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363A - 차량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363A
KR20100135363A KR1020090053689A KR20090053689A KR20100135363A KR 20100135363 A KR20100135363 A KR 20100135363A KR 1020090053689 A KR1020090053689 A KR 1020090053689A KR 20090053689 A KR20090053689 A KR 20090053689A KR 20100135363 A KR20100135363 A KR 2010013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ail
light emitting
brightness
photo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650B1 (ko
Inventor
최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9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6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being dazz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량용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이 차량용 조명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와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감광부가 구비된다. 이 조명 감광부는 야간에 조명 밝기를 일정비율로 감광시킴으로써 발광부에 대한 주간과 야간의 조명 밝기가 다르게 설정된다. 이로 인해, 주간 시인성을 확보하고, 야간 조명으로 인한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해질 녘과 같은 특정 시간대에 감광 해제 모드를 설정하여, 발광부의 밝기를 다시 최대로 전환함으로써, 특정 시간대에서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053689
이그니션(IGNITION), 테일(TAIL), LCD, 인디케이터(INDICATOR), 레오스태트(RHEOSTAT)

Description

차량용 조명 장치{A LIGH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에 설치된 계기판(instrument cluster)들의 밝기를 조절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엔진 냉각수 온도계, 타코미터, 속도계, 연료량 게이지 등의 계기들이 설치된다. 이 계기들은 각각의 계기 값을, 포인터가 표시판에 표시된 눈금을 지시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계기들에는 야간 주행시에 운전자가 보다 명확히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용 조명 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차량 내부 전장 부품들의 조명은 주간 모드와 야간 모드에 따라 그 밝기가 다르다.
차량용 조명장치 중 차량의 실내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FATC)의 LCD & INDICATOR 조명 장치는 래오스태트(RHEOSTAT) 조명 조절 장치에 의해서만 조절된다.
도 1은 기존의 LCD & INDICATOR의 조명 밝기와 버튼 조명 간의 밝기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조명 밝기를 퍼센트 단위로 나타내고, 가로축은 주간(TAIL+OFF)과 야간(TAIL+ON)을 나타내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버튼 조명은 주간(TAIL+OFF)시 최소 밝기 또는 밝기 없는 상태(0%)를 유지하다가 야간에는 최대 밝기(100%)로 설정된다. 이때, LCD & INDICATOR 조명은 주간(TAIL+OFF)과 야간(TAIL+ON)에 관계없이 최대 밝기로 설정된다. 다시 말해 LCD & INDICATOR 조명의 주간 밝기는 야간에도 주간 밝기로 설정된다. 통상 차량에는 레오스테트(RHEOSTAT)라는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같은 조명 조절 장치가 없는 차량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 운행 시에도 버튼 조명의 최대 밝기와 동일한 밝기로 LCD & INDICATOR 조명 밝기가 설정되어 눈부심의 원인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방해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CD & INDICATOR의 주간 밝기를 낮추는 경우, 주간에 LCD & INDICATOR의 시인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간에는 차량용 계기판들의 조명밝기를 최대 밝기를 갖는 주간 밝기로 유지하여 주간 시인성을 확보하고, 야간에는 상기 주간 밝기를 일정량 감광된 야간 밝기로 전환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차량용 계기판들의 조명 밝기를 일정비율의 밝기로 감광하고, 동시에 야간에 감광된 차량용 계기판들의 조명 밝기를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차량용 계기판들의 조명 밝기를 주간 시의 조명 밝기로 다시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는,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와, 상기 정전압을 제공받고, 테일 온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조명 감광부,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주간 밝기보다 낮은 야간 밝기를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는, 차량의 시동시 생성되는 이그니션(ignition) 전압에 응답하여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을 구동시키는 이그니션 전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부와, 상기 정전압을 제공받고, 테일(tail) 온 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제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너 전압에 의해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제1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1 조명 감광부와, 상기 정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테 일 온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제2 제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너 전압에 의해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제2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2 조명 감광부와, 상기 제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1 감광비율로 주간 밝기를 야간 밝기로 감광하는 LCD 발광부와, 상기 제2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2 감광비율로 상기 주간 밝기를 야간밝기로 감광하는 인디케이터 발광부, 및 차량 운전자에 요구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감광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 온 전압을 테일 오프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명 감광부 제공되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LCD 발광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로 제공하여, 야간에도 상기 제1 및 제2 감광비율로 감광된 상기 LCD 발광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의 야간 밝기를 주간 밝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본 발명의 차량용 조명 감광 장치에 의하면, 주간에는 최대밝기를 유지하여 주간 시인성이 확보되고, 야간에는 LCD 및 INDICATOR의 조명 밝기가 일정량 감광되어, RHEOSTAT(밝기조절장치)가 없는 차량에서 LCD 및 INDICATOR의 조명으로 인한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조명 감광 장치에 의하면, LCD와 INDICATOR가 동일한 감광비율로 감광될 수 있는 회로 구성과 서로 다른 감광비율로 감광될수 있는 회로구성을 제공함으로써, LCD 및 INDICATOR의 조명 밝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차감광 해제 신호를 설정하여, 소비자가 선택하면 BUTTON 조명은 야간시 최대밝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LCD와 INDICATOR를 주간밝기로 유지시킴으로써, 소비자 취향에 따라 야간시 주간 밝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전체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조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주야간별로 조명 밝기와 버튼 조명의 조명밝기를 함께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300)는 전원부(100), 조명부(200), 감광해제 신호생성부(300) 및 레오스태트(400: REHOSTAT)를 포함한다.
전원부(100)는 이그니션 전압 생성부(112)와, 테일 전압 생성부(114)를 포함한다. 차량의 시동이 온(ON) 되면, 이그니션 전압 생성부(112: IG)는 이그니션(ignition) 전압(IGV)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그니션 전압(IGV)을 상기 조명부(200)로 제공하고, 상기 테일 전압 생성부(114)는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테일 온 전압(TAIL+ON)을 생성하고, 생성된 테일 온 전압(TAIL+ON)을 상기 조명부(200)로 제공한다.
조명부(200)는 계기판(instrument cluster)들의 밝기를 제공하는 발광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200)는 상기 이그니션 전압(IG)과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에 응답하여 주간과 야간 별로 서로 다른 조명 밝기를 제공한다. 즉,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300)에 구비된 조명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에는 100%의 최대 밝기를 갖는 조명 밝기를 제공하여 주간 시인성을 확보하고,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이 제공되는 야간에는 발광부(240)의 조명 밝기를 일정량 감광하여,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대한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40)가 주간 밝기의 1/2의 감광비율로 감광된 야간 밝기 즉, 대략 50%의 야간밝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부(200)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감광해제신호(DETENT)를 제공받아서 야간에도 감광된 야간 밝기를 다시 100%의 최대밝기를 갖는 주간 밝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부(200)에 대한 구체적인 내부 구성 및 동작과정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해제 신호 생성부(300)는 상기 감광 해제 신호(DETENT)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200)에 인가한다.
래오스태트(400: REHOSTAT)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200)에 인가한다. 레오스태트(400)는 조절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조절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e)를 조절한다. 여기서, 듀티비란 하이 구간과 로우 구간으로 이루어진 펄스의 한 주기에서 상기 하이(high)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하, 상기 조명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부(200)는 정전압 생성부(210), 조명 감광부(220) 및 발광부(230, 240)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압 생성부(210)는 제1 단자(21)를 통해 상기 이그니션 전압 생성부(112)로부터 상기 이그니션 전압(IGV)를 입력받아서 정전압(Constant Voltage: CV)을 생성한다.
상기 조명 감광부(220)는 상기 정전압 생성부(210)로부터의 정전압(V2)과, 제2 단자(23)를 통해 테일 전압 생성부(114)로부터의 테일 온 전압(TAIL+ON)을 입력받고, 제3 단자(25)를 통해 상기 감광해제신호 생성부(300)로부터의 감광해제신호(DETENT)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 조명 감광부(220)는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V2)보다 낮은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압은 제1 구동전압(V_LCD)과 제2 구동전압(V_IND)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구동전압들(DV1, DV2)은 서로 동일한 전압 레벨이거나 서로 다른 전압레벨일 수 있다. 상기 조명 감광부(220)가 상기 감광 해제 신호(DETENT)를 입력받으면, 상기 정전압(V2)을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조명 감광부(220)에 대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10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부는 제1 발광부(230) 및 제2 발광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발광부(230)는 상기 테일 전압 생성부(114)로부터의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과 상기 레오스태트(400)로부터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 및 상기 조명 감광부(220)를 거쳐 제공되는 상기 이그니션 전압(IGV)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1 발광부(230)는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이그니션 전압(IGV) 및 펄스 폭 변조 신호(PWM)에 의해 점등되는 제1 LED(232) 및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 및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PWM)에 의해 점등되는 제2 LED(23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LED(232, 234)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240)는 LCD 발광부(242)와 인디케이터 발광부(244: IND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LCD 발광부(242)는 상기 제1 구동전압(V_LCD)에 응답하여 최대밝기를 갖는 주간 밝기보다 낮은 제1 야간밝기를 제공하고, 상기 IND 발광부(244)는 상기 제2 구동전압(V_IND)에 응답하여 최대밝기를 갖는 주간 밝기보다 낮은 제2 야간밝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전압(V_LCD)의 전압레벨과 상기 제2 구동전압(V_IND)의 전압레벨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야간밝기와 상기 제2 야간밝기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구동전압(V_LCD)의 전압레벨과 상기 제2 구동전압(V_IND)의 전압레벨이 동일하면, 상기 제1 야간밝기와 상기 제2 야간밝기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명 감광부에 의해 상기 LCD 발광부(242)의 야간 밝기와 상기 IND 발광부(244)의 야간 밝기는 서로 동일하게 또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조명 감광부(220)가 감광해제신호(DETENT)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조명 감광부(220)는 정전압 생성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정전압(V2)을 구동전압으로서 상기 LCD 발광부(242)와 상기 IND 발광부(244)에 각각 제공하고, 야간밝기로 설정된 제2 발광부(240)는 주간 밝기로 전환된다. 즉, 소비자의 요구에 의해 감광해제신호가 인가되면, 야간밝기로 감광된 각 발광부(242, 244)는 주간밝기로 전 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조명 감광부의 내부 구성및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 감광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감광부(220)는 LCD 감광부(222), IND 감광부(224) 및 감광 해제부(226)를 포함한다. LCD 감광부(222)는 테일 온 전압(TAIL+ON)을 입력받아서 정전압(V2)을 일정 전압레벨로 감쇄시켜 LCD 발광부의 조명밝기를 조절한다(감광시킨다). IND 감광부(224)는 테일 온 전압(TAIL+ON)을 입력받아서 상기 정전압(V2)을 일정 전압레벨로 감쇄시켜 IND 발광부의 조명 밝기를 조절한다(감광시킨다). IND 감광부(224)는 감광해제신호(DETENT)를 입력받아서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을 강제로 테일 오프 전압(TAIL+OFF)을 변환시킨다. 이때, 상기 조명 감광부(220)를 IND 감광부(224)가 제거된 상기 LCD 감광부(222)만으로 구성함으로써, LCD 발광부(242)의 조명밝기(야간시의 조명밝기)의 감광량과 IND 발광부(244)의 조명밝기(야간시의 조명밝기)의 감광량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CD 감광부(222)는 제1 트랜지스터(Q1), 제2 트랜지스터(Q151) 및 제1 제너 다이오드(D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정전압(V2)을 인가받는 제1 입력단자(I1)와, 상기 정전압(V2)이 일정 전압레벨로 감쇄된 제1 구동전압(V_LCD)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자(O1) 및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3)를 통해 상기 제1 입력단자(I1)와 연결되는 제1 제어단자(C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Q151)는 제2 입력단자(I2)와,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을 인가받는 제2 제어단자(C2) 및 접지전압에 연결되는 제2 출력단자(O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D9)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제1 입력단자(I1)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151)의 제2 입력단자(I2)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IND 감광부(224)는 제3 트랜지스터(Q5), 제4 트랜지스터(Q12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D7)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Q5)는 상기 LCD 감광부(222)에 구비된 상기 제1 입력단자(I1)와 연결되는 제3 입력단자(I3)와, 상기 정전압(V2)이 일정 전압레벨로 감쇄된 제2 구동전압(V_IND)을 출력하는 제3 출력단자(O3) 및 제3 저항(R20)과 제4 저항(R252)를 통해 상기 제3 입력단자(I3)와 연결되는 제3 제어 단자(C3)를 포함한다. 상기 제4 트랜지스터(Q121)는 제4 입력단자(I4)와, 상기 테일 온 전압(TAIL+ON)을 인가받는 제4 제어단자(C4) 및 상기 접지전압에 연결되는 제4 출력단자(O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D7)는 상기 제3 트랜지스터(Q5)의 제3 입력단자(I3)와 상기 제4 트랜지스터(Q121)의 제4 입력단자(I4)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감광 해제부(226)는 제5 트랜지스터(Q551)를 포함한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51)는 감광해제신호(DETENT)를 인가받는 제5 제어단자(C5)와, 상기 LCD 감광부(222)에 구비된 제2 트랜지스터(Q151)의 제2 제어단자(C2)와 상기 IND 감광부(244)에 구비된 제4 트랜지스터(Q121)의 제4 제어단자(C4)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5 입력단자(I5)와 접지전압에 연결되는 제5 출력단자(O5)를 포함하는 제5 트랜지스터(Q551)를 포함한다.
이하, 주간 모드(TAIL+OFF), 야간모드(TAIL+ON) 및 감광해제모드(TAIL+ON)로 구분하여, 상기 조명 감광부(220)에 대한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1)주간 모드(TAIL+OFF)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정전압 생성부(210)를 통해 정전압(V2)이 생성된다. 이후, 생성된 상기 정전압(V2)은 LCD 감광부(222)의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3)을 통해 제1 트랜지스터(Q1)가 온(ON)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테일 전압 생성부(114)로부터 제공되는 테일 오프 전압(TAIL+OFF)에 응답하여 상기 LCD 감광부(222)의 제2 트랜지스터(Q151)가 오프(OFF)되어, 정전압(V2)이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 걸리는 전압 이외에의 모든 전압이 구동전압으로서,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에 인가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정전압(V2)에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 걸리는 전압(Q1의 문턱 전압)을 뺀 전압 즉 상기 정전압(V2) 약간 낮은 구동전압이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에 인가된다. 이때, LCD 발광부(242)에 제공되는 제1 구동전압(V_LCD)과 IND 발광부(244)에 제공되는 제2 구동 전압(V_IND)을 동일한 전압레벨로 구성하는 경우, V_LCD 전원만을 이용하여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점선으로 이루어진 박스 안의 회로 구성은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명 감광의 내부 회로도로서, 주간 모드에서 실제 시뮬레이션된 전압값을 표기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표기된 시뮬레이션 전압값에 따라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파형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모드(TAIL+OFF)에서는, 정전압(V2)이 8.5V인 경우, 8.5V에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 걸리는 전압을 감산한 대략 7.531V의 구동전압이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에 인가된다.
(2) 야간 모드(TAIL+ON)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정전압 생성부(210)를 통해 정전압(V2)이 생성되고, 생성된 정전압(V2)은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3)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Q1)를 온(ON) 시킨다. 이때, 테일 온 전압(TATIL+ON)에 의해 LCD 감광부(222)의 제2 트랜지스터(Q151)가 온(ON) 되면, 제1 제너 다이오드(D9)의 제1 제너전압만큼이 제1 트랜지스터(Q1)의 제1 제어단자(C1, 예컨대, BASE)에 인가되어 제1 제너 다이오드(D9)의 제1 제너전압만큼 LCD 발광부(242)의 조명밝기를 감광시키는 제1 구동전압(V_LCD)을 제공하는 회로가 구성된다. 주간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LCD 발광부(242)에 인가된 제1 구동전압(V_LCD)과 IND 발광부(244)에 인가되는 제2 구동전압(V_IND)의 전압레벨을 동일하게 구성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점선으로 이루어진 박스 안의 회로의 설계배제가 가능하다.
만일 LCD 발광부(242)에 인가된 제1 구동전압(V_LCD)과 IND 발광부(244)에 인가되는 제2 구동전압(V_IND)의 전압레벨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LCD 감광부(222)에 구비된 제1 제너 다이오드(D9)의 제1 제너전압과 IND 감광부(224)에 구비된 상기 제1 제너전압과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제2 제너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D7)를 설계함으로써, LCD 발광부(242)의 야간 시의 조명 밝기의 감광량과 IND 발광부(244)의 야간시의 조명 밝기의 감광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조명 감광의 회로도로서, 야간 모드에서 실제 시뮬레이션된 전압값을 표기한 회로도이고, 도 8은 도 7에 표기된 시뮬레이션 전압값에 의해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파형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V2)이 8.5V인 경우, 8.5V에서 제1 트랜지스터(Q1)에 걸리는 전압을 감산한 대략 3.614V의 제1 구동전압(V_LCD)이 LCD 발광부(242)에 인가되고, 8.5V에서 제3 트랜지스터(Q5)에 걸리는 전압을 감산한 대략 5.424V의 제2 구동전압(V_IND)이 IND 발광부(244)에 인가된다.
즉, LCD 감광부와 IND 감광부에 서로 다른 규격(서로 다른 제너 전압)을 갖는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를 설계하면, LCD 감광부(222)의 제1 트랜지스터(Q1)의 제1 제어단자(C1)에 인가되는 제1 제너전압과 IND 감광부(224)의 제3 트랜지스터(Q5)의 제3 제어단자(C3)에 인가되는 제2 제너전압이 서로 다르므로,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에는 서로 다른 구동전압들(V_LCD, V_IND)이 각각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제1 제너전압과 제2 제너전압 간의 전압비율에 따라 LCD 발광부(242)의 주간 밝기에 대한 야간 밝기의 제1 감광비율과 IND 발광부(244)의 주간 밝기에 대한 야간 밝기의 제2 감광비율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3) 감광해제모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정전압 생성부(210)를 통해 정전압(V2)이 생성되고, 생성된 정전압(V2)은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3)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Q1)를 온(ON) 시킨다. 이때, 테일 온 전압(TAIL+ON)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Q151)가 온(ON) 되면, 제1 제너 다이오드(D9)의 제1 제너전압 만큼 제1 트랜지스터(Q1)의 제1 제어단자(C1)에 인가되어 제1 제너 다이오드의 제1 제너전압 만큼 LCD 발광부의 주간밝기에 대한 야간시 조명 밝기를 감광시킨다.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각각 인가되는 제1 및 제2 구동전압들(V_LCD, V_IND)을 동일한 전압레벨로 설정하는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구동전압(V_LCD)만을 이용하면 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점선으로 이루어진 박스의 회로설계는 배제된다. 제1 구동전압(V_LCD)과 제2 구동전압(V_IND)을 다르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점선으로 이루어진 박스의 회로를 설계함으로써, 제2 구동전압(V_IND)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제1 제너다이오드와 제2 제너다이오드를 설계함으로써,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의 야간에 대한 조명 밝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야간 시 차량의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감광 해제 신호 생성부(300)로부터 감광 해제 신호(DETENT)가 감광 해제부(226)에 인가되면, 상기 감광 해제부(226)의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ON) 된다. 이로 인해 테일 온 전압(TAIL+ON)이 강제로 테일 오프 전압(TAIL+OFF)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LCD 감광부(222)의 제2 트랜지스터(Q2)와 IND 감광부(224)의 제4 트랜지스터(Q4)가 오프(OFF)됨으로써, 제1 트랜지스터(Q2)와 제3 트랜지스터(Q3)의 출력단들을 통해 정전압(V2)에 거의 가까운 구동전압이 LCD 발광부(242)와 IND 발광부(244)에 각각 제공된다.
도 9은 도 4에 도시된 조명 감광의 회로도로서, 야간 시 감광 해제 모드에서 실제 시뮬레이션된 전압값을 표기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표기된 시뮬레이션 전압값에 의해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파형도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LCD 감광부(222)는 테일 온 전압을 입력받아서 이그니션 전압(IGV)을 통해 생성된 정전압(V2)을 일정 전압레벨로 감쇄시켜 LCD 발광부(242)의 야간에 대한 조명 밝기를 조절한다. IND 감광부(224)는 테일 온 전압을 입력받아서 이그니션 전압(IGV)을 통해 생성된 정전압(V2)을 일정 전압레벨로 감쇄시켜 IND 발광부(244)의 야간에 대한 조명 밝기를 조절한다. 감광 해제부(226)는 감광해제신호(DETENT)에 응답하여 테일 온 전압을 강제로 테일 오프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결과적으로 ATC의 LCD 및 IND 발광부를 트랜지스터와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감광 및 감광 해제회로를 구성하고, 조명 밝기를 주간 밝기의 일정량의 감광을 시켜서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된 조명 밝기는 래오스태트(RHEOSTAT)가 설계된 경우, 이와 연동을 하여 야간에 조명을 조절하고, 래오스태트(RHEOSTAT)가 설계되지 않은 경우, 야간에 주간 밝기의 일정 비율로 감광하여 눈부심을 방지한다. 또한 주간 밝기는 최대한 높일 수 있어 주간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기존에는 야간 시 LCD 발광부 및 IND 발광부의 조명 밝기를 감광해 주는 회로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트랜지스터와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감광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야간에 조명 밝기를 일정비율로 감광시킴으로써 주간과 야간에 밝기 차이가 나도록 설계하였다. 이로 인해, 주간 시인성 확보하고, 더 나아가 야 간 조명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한다. 단,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해질 녘에서 감광 해제 모드를 설정하여,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의 밝기를 다시 최대로 전환함으로써, 해질 녘에서 시인성을 증대시켜 조명 밝기의 조절에 대한 소비자의 다양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LCD & INDICATOR의 조명 밝기와 버튼 조명 간의 밝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조명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밝기와 버튼 조명의 조명밝기를 주야간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 감광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명 감광의 내부 회로도로서, 주간 모드에서 실제 시뮬레이션된 전압값을 표기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표기된 시뮬레이션 전압값에 따라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조명 감광의 회로도로서, 야간 모드에서 실제 시뮬레이션된 전압값을 표기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에 표기된 시뮬레이션 전압값에 의해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파형도이다.
도 9은 도 4에 도시된 조명 감광의 회로도로서, 야간 시 감광 해제 모드에서 실제 시뮬레이션된 전압값을 표기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표기된 시뮬레이션 전압값에 의해 LCD 발광부와 IND 발광부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파형도이다

Claims (12)

  1.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정전압을 제공받고, 테일 온 전압(TAIL+ON)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조명 감광부; 및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주간 밝기보다 낮은 야간 밝기를 제공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생성부는 차량의 시동시 생성되는 이그니션(ignition) 전압을 제공받아서 상기 정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감광부는 테일 오프 전압(TAIL+OFF)에 응답하여 상기 주간 밝기에 대응하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발광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CD 발광부 및 인디케이터(INDICATOR)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감광부는
    상기 정전압을 인가받는 제1 입력단자와, 상기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자 및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제어단자를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2 입력단자, 상기 테일 온 전압을 인가받는 제2 제어단자 및 접지전압에 연결되는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 온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온 되면, 제너 전압을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제어단자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구동전압을 출력시키는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온 전압을 입력받고, 감광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받은 테일 온 전압을 테일 오프 전압(TAIL+OFF)으로 변환시키는 감광 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광부는 상기 감광 해제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테일 오프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정전압을 입력받아서, 상기 야간 시에도 상기 구동전압에 대응하는 야간 밝기를 상기 정전압에 대응하는 주간 밝기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8. 차량의 시동시 생성되는 이그니션(ignition) 전압에 응답하여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을 구동시키는 이그니션 전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부;
    상기 정전압을 제공받고, 테일(tail) 온 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제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너 전압에 의해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제1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1 조명 감광부;
    상기 정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테일 온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제2 제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너 전압에 의해 상기 정전압보다 낮은 제2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2 조명 감광부;
    상기 제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1 감광비율로 주간 밝기를 야간 밝기로 감광하는 LCD 발광부;
    상기 제2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2 감광비율로 상기 주간 밝기를 야간밝기로 감광하는 인디케이터 발광부; 및
    차량 운전자에 요구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감광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 온 전압을 테일 오프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명 감광부로 제공되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LCD 발광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로 제공하여, 야간에도 상기 제1 및 제2 감광비율로 감광된 상기 LCD 발광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의 야간 밝기를 주간 밝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CD 발광부의 제1 감광비율과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의 제2 감광비율은 상기 제1 제너 전압과 상기 제2 제너 전압 간의 전압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 감광부는,
    상기 정전압을 인가받는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1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자 및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제어단자를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2 입력단자, 상기 테일 온 전압을 인가받는 제2 제어단자 및 접지전압에 연결되는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 온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온 되면, 상기 제1 제너 전압을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제어단자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1 구동전압을 출력시키는 제1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 감광부는,
    상기 제1 조명 감광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제3 입력단자와, 상기 제2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제3 출력단자 및 상기 제3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제3 제어 단자를 포함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테일 온 전압을 인가받는 제4 제어단자, 상기 접지전압에 연결되는 제4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4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제3 입력단자와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제4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너 전압과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제2 제너 전압을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3 제어 단자에 인가하여, 상기 제3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1 구동전압과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제2 구동전압을 출력시키는 제2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감광 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광 해제부는 차량 운전자에 요구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감광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 온 전압을 테일 오프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명 감광부로 제공되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LCD 발광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로 제공하여, 야간에도 상기 제1 및 제2 감광비율로 감광된 상기 LCD 발광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발광부의 야간 밝기를 주간 밝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KR1020090053689A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조명 장치 KR10153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689A KR101532650B1 (ko)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689A KR101532650B1 (ko)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363A true KR20100135363A (ko) 2010-12-27
KR101532650B1 KR101532650B1 (ko) 2015-06-30

Family

ID=4350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689A KR101532650B1 (ko)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6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1488B2 (ja) * 1991-09-30 1998-02-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機器のインジケータランプ減光回路
JP2005014759A (ja) * 2003-06-26 2005-01-2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650B1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9991A (e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dimming control
US5381074A (en) Self calibrating lighting control system
CN107426852B (zh) 点亮装置和具有点亮装置的车辆照明系统
KR930002495B1 (ko) 전자계기반
EP0340485B1 (en) Control system for head-up display for automotive vehicles
JPS59763B2 (ja) 自動車用電子メ−タ
JP2005332586A (ja) 照明調光装置
CN105432143A (zh) 照明装置和包括所述照明装置的汽车车灯
TWI396467B (zh) 適用於車用儀表板之可調式背光顏色控制電路及其控制方法
CN109986964B (zh) 仪表显示装置
JP2006086063A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回路
KR20100135363A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20170077412A (ko) 차량용 램프
KR101405584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20040110274A (ko) 차량용 계기판의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154208B2 (en)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n automobile headlight lamp and headlight using that method
JP2012066605A (ja) 車両用照明調光装置
KR101047263B1 (ko) 미등 감광 해제 기능을 갖는 레오스타트
KR100488402B1 (ko) 차량용 백라이트 장치
US10306719B2 (en) Indicating device with compensating configuration
JPH04328030A (ja) 表示装置
JPH0123863Y2 (ko)
JPH0547721Y2 (ko)
KR100683251B1 (ko) 차량용 실내조명 조절장치
KR100488403B1 (ko) 차량용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