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673A -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 Google Patents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673A
KR20100136673A KR1020090054880A KR20090054880A KR20100136673A KR 20100136673 A KR20100136673 A KR 20100136673A KR 1020090054880 A KR1020090054880 A KR 1020090054880A KR 20090054880 A KR20090054880 A KR 20090054880A KR 20100136673 A KR20100136673 A KR 2010013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doorway
gateway
bimodal t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세현
김경탁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Priority to KR102009005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6673A/en
Publication of KR2010013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6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3/00Tram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60Y2200/912Electric vehicles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vehicle, e.g. trolley buses or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interior collocation structure of bimodal tram is provided to improve the transport capacity and improve the safety of passenger or traffic weak person. CONSTITUTION: An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gateway(11,12), front seat part(13), rear gateway(14), a first and a second rear seat part(15,16) and path(P1,P2). The first and the second gateway is respectively installed to rear and front side of front car(F). The front seat part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gateway and the second gateway. The rear gateway is installed in center of a rear car(B). The first and the second rear seat par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front and rear side of the rear gateway. The path is formed in center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front car and rear car.

Description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본 발명은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으로 이루어진 바이모달트램에서 안전 및 편의 기능이 강화된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arrangement structure of a bimodal tra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nal arrangement structure of a bimodal tram with enhanced safety and convenience functions in a bimodal tram consisting of a front vehicle and a rear vehicle.

2개의 모드 특성을 가진 교통 시스템이라는 의미를 가진 바이모달트램은 버스와 지하철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교통수단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바이모달트램은 예정된 시각에 출발하여 정해진 시각에 도착하는 철도의 장점과 별도의 기반 시설이 요구되지 않아 운행이 유연하면서 승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버스의 장점이 결합된 교통수단이다. Bimodal trams, meaning two-mode transport systems, represent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combining the advantages of buses and subways. Specifically, the bimodal tram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railroad that departs at a scheduled time and arrives at a fixed time, and the advantage of a bus that is flexible and easy for passengers to access because no separate infrastructure is required.

바이모달트램이 가진 장점은 전용 궤도에서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의 조작이 없이 자동으로 움직이는 한편 일반 도로를 운행할 때만 수동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로 거리를 측정하여 플랫폼에 정확하게 정차할 수 있고 그리고 별도의 계단이 없이 탑승이 가능하므로 유모차 또는 휠체어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바이모달트램은 CNG-하이브리드와 연료전지를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가진다. The advantage of bimodal trams is that they move automatically without operator intervention when traveling on a dedicated track, but only manually when driving on a normal road. In addition, the ultrasonic sensor can measure the distance to stop exactly on the platform, and because it can be boarded without a separate staircas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oller or wheelchair can easily move. Bimodal trams, on the other hand, have the added advantage of using CNG-hybrids and fuel cells, which do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바이모달트램은 2량 또는 3량이 한 단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하철 수요를 대체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개발되고 있다. 친환경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하여 바이모달트램은 몇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바이모달트램은 복합소재로 차체가 만들어져야 하고, 전용궤도와 일반도로에서 모두 운행이 가능해야하며, 시간당 0.2 내지 1.2만명 정도의 수송 능력을 가져야 한다. 아울러 저공해 또는 무공해 동력원에 의하여 운행이 되어야 하면서 교통약자의 승하차가 용이하면서 안전한 수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Bimodal trams can be configured in units of two or three and are being developed as a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to replace the demand for subways. In order to becom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ublic transport, bimodal trams must meet several conditions. Bimodal trams, for example, must be made of composite materials, be capable of operating on both private tracks and roads, and have a capacity of about 0.2 to 1.2 million people per hour. In addition, it should be designed to enable safe and easy transportation of people with weak transportations while being operated by a low pollution or pollution-free power source.

본 발명은 바이모달트램이 가져야 할 이러한 다양한 조건 중 수송 능력 및 교통 약자의 안정성이 강화될 수 있는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intern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bimodal tram that can enhance the transport capacity and stability of the traffic weakness among these various conditions that the bimodal tram should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탑승자 또는 교통약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nal arrangement structure of a bimodal tram which can improve the transport capacity while improv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or the traffic weak.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바이모달트램이 내부 배치 구조는 전방 차량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된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 사이에 배치된 전방 좌석부; 후방 차량의 중앙에 설치된 후방 출입구; 후방 출입구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후방 좌석부; 및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부분에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고, 전체 내부구조는 통로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구조.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modal tram interior arrangement structure includes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front vehicle; A front seat disposed between the first doorway and the second doorway; A rear doorwa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ear vehicle; First and second rear seat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ear doorway; And a passag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wherein the entire internal structur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ssag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방 좌석부는 전방 전용 좌석부와 전방 한정 좌석부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eat portion comprises a front dedicated seat portion and a front limited sea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후방 좌석부의 좌석은 후방차량의 벽면을 등지는 형태로 배열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s of the first rear seat portion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lean against the wall surface of the rear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는 대중교통수단이 되는 바이모달 트램의 수송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교통 약자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효율적인 내부 배치로 인하여 승차 환경이 개선되어 바이모달트램 이용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intern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bimodal t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protection of the weak while allowing the transportation capacity of the bimodal tram to become a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e efficient interior layout has the advantage that the riding environment is improv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use of bimodal tram.

아래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1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외관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bimodal tra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b shows a plan view of the exterior, respectively.

도 1a, 1b를 참조하면 바이모달트램(1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물은 전방 차량(F)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된 제1 출입구(11) 및 제2 출입구(12); 제1 출입구(11)와 제2 출입구(12) 사이에 배치된 전방 좌석부(13); 후방 차량(B)의 중앙에 설치된 후방 출입구(14); 후방 출입구(14)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후방 좌석부(15,16); 및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부분에 형성된 통로(P1, P2)를 포함한다. 1A and 1B, the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bimodal tram 10 includes a first entrance 11 and a second entrance 12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ont vehicle F; A front seat portion 13 disposed between the first doorway 11 and the second doorway 12; A rear doorway 14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ear vehicle B; First and second rear seats 15 and 16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ear doorway 14, respectively; And passages P1 and P2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바이모달트램(10)은 2량 또는 3량이 하나의 단위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10)은 2량을 기준으로 설명이 되지만 3량 차량에 대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2량 차량의 경우 운전석이 위치한 차량이 전방 차량(F)이 되고 그리고 뒤쪽에 위치하는 차량이 후방 차량(B)이 된다. The bimodal tram 10 may be two units or three units in one unit, and the bimodal tra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two units, but may be applied in a similar manner to a three vehicle. In the case of a two-vehicle vehicle,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s seat is located becomes the front vehicle F, and the vehicle located in the rear becomes the rear vehicle B.

전방 차량(F)에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는 제1 출입구(11)와 뒤쪽에 설치되는 제2 출입구(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출입구(11)와 제2 출입구(12)는 승객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승강장 높이와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계단이 없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지만 특별히 운전석에 가까운 제1 출입구(11)는 승강장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출입구(11)의 높이는 예를 들어 휠체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와 같은 이동체가 제1 출입구(11)를 통하여 바이모달트램(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는 그 역으로 쉽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출입구(11)는 주로 교통 약자를 위한 것으로 이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방 차량(F)의 뒤쪽에 설치되는 제2 출입구(12)는 전방 차량(F)의 뒷바퀴가 형성된 부분의 앞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출입구(12)는 일반 승객을 위한 것이므로 공지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entrance 11 installed near the driver's seat and the second entrance 12 installed at the rear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F. The first doorway 11 and the second doorway 12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stairway so as to have a height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platform so that passengers can easily board, but the first doorway 11 which is particularly close to the driver's seat may be installed in the boarding area.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The height of the first entrance 11 may allow a moving object such as, for example, a wheelchair, a baby carriage, or a bicycle to easily move from the outside of the bimodal tram 10 to the inside or vice versa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 have. In this way, the first doorway 11 is mainly for the traffic weak and can be made to be suitable for this. The second doorway 12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vehicle F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ortion where the rear wheel of the front vehicle F is formed. The second entrance 12 is for general passengers and may be of known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출입구(11)와 제2 출입구(12) 사이에 전방 좌석부(13)가 전방 통로(P1)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방 좌석부(13)는 제1 출입구(11)와 제2 출입구(12) 사이 간격 전체에 걸쳐 좌석이 배치되는 전방 전용 좌석부(131) 및 일부에 좌석이 배치되고 나머지 공간은 이동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전방 한정 좌석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는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휠체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와 같이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일체의 물건이 될 수 있고 그리고 고정 장비는 예를 들어 이동체의 바퀴 또는 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전방 전용 좌석부(131)는 2열로 좌석이 배치되고 그리고 전방 한정 좌석부(132)는 길이 방향으로 일부에 1열의 좌석이 배치되고 그리고 나머지 길이 방향 부분은 이동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seat part 13 may be install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passage P1 between the first doorway 11 and the second doorway 12. The front seat 13 is a front dedicated seat 131 and the seat is disposed in the entire seat between the first doorway 11 and the second doorway 12 and a portion of the seat is arranged to rest the moving space May include a front limited seating portion 132 on which fixing equipment (not shown) is installed. The moving body may be any object for moving a person, such as a wheelchair, a baby carriage or a bicyc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xing equipment may be a device for fixing the wheel or the body of the moving body, for example. . The front dedicated seat 131 may be seated in two rows, and the front limited seat 132 may be formed such that one row of seats may be disposed in a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maining longitudinal part may be fixed to the movable body. .

후방 차량(B)에 하나의 출입구(14)만이 설치될 수 있다. 후방 출입구(14)는 후방 차량(B)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제2 출입구(12)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 다. 후방 출입구(14)가 중앙에 설치되면 승하차를 하는 승객의 분산이 쉽게 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후방 출입구(14)를 중심으로 후방 차량(B)의 앞쪽 및 뒤쪽으로 제1 후방 좌석부(15) 및 제2 후방 좌석부(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후방 좌석부(15)는 후방 차량(B)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으로 배치가 될 수 있다. 제1 후방 좌석부(15)의 좌석 방향은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좌석 방향이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 방향의 좌석 배치는 유아를 동반한 부모 또는 노약자를 위하여 유리하다. Only one doorway 14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B. The rear doorway 14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rear vehicle B and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second doorway 12. If the rear doorway 14 is installed in the center, it is advantageous that distribution of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is easy. The first rear seat part 15 and the second rear seat part 16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ear vehicle B around the rear doorway 14. The first rear seat portion 15 may be arranged in both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vehicle (B).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first rear seat 15 may be of any shape but preferably the seating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vertical seating arrangement is advantageous for parents or senior citizens with infants.

제2 후방 좌석부(16)는 후방 차량(B)의 길이 방향 및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석 배치는 후방 차량(B)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좌석의 수를 늘일 수 있도록 한다. 제2 후방 좌석부(16)는 좌석의 방향이 후방 차량(B)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rear seat part 16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vehicle B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This seat arrangement allows to increase the number of seats while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ar vehicle (B). The second rear seat portion 16 may allow the direction of the seat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vehicle (B).

도 1a, 1b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차량(F) 및 후방 차량(B)의 중앙 부분에 통로(P1, P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차량(F)의 내부 공간에서 뒤쪽 바퀴가 위치하여 좌석의 설치가 어려운 부분에 보관대(17)가 설치될 수 있다. 보관대(17)는 예를 들어 비상구급품 또는 승객 편의를 위한 휴지와 같은 물품이 비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관대(17)에 공중전화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관대(17)에 다양한 승객 편의 물품 또는 장치가 비치될 수 있다. 1A and 1B, passages P1 and P2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ront vehicle F and the rear vehicle B. FIG. And the rear wheel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ont vehicle (F) can be installed in the storage 17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eat. The storage 17 may be provided with articles such as emergency first aid or toilet paper for passenger comfort, for example. If necessary, a payphone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17. As such, a variety of passenger convenience items or devices may be provided on the storage 17.

도 2a는 본 발명의 따른 내부 배치 구조를 가진 바이모탈트램(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와 2c는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Figure 2a shows a plan view of a bi-motal tram 10 having an internal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b and 2c shows a side view, respectively.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것처럼, 바이모탈트램(10)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 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칭 구조가 되고 전방차량(F)의 뒤쪽 부분에 좌석이 배치되지 않고 보관대(17)가 설치될 수 있다. 통로(P1, P2)는 대칭 구조의 기준이 되고 그리고 제1 출입구(11), 제2 출입구(12) 및 후방 출입구(14)가 형성된 부분에서 통로(P1, P2)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2a to 2c,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imortal tram 10 is gen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at 17 is installed without the seat is arrang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vehicle (F) Can be. The passages P1 and P2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symmetrical structure and have relatively wide widths of the passages P1 and P2 at portions where the first entrance 11, the second entrance 12, and the rear entrance 14 are formed. Can be.

도 2b, 2c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차량(F)의 전방 전용 좌석부(131)에 설치되는 각각의 좌석(S1)은 전방 차량(F)의 운전석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그리고 전방 한정 좌석부(132)에 설치되는 각각의 좌석(S2)도 동일하게 전방 차량(F)의 운전석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전방 한정 좌석부(132)의 일정 부분은 이동체(M)를 위한 공간이 된다.As shown in FIGS. 2B and 2C, each seat S1 installed in the front dedicated seat portion 131 of the front vehicle F is installed to face the driver's seat of the front vehicle F and the front limited seat portion ( Each seat S2 installed in the 132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driver's seat of the front vehicle F in the same manner. Howev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limited seat 132 becomes a space for the movable body (M).

제1 후방 좌석부(15)에 배치된 좌석(S3)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 또는 차량의 벽면을 등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제2 후방 좌석부(16)에 배치된 좌석(S4)은 전방 차량(F)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G)는 임의의 공지된 형태로 전방 차량(F) 및 후방 차량(B)의 천장으로부터 늘어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좌석(S1, S2, S3 및 S4)과 손잡이(G)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at S3 disposed in the first rear seat part 15 is a seat disposed in the second rear seat part 16 as compared with the seat S3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r the back surface of the vehicle. S4)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ront vehicle F. FIG. The handle G can be installed in any known form in the form of sagging from the ceiling of the front vehicle F and the rear vehicle B. Each of the seats S1, S2, S3 and S4 and the handle G can be of any shape known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각각 전방 좌석부(13), 후방 좌석부 및 전방 한정 좌석부(132)와 제1 후방 좌석부(16)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A, 3B and 3C show an embodiment of the front seat 13, the rear seat and the front confined seat 132 and the first rear seat 16, respectively.

도 3a를 참조하면, 전방 전용 좌석부(131)의 좌석(S1)은 2열로 배치되고 그리고 각각의 좌석은 전방차량(F)의 운전석을 향한다. 인접하는 2개의 좌석(S)은 별도의 칸막이가 없이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좌석(S)의 형상 또는 소재는 특별히 제 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전방 한정 좌석부(132)의 좌석(S2)은 일렬로 배치되고 이동체(M)는 제1 출입구(11)에 가까운 쪽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seats S1 of the front-only seating portion 131 are arranged in two rows and each seat faces the driver's seat of the front vehicle F. As shown in FIG. Two adjacent seats (S) can be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partition and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seat (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seats S2 of the front limited seat 132 may be arranged in a line and the movable body M may be fixed to the side closer to the first entrance 11.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후방 좌석부(15)의 좌석(S3)은 후방 차량(B)의 측면 벽을 등지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2 후방 좌석부(16)의 좌석(S4)은 전방 차량(F)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좌석(S4)은 다수 열로 배치되는 한편 가장 뒤쪽의 좌석(S4)은 후방 차량(B)의 뒤쪽 벽면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좌석(S4)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특별히 좌석(S4)의 소재 또는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3B, the seat S3 of the first rear seat part 15 is disposed in a shape that faces the side wall of the rear vehicle B, and the seat S4 of the second rear seat part 16 is The seats S4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while being disposed to face the direction of the front vehicle F while the rearmost seats S4 may be disposed over the entire rear wall of the rear vehicle B. The seat S4 may be installed to be the same height and the material or form of the seat S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한정 좌석부(132)의 이동체(M)가 고정되는 부분에 안전 손잡이(18)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손잡이(18)는 교통 약자가 이동체(M)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운행 과정에서 교통 약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3C, the safety handle 18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movable body M of the front limited seat 132 is fixed. Safety knob 18 is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be held by the hand in the state where the traffic weak is located on the mobile (M) has a function to protect the traffic weak in the course of driving.

위에서 바이모달트램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지의 장치 또는 설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이는 설명의 간략을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 또는 설비를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바이모달트램의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칸막이 또는 승객의 화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 또는 설비의 추가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devices or equipments known in the bimodal tram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his is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and is not intended to exclude such devices or equipments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partitions or storage spaces for placing passenger cargo can be formed inside the bimodal tram. It is clea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ddition of such devices or facilities.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형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형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ut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1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외관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bimodal tra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b shows a plan view of the exterior, respectively.

도 2a는 본 발명의 따른 내부 배치 구조를 가진 바이모탈트램(10)의 평면도이고 도 2b와 2c는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Figure 2a is a plan view of a bi-motal tram 10 having an internal layou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b and 2c show a side view, respectively.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각각 전방 좌석부(13), 후방 좌석부 및 전방 한정 좌석부(132)와 제1 후방 좌석부(16)이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A, 3B and 3C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front seat 13, the rear seat and the front limited seat 132 and the first rear seat 16, respectively.

Claims (3)

전방 차량(F)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된 제1 출입구(11) 및 제2 출입구(12); 제1 출입구(11)와 제2 출입구(12) 사이에 배치된 전방 좌석부(13); 후방 차량(B)의 중앙에 설치된 후방 출입구(14); 후방 출입구(14)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후방 좌석부(15,16); 및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부분에 형성된 통로(P1, P2)를 포함하고, 전체 내부구조는 통로(P1, P2)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구조. A first doorway 11 and a second doorway 12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ont vehicle F, respectively; A front seat portion 13 disposed between the first doorway 11 and the second doorway 12; A rear doorway 14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ear vehicle B; First and second rear seats 15 and 16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ear doorway 14, respectively; And passages P1 and P2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the entire internal structur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ssages P1 and P2. Layout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 좌석부(13)는 전방 전용 좌석부(131)와 전방 한정 좌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구조. The internal arrangement of the bimodal tr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seat portion (13) comprises a front dedicated seat portion (131) and a front limited se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제1 후방 좌석부의 좌석은 후방차량의 벽면을 등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의 내부 배치 구조. The interior arrangement structure of a bimodal tr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s of the first rear seat portion are arranged in a form facing the wall of the rear vehicle.
KR1020090054880A 2009-06-19 2009-06-19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KR201001366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880A KR20100136673A (en) 2009-06-19 2009-06-19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880A KR20100136673A (en) 2009-06-19 2009-06-19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673A true KR20100136673A (en) 2010-12-29

Family

ID=4351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880A KR20100136673A (en) 2009-06-19 2009-06-19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66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969A (en) * 2019-06-28 2020-12-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Carriage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969A (en) * 2019-06-28 2020-12-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Carriage structure
CN112140969B (en) * 2019-06-28 2022-10-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Carria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31369A1 (en) A method of mass transportation of people or cargo, and an associated transport infrastructure
KR101675371B1 (en) Double deck railway vehicle including emergency escape device for passengers on the second floor
KR101396206B1 (en) Double deck railway vehicle with air circulation function
ES2733278T3 (en) Railcar vehicle with wheelchair area as well as rail vehicle
CN112339633B (en) Bus with a bus body
US6564721B2 (en) Rail transport system
ES2693447T3 (en) Rail carriage for passenger and train transport comprising such wagon
KR20100136673A (en) Interior layout for bimodal tram
JP2004322819A (en) Low-floor bus
CZ294435B6 (en) Covered railroad-car for joint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and passenger cars and/or transport modules
CN108622121B (en) Seat device for front end of monorail carriage
JP5114525B2 (en) Tram
ES2887001T3 (en) Passenger transport vehicle
ES2752750B2 (en) Rapid passenger transport system on a rail compatible with two parallel traffic flows on a single track
TW200918378A (en) Multiple related facilities for train non-stop system
JP2001301614A (en) Electric car
JP2001138905A (en) Electric train
KR20160017471A (en) Double deck railway vehicle
KR101396208B1 (en) Indoor structure for double deck railway vehicle
ES2908228T3 (en) Passenger transport vehicle
Dols et al. Passive Safety of Children Carriages on Busses
US965972A (en) Street-car and similar vehicle.
Hunter-Zaworski et al. Spatial Analysis of Accessible Seating Area on the Next Generation Passenger Rail Cars Using 3-D Modeling and Digital Human Modeling
US976628A (en) Railway system.
US485562A (en) Railway-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