (m, 5H), 7.9 (t, 2H).
(합성예 1-4) 반응식 1의 10-(biphenyl-4-yl)-2-phenyl-9,10-dihydroacridine 합성
10-(biphenyl-4-yl)-2-bromo-9,10-dihydroacridine 화합물 10g (24.3mmol)을 질소 분위기에서 톨루엔 300mL에 녹였다. 그리고 페닐 보론산 3.6g (29.2mmol)을 넣었다. 반응 혼합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1.1g (0.97mmol)과 탄산칼륨 10.1g (72.9mmol)을 넣었다. 그리고 증류수 40mL를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60℃ 정도로 식힌 후 실리카겔 여과를 한 다음 톨루엔 층 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용매를 농축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을 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키고 여과하여 노란 갈색의 고체를 얻었다. 이를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녹인 다음 메탄올을 소량씩 가하여 원하는 10-(biphenyl-4-yl)-2-phenyl-9,10-dihydroacridine 화합물 7.8g (수율 78%)을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1H NMR : 3.8 (s, 2H), 6.1 (d, 1H), 6.2 (t, 1H), 6.6 (m, 3H), 6.8 (m, 2H), 7.0 (s, 1H), 7.3 (d, 1H), 7.5 (m, 8H), 7.7 (m, 4H).
(합성예 1-5) 반응식 1의 10-(biphenyl-4-yl)-2-bromo-7-phenyl-9,10-dihydroacridine 합성
10-(biphenyl-4-yl)-2-phenyl-9,10-dihydroacridine 7.8g (19.0mmol) 을 클로로포름 300ml에 넣고, 브로모숙신이미드 3.7g (21.0mmol)을 넣었다.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반응용액을 증류수로 씻어준 후 유기층을 추출하여 소듐설페이트로 드라이 하여 용매를 제거한 잔유물을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 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노말헥산 (1/10))로 분리 정제하여 미색 고체 형태의 10-(biphenyl-4-yl)-2-bromo-7-phenyl-9,10-dihydroacridine 화합물 6.5g (수율 70%) 얻었다.
1H NMR : 3.8 (s, 2H), 6.2 (d, 1H), 6.4 (d, 1H), 6.5 (d, 2H), 6.9 (m, 3H), 7.3 (d, 1H), 7.6 (m, 8H), 7.8 (t, 4H).
(합성예 1-6) 반응식 2의 N-(biphenyl-4-yl)-N-(4-bromophenyl)biphenyl-4-amine 합성
4,4'-bis(biphenylamine) 50g (0.182mol)과 1-Bromo-4-iodobenzene 62.6g (0.364mol)을 톨루엔 700ml에 용해시켰다. 그 다음 Pd2(dba)3 5g (5.4mmol), tri-tert-butylphosphine 2.2g (11mmol), Sodium-tert-Butoxide 21g (0.22mol)을 각 1L RBF에 넣고 3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로 반응액을 씻어준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흰색 고체의 N-(biphenyl-4-yl)-N-(4-bromophenyl)biphenyl-4-amine 56g (수율 65%)을 얻었다.
1H NMR : 6.3 (d, 2H), 6.5 (t, 4H), 7.2 (t, 2H), 7.5 (m, 10H), 7.8 (t, 4H).
(합성예 1-7) 반응식 2의 N-(biphenyl-4-yl)-N-(4-(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2-yl)phenyl)biphenyl-4-amine 합성
N-(biphenyl-4-yl)-N-(4-bromophenyl)biphenyl-4-amine 56g (0.117mol)을 2L RBF에 넣고 THF 600ml에 용해시킨 후 -78℃로 30여분간 유지 시켰다. 그 후에 n-BuLi (1.6M in Hex) 90ml (0.141mol) 천천히 적가하였다. 1시간 경과 후 2-isopropoxy-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e 26.2g (0.141mol)를 적가 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반응 액을 증류수 및 Brain으로 충분히 씻어 준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흰색 고체 생성물 N-(biphenyl-4-yl)-N-(4-(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2-yl)phenyl)biphenyl-4-amine 20g (수율 33%)을 얻었다.
1H NMR : 1.3 (s, 12H), 6.5 (m, 6H), 7.0 (d, 2H), 7.5 (m, 10H), 7.7 (t, 4H).
(합성예 1-8) 반응식 3의 N-(biphenyl-4-yl)-N-(4-(10-(biphenyl-4-yl)-7-phenyl-9,10-dihydroacridin-2-yl)phenyl)biphenyl-4-amine (Cpd-14) 합성
10-(biphenyl-4-yl)-2-bromo-7-phenyl-9,10-dihydroacridine 14g (28.6mmol)을 질소 분위기에서 톨루엔 500mL에 녹였다. 그리고 N-(biphenyl-4-yl)-N-(4-(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2-yl)phenyl)biphenyl-4-amine 15g (28.6mmol)을 넣었다. 반응 혼합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1.32g (1.14mmol)과 탄산칼륨 9.9g (71.5mmol)을 넣었다. 그리고 증류수 70mL를 넣고 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60도 정도로 식힌 후 실리카겔 여과를 한 다음 톨루엔 층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용매를 농축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을 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키고 여과하여 노란 갈색의 고체를 얻었다. 이를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 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노말헥산 (1/10))로 분리 정제하여 N-(biphenyl-4-yl)-N-(4-(10-(biphenyl-4-yl)-7-phenyl-9,10-dihydroacridin-2-yl)phenyl)biphenyl-4-amine (Cpd 14) 화합물 15g (수율 65%)을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1H NMR : 3.8 (s, 2H), 6.4 (d, 2H), 6.6 (t, 8H), 7.0 (d, 2H), 7.3 (d, 2H), 7.6 (m, 20H), 7.9 (t, 8H).
Elemental Analysis for C61H44N2 : calcd C 91.01, H 5.51, N 3.48, found C 91.11, H 5.46, N 3.43; HRMS for C61H44N2 [M]+: calcd 804.35, found 804.35
(합성예 2) Cpd 3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55H40N2 : calcd C 90.63, H 5.53, N 3.84, found C 90.42, H 5.77, N 3.81; HRMS for C55H40N2 [M]+: calcd 728, found 728.
(합성예 3) Cpd 36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47H34N2 : calcd C 90.06, H 5.47, N 4.47, found C 90.47, H 5.34, N 4.19; HRMS for C47H34N2 [M]+: calcd 626, found 626.
(합성예 4) Cpd 48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57H40N2 : calcd C 90.92, H 5.35, N 3.72, found C 90.65, H 5.40, N 3.95; HRMS for C57H40N2 [M]+: calcd 752, found 752.
(합성예 5) Cpd 61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47H34N2 : calcd C 90.06, H 5.47, N 4.47, found C 89.86, H 5.38, N 4.76; HRMS for C47H34N2 [M]+: calcd 626, found 626.
(합성예 6) Cpd 81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37H26N2 : calcd C 89.13, H 5.26, N 5.62, found C 89.42, H 5.33, N 5.25; HRMS for C37H26N2 [M]+: calcd 498, found 498.
(합성예 7) Cpd 102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53H36N2 : calcd C 90.83, H 5.18, N 4.00, found C 90.91, H 5.18, 3.91; HRMS for C53H36N2 [M]+: calcd 701, found 700.
(합성예 8) Cpd 106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 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53H36N2 : calcd C 90.83, H 5.18, N 4.00, found C 90.91, H 5.18, 3.91; HRMS for C53H36N2 [M]+: calcd 701, found 700.
(합성예 9) Cpd 113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49H34N2 : calcd C 90.43, H 5.27, N 4.30, found C 90.66, H 5.32, N 4.02; HRMS for C49H34N2 [M]+: calcd 650, found 650.
(합성예 10) Cpd 129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51H42N2 : calcd C 89.96, H 5.92, N 4.11, found C 90.09, H 5.95, N 3.96; HRMS for C51H42N2 [M]+: calcd 681, found 680.
(합성예 11) Cpd 131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Cpd 14 화합물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으며, 연한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Elemental Analysis for C57H44N2 : calcd C 90.44, H 5.86, N 3.70, found C 90.58, H 5.91, N 3.51; HRMS for C57H44N2 [M]+: calcd 757, found 756.
(실시예 1)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합성예 1~11에서 합성된 화합물을 고순도 승화정제를 한 후, 이들 화합물을 각각 사용하여 아래의 과정에 따라 녹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ITO (양극) 위에 DS-205(두산社)를 80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였고, 상기 정공 주입층 위에 합성예 2에서 합성된 Cpd 3 화합물을 15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호스트로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도펀트로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5% 도핑하여 30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발광층 위에 전자 이송 물질인 Alq3을 25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전자 주입 물질인 LiF를 10 Å의 두께로 증착하여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였고, 그 위에 알루미늄을 200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37231807-PAT00030
[화학식 3]
Figure 112009037231807-PAT00031
(실시예 2~11)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정공 수송층의 형성시 Cpd 3 화합물 대신 Cpd 14, Cpd 36, Cpd 48, Cpd 61, Cpd 81, Cpd 102, Cpd 106, Cpd 113, Cpd 129 및 Cpd 131 각각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정공 수송층의 형성시 Cpd 3 화합물 대신 α-NPB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에서 제작된 각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하여 전류밀도 10mA/㎠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정공 수송층 구동전압(V) 발광효율(cd/A)
실시예 1 Cpd 3 5.5 23
실시예 2 Cpd 14 5.4 24
실시예 3 Cpd 36 5.8 22
실시예 4 Cpd 48 6.2 22
실시예 5 Cpd 61 6.5 21
실시예 6 Cpd 81 6.9 17
실시예 7 Cpd 102 6.2 23
실시예 8 Cpd 106 6.4 18
실시예 9 Cpd 113 6.0 20
실시예 10 Cpd 129 5.5 23
실시예 11 Cpd 131 5.4 24
비교예 1 α-NPB 5.8 13
실시예 1~11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모두 높은 휘도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2(Cpd 14)와 실시예 11(Cpd 131)의 경우는 구동전압도 낮고, 휘도도 높았으며, 색순도는 (x, y)가 (0.27, 0.63) 정도로 비슷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37231807-PAT00032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융합(fused)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5~C60의 헤테로아릴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옥시기, 융합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옥시기, 및 융합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5 내지 R7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직쇄 혹은 분지쇄의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융합(fused) 혹은 비융합된 C6~C60의 아릴기, 및 융합 혹은 비융합된 C5~C6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인접하는 기와 융합된 고리를 형성 또는 비형성하며;
    L은 C6~C60의 아릴렌기 또는 C5~C60의 헤테로아릴렌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은 페닐렌, 바이페닐렌, 터페닐렌, 나프틸렌, 안트라센닐렌, 페난트릴렌, 피레닐렌, 플루오레닐렌, 플루오란세닐렌, 페릴레닐렌, 카바조릴렌, N-카바졸페닐렌, 피리디닐렌, 퀴놀리닐렌 및 이소퀴놀리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C6~C60의 아릴렌기 또는 C5~C60의 헤테로아릴렌기인 것이 특징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7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 할로겐,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60의 아릴기, C5~C60의 헤테로아릴기, C1~C40의 알킬옥시기, C6~C60의 아릴옥시기 및 C6~C60의 아릴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이 특징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4. (i) 양극, (ii) 음극, 및 (iii)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1층 이상의 유기물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인 것이 특징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특징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90054895A 2009-06-19 2009-06-19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12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895A KR101120892B1 (ko) 2009-06-19 2009-06-19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2515966A JP5690336B2 (ja) 2009-06-19 2010-06-01 アクリジ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む有機電界発光素子
PCT/KR2010/003526 WO2010147319A2 (ko) 2009-06-19 2010-06-01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3/378,851 US8597802B2 (en) 2009-06-19 2010-06-01 Acrid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895A KR101120892B1 (ko) 2009-06-19 2009-06-19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681A true KR20100136681A (ko) 2010-12-29
KR101120892B1 KR101120892B1 (ko) 2012-02-27

Family

ID=4335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895A KR101120892B1 (ko) 2009-06-19 2009-06-19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97802B2 (ko)
JP (1) JP5690336B2 (ko)
KR (1) KR101120892B1 (ko)
WO (1) WO2010147319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60A1 (ko) * 2011-12-14 2013-06-20 주식회사 두산 아크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40026552A (ko) * 2011-05-05 2014-03-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KR101434798B1 (ko) * 2013-08-26 2014-08-27 주식회사 두산 아크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434737B1 (ko) * 2012-08-10 2014-08-27 주식회사 두산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507005B1 (ko) * 2012-02-16 2015-03-30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36169B1 (ko) * 2012-07-16 2015-07-14 주식회사 엠비케이 신규한 유기발광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US9893295B2 (en) 2014-10-01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05773B2 (en) 2011-11-28 2018-02-27 Duk San Neolux Co., Ltd. Compound for organic electronic element, organic electronic element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141521B2 (en) 2013-07-11 2018-11-27 Samsung Sdi Co., Ltd. Compound, organic optoelectronic element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US11289657B2 (en) 2018-03-26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9903A1 (de) * 2010-03-02 2011-09-08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1155169A1 (ja) * 2010-06-07 2011-12-1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ダン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101248B1 (ko) * 2011-01-11 2020-04-16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조성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JP6158703B2 (ja) * 2011-04-27 2017-07-0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ダン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10177312B2 (en) 2011-05-05 2019-01-08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060803A1 (en) * 2012-04-10 2015-03-05 Hodogaya Chemical Co., Ltd. Compound having acridan ring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538502B1 (ko) * 2012-08-09 2015-07-24 주식회사 엠비케이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US20150249218A1 (en) * 2012-09-03 2015-09-03 Hodogaya Chemical Co., Ltd. Compound having indenoacridan ring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636848B1 (ko) 2012-10-08 2016-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5525665B1 (ja) * 2012-10-23 2014-06-18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ダン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5099438A1 (ko) * 2013-12-27 2015-07-02 주식회사 두산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6027687A1 (ja) 2014-08-20 2016-02-2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6116504A1 (de) * 2015-01-20 2016-07-28 Cynora Gmbh Organische moleküle zur verwendung i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CN105153031B (zh) * 2015-08-15 2018-03-02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636977B2 (en) 2017-04-14 2020-04-28 Feng-wen Yen Light emitting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N110713486A (zh) * 2018-07-12 2020-01-21 苏州大学 一种具有自组装特性的嘧啶衍生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180581A (zh) * 2018-10-11 2019-01-11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化合物及制法和含该化合物的有机发光器件
KR102622167B1 (ko) * 2018-12-26 2024-01-08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136572A (ko) * 2021-03-31 2022-10-11 엘티소재주식회사 헤테로 고리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물층용 조성물
CN114605411B (zh) * 2022-03-31 2024-03-19 上海八亿时空先进材料有限公司 一种吖啶衍生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6494B2 (ja) * 2002-04-11 2011-03-09 出光興産株式会社 新規含窒素複素環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695760B1 (en) * 2002-10-11 2004-02-24 Proxima Therapeutics Treatment of spinal metastases
JP4693336B2 (ja) * 2003-01-14 2011-06-01 出光興産株式会社 含窒素複素環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4063159A1 (ja) 2003-01-10 2004-07-29 Idemitsu Kosan Co., Ltd. 含窒素複素環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6080638A1 (en) * 2004-09-24 2006-08-03 Lg Chem. Ltd. New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7)
KR100648050B1 (ko) * 2004-09-24 200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DE102005043163A1 (de) * 2005-09-12 2007-03-15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1243918B1 (ko) * 2006-01-03 201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청색 발광 고분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8384068B2 (en) * 2007-10-02 2013-02-26 Basf Se Use of acridine derivatives as matrix materials and/or electron blockers in OLEDs
EP2256176A1 (en) * 2008-06-25 2010-12-01 Gracel Display Inc.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KR101506919B1 (ko) * 2008-10-31 2015-03-30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전자재료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DE102009005290A1 (de) * 2009-01-20 2010-07-22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552A (ko) * 2011-05-05 2014-03-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US9905773B2 (en) 2011-11-28 2018-02-27 Duk San Neolux Co., Ltd. Compound for organic electronic element, organic electronic element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3089460A1 (ko) * 2011-12-14 2013-06-20 주식회사 두산 아크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507005B1 (ko) * 2012-02-16 2015-03-30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36169B1 (ko) * 2012-07-16 2015-07-14 주식회사 엠비케이 신규한 유기발광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1434737B1 (ko) * 2012-08-10 2014-08-27 주식회사 두산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0141521B2 (en) 2013-07-11 2018-11-27 Samsung Sdi Co., Ltd. Compound, organic optoelectronic element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KR101434798B1 (ko) * 2013-08-26 2014-08-27 주식회사 두산 아크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9893295B2 (en) 2014-10-01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89657B2 (en) 2018-03-26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90336B2 (ja) 2015-03-25
US8597802B2 (en) 2013-12-03
JP2012530696A (ja) 2012-12-06
WO2010147319A3 (ko) 2011-04-14
KR101120892B1 (ko) 2012-02-27
US20120168730A1 (en) 2012-07-05
WO2010147319A2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892B1 (ko)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52328B1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412437B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101290011B1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115255B1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JP5432147B2 (ja) 有機金属錯体誘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EP1993992B1 (en) Tetraphenylnaphthalene derivativ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ame
KR101120917B1 (ko) 아미노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218029B1 (ko)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는 트리페닐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253378B2 (ja) 新規なアントラセ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子素子
EP1937616A1 (en) New binaphthale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20083245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20015883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20100119077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101597865B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20110006915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101274924B1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298465B1 (ko) 페나진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80016007A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JP6638924B2 (ja) 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KR20100108505A (ko) 신규한 시클로알켄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CN111393458B (zh) 一种杂环化合物及其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350524B1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CN107098818B (zh) 芳香族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发光二极管
KR20090090568A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