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785A - 음료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음료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785A
KR20100135785A KR1020107022494A KR20107022494A KR20100135785A KR 20100135785 A KR20100135785 A KR 20100135785A KR 1020107022494 A KR1020107022494 A KR 1020107022494A KR 20107022494 A KR20107022494 A KR 20107022494A KR 20100135785 A KR20100135785 A KR 2010013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artridge
precurso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제이. 노박
로렌스 리
Original Assignee
그린 마운틴 커피 로스터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마운틴 커피 로스터스, 인크. filed Critical 그린 마운틴 커피 로스터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13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9Details of the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2Details of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음료 카트리지(102) 및 음료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카트리지는 내부 체적을 갖는 용기(116)를 포함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112)가 용기 내에 배치된다.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6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다. 카트리지는 방수성일 수 있고, 필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액체(118)는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용기 내에 도입되어 음료 전구체를 용해시킴으로써 음료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카트리지 {A BEVERAGE CARTRIDGE}
관련 출원
본원은 2008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부분 패키징된 음식 및 음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s for Portion-Packaged Foods and Beverages)"이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068,81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음료 카트리지 및 음료를 만들기 위해 액체와 함께 음료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과 같은 액체를 추가하여 음료를 만드는 다양한 미리 포장된 음료 전구체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티 백은 필터 백 내에 차 잎을 담고 있다. 차를 끓이기 위해, 차 잎의 플레이버(flavor)가 물에 용해되도록 티 백이 뜨거운 물에 담궈진다. 필터 백은 차 잎이 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커피 가루의 플레이버가 물에 용해되도록 뜨거운 물이 커피 가루를 통과한다. 차 잎과 마찬가지로, 커피 가루는 가용성이 높지 않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커피 필터가 완성된 음료로부터 커피 가루를 분리한다.
분쇄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 전구체로 음료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자동화하는 장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커피 머신은 커피 가루를 보유하고 있는 필터에 전달되는 물을 가열한다. 커피 플레이버가 물에 용해된 후에 뜨거운 물이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커피 음료가 만들어진다. 음료를 만들기 위해 일회용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몇몇 음료 머신들이 존재한다. 그러한 머신에서는, 사용자가 카트리지를 머신에 배치할 수 있고, 머신은 카트리지 안으로 물 또는 다른 액체를 도입하여 분쇄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 전구체와 혼합한다. 완성된 음료는 카트리지를 빠져나가 사용자의 컵에 모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입자화된 핫 초콜릿 믹스와 같은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담고 있는 음료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가용성이 높은 재료만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가용성이 높지 않은 분쇄 커피, 차 또는 기타 재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필터를 갖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에 유입되는 액체는 어떠한 종류의 필터도 통과하지 않고 카트리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뜨거운 물이 카트리지를 통과할 때 용해되도록 되어 있는 입자화된 핫 초콜릿 믹스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내의 핫 초콜릿 믹스 또는 다른 음료 전구체의 체적보다 큰 정해진 체적을 갖는 방수 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기 체적은 음료 전구체 체적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용기(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음)는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뜨거운 물과 같은 액체가 카트리지 안으로 도입되어 음료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용기의 다른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음료 전구체는 특정 크기 범위, 예를 들어 200 내지 700마이크로미터의 입자를 전적으로 (또는 상당 부분) 포함할 수 있고, 본 출원인은 이것이 몇몇 음료 전구체를 용해시키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약 60%, 80%, 90%, 95% 또는 더 많은 입자를 200 내지 700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에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원하는 크기의 입자는 음료 전구체 재료를 덩어리화한 후에, 덩어리화된 입자를 스크리닝(screening)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크기 조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내부 체적을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용기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 측벽, 내부 체적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림, 및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를 갖는 절두원추형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가 용기 내에 배치되고, 여기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된다. 적어도 60% 이상의 입자가 약 200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700마이크로미터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0마이크로미터 내지 600마이크로미터인 최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음료 용기는 용기의 내부 체적이 방수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용기의 내부 체적은 음료 전구체의 체적보다 클 수 있고, 음료 전구체가 용해되어 음료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약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용기 안으로 액체가 도입되고 음료가 개구 또는 다른 출구에 의해 용기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음료 조제 방법은 내부 체적을 갖고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가 내부에 배치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음료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된다.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약 6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용기는 용기의 내부 체적이 방수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용기에 제1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제1 개구를 통해 음료 카트리지 안으로 액체를 도입하여, 음료 전구체가 액체에 용해될 때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와, 음료가 제2 개구를 빠져나가도록 용기에 제2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개구를 제공 또는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용기를 관통하는 단계, 용기에 압력을 도입하여 용기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파열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와, (튜브 및 밸브 구조체와 같은) 이미 존재하는 개방 가능한 용기의 도관에 유체 연결하는 단계 등을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고정된 내부 체적을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용기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 측벽 및 고정된 내부 체적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개구를 한정하는 림을 갖는 절두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음료 시스템은 용기 내에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약 60%가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자로 형성된다. 이 시스템은 용기의 고정된 내부 체적이 방수되도록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림에 부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음료 전구체가 액체에 용해될 때 음료를 형성하도록 용기 내에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제1 개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입구 및 음료 시스템으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용기를 통해 제2 개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출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개구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다른 유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입구 및 출구는 용기와 밀봉 결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에 있는 가스켓을 갖는 튜브는 커버로 밀봉되어 용기 안으로 액체를 도입하는 한편, 출구에 있는 구멍 또는 도관은 용기를 빠져나가는 음료가 대기중인 컵까지 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확실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동일한 장점을 공유하는 것은 아니며 공유되는 장점들도 모든 상황에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과 본 발명의 태양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은 비율에 따라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면에서, 여러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동일한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용어로 표현된다. 간략함을 위해, 모든 도면에서 모든 구성요소에 도면부호가 붙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폐쇄된 위치에 있는 음료 브루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브루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액체 유동 조건에 대한 레이놀즈 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조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전구체를 덩어리화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어리화된 음료 전구체 입자의 분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어리화된 음료 전구체 입자의 분포도이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음료 카트리지 및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음료 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를 추가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 전구체를 사용하는 다양한 음료 카트리지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몇 태양은 음료 카트리지 내에 가용성 음료 전구체만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태양들은 가용성 음료 전구체뿐만 아니라 커피 또는 차와 같은 가용성이 높지 않은 음료 전구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음료 카트리지는 가용성인 입자화된 모카 믹스뿐만 아니라 분쇄 커피(가용성이 높지 않음)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내에 도입되는 물은 커피 가루와 상호작용하여 커피 음료를 형성하고, 이것은 카트리지 내의 필터를 통과한 후 모카 믹스와 상호작용하며, 모카 믹스가 커피 음료 내에 용해되어 모카/커피 음료를 형성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를 개발할 때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입자화된 핫 초콜릿 믹스인 일 유형의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전구체를 큐리그 인코포레이티드(Keurig, Incorporated)의 K-Cup 브랜드로 제공되는 것과 유사하게 구성된, 즉 포일/폴리머 뚜껑에 의해 폐쇄되는 절두원추형 용기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 내에 배치하여 실험하였다. 그러나, 많은 K-Cup 브랜드의 카트리지와 다르게, 이 카트리지는 필터를 포함하지 않았으며, 단순히 음료 전구체가 카트리지 용기 내에 배치되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음료 카트리지는 방수되도록 뚜껑에 의해 밀봉되었고 음료 브루어(10) 내에 배치되어 핫 초콜릿 음료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브루어(10)는 컵(16)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드립 트레이(14)를 갖는 하우징(12)을 구비한다. 하우징(12)은 물통(28), 가열기, 가열 탱크, 펌프 및 가열된 물을 브루 챔버(18)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부(30)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브루 챔버(18)는 카트리지 리셉터클(20) 및 뚜껑(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은 핸들(32)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리셉터클은 음료 카트리지(24)가 삽입 및/또는 제거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브루 챔버(18)는 카트리지(24) 내로의 물의 도입을 위해 음료 카트리지를 통해 제1 구멍을 뚫도록 구성되는 입구 니들(26) 및 음료가 카트리지를 빠져나가도록 카트리지 바닥 벽을 통해 제2 구멍을 뚫도록 구성되는 출구 니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도 1 참조), 물은 제1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24)로 유입되고, 음료는 제2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24)를 빠져나가 컵(16)으로 유입된다. 물은 워터 펌프에 의해, 공기 압력에 의해, 또는 몇몇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1 내지 5psi와 같은 주변보다 높은 압력에서 다른 방식으로 카트리지(24) 안으로 보내질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물은 0.03온스/초 이상, 예를 들어 약 0.15온스/초의 유동 속도로 카트리지(24)에 유입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유동 속도는 음료 생산의 과정에 걸쳐 카트리지에 유입되는 유체의 평균 유량을 지칭한다. 몇몇 경우에, 액체는 특정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카트리지 내에 도입될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 액체는 산발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액체가 카트리지에 간헐적으로 도입되는 경우에, 유동 속도는 카트리지에 유입되는 총 유량을 첫 번째 액체 전달로부터 음료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경과된 총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결정될 것이다.)
이 실험의 결과는 음료 카트리지에 도입되는 뜨거운 물이 음료 전구체를 효율적으로 용해시키기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많은 이유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첫째로, 몇몇 경우에 많은 양의 음료 전구체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음료가 매우 묽었다(즉, 음료 전구체의 향취가 약했음). 용해되지 않은 음료 전구체는 음료 카트리지 내에 잔류할 수 있고, 음료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1회 사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카트리지에 잔류하는 재료는 낭비되는 재료이다. 또한, 카트리지 내의 용해되지 않은 음료 전구체는 잠재적으로 카트리지로부터 그리고/또는 음료 브루어(10)를 통한 유체 유동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이것은 브루어(10)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 브루어(10)를 손상시키고 그리고/또는 브루어(10)에 배압 센서가 설치된 경우에는 브루어를 셧 오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경우에는, 불완전하게 용해된 재료가 카트리지를 빠져나가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음료는 용해되지 않은 음료 전구체의 덩어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불쾌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먹을 수 없는 음료가 되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 관점에서, 본 출원인은 액체가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음료를 형성할 때 실질적으로 용해되도록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
이하에 더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벌크 밀도가 높은 음료 전구체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는 벌크 밀도가 낮은 동일한 음료 전구체보다 음료 카트리지 내에서 잘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발명의 일 태양에서, 입자화된 핫 초콜릿과 같은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가 예를 들어 패키지 또는 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입자화된 핫 초콜릿과 같은 표준적인 형태의 음료 전구체에 비해 감소된 벌크 밀도를 갖도록 음료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전구체는 카트리지가 배송시에 일반적으로 겪는 물리적인 방해를 받은 후에도 비교적 낮은 벌크 밀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음료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음료 전구체가 카트리지 내에 배치되고 카트리지가 사용 준비된 후에 이동 및 진동을 겪는다. 예를 들어, 음료 전구체는 제조 장소에서 카트리지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후 카트리지는 배포 센터 및 소매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이동 및 진동은 음료 전구체가 카트리지 내에서 혼합물이 더 조밀해지게 정착되게 할 수 있어서, 그 결과 벌크 밀도를 증가시킨다. 음료 전구체가 카트리지 내에서 정착되는 것은 불가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태양들은 음료 전구체가 제조 후에 높은 벌크 밀도를 갖는 환경에서도 카트리지 내에서 용해되는 음료 전구체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또는 비교적 낮은 벌크 밀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음료 전구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또한 음료 카트리지 내에서 음료 전구체가 용해되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를 형성하는 입자의 크기가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인은 음료 전구체가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최대 치수를 갖는 입자들로 형성된 특정 일 실시예에서는, 입자들이 음료 카트리지 내에서 잘 용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들은 몇몇 카트리지 및/또는 브루잉 환경 내의 액체 유동 조건 하에서 용해되기에 너무 클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음료 전구체가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입자들로 형성될 때, 입자들 중 일부는 음료 카트리지 내에서 잘 용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약 200 내지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들에 있어서, 입자들 중 일부는 보다 빠르게 용해되어 점성이 높은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점성 용액은 남아있는 용해되지 않은 음료 전구체와 액체 사이에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은 음료 전구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음료 카트리지는 전적으로 또는 적어도 상당 부분 약 200 내지 7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를 갖는 가용성 음료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60%, 80%, 90%, 95% 또는 그보다 많은 입자들이 약 200 내지 7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약 300 내지 6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또한 입자 크기는 음료 전구체 내의 재료의 가용성 및/또는 입자들이 만들어지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예를 들어, 느리게 용해되는 외부 코팅을 갖는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더 작은 입자 크기를 필요로 할 수 있음).
도면으로 돌아가, 도면들은 본 발명의 태양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 및 특징부를 도시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간략함을 위해, 몇몇 도면은 하나보다 많은 선택적인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를 도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태양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어느 하나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포괄하고, 그리고/또는 여러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조합한 실시예들을 또한 포괄할 수 있다.
도 3은 음료 카트리지(10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말해, 본 발명의 태양들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상, 구조 또는 기타 구성을 가진 카트리지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오직 예시를 위해서만 도시된다. 도 3의 카트리지(102)는 고정된 내부 체적을 가진 용기(104)를 포함한다. [고정된 내부 체적을 갖는다는 것은 용기(104)가 대체로 강성이거나, 반강성이거나, 또는 외부 변형력을 받지 않을 때 특정 형상을 유지하여 적어도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경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용기는 몇몇 봉지 또는 주머니의 경우와 같이 정해진 형상을 갖지 않도록 하는 재료 또는 기타 구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반드시 고정된 내부 체적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4)는 바닥(122) 및 측벽(116)을 갖는 전체적으로 절두원추형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림(110)은 용기(104)의 고정된 내부 체적 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림(110)은 바닥(122)에 대향하여 측벽(116)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는 용기의 내부 체적이 방수되도록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10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106)는 림(110)에 부착된다.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112)가 용기(104) 내에 배치된다. 즉, 전구체(112)의 전부 또는 거의 전부는 물과 같은 적절한 액체에 용해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현탁될 수 있고, 불용성 재료를 거의 또는 전혀 남기지 않는다. 일례는 입자화된 핫 초콜릿 재료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입자화된 핫 초콜릿 재료는 코코아 콩 껍질의 작은 조각과 같은 몇몇 불용성 재료를 포함하지만, 전체적으로 입자화된 핫 초콜릿 재료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이며,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용성"이다. 그러나, 음료 전구체는 핫 초콜릿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6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과는 액체가 음료 카트리지(102)에 특정 유동 조건 하에서 유입될 때 이러한 입자 크기의 범위가 용해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입자 가용성은 음료 전구체에 사용되는 입자의 크기 범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빠르게 용해되는 재료는 대체로 더 큰 크기의 입자의 사용을 허용 및/또는 요구할 수 있는 반면, 더 느리게 용해되는 재료는 대체로 더 작은 크기의 입자의 사용을 허용 및/또는 요구할 수 있다.
음료 카트리지(102)는 액체가 내부 체적으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액체(118)가 용기(104)에 유입되는 정해진 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위치에서 관통 가능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입구 니들(108)이 커버(106)를 관통하여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액체를 카트리지(102)에 도입하기 위해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칼, 블레이드, 튜브 또는 다른 관통 요소가 카트리지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카트리지는 액체가 도입될 수 있는 도관을 가질 수 있고,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수압 또는 다른 힘의 도입시에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카트리지(102)는 음료가 카트리지(102)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료(120)가 용기(104)를 빠져나가는 출구를 형성하도록 제2 위치에서 관통 가능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출구 니들(126)이 용기의 바닥(122)을 관통하여 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입구에서와 같이, 음료가 카트리지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칼, 튜브 등이 카트리지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는 내부 체적에 적절한 압력이 존재할 때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입구 니들(108) 및 출구 니들(126)은 음료 브루어(10)와 같은 장치 상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102)는 상이하게 관통되거나 그리고/또는 카트리지 상의 다른 위치에서 관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118)가 용기(104)에 도입되어 음료 전구체(112)를 용해시켜 음료를 형성할 수 있도록, 용기(104)의 내부 체적은 음료 전구체(112)의 체적보다 클 수 있다. 액체(118)는 스트림 또는 스프레이(114) 또는 다른 형태로 용기(104)의 내부 체적에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전구체(112)가 액체에 용해되어 음료(120)를 형성하도록 액체가 음료 전구체(112)와 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용기(104)의 주변에서 소용돌이칠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체 유동은 와류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내부 체적은 액체의 도입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가 봉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물이 압력하에서 카트리지에 도입될 때, 카트리지가 팽창하여 내부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혼합이 일어나는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음료 전구체의 용해 과정을 돕는다.
음료 카트리지(102)의 크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104)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122)을 갖는 절두원추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104)는 디스크형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는 장방형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4)는 원형, 정방형, 타원형, 장방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단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 카트리지는 정해진 형상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성 측면을 가진 백 형상의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구조물의 내부 체적은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는 주머니형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티 백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음료 카트리지(102)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104)는 스티렌, 에틸렌 비닐 알콜(EVOH)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는 이들 3개의 재료의 복합 라미네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용기의 외부는 스티렌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조물의 대부분 및 용기의 덩어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스티렌은 또한 수분 유입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 EVOH층은 용기가 커버(106)로 밀봉될 때 카트리지의 내용물을 주변 대기로부터의 산소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산소 투과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용기의 내부 라미네이트층일 수 있으며, 이것은 음료 전구체(112)와 접촉하고 수분 유입 저항성을 제공하며 커버를 용기에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는 대략 2.8그램이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는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음료 전구체가 위치하는 단일 내부 공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는 음료가 카트리지를 빠져나가기 전에 필터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는 음료 전구체의 하류에 위치한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필터는 가용성 음료 전구체를 포함하는 음료가 필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2개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하나의 공간은 분쇄 커피와 같은 음료 전구체를 포함하는 필터의 상류의 공간이고, 제2 공간은 입자화된 모카 믹스와 같은 가용성 음료 전구체를 포함하는 필터의 하류의 공간이다. 물과 분쇄 커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고 필터를 통과해 제2 공간으로 진행하는 커피 음료는 모카 믹스를 용해시켜 카트리지를 빠져나가는 최종적인 음료를 생성할 수 있다.
커버(106)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는 알루미늄 포일-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로 만들어진다. 알루미늄은 강도와 수분 및 산소 유입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106)는 용기(102)에 가열 밀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는 예를 들어 몇몇 봉지 및 주머니의 경우와 같이 폐쇄된 내부 체적을 형성하도록 자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내부 체적은 적어도 30ml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의 내부 체적은 적어도 50ml이다. 일 특정 실시예에서, 용기의 체적은 대략 2온스(~54ml)이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가 절두원추형인 경우에, 용기의 높이(128)는 대략 42mm이고, 실질적으로 원형인 바닥(122)의 직경은 대략 34mm이며, 용기의 상부에서의 개구의 직경(124)은 대략 50mm이다. 음료 카트리지(102)의 크기 및 형상은 음료 브루어(10)와 같은 장치 내의 브루 챔버(18)와 정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 리셉터클(20)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는 와류로서 용기에 유입되고, 음료 전구체는 와류 내에서 용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는 층류로서 용기에 유입되고, 일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층류 내에서 용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용기 안으로의 액체 유동 속도는 달라질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액체는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용기에 도입된다. 이것은 약 120초 동안 4온스의 컵(도 2의 16 참조)을 채우는 것과 같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서, 액체는 약 30초 동안 8온스의 컵을 채우는 적어도 0.26온스/초와 같은 더 높은 체적 속도로 용기 내에 도입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는 약 20초 동안 8온스의 컵을 채우는 적어도 0.4온스/초의 체적 속도로 용기 내에 도입된다. 카트리지는 4 내지 12온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의 음료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사용된다면, 음료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입구 및 출구 개구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형성된 입구는 형성된 출구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형성된 입구는 적어도 0.09375인치(3/32인치)(0.238125cm)의 직경을 갖는 입구 니들(108)에 의해 생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니들(108)은 적어도 0.1875인치(3/16인치)(0.47625cm)의 직경을 가지며,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니들은 적어도 0.25인치(0.635cm)의 직경을 갖는다. 출구 니들(126)은 적어도 0.125인치(1/8인치)(0.3175cm)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출구 니들(126)은 적어도 0.0625인치(1/16인치)(0.15875c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니들(108, 12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추형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니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절두원추형일 수 있다.
입구의 크기는 카트리지(102)에 유입되는 액체의 유동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레이놀즈 수는 유동이 층류인지 와류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동적 압력과 전단 응력의 비율에 의해 정해지는 무차원 변수이다. 액체가 파이프 또는 덕트를 통해 유동할 때[이것은 카트리지(102) 안으로의 액체 유동과 동일할 수 있음], 액체의 유동에 대한 레이놀즈 수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방정식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01
Re<2300이면 유동은 층류로 간주된다. 2300<Re<4000이면 유동은 천이 단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Re>4000이면 유동은 와류인 것으로 간주된다. 도 4의 테이블은 다양한 유동 및 입구 구성 하에서의 레이놀즈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음료 카트리지 안으로의 체적 유동 속도는 0.03온스/초와 0.8온스/초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입구의 직경은 또한 0.09375인치(0.238125cm)와 0.25인치(0.635cm) 사이에서 변한다. 체적 유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입구 직경의 증가는 용기 안으로의 액체 스프레이의 속도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의 직경은 대략 1.5인치(3.81cm)였으며, 액체의 동적 점성도는 약 60℉에서의 물과 대략 동일하였다. 액체의 종류 및 액체의 온도는 동적 점성도 값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102)는 적어도 4,000의 레이놀즈 수를 갖는 액체의 와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적어도 8,000의 레이놀즈 수를 갖는 액체의 와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적어도 12,000의 레이놀즈 수를 갖는 액체의 와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는 적어도 1,000 또는 적어도 1,500의 레이놀즈 수를 갖는 액체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용성 음료 전구체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이것과 관련하여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핫 초콜릿 믹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커피, 에스프레소, 차(과일차를 포함함), 핫 코코아, 카푸치노, 카페라떼, 카페오레, 카페모카, 모카, 사이다, 쥬스, 다양한 착향 드링크 및 우유 음료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전구체는 또한 토마토 수프 및 닭고기 죽과 같은 다양한 죽 등의 다양한 수프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음료 전구체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재료의 유형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재료의 몇몇 예는 코코아, 초콜릿, 차, 우유 분말, 비우유 크리머, 쥬스 추출물, 에스프레소, 커피 분말, 설탕, 유당, 자당, 슈크랄로스, 스테비아, 유동 보조제, 유화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레시틴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음료 전구체가 음료 카트리지 안에서 용해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를 형성하는 입자의 크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본 출원인은 입자의 적어도 60%가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600 또는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가질 때 액체가 카트리지를 통과함으로써 음료 전구체가 적절히 용해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입자의 적어도 80%가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600 또는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혼합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입자의 적어도 90%가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와 600 또는 700마이크로미터 사이의 최대 치수를 갖는 혼합물로 형성되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입자의 적어도 95%가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와 600 또는 700마이크로미터 사이의 최대 치수를 갖는 혼합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112)는 모든 입자들이 약 600 또는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입자는 형성된 출구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음료 전구체가 카트리지(102)를 폐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음료 전구체 내의 입자의 양을 최소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모든 입자들이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최대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운반되고 카트리지의 내용물이 정착됨에 따라서, 입자의 일부는 더 작은 입자로 쪼개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전구체는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몇몇 입자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음료 전구체의 작은 부분만을 차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의 양은 20% 이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의 양은 15%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의 양은 10% 이하이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00 또는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의 양은 5% 이하이다.
음료 전구체가 원하는 입자 크기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용성 음료 전구체는 이러한 원하는 입자 크기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덩어리화된다. 환언하면, 음료 전구체를 형성하는 입자들은 응집되거나 밀집되어 큰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약 200 내지 3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의 수를 최소화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600 내지 700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는 설계 입자 크기 범위에 포함되도록 쪼개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덩어리화 장치는 입자들을 더 큰 집합 입자로 모으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Charles Onwulata의 덩어리화 장치 및 덩어리화 공정의 더 상세한 설명은 "포장되고 분말회된 음식(Encapsulated and Powdered Foods)"(2005년 발행, CRC Press, Taylor and Francis Group, 6000 Broken Sound Parkway NW, Suite 300, Boca Raton, FL 33487-27542, Library of US Congress Card Number 2004065512, 페이지 8, 33, 40, 51-58, 66, 및 123-130)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료 조제 방법(200)을 도시한다. 이 방법(200)은 음료 전구체를 조제하는 제1 하위 방법(200a) 및 음료 카트리지에 의해 음료를 조제하는 제2 하위 방법(20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방법(200a)은 음료 전구체를 형성할 성분(202a)으로 덩어리화 장치를 채우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단계 204에서, 음료 전구체는 덩어리화된다. 덩어리화된 재료(204a)의 크기는 단계 206에서 결정될 수 있다. 스크리닝(screening), 사이클로닝(cycloning) 및 공기 분류법(air classifying)과 같은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분리 및 크기 조정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덩어리화된 재료(204a)의 크기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음료 전구체가 음료 카트리지 안에서 용해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를 형성하는 입자의 크기가 중요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약 600 내지 700마이크로미터와 같은 최대 입자 크기가 선택될 수 있고, 원하는 메쉬를 갖는 스크린이 사용되어 최대치보다 큰 크기를 갖는 입자를 분리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큰 입자는 크기를 줄이기 위해 기계적인 힘에 노출될 수 있다. 약 200 내지 300마이크로미터와 같은 최소 입자 크기가 선택될 수 있고, 원하는 메쉬 크기를 갖는 스크린이 사용되어 최소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입자를 분리해낼 수 있다. 최소 크기보다 작은 입자[미립자(206b)로도 알려짐]는 그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추가의 덩어리화를 위해 덩어리화 장치로 돌려보내질 수 있다.
단계 208에서, 크기가 결정된 덩어리(206a)를 음료 카트리지 용기(104)에 나누어 담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1회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전구체는 대략 15그램의 크기 조정된 덩어리(206a)로 형성된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50그램의 음료 전구체가 카트리지에 충전될 수 있음]. 단계 210에서, 커버(106)가 용기(104)에 부착된다. 커버는 용기의 내부 체적이 방수되도록 용기(104)에 밀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음료 용기(210a)는 음료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210a)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음료 브루어(10)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및 음료 전구체는 더 큰 용량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하위 방법(200b)은 음료 카트리지를 음료 브루어에 삽입하는 단계 211로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순서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다음의 단계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단계 212에서 제1 개구가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단계 216에서 제2 개구가 카트리지에 제공되며, 단계 214에서 물과 같은 액체가 제1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 안으로 분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구는 제2 개구에 앞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개구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개구는 물이 카트리지에 흘러들어가기 시작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를 통해 구멍을 뚫기 위해 입구 및 출구 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구는 커버를 통해 관통되며 제2 개구는 음료 카트리지의 용기를 통해 관통된다. 단계 218에서,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음료는 출구 니들을 통해 카트리지를 빠져나간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전구체를 덩어리화하기 위한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음료 전구체(306)는 보관통(308) 내에 배치된 후 덩어리화 장치(300a) 안에 채워질 수 있다. 음료 전구체는 덩어리화 장치 내의 스크린(3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뜻한 공기가 가열기(318)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팬(316)에 의해 덩어리화 장치 안으로 보내질 수 있다. 팬과 가열기는 덩어리화 장치 공기 배출(332) 및 덩어리화 장치 입구 스트림(330)을 활용하여 공기를 덩어리화 장치(300a) 안팎으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332)은 덩어리화 장치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필터(310)를 사용하여 여과될 수 있다. 재순환된 공기는 공기 유동 스트림(326)을 통해 정화되고, 신선한 공기가 공기 스트림(328)을 통해 유동 스트림 내로 보내질 수 있다.
덩어리화 사이클을 시작하기 위해, 따뜻한 공기 스트림(330)이 개시되어 음료 전구체(308a)를 유동화시킨다. 스트림(330)의 유동 속도는 스프레이(312)가 입자를 접촉하고 적시기에 충분한 높이에 대부분의 음료 전구체 입자가 도달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동화가 개시되면, 잘 혼합된 혼합물이 덩어리화를 개시하는데 사용 가능하도록 스프레이(312)의 개시 전에 재료들이 충분히 혼합되는 사전 혼합 기간이 발생할 수 있다. 덩어리화 유체(304)가 용기(302)로부터 스프레이(312)를 통해 덩어리화 장치의 내부 공동 안의 유동화된 재료에 스프레이될 수 있다. 덩어리화에 숙련된 자들은 덩어리화 유체, 그것의 양, 스프레이 노즐 및 적용될 수 있는 도포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덩어리화 유체가 사용되어 원하는 정도의 덩어리화를 달성한 후에, 제2 유체(304a)가 스프레이(312)를 통해 도포되어 덩어리화된 입자의 상태를 더욱 조절할 수 있다. 상태 조절은 적시기(wetting)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덩어리화된 입자의 용해 속도에 추가의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덩어리화 및 스프레잉 사이클의 종료시에, 마무리된 덩어리화 음료 전구체 입자(322)는 덩어리화 장치(300a)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크기 조정 단계 320에서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미립자(예를 들어, 크기가 미달된 입자)는 스트림(334)과 같은 덩어리화를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기가 초과된 덩어리화 입자(320a)는 크기 조정 단계 320에 잔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 크기 감소 작용을 거칠 수 있다. 마무리된 크기 조정된 덩어리화 음료 전구체(324)는 음료 카트리지에 나누어 담을 준비를 갖추게 되었다. 덩어리화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에 다양한 덩어리화 장치 및 덩어리화 공정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할 것이다.
다음의 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 1: 과당, 코코넛 오일, 이눌린, 알칼리화 코코아, 카제인나트륨(우유로부터 추출), 말토덱스트린, 소금,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레세리드,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실리콘알루민산나트륨, 콩 레시틴, 천연 및 인공 플레이버, 카라기난 및 아세설팜 포타슘을 함께 조합하여 핫 코코아 음료 믹스의 덩어리화되지 않은 건조 믹스가 만들어졌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5그램의 코코아 믹스가 약 2 유체 온스 체적(54밀리리터)의 플라스틱 용기 내에 배치되었다. 이 핫 코코아 음료는 덩어리화되거나 그러고/또는 크기 조정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는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포일 뚜껑으로 가열 밀봉되었다. 그 후 용기는 편평한 원형 면(122)과 같은 바닥 표면에 의해 정면으로 착지하도록 단단한 표면 상에 약 1인치(2.54cm)의 높이로부터 떨어뜨림으로써 1백 회에 걸쳐 단단한 표면 상에 탭핑(tapping)되었다. 용기의 반투명 측벽을 통한 음료 전구체 분말 레벨의 시각적 검사는 탭핑 작용으로 인해 용기 내의 분말이 정착되었고 조밀해졌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용기 및 음료 전구체 믹스가 준비되었지만, 탭핑되지는 않았다. 두 용기는 큐리그 인코포레이티드의 브루어 모델 B2003에서 일정한 유동 속도로 약 30초에 걸쳐 부분 패키지를 통해 진행하는 8온스(227밀리리터)의 뜨거운 물(약 90℃)을 사용하여 브루잉되었다. 탭핑되지 않은 용기는 브루 사이클 동안 용기에 유입되거나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뜨거운 브루잉 워터의 작용에 의해 용기 내의 코코아 믹스가 용기로부터 기본적으로 비워져 충분히 브루잉되었다. 그러나 탭핑된 컵은 용기로 유입되거나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뜨거운 물의 작용에 의해 완전히 비워지지 않았다. 약 8.1그램의 젖은 슬러지(물과 두껍고 젖은 코코아 믹스로 만들어짐)가 컵에 남았다. 이 예는 음료 카트리지 내의 음료 전구체의 진동 및/또는 다른 종류의 운동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음료 브루어를 사용하는 음료 전구체의 불완전한 비움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 2: 상술한 것과 동일한 (따라서, 동일한 성분 및 비율을 갖는) 로트의 핫 코코아 음료 믹스가 도 6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유체 베드 덩어리화 장치를 사용하여 덩어리화되는 다른 실험이 수행되었다. 덩어리화 장치는 중국 하얼빈 난강 디안란 스트리트 58(No. 58 Dianlan Street, Nangang, Dist Harbin, China)에 소재한 하얼빈 나노 파마큐티컬 앤드 케미컬 이큅먼트 컴퍼니, 엘티디.(Harbin Nano Pharmaceutical and Chemical Equipment Company, Ltd.)에 의해 제조된 예시 모델 유동화 베드 덩어리화 장치(Model FL-3 Fluid Bed Granulator)였다.
대략 5킬로그램의 핫 코코아 음료 믹스가 덩어리화 장치에 채워졌다. 유동화 및 덩어리화가 40℃의 따뜻한 공기에 의해 수행되었다. 20중량%의 아라비아 고무(gum arabic) 수용액 1리터가 유동화된 분말 베드의 상부에 스프레이되었다. 즉, 스프레이는 유동화된 분말 베드 안으로 하방을 향하였다. 스프레이를 제공하는데 공기 보조식 미립자화 노즐이 사용되었다. 스프레이는 1리터의 아라비아 고무 용액이 완전히 스프레이될 때까지 분당 30밀리리터로 수행되었다. 20중량%의 콩 레시틴 수용액 125밀리리터의 2차 스프레이가 완전히 도포될 때까지 분당 30밀리리터로 동일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되었다. 고무 도포는 약 30분간 지속되었고 레시틴 도포는 약 5분간 지속되었다. 레시틴 용액은 음식 또는 음료 재료가 가용성화되는 경향을 감소킬 수 있다. 레시틴 도포 후에, 2분의 마무리 건조 기간이 적용되었다. 그 후 덩어리화 장치가 오프되고 덩어리들이 배출되었다. 마무리된 덩어리화리화 음료 전구체는 1.93%의 수분 레벨을 가졌다.
덩어리화된 코코아 믹스의 조밀하지 않은 밀도는 0.530그램/㎤이었고, 그것의 탭핑된 밀도는 0.583그램/㎤였다. 조밀하지 않은 밀도는 중량을 측정한 믹스를 깔때기를 통해 눈금이 있는 실린더 안으로 쏟아붓고 눈금 상의 체적을 판독함으로써 측정되었다. 탭핑된 밀도를 얻기 위해, 조밀하지 않은 밀도 측정으로부터의 믹스를 담고 있는 눈금이 있는 실린더를 손으로 1백 회 탭핑한 후, 정착된 "탭핑된" 체적을 판독하였다.
그 후 덩어리화된 코코아 믹스는 U.S. 30 메쉬 스크린(595마이크로미터 개구)을 통해 스크리닝되었다. "30 메쉬를 관통한" 덩어리화된 코코아 믹스의 부분("-30 메쉬 부분")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졌다. 그 후 제1 부분은 U.S. 40 메쉬 스크린(425마이크로미터 개구)을 통해 스크리닝되었고, 제2 부분은 U.S. 50 메쉬(300마이크로미터 개구)를 통해 스크리닝되었으며, 제3 부분은 U.S. 100 메쉬 스크린(150마이크로미터 개구)를 통해 스크리닝되었다. 조밀하지 않은 밀도와 탭핑된 밀도가 측정되었다.
"하우스너 비율(Hausner Ratio)"이 또한 계산되었다. 분말 처리 및 유동성 및 분말 유동화의 용이함에 대한 하우스너 비율을 적용 가능성의 배경에 대해서는 J. Malave, G.V. Barbosa-Canovas, 및 M. Peleg의 "진동, 탭핑 및 기계적 압축에 의한 선택된 음식 분말의 조밀화 특징의 비교(Comparison of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Selected Food Powders by Vibration, Tapping and Mechanical Compression)"(Journal of Food Science Volume 50 (1985), 페이지 1473 내지 1476)을 참고하기 바란다. 또한, C.I. Onwulata, R.P. Konstance 및 V.H. Holsinger의 "유동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 포장된 유지방 분말의 유동 특성(Flow Properties of Encapsulated Milkfat Powders as Affected by Flow Agent)"(Journal of Food Science Volume 61, No 6 (1996), 페이지 1211 내지 1215)를 참고하기 바란다. 또한 Gustavo V. Barbosa-Canovas, Ortega-Rivas, E., Juliano, P., 및 Yan, H의 "음식 분말: 물리적 특성, 처리 및 기능성(Food Powders: Physical Properties, Processing, and Functionality)"(Springer 발행, 2005, XVI, ISBN:978-0-306-47806-2)을 참조하기 바란다.
일반적으로, 하우스너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동성 및 유동화의 용이함은 감소한다. 스크리닝된 부분과 스크리닝되지 않은 원래의 덩어리화 믹스가 각각 대략 15그램씩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 후, 예 1에서 이루어진 것과 같이 내용물을 정착시키기 위해 100회 탭핑되었으며, 그 후 큐리그 브루잉 기구(예 1에서와 동일함)에서 8온스(227밀리리터)의 뜨거운 물 유동 스트림(대략 90℃)에 의해 약 30초 브루잉 기간에 걸쳐 일정한 유동 속도로 브루잉되었다. 용기 내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눈으로 검사하기 위해 알루미늄 포일 라미네이트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4개의 브루잉된 카트리지가 개방되었고, 용기에 남은 내용물의 중량이 측정되었다. 결과적인 데이터 및 밝혀진 사항은 다음과 같다.
샘플 유리화 밀도 GR / CC 탭핑된 밀도
GR / CC
하우스너 비율 브루잉 후에 컵에 잔류하는 중량
원래의 덩어리 0.508 0.579 1.14 9.6그램의 두껍고 젖은 코코아 믹스
덩어리
-30+40 U.S. 메쉬
0.530 0.583 1.100 1.5그램의 아주 약간 뿌옇고 갈색을 띈 물
덩어리
-30+50 U.S. 메쉬
0.503 0.555 1.103 4.6그램의 약간 뿌옇고 갈색을 띈 물
덩어리
-30+100 U.S. 메쉬
0.476 0.544 1.141 8.1그램의 두껍고 젖은 코코아 믹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브루잉 결과(즉, 브루잉 후에 부분 패키지 뒤에 많은 양의 코코아가 남지 않는 것)가 특정 입자 크기 범위로의 덩어리화 및/또는 크기 조정을 요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예에서, -30 메쉬 내지 +50 메쉬 범위의 입자들은 성공적인 부루잉 결과를 제공한다. 이 예는 또한 특정 입자 크기 범위로의 덩어리화 및 크기 조정의 조합된 효과가 하우스너 비율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고, 낮은 하우스너 비율은 성공적으로 브루잉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브루어 내에서의 브루잉은 분말을 유동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유입 동작을 가지며, 하우스너 비율은 분말 유동화의 용이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덩어리화되고 크기 조정된 핫 코코아 믹스의 성공적인 브루잉은 성공적이지 않은 브루잉 덩어리의 하우스너 비율에 비해 하우스너 비율의 상대적인 값에 반영된다.
예 3: 예 1의 것과는 상이한 생산 로트이지만 동일한 성분 및 조성의 덩어리화되지 않은 핫 코코아 믹스가 예 2에서와 동일한 설비 및 유체 적용량 및 속도를 사용하여 덩어리화되었다. 이 첫 번째 작업에서 1.71%의 수분이 스크리닝되지 않은 덩어리화된 입자에서 발생하였다. 그 후 덩어리화된 믹스는 크기가 초과된 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해 U.S. 30 메쉬 스크린(597마이크로미터)을 사용하고 크기가 미달된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U.S. 60 메쉬 스크린(250마이크로미터 개구)을 사용하는 Sweco 선회(gyratory) 스크리너를 사용하여 크기 조정되었다. 17.9중량%의 크기 미달인 덩어리들이 제거되었다. 그 후 이들 크기 미달의 덩어리화된 입자들은 (미립자 재순환으로서) 충분한 덩어리화되지 않은 코코아 분말에 5킬로그램까지 추가되었다. 그 후 이 믹스는 제2 작업에서 덩어리화되었고, 최초의 덩어리화와 동일한 조건 및 과정을 사용하여 크기 조정되었다. 이 제2 덩어리화 작업으로부터 1.91%의 수분이 발생하였다. 13.6중량%의 -60 메쉬 크기 미달 미립자가 크기 조정 스크리닝의 결과로서 제거되었다. 제2 작업의 -30/+60 메쉬 덩어리화 입자의 3개의 샘플이 대략 15그램의 -30 메쉬/+60 메쉬 덩어리화 입자를 음료 카트리지 내에 배치함으로써 준비되었고, 그 후 예 1 및 2에서 이루어진 것과 같이 100회 탭핑되었으며, 그 후 큐리그 브루잉 기구(예 1 및 예 2에서와 동일함)에서 일정한 유동 속도로 약 30초에 걸쳐 8온스(227밀리리터)의 뜨거운 물 유동 스트림(대략 90℃)에 의해 브루잉되었다. 그 후 3개의 샘플 카트리지가 알루미늄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개방되었다. 카트리지 내용물의 중량이 측정되었고, 각각 6.2그램, 5.5그램 및 10.0그램의 두껍고 점성을 갖는 젖은 코코아 덩어리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실패한, 예를 들어 성공적이지 않은 브루잉 결과를 나타낸다. 예 2에 비교되는 이러한 결과는 -30 메쉬/+60 메쉬는 브루잉에 성공적이지 않은 반면 예 2의 -30 메쉬/+50 메쉬 덩어리는 성공적이었다는 점에서, 크기 조정된 덩어리화된 입자의 입자 크기 범위가 놀랍도록 좁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 2 및 예 3의 상대적인 브루잉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예 3의 -30 메쉬/+60 메쉬 크기의 덩어리가 U.S. 50 메쉬 스크린(297마이크로미터 개구)을 사용하여 다시 크기 조정된 후, 패키징되고 브루잉되었다. 2개의 샘플이 준비된 후,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100회 탭핑되었다. 2개의 샘플의 브루잉된 카트리지가 개방되었고, 사실상 코코아 믹스가 없는, 예를 들어 약간 뿌옇고 약간 갈색을 띄는 물이 패키지에 남아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확인된 결과는 -30/+50 메쉬는 성공적인 브루잉 결과를 제공하며, 이것은 특정 입자 크기 범위의 덩어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 3의 결과는 도 7에 도시된 입자 크기 분포도 상에 표시되고 설명된다.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덩어리화된 입자의 크기 분포도(400)는 60 메쉬 스크린을 통한 크기 조정 및 50 메쉬 스크린 상에서의 크기 재조정 전의 제2 작업 핫 코코아로부터의 것이다. 분포 곡선(400a)은 입자의 개수의 빈도 퍼센트 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입자 크기를 플롯팅한 것이다. 선 402는 U.S. 30 메쉬 스크린의 개구 크기인 595마이크로미터 마크에 있다. 선 404는 U.S. 50 메쉬 스크린의 개구 크기인 297마이크로미터 마크에 있으며, 선 406은 U.S. 60 메쉬 스크린에 대한 것이다. 덩어리화된 입자가 스크리닝 과정 동안 더 이상 크기가 감소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선 402 우측의 모든 덩어리화된 입자는 30 메쉬 스크린에 의해 초과 크기로서 제거된다. 선 404 좌측의 전부는 50 메쉬 스크린에 의해 크기 미달로서 제거된다. 선406 좌측의 전부는 60 메쉬 스크린에 의해 제거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사용한 성공적인 브루잉 결과를 위해, 영역(408) 내의 덩어리화된 입자는 크기 초과로서 제거되고, 영역(412, 414)의 덩어리화된 입자는 크기 미달로서 제거되며, 영역(410)은 음료 전구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하는 입자 그룹을 나타낸다.
예 4: 분말 유동 향상의 최신 기술은 일반적으로 분말의 유동성(그리고, 그에 따라서 아마도 고온에 의한 정착된 분말 및 미정착 분말의 유동화의 용이함)을 개선하기 위해 분말 유동 보조제(flow aids)가 첨가될 수 있다는 것을 교시한다. 표 1에서 언급한 Onwulata, Konstance 및 Holsinger의 잡지 기사를 참고하기 바라며,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유동 보조제를 첨가함으로써 하우스너 비율이 개선(저하)되었다(분말 유동성의 전체적인 개선을 암시함).
첨가된 유동 보조제가 성공적이지 않은 브루잉 -30 메쉬/+60 메쉬 덩어리화 입자 브루를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 연구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이산화규소 유동 보조제가 미국 44333 오하이오주 아크론 엠버시 파크웨이 3500(3500 Embassy Parkway, Akron, Ohio 44333 USA)의 에보닉 데구사 코포레이션(Evonik Degussa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되었다. 이들은 Sipernat 22s 및 Sipernat 820a였다. 예 3으로부터의 -30/+50 메쉬 덩어리화 입자가 0.2중량%의 Sipernat 820a 및 0.8중량%의 Sipernat 22s와 혼합되었다. 3개의 샘플이 예 3에서 채용된 과정에 따라 준비되고, 탭핑되고, 브루잉되고, 검사되었다. Sipernat 820a의 3개 샘플에 있어서, 부분-패키지는 성공적이지 않은 브루잉을 나타내는 5.5그램, 4.7그램 및 6.7그램의 젖은 코코아 덩어리를 담고 있었다. Sipernat 22s의 3개 샘플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역시 성공적이지 않은 브루잉 결과를 나타내는 8.4그램, 7.5그램 및 7.2그램의 젖은 코코아 덩어리를 담고 있었다. 이들 브루잉된 카트리지 중 몇몇에 있어서, 젖은 코코아 덩어리의 내부는 건조한 분말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부적절하게 크기 선택된 덩어리화 입자의 브루잉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유동 보조제를 사용하는 최신 기술의 권고는 성공적인 결과를 제공하지 않으며, 그러한 유동 보조제가 브루잉 결과를 악화시켜 더 나쁘고 좋지 않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 5: 대략 9파운드의 Chai 차 음료 전구체 재료의 혼합물(차, 향신료, 슈크랄로스 감미료 및 비우유 크리머를 포함함)이 이전의 예에서 사용된 설비 및 과정을 사용하여 덩어리화되었다. 적용된 아라비아 고무의 양은 20% 수용액 내에서 165그램이었다. 적용된 콩 레시틴의 양은 20% 수성 분산 용액 내에서 20.5그램이었다. 1.25%의 수분이 발생하였다. 덩어리화된 입자이지만 크기 조정되지는 않은 Chai 차의 크기 빈도 분포도(500)가 분포 곡선(500a)으로서 도 8에 도시된다. 덩어리화된 입자는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U.S. 30 메쉬 및 U.S. 50 메쉬를 통해 스크리닝되어, 크기 초과된 덩어리화 입자 및 크기 미달된 덩어리화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들 크기 조정된 덩어리화 입자는 음료 카트리지에 나누어 담기고 100회 탭핑되었다. 4개의 샘플이 준비되었다. 각각의 샘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브루잉되었고, 각각 큐리그 인코포레이티드 브루어 기구 범위의 상이한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들은 B70, B75, B200 및 B2003 모델이었다. 각각의 샘플은 브루잉 후에 개방되고 검사되었다. 모든 샘플은 성공적으로 브루잉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브루잉 후에 1그램 미만의 젖은 Chai 차 덩어리가 남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상술한 특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태양 및 특징은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 및 특징을 도시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간략함을 위해, 몇몇 도면은 하나보다 많은 선택적인 특징 또는 구성요소를 도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임의의 하나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포괄하고, 그리고/또는 여러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조합한 실시예들을 또한 포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위의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변형 및 동등물이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6)

  1. 음료 형성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음료 카트리지이며,
    내부 체적을 형성하고 방수성인 용기와,
    용기 내에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포함하고,
    용기는 액체가 음료 형성 기계에 의해 용기 내에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음료가 용기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며,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되고,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6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고, 음료 전구체는 체적을 가지며,
    용기의 내부 체적은 음료 전구체의 체적보다 크고, 용기에 도입되는 액체가 음료 전구체를 용해시켜 음료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덩어리화된 혼합물인
    음료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8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90%는 약 3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6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95%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자 전부는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는 약 4온스 내지 12온스 사이의 1회 사용을 위해 구성되는
    음료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는 코코아, 초콜릿, 차, 우유 분말, 비우유 크리머, 쥬스 추출물, 에스프레소, 커피 분말, 설탕, 유당, 자당, 슈크랄로스, 유동 보조제, 스테비아, 유화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레시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료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적어도 4,000의 레이놀즈 수를 갖는 액체의 와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용기는 용기 안으로 도입되는 액체를 위한 입구를 형성하도록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고, 용기를 빠져나가는 음료를 위한 출구를 형성하도록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는
    음료 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음료 카트리지는 음료 전구체의 하류에 위치한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음료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용기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측벽, 측벽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체적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림, 및 용기의 림에 부착되고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음료 카트리지.
  13. 음료 카트리지이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측벽, 측벽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용기의 고정된 내부 체적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림, 및 용기의 림에 부착되고 용기가 방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용기와,
    용기 내에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포함하고,
    용기는 액체가 음료 형성 기계에 의해 용기 내에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음료가 용기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되고,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60%는 약 3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6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고, 음료 전구체는 체적을 가지며,
    용기의 내부 체적은 음료 전구체의 체적보다 크고, 용기 내로 도입되는 액체가 음료 전구체를 용해시켜 음료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카트리지.
  14. 음료 조제 방법이며,
    (a) 내부 체적을 갖는 용기 및 용기 내에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를 구비하는 방수 음료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되고,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6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는, 음료 카트리지 제공 단계와,
    (b) 용기에 제1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제1 개구를 통해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음료 카트리지 내에 액체를 도입하여, 음료 전구체가 액체에 용해될 때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용기에 제2 개구를 제공하여, 음료가 제2 개구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조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4,000의 레이놀즈 수를 갖는 액체의 와류가 음료 카트리지 내에 도입되는
    음료 조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 개구의 크기는 제2 개구의 크기보다 큰
    음료 조제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자는 덩어리화된 혼합물인
    음료 조제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카트리지를 통해 구멍을 뚫어서 형성되는
    음료 조제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는 코코아, 초콜릿, 차, 우유 분말, 비우유 크리머, 쥬스 추출물, 에스프레소, 커피 분말, 설탕, 유당, 자당, 슈크랄로스, 유동 보조제, 유화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레시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료 조제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용기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 측벽, 내부 체적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림, 및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를 갖는 절두원추형상을 포함하는
    음료 조제 방법.
  21. 음료 시스템이며,
    내부 체적을 갖고 방수성인 용기와,
    용기 내에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와,
    음료 전구체가 액체 내에 용해될 때 음료를 형성하도록 제1 개구를 통해 용기 내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입구와,
    용기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용기는 액체가 용기 내에 적어도 0.03온스/초의 체적 유동 속도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음료가 용기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복수의 입자로 형성되고, 복수의 입자의 적어도 60%는 약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크고 약 70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최대 치수를 갖고, 음료 전구체는 체적을 갖는
    음료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 체적은 음료 전구체의 체적보다 크고, 따라서 액체는 용기 내에 도입되어 음료 전구체를 용해시킴으로써 용기 내에서 음료를 형성할 수 있는
    음료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인 음료 전구체는 덩어리화된 혼합물인
    음료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음료 전구체는 코코아, 초콜릿, 차, 우유 분말, 비우유 크리머, 쥬스 추출물, 에스프레소, 커피 분말, 설탕, 유당, 자당, 슈크랄로스, 유동 보조제, 스테비아, 유화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레시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입구는 용기 내에 입구 개구를 형성하는 관통 요소를 포함하고, 출구는 용기 내에 출구 개구를 형성하는 관통 요소를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음료 카트리지는 음료 전구체의 하류에 위치하는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음료 시스템.
KR1020107022494A 2008-03-10 2009-03-10 음료 카트리지 KR20100135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81108P 2008-03-10 2008-03-10
US61/068,811 2008-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785A true KR20100135785A (ko) 2010-12-27

Family

ID=4064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494A KR20100135785A (ko) 2008-03-10 2009-03-10 음료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00028495A1 (ko)
EP (1) EP2262703A1 (ko)
JP (1) JP5432190B2 (ko)
KR (1) KR20100135785A (ko)
CN (1) CN102026891B (ko)
AU (1) AU2009223793B2 (ko)
CA (1) CA2718195C (ko)
HK (1) HK1156586A1 (ko)
MY (1) MY164116A (ko)
NZ (1) NZ588008A (ko)
WO (1) WO20091141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3150A (ko) 2011-07-29 2014-05-07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음료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0512B2 (en) 2002-05-01 2010-08-10 Courtesy Products, Llc Disposable brew basket for electric coffee maker
US7081263B2 (en) 2002-05-01 2006-07-25 Courtesy Products, Llc Disposable brew basket for electric coffee maker
US20120070542A1 (en) * 2010-09-16 2012-03-22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Instant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US9578984B2 (en) * 2009-07-30 2017-02-28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Pad, pad holde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CA2772077C (en) 2009-08-28 2017-12-05 Green Mountain Coffee Roasters Beverage cartridge and method for beverage formation using filter aid
US20110070337A1 (en) * 2009-09-21 2011-03-24 Whitewave Services, Inc. Reduced Calorie Soy Beverage
US9527661B2 (en) 2009-09-29 2016-12-27 Lbp Manufacturing Llc Disposable single use beverage package
US9108794B2 (en) 2009-09-29 2015-08-18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single use beverage package
CN102740746B (zh) * 2009-12-08 2015-01-28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具有流动调节装置的胶囊系统
US20150125586A1 (en) * 2010-05-03 2015-05-07 Apiqe Beverage system with flavor pod dispenser
GB2480828B (en) * 2010-06-01 2013-06-1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food products
GB2481068B (en) 2010-06-11 2012-06-20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CN103179864B (zh) 2010-07-16 2015-07-29 洲际大品牌有限责任公司 由具有增强的分散性的粉末形成饮料的方法和装置
PT3023362T (pt) 2010-07-22 2018-04-04 K Fee System Gmbh Cápsula de dose individual com identificador
US8573115B2 (en) * 2010-11-15 2013-11-05 Conair Corporatio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US9469471B2 (en) 2011-02-03 2016-10-18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USD694620S1 (en) 2011-03-08 2013-12-03 Kraft Foods R&D, Inc. Beverage cartridge
GB2488799A (en) 2011-03-08 2012-09-12 Kraft Foods R & D Inc Drinks Pod without Piercing of Outer Shell
DK2685838T3 (en) * 2011-03-14 2015-08-31 K 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drink
GB2489409B (en) 2011-03-23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 capsule and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D675091S1 (en) 2011-05-25 2013-01-29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cup with wave rib
USD675090S1 (en) 2011-05-25 2013-01-29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cup with straight rib
USD675089S1 (en) 2011-05-25 2013-01-29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cup with curved rib
CN203609278U (zh) * 2011-06-23 2014-05-28 光达家电用品公司 混合饮料制造机
US9452879B2 (en) 2011-07-26 2016-09-27 Lbp Manufacturing Llc Sealed beverage basket and method of making
US9428328B2 (en) 2011-09-01 2016-08-30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WO2013048237A1 (en) * 2011-09-29 2013-04-04 N.V. Nutricia Unit dose package for nutritional product
CN102491006B (zh) * 2011-11-25 2014-01-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豆粉料包、豆浆制作方法及制备豆浆的设备
CN102700853B (zh) * 2012-05-25 2015-04-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豆粉料包、豆浆制作方法及制备豆浆的设备
US8667892B2 (en) * 2012-02-09 2014-03-11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orming system having liquid delivery tank with expansion chamber
DE102012105282A1 (de) 2012-06-18 2013-12-19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US8985561B2 (en) 2012-06-29 2015-03-24 Bonne O Inc. Beverage carbon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ing a beverage
US9198455B2 (en) 2012-06-29 2015-12-01 Bonne O Inc. Carbon dioxide source tablet and beverage carbon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A2881194C (en) * 2012-08-24 2020-06-23 Nestec S.A. A capsule for use in a food preparation machine
JP2014050578A (ja) * 2012-09-07 2014-03-20 Zojirushi Corp 飲料抽出機
US20140072675A1 (en) 2012-09-12 2014-03-13 Mark Richard Thomas Norton Cartridges,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Beverages
US10450130B2 (en) 2012-09-12 2019-10-2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s,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beverages
USD697797S1 (en) 2012-09-12 2014-01-21 Kraft Foods R&D, Inc. Beverage cartridge
JP2014061086A (ja) * 2012-09-20 2014-04-10 Zojirushi Corp 飲料抽出機及びその飲料抽出機の運転方法
US9688465B2 (en) 2012-11-12 2017-06-27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and process and system for making same
CN102991889B (zh) * 2012-11-26 2015-07-22 九阳股份有限公司 通过引入液体以制备豆制品饮料的料包及豆制品饮料制备方法
DE102012223291A1 (de) 2012-12-14 2014-06-1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US9783361B2 (en) 2013-03-14 2017-10-10 Starbucks Corporation Stretchable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US8960078B2 (en) * 2013-03-14 2015-02-24 Keurig Green Mountain, Inc. Reusable beverage cartridge
US8906436B2 (en) 2013-03-15 2014-12-09 Ptc-Innovations, Llc Single serve beverage additive cartridge
WO2014161089A1 (en) 2013-04-03 2014-10-09 2266170 Ontario Inc.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DE102013005870B3 (de) * 2013-04-08 2014-10-09 Markus Kott Kapsel zum Aufnehmen von Getränke-Ingredienzien
CA2912723C (en) 2013-05-23 2017-02-07 2266170 Ontario Inc. Capsule housing
CA2922824C (en) 2013-08-20 2021-05-18 2266170 Ontario Inc. A capsule containing a dosing agent and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N104433811B (zh) * 2013-09-16 2018-03-1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咖啡饮水机
USD731223S1 (en) 2013-10-11 2015-06-09 Bonne O Inc. Beverage carbonation system base
US10314319B2 (en) 2013-11-20 2019-06-11 2266170 Ontar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or controlled degassing of roasted coffee
US9521923B2 (en) 2013-12-24 2016-12-20 Pangaea Labs Ltd.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and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
US9521924B2 (en) 2013-12-24 2016-12-20 Pangaea Labs Ltd. Brewable beverage making machine
US9474406B2 (en) * 2014-01-17 2016-10-25 Keurig Green Mountain, Inc. Apparatus with beverage cartridge holder having movable outlet
US10442610B2 (en) 2014-03-11 2019-10-15 Starbucks Corporation Pod-based restrictors and methods
WO2015139140A1 (en) 2014-03-21 2015-09-24 2266170 Ontario Inc. Capsule with steeping chamber
CN106998955B (zh) * 2014-09-29 2020-04-14 路易吉·拉瓦扎股份公司 用于制备液体食物产品的机器的分配组件
US10450131B2 (en) 2014-10-01 2019-10-22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ffee pod
US9938075B2 (en) 2014-11-26 2018-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cartridge containing pharmaceutical actives
US9877495B2 (en) 2015-01-09 2018-01-30 Starbuck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weetened soluble beverage product
CA2973676A1 (en) 2015-01-30 2016-08-04 Anheuser-Busch Inbev S.A. Pressurized beverage concentrates and applian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beverages therefrom
ES2579978B2 (es) * 2015-02-16 2017-04-07 Smart Spirits, S.L. Infusor de bebidas alcohólicas
WO2016135105A1 (de) 2015-02-27 2016-09-01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mit einem durch siegeln verbundenen filterelement
JP6580714B2 (ja) 2015-06-10 2019-09-25 ケイ‐フィー システム ゲーエムベーハー 3層不織布を用いたポーションカプセル
ES2749154T3 (es) 2015-07-13 2020-03-19 K Fee System Gmbh Elemento filtrante con una escotadura
WO2017016045A1 (zh) * 2015-07-27 2017-02-0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饮品酿造装置和具有该饮品酿造装置的饮品机
EA031558B1 (ru) * 2015-09-01 2019-01-31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Эгбертс Б.В. Высушенный распылением молочный порошок и способы его получения
PL3344048T3 (pl) 2015-09-01 2021-10-25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Sposób wytwarzania proszku mlecznego
ES2767691T3 (es) 2015-09-18 2020-06-18 K Fee System Gmbh Adaptador para una cápsula monodosis
CN107259919A (zh) * 2016-04-06 2017-10-20 宫凤启 一种密封茶包
BR112019008836A2 (pt) 2016-11-09 2019-07-09 Pepsico Inc conjuntos de fabricação de bebida carbonatada, métodos, e sistemas
IT201600116679A1 (it) * 2016-11-21 2017-02-21 Venchi S P A Miscela a base cacao per l'estrazione di bevande espresso,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tale miscela, e capsula per la preparazione di tale bevanda
TWI629962B (zh) * 2017-09-22 2018-07-21 台灣玻璃工業股份有限公司 Brewing filter capable of effectively filtering out water-insoluble particles in the brewing
AU2017101725A4 (en) * 2017-12-06 2018-01-18 Dismov Pty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setting a grind coarseness
CN108720617A (zh) * 2018-06-20 2018-11-02 深圳市香啡国际商贸有限公司 一种过滤萃取结构
US11529594B2 (en) 2018-11-15 2022-12-20 Bonne O Inc. Beverage carbonation system and beverage carbonator
GB2587321B (en) * 2019-08-15 2023-06-07 Douwe Egberts Bv Beverage ingredient container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D1022567S1 (en) 2021-09-10 2024-04-16 Starbucks Corporation Brewer
USD1007217S1 (en) 2021-09-13 2023-12-12 Starbucks Corporation Brewe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3881A (en) * 1959-08-19 1961-12-19 Dairy Maid Products Cooperativ Manufacture of dry chocolate drink product
US3027257A (en) * 1959-10-23 1962-03-27 Kroger Co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hocolate flavored powder
CH468795A (fr) * 1967-04-14 1969-02-28 Nestle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extraits de matières végétales
NL176520C (nl) * 1972-05-26 Mars Ltd Drinkbeker.
CH605293A5 (ko) * 1976-12-17 1978-09-29 Nestle Sa
GB8829461D0 (en) * 1988-12-16 1989-02-01 Unilever Plc Beverage material
FI901992A0 (fi) * 1989-05-15 1990-04-20 Hag Ag Foerbaettrad kaffeburk.
US5082676A (en) * 1989-05-15 1992-01-21 Hag Gf Aktiengesellschaft Coffee cassette
GB2255494B (en) * 1990-10-31 1995-07-05 Coffea Sa Apparatus and cartridge for preparing a liquid product
DK75293D0 (da) * 1993-06-24 1993-06-24 Anhydro As Fremgangsmaade og anlaeg til et agglomereret produkt
US5433962A (en) * 1994-08-25 1995-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apidly soluble flavored instant coffee product
US5554400A (en) * 1994-08-25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fusion beverage product comprising co-agglomerated creamer and sweetener suitable for bag and filter pack brewing
CA2180419A1 (en) * 1995-08-02 1997-02-03 Simon M. Gotham Cappuccino brewing kit
US5895672A (en) * 1998-01-13 1999-04-20 Cooper; Barry Patrick Wesley Product and process for preparing a tea extract
US6291006B1 (en) * 1999-07-30 2001-09-18 The Procter & Gamble Co. Dissolution agent and process for making rapidly soluble instant beverage products
US6758130B2 (en) * 2001-03-16 2004-07-06 The Procter + Gamble Co. Beverage brewing devices for preparing creamy beverages
ES2252113T3 (es) * 2001-06-28 2006-05-16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psula flexible cerrada.
US6777014B2 (en) * 2001-07-03 2004-08-17 Harjit Singh Agglomerated milk in coffee and tea
US8147886B2 (en) * 2002-08-23 2012-04-03 Sara Lee/ De N.V. Form-retaining pa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ITBO20030062A1 (it) * 2003-02-13 2004-08-14 Ima Spa Capsula utilizzabile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infusa.
US8505440B2 (en) * 2003-07-22 2013-08-13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varying coffee intensity
US8327754B2 (en) * 2003-07-22 2012-12-11 The Coca-Cola Company Coffee and tea pod
US20080038441A1 (en) * 2003-07-22 2008-02-14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of Brewing Low-Cholesterol Espresso
ATE373438T1 (de) * 2003-07-23 2007-10-15 Nestec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gabe von getränken mit verschiedener schaummenge aus kapseln
GB2406329A (en) * 2003-09-29 2005-03-30 Mars Inc Apparatus for making multiple beverages with reduced cross-contamination
US20050158426A1 (en) * 2004-01-20 2005-07-21 Ruguo Hu Beverage portioned package for preparing a foamy beverage from soluble powder
US7490542B2 (en) * 2004-02-11 2009-02-17 I.T.A.Ca S.R.L. Cartridge for coffee and soluble products and relative method of producing a beverage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MY138658A (en) * 2004-02-20 2009-07-31 Nestec Sa System for dispensing short and long coffee beverages
CN2812746Y (zh) * 2005-05-23 2006-09-06 李其平 茶水分离式纸茶杯
US20070264393A1 (en) * 2006-05-10 2007-11-15 Conopco, Inc., D/B/A Unilever Infusion mixture substantially free of fine particulate and a method for making an infusion mixture
PL1908706T3 (pl) * 2006-06-06 2010-06-30 Nestec Sa Kapsułka pozwalająca ograniczyć zjawisko kapani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3150A (ko) 2011-07-29 2014-05-07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음료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6586A1 (en) 2012-06-15
NZ588008A (en) 2011-12-22
JP5432190B2 (ja) 2014-03-05
AU2009223793B2 (en) 2013-04-04
AU2009223793A1 (en) 2009-09-17
CN102026891B (zh) 2012-08-22
CA2718195A1 (en) 2009-09-17
MY164116A (en) 2017-11-30
CA2718195C (en) 2015-02-03
JP2011519584A (ja) 2011-07-14
WO2009114119A8 (en) 2009-11-12
CN102026891A (zh) 2011-04-20
US20100028495A1 (en) 2010-02-04
WO2009114119A1 (en) 2009-09-17
EP2262703A1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5785A (ko) 음료 카트리지
US20200375896A1 (en) Single serve beverage pod containing cannabis
RU258411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картридж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101505692B1 (ko) 캡슐로부터 짧은 커피 추출물을 더 빠르게 전달하는 방법
US20200289595A1 (en) Powdered cannabis extract
KR101790816B1 (ko) 음료 및 액체 식료품 제조에서의 개선
CN103189284A (zh) 用于饮料制备的胶囊
US20170164641A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Product Comprising a Plurality of Insoluble Material Bodies
JP2006519630A (ja) 不溶性物質を含有する液体注入ポッド
JP2013502925A (ja) ろ過助剤を用いた飲料カートリッジおよび飲料生成方法
TW201637962A (zh) 飲料包裝體及其組裝方法
KR20220044756A (ko) 음료 성분 용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JP2022542847A (ja) 飲料調製用の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